KR20080065431A - 빌트 인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빌트 인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431A
KR20080065431A KR1020070002570A KR20070002570A KR20080065431A KR 20080065431 A KR20080065431 A KR 20080065431A KR 1020070002570 A KR1020070002570 A KR 1020070002570A KR 20070002570 A KR20070002570 A KR 20070002570A KR 20080065431 A KR20080065431 A KR 2008006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op plate
cabinet
main body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5431A/ko
Priority to RU2009124903/03A priority patent/RU2421664C2/ru
Priority to MX2009007142A priority patent/MX2009007142A/es
Priority to US12/448,592 priority patent/US8367982B2/en
Priority to AU2007339665A priority patent/AU2007339665B2/en
Priority to EP07834054.4A priority patent/EP2102557B1/en
Priority to PCT/KR2007/005748 priority patent/WO2008082073A1/en
Priority to CN200780050907.7A priority patent/CN101600908B/zh
Publication of KR2008006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0Pack-frames carried on the body

Landscapes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 인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탑 프레임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그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기커버가 장착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위치하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놓이고, 다른 일부는 상기 캐비넷에 대응하여 놓이며, 상기 본체 내부의 유체가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배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유체의 풍압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 커버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냉각의 효율성과 사용의 안전성이 향상되며,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빌트 인, 조리기기, 탑 프레임, 배기구, 배기커버

Description

빌트 인 조리기기 {Built-in cooking applianc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부분 절결사시도.
도 4 는 도 3의 A-A'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캐비넷 120. 수용부
200. 탑 플레이트 210. 탑 프레임
211. 전면패널 212. 상면패널
213. 후면패널 214. 하면패널
220. 조작부 222. 조작버튼
300. 본체 310. 히터
320. 팬 330. 제1개구부
400. 배기구 420. 배기커버
510. 제1공간 530. 제2공간
본 발명은 빌트 인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탑 프레임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그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기커버가 장착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빌트 인(Built-in) 타입의 제품은 주방 공간의 다양한 활용을 고려하여, 주방 가구와 어울리도록 배치되면서 설치되는 주방 가구에 수납되어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으로 인해 근래에 들어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따라서,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은 주방 공간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주방 가구인 장(이하에서는 '캐비넷'이라 칭한다)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주방 공간을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익힘으로써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방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가열방법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가열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그리고, 하측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이 적고, 청소가 쉬워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가 수행되는 조리기기는 근래에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관심만큼이나 홉(hob), 호브, 레인지(range), 핫 플레이트(hot plat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기라고 명칭하는 경우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를 일컫는다.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냉각시켜주기 위하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사유로 인해 상기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가 캐비넷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상기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되며, 탑 플레이트의 주변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고, 조리기기의 인접부에서 사용되는 물이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을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다 수 부품들이 손상을 입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문제에 의해 본체 내부 공간 또는 캐비넷의 내부가 다습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본체 또는 캐비넷의 내부에 형성되는 습기에 의해 세균의 번식 또는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조리기기 내부의 전기적인 합선 또는, 동작상의 오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조리기기가 물의 사용이 많은 주방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문제는 심각하며 빨리 해결해야될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탑 플레이트가 외관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캐비넷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는 빌트 인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의 영향이 비교적 감소하게 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빌트 인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빌트 인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위치하 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놓이고, 다른 일부는 상기 캐비넷에 대응하여 놓이며, 상기 본체 내부의 유체가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배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유체의 풍압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 커버가 장착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캐비넷의 측면 사이로 유체가 유동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며,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를 커버하는 탑 프레임; 상기 탑 프레임에 형성되어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커버; 적어도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제1공간; 및 상기 배기커버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구획되는 제2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배기커버는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상기 제2공간의 압력보다 높을 때 개방되고, 제1공간의 압력이 제2공간의 압력보다 낮을 때는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공간은 상기 본체의 벽에 의해서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배기커버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냉각의 효율성과 사용의 안전성이 향상되며,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를 살펴보면, 주방 공간에는 다른 주방 가구와 조화롭게 배치할 수 있는 캐비넷(100)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100)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20)에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안착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방에서 절제되는 캐비넷(100)의 일부분으로 전방에서 오븐과 함께 수용되기도 한다.
상기 수용부(120)에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 상기 캐비넷(100)에 의해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200)가 지지된다. 수용부(120)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안착부는 수용부(12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단이 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일정 부분 파이면서 형성되고, 파이는 깊이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는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되더라도 파이는 깊이가 거의 없게 형성되며, 탑 플레이트(200)가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는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보다 더 깊이 파이면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에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면, 안착부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과 양 측방 테두리 부분이 지지되고,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은 지지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해 일정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은 막혀서 제공되며, 비록 막혀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캐비넷(100)의 여타 틈새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수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외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물이 유동하게 될 때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기도 하며, 이러한 배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경로의 직근 하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부(120)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경사지는 바닥면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부분 절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조리기기의 상단부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음식물 이 담긴 용기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는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라믹 소재의 열 강화유리로 형성되어 열에 강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 파이면서 형성되는 부분인 안착부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이 캐비넷(100)에 의해 지지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캐비넷(10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에는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 상단부가 차폐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가 일정 부분 간격을 가지거나 간격이 형성되지 않게 되더라도,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캐비넷(100)의 상면을 구분하기 위하여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부분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캐비넷(100)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은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며, 탑 프레임(210)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은 접착, 걸림 고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 방식이 좋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습기 등에 의해 움직이게 될 때 탑 플레이트(200)의 외부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음식 용기를 탑 플레이트(200)에 놓을 때 탑 플레이트(200)의 안쪽에 용기가 제대로 놓여있는 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조리기기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부분 다시 말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에도 설치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캐비넷(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탑 프레임(210)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300)와 캐비넷(100)이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간격에 의해 공기 또는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프레임(210)에는 자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배기구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에 의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 용기가 놓이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조작버튼(222)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222)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222)을 터치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열원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튼의 형상이 아닌 노브(knob)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도 가능하며, 스위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가 아닌 상기 본체(30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에 위치하게 되거나, 동시에 설치되는 오븐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처럼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이 캐비넷(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하여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 되어 조리기기의 외형에 대한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조리기기의 상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만큼 차이를 나타내게 되나, 상기 탑 프레임(210)으로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 부분이 차폐되면서 사용자가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가 크게 두껍지 않도록 형성되어 캐비넷(100)의 상면과 조리기기의 상면 차가 미미하여 사용자는 그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310)와,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본체(300) 내부 공간의 열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팬(320)이 장착된다. 상기 히터(310)는 직접 가열방식 또는 간접 가열방식 등 어떠한 방식의 히터(310)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두 형태의 히터(310)가 동시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직접 가열방식의 상기 히터(310)는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를 투과하여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며, 간접 가열방식의 히터(310)는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유도열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서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팬(320)은 가로 방향으로 긴 회전축에 다수의 팬 날개가 구비되어 회전축이 회전 운동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팬 날개가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이 사용되며, 이러한 횡류팬이 아닌 축류팬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횡류팬의 사용이 바람직함에 따라 하기 실시예에서는 횡류팬이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팬(320)은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3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팬(3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220)에 열 손상이 방지되며, 본체(300)의 외부로 전도되는 열이 작아지게 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사용자의 인체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팬(320)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 장착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외부의 본체(300) 외부의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는 상기 히터(310)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유도열에 의해 가열되어 음식물이 요리된다. 따라서, 탑 플레이트(200)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는 면적만큼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유도열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되며, 그 외의 부분에는 복사열 및 유도열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본체(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구되는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의 하부 외관이 형성된 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200)에 의해 상면이 정의되고, 본체(300)에 의해 측면과 하면이 정의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면, 상기 본체(3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탑 플레이트(2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수용부(120)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의 상측에 상기 탑 프레임(210)이 장착되어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 간격을 차폐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탑 프레임(210)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일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캐비넷(100)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탑 프레임(210)의 전단부가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면서 위치하게 되고, 탑 프레임(210)의 후단부가 캐비넷(100)의 상측에 놓이면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1)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패널(212),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213) 및 상기 캐비넷(100)의 상측에 위치하여 탑 프레임(210)이 캐비넷(100)의 상면에 지지되는 면을 제공하는 하면패널(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21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전면패널(211)의 상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 프레임(2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반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패널(212)이 구비된다.
상기 상면패널(212)의 후단부에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213)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패널(21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패널(21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후면패널(213)의 하단부에는 하면패널(214)이 후면패널(213)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벤딩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면패널(21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패널(214)의 전후 방향길이는 후면패널(21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면패널(214)의 전단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하면패널(214)은 상기 후면패널(213)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그 전단부는 수용부(120)의 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가 일정 간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간격이 상기 하면패널(214)에 의해 좁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211)은 하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접 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상단부는 후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상면패널(212)을 형성하게 된다. 상면패널(212)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후면패널(213)이 형성되고, 이러한 후면패널(213)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면패널(213)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하면패널(214)이 형성되며, 하면패널(214)의 전단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테두리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하면패널(214)의 하면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접하거나 접하지 않더라도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하면패널(214)은 지지된다.
상기 후면패널(213)에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유체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400)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400)는 후면패널(213)에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패널(213)에 형성되는 상기 배기구(40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홀이 다수 형성되거나,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배기구(4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 공간에서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배기구(400)의 상측에는 배기구(4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기커 버(420)가 장착된다. 상기 배기커버(420)는 배기구(4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기구(400) 전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400)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배기커버(42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면적은 배기구(400)를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배기구(400)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원형 홀 형상으로 형성되면, 다수의 홀을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기커버(4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패널(213)에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배기구(400)를 통과하게 되는 유체의 풍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장착된다.
물론, 힌지로 체결되어 유체의 풍압에 의해 상기 배기커버(420)가 상기 배기구(400)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힌지가 아닌 별도의 개폐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배기커버(420)를 작동시켜, 상기 배기구(4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배기커버(420)를 상기 조작부(220)에 형성되는 상기 조작버튼(222)을 조작함으로써 배기구(4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배기커버(420)가 배기구(400)를 개방시키도록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배기커버(420)가 별도의 개폐장치에 의해 동작하도록 장착되면, 별도의 조작이나 조리기기가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구(400)를 개방하고, 조리기기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면, 배기구(400)를 폐쇄하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가 상기 배기구(400)를 통과하여 작은 각도로 유로가 변환되어 우상방으로 유동하게 되어, 유체의 유로가 급격히 변화되지 않게 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후면과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인 제1공간(510)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100)의 상측과 상기 탑 프레임(210)의 사이에는 제2공간(53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300)의 후면에는 본체(300) 내부 공간의 열기가 상기 제1공간(510)으로 배기하기 위한 제1개구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부(33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상의 홀이 다수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상의 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0)의 후면에는 상기 제1개구부(330)를 통과하게 되는 유체가 상기 제2공간(530)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배기가이드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배기가이드는 각각의 제1개구부(3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우측 상방으로 유체를 안내하게 된다.
이처럼, 형성되면, 상기 제2공간(530)의 압력이 상기 캐비넷(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 즉 외부 공간의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배기커버(42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배기구(400)를 개방하게 된다. 만약, 제 2공간(530)의 압력이 외부 공간의 압력보다 낮게 되면, 유체는 배기커버(420)를 작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배기커버(420)는 작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커버(420)가 유체의 풍압이나 공간의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상기 배기구(400)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캐비넷(100)의 주변에서 유동하게 되는 물이 배기구(400)를 통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고속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에 의해 물도 동시에 유체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물이 배기구(400)를 통해 역류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조리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배기구(400)가 차폐되어 외부 공간의 먼지 또는 물이 상기 배기구(40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얻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도 3의 A-A'부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요부 구성인 탑 프레임(2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탑 프레임(2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상면패널(212)의 후단부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상면패널(212)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탑 프레임(2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후면패널(213)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면패널(213)에는 상기 배기구(400)와 상기 배기커버(420)가 구비되 고, 배기커버(4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간(530)에서 상기 캐비넷(100)의 상측 공간 즉, 외부 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하게 되도록 배기구(4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하면, 상기 제2공간(530)에서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탑 프레임(210)의 직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직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유체는 사용자로부터 먼 방향으로 더운 공기를 배기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빌트 인 조리기기의 공기 유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히터(31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에 의해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는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게 되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해 본체(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팬(320)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팬(320)이 작동하게 되면, 팬(320)의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더운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제1개구부(330)를 통해 상기 제1공간(510)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팬(320)이 동작하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캐비넷(100)과 본체(30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 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본체(300)에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300)의 어느 면이나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하기되는 실시예에서는 본체(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본체(300)의 어느 면에 형성되더라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팬(320)이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찬 공기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고,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외부의 찬 공기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면서 본체(300) 내부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제1공간(510)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배기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2공간(530)으로 유동하게 되고, 제2공간(530)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배기구(400)를 통과하게 된다. 반면, 배기가이드가 형성되지 않게 되더라도 공기의 대류 현상에 의해 더운 공기는 상방으로 향하여 유동하게 된다.
상기 배기구(400)를 통과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더운 공기가 가지는 풍압 또는 상기 제2공간(530)에서 발생하게 되는 높은 압력에 의해 배기구(400)를 차폐하고 있는 상기 배기커버(420)를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배기커버(420)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2공간(530)에 위치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배기구(400)를 통과하여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외부 공간으로 더운 공기가 배기되어 제2공간(530)의 압력이 외부 공간의 압력과 같아지게 되거나, 더운 공기의 풍압이 저하되면, 배기커버(420)는 다시 배기구(400)를 차폐 하게 된다.
상기 배기커버(420)가 상기 배기구(400)를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제1공간(510)에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에 의해 다시 상기 제2공간(530)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거나, 더운 공기의 풍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서,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더운 공기는 계속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어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를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팬(320)의 회전 운동으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조리기기와 인접해 있는 유체와 본 발명과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리기기는 주방의 싱크대와 인접되어 장착됨에 따라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된다.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및 양 측방에서는,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상기 수용부(120)에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부분의 접촉면이 소정의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되는 방식으로 서로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 공간의 유체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외부 공간의 유체로 인한 문제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 부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 임(210)의 후단부와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 공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배기구(400) 즉,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상기 제1개구부(330)를 통해 배기된 다음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배기구(400)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일정 수준 높은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배기구(400)는 상기 배기커버(420)에 의해 차폐됨에 따라 배기구(400)를 통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이러한 여건에서도 상기 배기구(400)를 통해 유입되는 과도한 물은 상기 제1공간(510)으로 낙하하게 된다. 제1공간(510)으로 낙하하는 물은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통해 캐비넷(10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공간(510)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물이 상기 배수구를 향하여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상기 배기구(40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스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커트를 따라서 물이 안내되어 낙하하기 때문에 물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는 경우 수용부(120)의 하면에 고인 물이 집수되어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지 않고, 열려있는 경우 수용 부(120)의 하측 소정의 위치에 집수장치를 제공하여 조리기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놓이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설치 상태로 제한되지 않고,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테두리 부분과, 양 측방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테두리에 각각의 탑 프레임(210)이 놓이면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상기 배기구(400)는 상기 배기커버(4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여 배기구(4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제품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배기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 후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의하면 상기 본체(300)의 후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구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본체(300)의 후면에는 별도의 상기 제1개구부(330)가 형성되지 않고,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가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본체(30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유동되며, 상방으로 유동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제2공간(530)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공간(530)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그 풍압 또는 상기 본체(300)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기커버(420)를 회동시켜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일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원활하게 배기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내부 온도를 짧은 시간에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탑 플레이트가 상기 캐비넷의 상방으로 눈에 띄게 돌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냉각이 양호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조리기기의 원활한 냉각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전장 부품의 열 손상이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기됨으로써 전장 부품에 대한 열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오작동이 예방되며, 제품의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수명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품의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배기커버에 의해 배기구가 조리기기가 사용될 경우 개방되고, 조리기기의 사용이 정지되면 차폐되어 외부 공간의 이물질 및 물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Claims (6)

  1.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위치하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놓이고, 다른 일부는 상기 캐비넷에 대응하여 놓이며, 상기 본체 내부의 유체가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배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유체의 풍압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 커버가 장착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지 않게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캐비넷의 측면 사이로 유체가 유동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4.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며,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를 커버하는 탑 프레임;
    상기 탑 프레임에 형성되어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커버;
    적어도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제1공간; 및
    상기 배기커버에 의해 상기 제1공간과 구획되는 제2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배기커버는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상기 제2공간의 압력보다 높을 때 개방되고, 제1공간의 압력이 제2공간의 압력보다 낮을 때는 닫히도록 구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은 상기 본체의 벽에 의해서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으로 구획되는 빌트인 조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커버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KR1020070002570A 2006-12-2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80065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70A KR20080065431A (ko)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RU2009124903/03A RU2421664C2 (ru) 2006-12-29 2007-11-15 Встроенная бытов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и комплект для ее установки
MX2009007142A MX2009007142A (es) 2006-12-29 2007-11-15 Electrodomestico para cocinar integrado y aparato para la instalacion del mismo.
US12/448,592 US8367982B2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AU2007339665A AU2007339665B2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EP07834054.4A EP2102557B1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PCT/KR2007/005748 WO2008082073A1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CN200780050907.7A CN101600908B (zh) 2006-12-29 2007-11-15 嵌入式烹饪器具及其安装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70A KR20080065431A (ko)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431A true KR20080065431A (ko) 2008-07-14

Family

ID=3981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70A KR20080065431A (ko) 2006-12-2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54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82B1 (ko) * 2010-03-23 2011-05-23 한국전력공사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전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82B1 (ko) * 2010-03-23 2011-05-23 한국전력공사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전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KR102428720B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EP3640545B1 (en) Griddle device
US10443858B2 (en) Cooking appliance
KR100889132B1 (ko) 오븐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JP5100440B2 (ja) 加熱調理器
EP2102557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EP2102554A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20110079007A (ko) 조리기기
KR100829622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8006543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JP200434904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KR20100112337A (ko)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
JP2008167957A (ja) 加熱調理器
KR100826707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1531062B1 (ko)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KR100700771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백가드가 구비된 오븐레인지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JP2004039356A (ja) 電磁誘導加熱コンロ
JP7370169B2 (ja) 加熱調理器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CN218528516U (zh) 多功能翻盖全景可视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28

Effective date: 201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