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621B1 -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 Google Patents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621B1
KR100829621B1 KR1020060138273A KR20060138273A KR100829621B1 KR 100829621 B1 KR100829621 B1 KR 100829621B1 KR 1020060138273 A KR1020060138273 A KR 1020060138273A KR 20060138273 A KR20060138273 A KR 20060138273A KR 100829621 B1 KR100829621 B1 KR 10082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cabinet
top frame
built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621B1/ko
Priority to RU2009124903/03A priority patent/RU2421664C2/ru
Priority to CN200780050907.7A priority patent/CN101600908B/zh
Priority to AU2007339665A priority patent/AU2007339665B2/en
Priority to PCT/KR2007/005748 priority patent/WO2008082073A1/en
Priority to MX2009007142A priority patent/MX2009007142A/es
Priority to EP07834054.4A priority patent/EP2102557B1/en
Priority to US12/448,592 priority patent/US83679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고 내부에는 적어도 가열체가 놓이는 본체; 상기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캐비넷; 상기 탑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넷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모서리를 커버하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기기 내부가 원활하게 냉각될 수 있어서, 빌트 인 조리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미감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조리기기 내부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빌트 인 조리기기

Description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device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설치상태의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를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2 : 함몰부 3 : 놓임부 5 : 조리기기
6 : 탑 프레임 51 : 탑 플레이트 60 : 제 2 개구부 59 : 제 1 개구부
57 : 서포퍼
본 발명은 빌트 인(built-in)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온의 탑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 이다.
빌트 인 조리기기는 캐비넷-설치장이라고 할 수도 있다-에 직접 설치되는 조리기기로서, 캐비넷과 같은 가구의 설치 시에 함께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부엌 구조를 아름답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중에서도 고온의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로 열이 전달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다른 이름으로 핫 플레이트(hot plate), 홉(hob), 레인지(Range), 쿡탑(cook-top)이라고도 하고, 그 어떠한 이름과는 상관없이 본원발명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 조리기기라고 이름을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를 말하는 것이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내부 부품들이 열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가 조리기기의 내외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단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어 있게 되고, 이와 같이 되면, 탑 플레이트의 주변부를 청소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상판이나, 인접부에서 물이 공기의 유동구멍을 통하여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조리기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기기의 내부에 전기적인 합선이나, 동작상의 오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는 조리기기가 물기가 많은 부엌에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면, 심각한 문제라고 아니할 수 없다.
또한, 조리기기는 편평한 평면에 냄비와 같은 식기가 놓인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기구이기 때문에, 식기가 놓이는 위치가 안정되게 지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기에는 탑 플레이트의 상면에 소정의 도안에 의해서 음식물이 놓여야 하는 위치가 표시되어 있을 뿐, 식기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탑 플레이트가 기름등으로 인하여 매끄러운 경우에는 빌트 인 조리기기의 상면에 놓여 있는 식기가 다른 쪽으로 이동하거나, 사용자가 식기를 올바로 취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캐비넷의 바깥쪽으로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기기 내부가 원활하게 냉각될 수 있는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를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가 안전하게 빌트 인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고 내부에는 적어도 가열체가 놓이는 본체; 상기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캐비넷; 상기 탑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넷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모서리를 커버하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은 서로 이격되어서 간격부를 이루고, 상기 간격부를 커버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탑 프레임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탑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열려있는 제 1 개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제 1 유체 유동; 및 상기 탑 플레이트 위의 유체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제 2 유체 유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는, 캐비넷에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고, 내부에 가열체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 간의 이격된 부분을 덮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프레임에는, 상기 본체 내부의 더운 공기가 적어도 두 방향으로 각각 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는, 캐비넷에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 간의 이격된 부분을 덮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을 서로 연결하는 서포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는, 캐비넷에서 하측으로 함몰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고,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놓임부;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이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간격을 덮는 탑 프레임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놓여서, 상기 본체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 상기 탑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비넷;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일 모서리와 캐비넷 사이의 간격을 덮는 탑 프레임; 상기 탑 프레임이 놓이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본체를 상기 캐비넷에 연결하는 서포터; 상기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탑 프레임이 놓이는 측에서 본체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공; 상기 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탑 프레임 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서포터 통공; 및 상기 탑 프레임에 의해서 안내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가 포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 또는 상기 캐비넷과 상기 탑 프레임의 사이 간격 또는 탑 프레임에 자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냉각 효율성과, 사용의 안정성과, 청소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빌트 인 조리기기에는, 캐비넷(1)과, 상기 캐비 넷(1)의 일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조리기기가 놓이는 구역을 제공하는 함몰부(2)와, 상기 함몰부(2)의 테두리 부분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단이 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놓임부(3)와, 상기 놓임부(3)에 안착되는 조리기기(5)와, 상기 함몰부(2)의 어느 일측에 캐비넷(1)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수구(4)와, 상기 조리기기(5)와 상기 캐비넷(1)의 사이간격에서 서로 띄어져 있는 부분을 상측에서 커버하는 탑 프레임(6)이 제공된다.
상기 놓임부(3)는 상기 함몰부(2)의 테두리 부분에서 하측으로 일정거리 파여져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놓임부(3)에 의해서 상기 조리기기(5)의 테두리 부분이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조리기기(5)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고온의 탑 플레이트(도 3의 51참조)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놓임부(3)가 하측으로 파여져 있는 깊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두께보다 깊게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1)의 상면보다 아래 쪽에 놓여있게 된다. 상기 놓임부(3)는 조리기기(5)의 전방과 양측방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고, 조리기기(5)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조리기기(5)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는 조리기기(5)의 내부 열이 방출되는 간격부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탑 플레이트(51)가 상기 캐비넷(1)보다 아래쪽에 놓여 있게 되면, 탑 플레이트(51)의 상면에 놓여있는 식기가 움직일 때, 탑 플레이트(51)의 테두리 부분에서 캐비넷(1)에 걸리기 때문에 식기가 탑 플레이트(51)의 바깥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안전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식기를 탑 플레이트(51)에 놓을 때 탑 플레이트(51)의 안쪽에 식기가 제대로 놓여있는 지를 식기의 기울어짐 상태를 이용하여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도 2에 제시되는 조리기기의 설치상태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조리기기(5)와 캐비넷(1) 간의 상대적인 위치구조 및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 함몰부(2)의 하측은 막혀서 제공되는데, 비록 막혀있다고 하더라도 캐비넷(1)의 여타 틈새를 통하여 외기가 함몰부(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4)는 상기 조리기기(5)에서 하측으로 물이 내려오는 경로의 직근 하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만약, 함몰부(2)의 바닥부가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경사지는 바닥면 중에서 높이가 가장 낮은 곳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탑 프레임(6)은 조리기기(5)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부분, 다시 말하면, 탑 플레이트(51)와 캐비넷(1)의 사이에 열려있는 간격부를 커버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51)는 상기 탑 프레임(6)과 캐비넷(1)의 상면까지 연장되어서, 상기 탑 프레임(6)과 캐비넷(1)의 간격부를 커버하고 있다. 그리고, 탑 프레임(6)과 탑 플레이트(51)는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서 놓여 있기 때문에, 그 사이를 통하여 공기 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탑 프레임(6)에는 자체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탑 프레임(6)에 의해서는 공기 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두 가지의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원활한 유체 유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를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5)는 식기가 놓이는 버팀판의 역할을 하는 탑 플레이트(51)와,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하측에 놓이는 본체(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52)의 내부에는, 적어도 열을 가하는 히터(54)와, 본체(52)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팬(53)이 포함된다. 상기 히터(54)는 직접 가열방식 또는 유도 가열방식등 어떠한 형식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51)는 놓임부(3)에 안착되고, 상기 놓임부(3)는 상기 캐비넷(1)의 상단부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된 위치까지 파여져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상면 높이는 상기 캐비넷(1)의 상면 높이보다 하측에 놓여 있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후단부와 상기 캐비넷(1) 간의 사이 간격부는 상기 탑 프레임(6)에 의해서 덮여지게 된다.
상세하게, 상기 탑 프레임(6)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캐비넷(1)에 고정된다. 상기 탑 프레임(6)과 상기 캐비넷(1)의 결합은 접착, 나사고정, 걸림고정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접착방식이 좋다. 상기 탑 프레임(6)의 후단부에는 제 2 개구부(60)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개구부(60)를 통하여 조리기기(5)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프레임(6)의 전방부와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상단면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고, 그 간격은 제 1 개구부(59)로서의 역할이 수행되어 조리기기(5)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개구부(60) 및 제 1 개구부(59)의 크기는 조리기기(5)의 사양 및 발열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탑 프레임(6)에 의해서 적어도 두 곳의 토출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조리기기(5)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5)의 자중이 상기 캐비넷(1)에 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조리기기의 전방과 양측방의 세 면은, 캐비넷(1)의 놓임부(3)에 탑 플레이트(51)가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후방은 별도의 서포터(57)가 탑 플레이트(51)의 바닥면과 캐비넷(1)의 고정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바닥면과 서포터(57)는 접착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캐비넷(1)과 서포터(57)는 나사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52)는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상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되어서, 절곡된 부위가 상기 본체(52)의 하면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5)의 내부를 식히는 공기의 유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팬(53)이 동작되면, 조리기기의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된다. 팬(53)의 유입공기는 상기 팬(53)과 정렬되는 본체(52)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입공(55)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55)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함몰부(2)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캐비넷(1)의 간격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함몰부(2)의 바닥면이 뚫려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함몰부(2)의 바닥면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흡입될 것이다.
상기 팬(53)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조리기기의 컨트롤부(미도시)와 히 터(54)를 거친 후에 본체(52)의 후방에 형성되는 유출공(56)을 통하여 토출된다.
상기 유출공(56)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서포터 통공(58)을 통하여 상기 탑 프레임(6)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유출공(56)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함몰부(2) 내부의 다른 공간으로 향하지 않고 상기 서포터 통공(58)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의 배면에는 별도의 유동 가이드(65)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65)는 복수개의 유출공(56) 별로 각각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큰 유동 가이드(65)가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서포터 통공(58)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탑 프레임(6)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더운 공기는, 탑 프레임(6)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 1 개구부(59)와 탑 프레임(6)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부(60)를 통하여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면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탑 프레임(6)의 내부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및 후방 두 갈래로 분지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효율이 증가되고, 유동저항이 감소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개구부(59)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상면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탑 플레이트(51) 상면의 고열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기기(5)의 사용이 끝난 다음에 탑 플레이트(51)에 남아있는 잔열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조리기기가 놓여 있는 상태에서 조리기기가 동작되면, 제 1 개구부(59)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탑 플레이트(51)에서 식기로 전달되는 열을 폐기시켜 버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탑 플레이트(51)와 식기가 접하는 면은 서로 인접하고 있어서, 그 접면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지 않기 때문에 열효율의 저하는 그다지 크지 않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개구부(59)와 상기 제 2 개구부(60)의 크기비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크기 비율을 얻어내는 것으로서, 열효율의 저하가 없으면서도 사용자의 안전을 위할 수 있는 적정의 크기를 얻어낼 수도 있다.
상기 제 2 개구부(6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후방으로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개구부(59) 및 제 2 개구부(60)는 그 전부가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않게 됨으로써, 빌트 인 조리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고, 더욱 편리하게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방개구부(59)는, 외부에서 보기로는 탑 플레이트(51)의 상면에 탑 프레임(6)이 닿아서 제 1 개구부(59)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탑 플레이트(51)와 탑 프레임(6)은 서로 떠 있어서 양자가 서로 분리되어 제 1 개구부(59)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상기 조리기기의 인접부에 있는 유체와 본 발명과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조리기기는 부엌과 같이 물의 사용이 잦은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조리기기의 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전방 및 양측방에서는, 탑 플레이트(51)의 하면과 놓임부(3)의 접촉면이 소정의 실링부재에 실링되는 방식으로 서로 실링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의 유체로 인하여 문제가 되는 부분은 탑 플레이트(51)의 후방에 놓이는 탑 프레임(6)에 대해서 뿐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 프레임(6)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 1 개구부(59)와 후방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부(60)가 그것이다.
먼저, 상기 제 1 개구부(59)에는 탑 플레이트(51)의 상측으로부터 흘러들어온 물이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59)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서포터 통공(58)을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고, 흘러내린 물은 배수구(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조리기기의 자체적인 열에 의해서 증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부(60)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물은, 상기 제 2 개구부(60)가 상기 캐비넷(1)에 대하여 일정 수준 높은 곳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제 2 개구부(6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원천적으로 상기 탑 프레임(6)에 의해서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부(60)를 넘어서 까지 유입되는 과도한 물은, 상기 서포터 통공(58)을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려서 상기 배수구(4)를 통하여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 통공(58)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본체(52) 내부로 흘러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터 통공(58)은 상기 유동 가이드(65)에 비하여 일정 수준 후방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상기 서포터 통공(58)을 통하여 흘러내린 물이 배수구를 향하여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터 통공(58)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스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커트를 따 라서 물이 흘러내리기 때문에, 물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없앨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넷(1)의 상단면은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상단면보다 일정 높이(△H)만큼 높은 위치에 놓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탑 플레이트(51)의 상면에 식기가 놓일 때 그 위치 선정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로 놓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 내부의 더운 공기가 상기 탑 프레임(6)의 전방 및 후방으로 분지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탑 플레이트의 냉각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가 종료되고 난 다음에 고속으로 팬을 회전시켜서 탑 플레이트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사용자의 안전이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가 소정의 차폐막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가 동작 중일 때에는 상기 제 2 개구부만이 개방되어 탑 프레임의 후방으로만 더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이 종료되어 탑 플레이트를 냉각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개구부만이 개방되어 탑 플레이트를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하기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놓임부(3)는 연속적인 양상으로 캐비넷(1) 자체가 단이 져 있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물품이 캐비넷(1)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설치 기구가 캐비넷(1)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배수구(4)는 상기 함몰부(2)의 하면이 막혀있는 경우에는 함몰부(2)의 하면에 고인 물이 집수되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함몰부(2)의 하면에 막혀 있지 않고 열려있는 경우에는 함몰부(2)의 하측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집수장치를 제공하여 조리기기의 상측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후면부에 놓이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치상태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측면부 또는 양 측면부 또는 전방부 또는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원 실시예에서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를 통하여 유동되는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는, 조리기기와 캐비넷의 사이 간격부를 커버하는 구조로서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유동과는 상관없이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사이 간격부를 덮는 장식적인 기능만을 가지는 어떠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서포터(57)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접착되고, 본체(52)와 서포 터가 접착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체(52)와 서포터(57)가 나사로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기 탑 플레이트(51)의 상면이 상기 놓임부(3)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조리기기(5)의 자중이 충분하게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터(57)는 별도로 필요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서포터(57)가 제시되는 경우라면 그 어느 경우라도 서포터(57)에 공기 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서포터 통공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서포터(57)가 상기 본체의 사면에 모두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가 본체와 상기 캐비넷에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설치과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상기 캐비넷(1)에 별도로 놓임부(3)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캐비넷의 제작이 편리해지고, 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는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터(57)는 본체(52)의 케이스와 별개의 물품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52) 케이스의 상단부에서 절곡된 면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케이스의 일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착되고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는 상기 캐비넷(1)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본체(52)에 의해서 서포터(57)의 기능이 함께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구부는 더운 공기가 후방으로만 배출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탑 프레임의 상면에 홀을 제공하여 상면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탑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하여 비록 후방으로 향하기는 하지만, 일정각도로 상방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탑 프레임 전방부의 하단이 상기 탑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이루는 간격을 통하여 공기 또는 유체가 유동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탑 프레임의 전방부에도 제 2 개구부와 마찬가지로 제 1 개구부가 일정 높이로 떠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을 제작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를 따라서 유동하는 물은 차단막에 걸리도록 하고 공기는 유동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기 탑 프레임이 상기 탑 플레이트에 의해서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개구부도 탑 프레임과 캐비넷의 사이 간격부에 형성되는 것도 충분히 예상 가능한 일이다.
또한,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는 전체적으로 열려 있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각각의 개구부가 서로 이격되어 열려있는 양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일 예에 지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기기 내부가 원활하게 냉각될 수 있어서, 빌트 인 조리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전하게 빌트 인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 내부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Claims (9)

  1.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고 내부에는 적어도 가열체가 놓이는 본체;
    상기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캐비넷;
    상기 탑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넷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모서리를 커버하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는 빌트 인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 사이 접촉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열려있는 빌트 인 조리기기.
  3.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은 서로 이격되어서 간격부를 이루고, 상기 간격부를 커버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탑 프레임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탑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열려있는 제 1 개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제 1 유체 유동; 및
    상기 탑 플레이트 위의 유체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부로 유출되는 제 2 유체 유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빌트 인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개구부가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유출하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개구부는, 상기 탑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의 간격인 빌트 인 조리기기.
  6. 캐비넷에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고, 내부에 가열체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 간의 이격된 부분을 덮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탑 프레임에는, 상기 본체 내부의 더운 공기가 적어도 두 방향으로 각각 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7. 캐비넷에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 간의 이격된 부분을 덮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을 서로 연결하는 서포터가 포함되는 상기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8. 캐비넷에서 하측으로 함몰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고,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놓임부;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이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간격을 덮는 탑 프레임이 포함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9.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놓여서, 상기 본체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
    상기 탑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비넷;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일 모서리와 캐비넷 사이의 간격을 덮는 탑 프레임;
    상기 탑 프레임이 놓이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본체를 상기 캐비넷에 연결 하는 서포터;
    상기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탑 프레임이 놓이는 측에서 본체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공;
    상기 유출공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탑 프레임 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서포터 통공; 및
    상기 탑 프레임에 의해서 안내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가 포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 또는 상기 캐비넷과 상기 탑 프레임의 사이 간격 또는 탑 프레임에 자체적으로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KR1020060138273A 2006-12-29 2006-12-2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KR10082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73A KR100829621B1 (ko) 2006-12-29 2006-12-2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RU2009124903/03A RU2421664C2 (ru) 2006-12-29 2007-11-15 Встроенная бытов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и комплект для ее установки
CN200780050907.7A CN101600908B (zh) 2006-12-29 2007-11-15 嵌入式烹饪器具及其安装设备
AU2007339665A AU2007339665B2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PCT/KR2007/005748 WO2008082073A1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MX2009007142A MX2009007142A (es) 2006-12-29 2007-11-15 Electrodomestico para cocinar integrado y aparato para la instalacion del mismo.
EP07834054.4A EP2102557B1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US12/448,592 US8367982B2 (en) 2006-12-2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73A KR100829621B1 (ko) 2006-12-29 2006-12-2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621B1 true KR100829621B1 (ko) 2008-05-19

Family

ID=3966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273A KR100829621B1 (ko) 2006-12-29 2006-12-29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9621B1 (ko)
CN (1) CN1016009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015A (zh) * 2019-04-28 2020-10-30 宁波欧琳整体厨房有限公司 烹饪橱柜和灶台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543U (ja) * 1991-03-06 1992-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埋込形調理器
JPH10185211A (ja) 1996-12-25 1998-07-14 Toshiba Corp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2000220846A (ja) 1999-01-27 2000-08-08 Rinnai Corp ビルトイン式のガスこんろ
JP2004053239A (ja) 2002-05-31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組込み式加熱調理器
JP2006343071A (ja) 2005-06-10 2006-12-21 Sanka Kogyo Kk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0156B2 (ja) * 1989-10-04 1997-1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H05121155A (ja)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誘導加熱調理器
CN2632533Y (zh) * 2003-06-26 2004-08-11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嵌入式燃气灶具的通风量调节装置
JP4006702B2 (ja) * 2003-12-08 2007-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システム
JP4114622B2 (ja) * 2004-03-16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4000532B2 (ja) * 2004-08-23 2007-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組み込み式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543U (ja) * 1991-03-06 1992-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埋込形調理器
JPH10185211A (ja) 1996-12-25 1998-07-14 Toshiba Corp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2000220846A (ja) 1999-01-27 2000-08-08 Rinnai Corp ビルトイン式のガスこんろ
JP2004053239A (ja) 2002-05-31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組込み式加熱調理器
JP2006343071A (ja) 2005-06-10 2006-12-21 Sanka Kogyo Kk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0908A (zh) 2009-12-09
CN101600908B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557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US8875695B2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29621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RU2419748C2 (ru) Встроенн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KR100826705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EP2102558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JP4939993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JP4939992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KR100885554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29623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20080064382A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KR20080065454A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26709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80065352A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26707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RU2415346C1 (ru) Встроенная бытов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RU2420694C2 (ru) Встроенн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KR100829622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1291500B1 (ko)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EP2102559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20080089230A (ko) 시스템 키친
KR2008006543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