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230A - 시스템 키친 - Google Patents

시스템 키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230A
KR20080089230A KR1020080028687A KR20080028687A KR20080089230A KR 20080089230 A KR20080089230 A KR 20080089230A KR 1020080028687 A KR1020080028687 A KR 1020080028687A KR 20080028687 A KR20080028687 A KR 20080028687A KR 20080089230 A KR20080089230 A KR 2008008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kitchen
sink
countertop
system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우이찌 사이또오
마사히로 후지모또
요시히사 니시까와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8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대를 키친측과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이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청소가 용이하면서 조리대 상에 드라이 영역을 구성할 수 있는 전체 개방형의 시스템 키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시스템 키친의 대표적인 구성은, 수도꼭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싱크대와, 조리대의 한 변을 따라 설치되고 싱크대의 테두리보다도 높게 형성된 선반부와, 조리대의 상면과 선반부의 상면을 경사시켜 연속시키는 선반부 측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리대, 싱크대, 가열 조리기, 레인지 후드, 안내판

Description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
본 발명은, 싱크대나 가열기를 일체로 설치한 시스템 키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싱크대나 가열기, 수납 등의 요소를 조합하여, 조리대(천장판) 하에 통합하여 구성한 시스템 키친이 제공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키친은, 싱크대로부터의 물의 튐 등이 있는 것을 전제로, 천장판 전체가 조리대로서 젖어도 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그 조리대에는 물기를 띠는 것이 상정되는 기재만이 놓여 있었다.
그러나, 조리대 상에는 조미료 등의 소품도 많이 적재되어, 반드시 젖어도 되는 것만은 아니다. 종래에는 그와 같은 적시고 싶지 않은 것은, 수납 서랍 안에 넣거나, 조리대 상에 적재한 선반에 수납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특별한 문턱을 설치하지 않고 리빙과 다이닝이 하나의 방으로 공존하는 전체 개방형의 대면식 오픈 키친이 증가하고 있다. 오픈 키친은 실내를 전체적으로 넓게 느낄 수 있고, 또한 부엌에서 조리하고 있는 사람과 거실에 있는 사람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반면, 어수선한 조리 중인 작업 상태나 사용한 식기가 보이는 것 등을 꺼리는 의견도 있 다.
이로 인해, 종래부터도 오픈 키친의 부적합함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5-204714호 공보)에는, 키친 유닛의 거실측에 칸막이 부재를 설치하여, 오일이나 식품 재료가 거실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거실로부터의 가리개로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04714호 공보
그러나, 조미료 등을 수납 서랍 안에 넣은 경우에는, 사용 중에는 역시 조리대 상에 있기 때문에, 적시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만 하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조리대 상에 선반을 설치하면, 작업 공간이 좁아지는 데 더하여, 조리대 상을 청소하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또한 오픈 키친의 경우에 선반을 설치하면, 애써 대면한다는 것의 의의가 손상되어 버리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는 오픈 키친이라고 해도, 부엌에서 작업하는 사람과 거실에 있는 사람이 대면할 수 있는데 지나지 않아, 거실측으로부터 시스템 키친을 이용하는 것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오픈 키친은, 말하자면 거실 내에 있다고도 할 수 있고, 거실측으로부터의 이용도 촉진시킴으로써 설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키친 유닛에 칸막이 부재 등을 설치하면, 가리개로서의 기능은 충분하지만, 청소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생긴다. 큰 칸막이 부재는 청소도 쉽지 않고, 설치한다고 해도 최소한도로 그치게 하고 싶은 요구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조리대를 키친측과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이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청소가 용이하면서 조리대 상에 드라이 영역을 구성할 수 있는 전체 개방형의 시스템 키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시스템 키친의 대표적인 구성은, 수도꼭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싱크대와, 조리대의 한 변을 따라 설치되고 싱 크대의 테두리보다도 높게 형성된 선반부와, 조리대의 상면과 선반부의 상면을 경사시켜 연속시키는 선반부 측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대 상에 싱크대의 테두리보다도 높은 (즉 작업 공간보다도 높은) 선반부를 설치함으로써, 물이 비산하였다고 해도 선반부에는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선반부는 드라이 영역(젖지 않는 것이 전제인 건조된 영역)이 된다. 이 드라이 영역은, 키친측 및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선반부 측면을 경사시킴으로써, 선반부 측면에 부착된 물방울은 흐르기 쉽고, 또한 코너의 각도가 얕아지기 때문에 청소성이 우수하다.
선반부는 싱크대에 인접하고, 싱크대의 선반부와 인접하는 측면에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도꼭지의 설치부 주위에 상방을 향해 후퇴하는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과 선반부 측면이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싱크대 측면과 선반부 측면을 연속시킴으로써, 선반부 측면으로 비산된 물방울은 그대로 싱크대로부터 배수되므로, 선반부 측면의 하단부에 물이 모이지 않고, 오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반부는 시스템 키친의 후방 또는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 키친의 후방에 선반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키친측 및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선반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측방에 설치한 경우에는, 키친측, 거실측 및 시스템 키친의 측면측의 3방향으로부터 선반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도꼭지는 싱크대의 선반부 근방에 설치할 수 있다. 수도꼭지는 싱크대의 선반부와 인접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도꼭지는 싱 크대 측면에 설치한 경사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선반부는 물의 진행 방향에 대해 후방측이 되므로, 튀었다고 해도 물이 선반부에 도달하기 어려워져, 보다 젖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개방형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조리대를 키친측과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이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청소가 용이하면서 조리대 상에 드라이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밖의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시스템 키친으로서, 여기서는 특별한 문턱을 설치하지 않고, 리빙과 다이닝이 1개의 방에서 공존하는 대면식의 오픈 키친을 예를 든다. 이러한 오픈 키친에서는, 대면식 카운터 타입의 키친에 의해, 가족이나 친구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고, 또한 키친 주변에서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키친은 싱크대 등의 키친 설비를 기능적으로 일체화한 것을 가리킨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키친(100)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이다. 이러한 시스템 키친(100)은 대면식 카운터(110)와 벽측 찬장(120)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대면식 카운터(110)에는, 싱크대(140)와, 싱크대(140)에 대해 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142)와, 가열 조리기(144)와, 가열 조리기(144)로부터의 김 및 열을 옥외로 방출하는 레인지 후드(146)와, 연기 및 열을 레인지 후드(146)로 안내하는 반투명의 안내판(148)과, 조리대(150)가 설치되고, 또한 가벼운 식사나 간식 등을 즐길 수 있는 카페 테이블(160)과, 복수의 의자(162)와, 책을 수납 가능한 매거진 수납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카페 테이블(160)은 키친 본체측으로부터의 조명으로 비추어진다.
여기서, 개수대를 형성하는 싱크대(140)는, 수지나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을 재료로서 이용하고, 프레스 성형이나 주형 성형, 인젝션 성형 등에 의해 배수 오목부나 배수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열 조리기(144)는 가스 가열 조리기나 석유 가열 조리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내열 글래스판이나 세라믹판을 설치한 IH 히터라도 좋다.
또한, 대면식 카운터(110)에 대향하는 벽측 찬장(120)에는, 찬장(170)과, 대용량의 벽측 수납부(172)가 설치되고, 벽측 수납부(172)의 상면은 찬장(170) 바닥면에서 발광하는 조명으로 비추어진다. 또한, 찬장(170)의 내부에도 조명이 설치되고, 찬장(170)의 상면 및 전방면에 설치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를 통해 간접 적으로 발광한다. 이러한 광은, 찬장(170)이 설치된 벽면 상방을 부드럽게 비추고, 그 벽면에 퍼지는 간접 조명에 의해 고급감 및 미관이 향상된다.
다음에, 본 시 형태에 의한 서랍을 설명한다. 이러한 서랍은 카페 테이블(160)과 반대면에 설치되고, 싱크대(140)에 대응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2는 조리대(150)의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대(150)의 길이 방향의 한 변을 따라 선반부(152)가 설치되어 있다. 선반부(152)와 싱크대(140)는 인접하여 배치하고 있다. 선반부(152)는 싱크대(140)의 테두리(140a)보다도 높게[즉 조리대(150)의 상면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즉 선반부(152)는 키친의 후방의 변을 융기시킨 형상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리대(150)의 상면과 선반부(152)의 상면은 선반부 측면(154)에 의해 연속되어 있다. 선반부 측면(154)은, 상방을 향해 선반부(152)측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싱크대(140)에는, 수도꼭지(142) 외에, 배수구(141)가 설치되어 있다. 수도꼭지(142)는 선반부(152)의 근방, 즉 선반부(152)와 인접하는 측면[싱크대(140)의 후방측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싱크대(140)의 선반부(152)와 인접하는 측면에는 상방을 향해 후퇴하는 경사면(140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40b)은 싱크대 측면의 중앙부, 즉 수도꼭지(142)의 설치부 주위에만 설치되어 있고, 경사면(140b)의 양측에 수직면(140c)을 갖고 있다. 경사면(140b)과 수직면(140c)의 경계인 단차부(段部)(140d)는 상방으로 갈수록 경사가 커져, 조리대(150)의 상면과 완만하게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수도꼭지(142)의 설치부 주위의 경사면(140b)은, 선반부 측면(154)과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수도꼭지(142)의 후방에 있어서, 선반부 측면(154)으로부터 싱크대(140)의 바닥까지 완만하게 연속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리대(150)의 폭(W1)은 800 ㎜이며, 선반부(152)의 폭(W2)은 195 ㎜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반부(152)의 높이는 40 ㎜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대(150) 상에 싱크대(140)의 테두리보다도 높은(즉 작업 공간보다도 높은) 선반부(152)를 설치함으로써, 물이 비산하였다고 해도 선반부(152)에는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선반부(152)는 드라이 영역(젖지 않는 것이 전제인 건조된 영역)이 된다. 또한 수도꼭지를 싱크대(140)의 선반부 근방에 설치하고 있는 것도, 선반부(152)는 물의 진행 방향에 대해 후방측이 되므로, 선반부(152) 위까지 물이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키친에서 조리를 하는 사람은, 조미료, 키친 타이머 등의 적시고 싶지 않은 소품을 선반부(152)에 둘 수 있다. 따라서 서랍에 차례대로 수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선반을 설치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선반부(152)는 키친의 후방, 즉 거실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키친측 및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거실측으로부터도 장식물이나 책, 시계나 라디오 등을 두고 이용할 수 있어, 오픈 키친(시스템 키친)을 거실에 설치된 설비의 하나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선반부 측면(154)을 경사시킴으로써, 선반부 측면(154)에 부착된 물방 울은 흘러내리기 쉽다. 여기서 선반부 측면(154) 중, 싱크대(140)의 경사면(140b)에 대응하는 부분은 싱크대(140)의 바닥까지 경사면이 완만하게 연속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선반부 측면(154)의 하단부와 조리대(150)의 상면 사이에 코너가 형성된다. 경사면(140b)에 연속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선반부 측면(154)으로 비산된 물방울은 그대로 싱크대(140)로부터 배수되므로, 선반부 측면(154)의 하단부에 물이 모이지 않고, 오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에 있어서는 선반부 측면(154)이 경사져 있으므로 각도가 얕아지기 때문에, 닦아내기 쉬워 청소성이 우수하다.
또한 선반부(152)가 조리대(150)의 후방(거실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조리대 상의 가리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잡다한 식품 재료나 조리 도구, 어수선한 작업 상태 등을 거실측으로부터 보이기 힘들게 함으로써, 거실로부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들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리대(150) 상에 드라이 영역을 구성하여 키친측과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이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청소가 용이하면서 조리대(150) 상을 가릴 수 있는 전체 개방형의 시스템 키친(100)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설명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키친(200)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반부(152)는, 조리대(150)의 길이 방향의 한 변을 따라 설치하도록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는, 조리대(250)의 측방, 즉 짧은 방향의 한 변을 따라 선반부(252)를 설치하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대(250)에는 싱크대(140), 가열 조리기(144), 안내판(148)이 구비되어 있다. 싱크대(140)와 선반부(252)는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선반부(252)는 시스템 키친(200)의 하우징으로부터 데크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싱크대(140)에 있어서 수도꼭지(142)는 선반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키친측 및 거실측의 양방에 대해 가로 배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4는 조리대(250)의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부(252)는 싱크대(140)의 테두리(140a)보다도 높게[즉 조리대(250)의 상면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즉 선반부(252)는 키친 측방의 변에 데크를 추가한 형상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리대(250)의 상면과 선반부(252)의 상면은, 선반부 측면(254)에 의해 연속되어 있다. 선반부 측면(254)은, 상방을 향해 선반부(252)측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싱크대(140)의 수도꼭지(142)의 설치부 주위의 경사면(140b)은, 선반부 측면(254)과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리대(250)의 폭(W1)은 800 ㎜이며, 선반부(252)의 폭(W2)은 325 ㎜이다. 또한 선반부(252)의 높이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40 ㎜이다.
상기 구성의 선반부(252)는 제1 실시 형태에 설명한 선반부(152)와 마찬가지 로 물 튐을 방지한 드라이 영역이 되어, 적시고 싶지 않은 것을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부(252)는 조리대(250)의 측방에 설치한 것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폭을 구비할 수 있고, 조리나 상차림을 위해 잠깐 놓아두는 곳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책장이나 전화, FAX, 컴퓨터 등을 설치하는 공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선반부(252)가 측방에 있으므로, 키친측, 거실측 및 시스템 키친의 측면측의 3방향으로부터 선반부(252)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반부(252)가 길이 방향에 없고, 수도꼭지(142)가 가로 배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리대(250) 및 싱크대(140)는 키친측과 거실측의 양방으로부터 이용할 수 있어, 복수명이 함께 조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 키친(2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선반부(252)의 하방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어 식탁을 들어가게 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선반이나 서랍을 설치하거나, 타올 걸이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공간 이용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싱크대나 가열기를 일체로 설치한 시스템 키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키친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대의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키친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
도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대의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시스템 키친
110 : 대면식 카운터
120 : 벽측 찬장
140 : 싱크대
140a : 테두리
140b : 경사면
140c : 수직면
140d : 단차부
141 : 배수구
142 : 수도꼭지
144 : 가열 조리기
146 : 레인지 후드
148 : 안내판
150, 250 : 조리대
152, 252 : 선반부
154, 254 : 선반부 측면
160 : 카페 테이블
162 : 의자
164 : 매거진 수납부
170 : 찬장
172 : 벽측 수납부

Claims (3)

  1. 수도꼭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싱크대와,
    조리대의 한 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의 테두리보다도 높게 형성된 선반부와,
    상기 조리대의 상면과 상기 선반부의 상면을 경사시켜 연속시키는 선반부 측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키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싱크대에 인접하고,
    상기 싱크대의 상기 선반부와 인접하는 측면에 상기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수도꼭지의 설치부 주위에 상방을 향해 후퇴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선반부 측면이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키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시스템 키친의 후방 또는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키친.
KR1020080028687A 2007-03-31 2008-03-28 시스템 키친 KR20080089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5889A JP4993482B2 (ja) 2007-03-31 2007-03-31 システムキッチン
JPJP-P-2007-00095889 2007-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230A true KR20080089230A (ko) 2008-10-06

Family

ID=3997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687A KR20080089230A (ko) 2007-03-31 2008-03-28 시스템 키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93482B2 (ko)
KR (1) KR20080089230A (ko)
CN (1) CN101273822A (ko)
TW (1) TWI4307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7684A (zh) * 2013-08-15 2013-11-20 李培培 一种滑块式洗刷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750A (ja) * 2005-06-07 2007-01-25 Yamaha Livingtec Corp キッチンのカウンター構造
JP2008220719A (ja) * 2007-03-14 2008-09-25 Yamaha Livingtec Corp キッチ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3822A (zh) 2008-10-01
JP2008253318A (ja) 2008-10-23
TWI430763B (zh) 2014-03-21
JP4993482B2 (ja) 2012-08-08
TW200904361A (en) 200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06592A (ja) 厨房家具
JP497478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2023179663A (ja) 食卓付き調理台及び集合住宅の間取り構造
JP6868827B2 (ja) 対面式調理台
KR20080089230A (ko) 시스템 키친
JP4939992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JP2512245B2 (ja) アイランドキッチン
JP5147310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4993483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5110936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CN211862242U (zh) 一种仿金属质感材料的橱柜
CN219629112U (zh) 一种多功能开放式橱柜
JPH04281925A (ja) 調理台
JPH0334564Y2 (ko)
CN214803456U (zh) 一种新型橱柜台面
JP4925896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6927792B2 (ja) 対面式キッチンユニット
JP2003334114A (ja) 家 具
JPH0576421A (ja) アイランドキツチン
CN112773111A (zh) 一种新型橱柜台面
JPH0350756Y2 (ko)
JPH0410306Y2 (ko)
JP2005040370A (ja) 照明付きキッチンユニット
KR200329656Y1 (ko) 양념통 수납이 가능한 테이블
JPH0197409A (ja) 厨房接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