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500B1 -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 Google Patents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500B1
KR101291500B1 KR1020070002600A KR20070002600A KR101291500B1 KR 101291500 B1 KR101291500 B1 KR 101291500B1 KR 1020070002600 A KR1020070002600 A KR 1020070002600A KR 20070002600 A KR20070002600 A KR 20070002600A KR 101291500 B1 KR101291500 B1 KR 10129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cabinet
body frame
air
re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452A (ko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500B1/ko
Priority to PCT/KR2007/005749 priority patent/WO2008084913A1/en
Priority to EP07834055.1A priority patent/EP2102559B1/en
Priority to RU2009125566/03A priority patent/RU2411415C1/ru
Priority to AU2007342771A priority patent/AU2007342771B2/en
Priority to CN2007800496147A priority patent/CN101600910B/zh
Priority to US12/448,805 priority patent/US20100313870A1/en
Priority to MX2009007365A priority patent/MX2009007365A/es
Publication of KR2008006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 플레이트와,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제공되고 내부에 적어도 히터가 수용되는 바디 프레임과,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캐비넷 및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일측 모서리는 캐비넷과 서로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간격부를 제공하고, 간격부를 덮는 탑 커버가 포함되며, 탑 커버에서 캐비넷과 접하는 부분은, 공기가 유동하는 후방 개구부를 형성하고, 후방 개구부의 하측부는 제 1 차단벽을 형성하고, 바디 프레임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유입공의 상측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팬이 구비되며, 바디 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일측 모서리는 탑 플레이트의 단부를 넘어서까지 연장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의 모서리 측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공을 형성하며, 연장된 상기 바디 프레임의 모서리는 상기 캐비넷에 지지되는 캐비넷측 지지부를 제공하고, 상기 캐비넷측 지지부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외부로부터의 물유입을 방지하는 제 2 차단벽을 제공하며, 상기 후방 개구부는 상기 유출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 개구부는 상기 유출공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차단벽과 제 2 차단벽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빌트 인 조리기기

Description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Installation device for the built-in cooking applian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설치상태의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를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넷측 지지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2 : 수용부 3 : 놓임부
4 : 바디 프레임 5 : 탑 플레이트 6 : 탑 커버
본 발명은 빌트 인(built-in) 조리기기의 설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온의 탑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빌트 인 조리기기는 캐비넷-설치장이라고 할 수도 있다-에 직접 설치되는 조리기기로서, 캐비넷과 같은 가구의 설치 시에 함께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부엌 구조를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조리기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중에서도 고온의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로 열이 전달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다른 이름으로 핫 플레이트(hot plate), 홉(hob), 레인지(Range), 쿡탑(cook-top)이라고도 하고, 그 어떠한 이름과는 상관없이 본원발명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 조리기기라고 이름을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내부 부품들이 열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가 조리기기의 내외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단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되면, 탑 플레이트의 주변부를 청소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형태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상판이나 인접부에서 물이 공기의 유동구멍을 통하여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조리기기 바디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기기의 내부에 전기적인 합선이나, 동작상의 오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는 조리기기가 물기가 많은 부엌에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면, 심각한 문제라고 아니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탑 플레이트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도, 외부의 물이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조리기기의 신뢰성을 증진하는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를 제안한다.
또한,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외적 미감을 향상시키고, 편리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탑 플레이트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제공되고 내부에 적어도 히터가 수용되는 바디 프레임과, 상기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일측 모서리는, 상기 캐비넷과 서로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간격부를 제공하고, 상기 간격부를 덮는 탑 커버가 포함되며, 상기 탑 커버에서 상기 캐비넷과 접하는 부분은, 공기가 유동하는 후방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개구부의 하측부는 제 1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의 상측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팬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일측 모서리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부를 넘어서까지 연장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의 모서리 측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공을 형성하며, 연장된 상기 바디 프레임의 모서리는 상기 캐비넷에 지지되는 캐비넷측 지지부를 제공하고, 상기 캐비넷측 지지부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외부로부터의 물유입을 방지하는 제 2 차단벽을 제공하며, 상기 후방 개구부는 상기 유출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 개구부는 상기 유출공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차단벽과 제 2 차단벽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조리기기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편리하고,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가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 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캐비넷(1)과, 상기 캐비넷(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그 내부에 적어도 조리기기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의 바깥쪽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놓임부(3)와, 상기 수용부(2)의 내부에 적어도 일 부분은 수용되는 바디 프레임(4)과, 상기 바디 프레임(4)의 상단에 제공되는 탑 플레이트(5)와, 상기 탑 플레이트(5)와 상기 캐비넷(1)간의 서로 떨어지는 간격부를 커버하는 탑 커버(6)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4)의 내부에는 조리기기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히터 및 전자장치와 같은 다양한 기기가 수용된다.
상기되는 구조에 의해서 수행되는 각각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바디 프레임(4) 및 상기 탑 플레이트(5)는, 바디 프레임(4)의 상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5)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양자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5) 테두리부의 하면은 상기 놓임부(3)에 놓여서 고정될 수 있고, 그 접면부에는 접착제층이 제공될 수 있어서, 양자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상기 놓임부(3)에 탑 플레이트(5)가 단순히 그냥 올려지는 방식으로 양자가 고정될 수도 있으나, 그렇다 할지라도 탑 플레이트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어느 일면은 별도의 서포터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경우로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놓임부의 접촉부에는 실링부재가 개입될 수 있어서,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5)의 후방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1)의 사이는 일정거리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기의 유동을 위해서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바디 프레임(4) 내부의 더운 공기가 상기 탑 플레이트(5)의 후방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1)의 사이 간격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5)와 상기 캐비넷(1)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간격부를 덮어주기 위하여, 탑 커버(6)가 더 제공되어 있다. 상기 탑 커버(6)에 의해서 외부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5)와 상기 캐비넷(1)의 간격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간격부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5)의 하면은 상기 캐비넷(1)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수준이다. 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5)가 상기 캐비넷(1)에 편리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과 함께, 탑 플레이트(5) 및 그 주변부의 청소가 편리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탑 플레이트(5)가 상기 놓임부(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제공되어서, 차지하는 부피가 작고 청소가 용이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탑 플레이트(5)의 후방 모서리와 상기 캐비넷(1)의 사이 간격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 간격을 통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4) 내부의 더운 공기가 유도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4)의 내부 구성을 그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바디 프레임(4)의 내부에는 팬(53)이 수용되어 있어서, 상기 팬(53)에서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서, 유입공(55)을 통하여 외기가 흡입된 다음에 바디 프레임(4)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히터(54)등과 같은 다수의 발열체 및 열적 안정이 필요한 부품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냉각작용에 의해서 조리기기 내부의 부품들이 열적평형상태에서 안정되게 동작될 수 있다. 조리기기 내부를 냉각시킨 공기는 바디 프레임(4)의 후방을 향하여 유동한다.
상기 바디 프레임(4)의 후방으로 안내된 더운 공기는, 바디 프레임(4)의 후방벽(도 4의 45참조)에 의해서 상방으로 안내되어, 바디 프레임(4)의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 프레임(4)의 상방으로 안내된 공기는 탑 커버(6)에 의해서 다시 후방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토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를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팬(42)으로부터 송풍되어 데워진 공기는 상기 바디 프레임(4)의 후방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토출되는데, 이 때에는 더운 공기가 상기 바디 프레임(4)의 외부공간인 수용부(2)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만약 바디 프레임(4)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상기 수용부(2)로 토출되면 토출된 공기는 다시 유입공(43)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고, 그러면 상기 바디 프레임(4) 내부의 공기가 과도하게 데워질 수 있고, 열적평형상태에 이르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4)의 후 방벽(45) 자체가 상기 탑 플레이트(5)의 후단을 지나서 더 연장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면, 탑 플레이트(5)의 전단 및 양측단의 하면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4)이 탑 플레이트(5)의 안쪽 면적에 체결되어 있지만, 탑 플레이트(5)의 후방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4)이 탑 플레이트(5)의 후단부를 지나서 더 연장되어 있다. 결국, 상기 바디 프레임(4)의 내부 공간은 탑 플레이트(5)의 후단부에서 이격된 간격을 통하여 외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바디 프레임(4) 내부 공간에서 후방으로 안내되었던 공기는 바디 프레임(4)의 안쪽 공간에서 바로 외부공간으로 토출된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바디 프레임(4) 내부공간의 데워진 공기는 상기 후방벽(45)을 따라서 상방으로 안내되고 유출공(56)을 통하여 토출된다. 그 이후에는 상기 탑 커버(6)에 의해서 후방으로 안내되고, 안내된 공기는 탑 커버(6)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 개구부(6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바디 프레임(4)의 내부 공간 중에서도, 상기 유출공(56)의 하측공간은 외부로 물이 들어 오기 쉬운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후방벽(45)의 직근 내측 공간은, 상기 탑 커버(60의 후방개구부(60)를 통하여 물이 바로 들어오는 구조로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더 마련되어야 한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물유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후방벽(45)의 단부인 캐비넷측 지지부(73)는 하측면이 상기 캐비넷(1)이 고정되는 구조임과 동시에 그 단부는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어 제 2 차단벽(72)의 구조로 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6)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 개구부(60)는 일정정도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 기 때문에, 상기 후방 개구부(60)의 하측 부분은 제 1 차단벽(71)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벽(45)의 내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된 바디 프레임(4) 내부의 더운 공기는, 상기 탑 커버(6)에 의해서 후방으로 안내된 다음에 후방 개구부(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직접 배출방식에 의해서 상기 바디 프레임(4) 내부의 더운 공기가 수용부(2)의 안으로 유출되어서, 다시금 상기 바디 프레임(4)의 내부로 재유입될 가능성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바디 프레임(4)의 내부가 열적으로 안정적으로 동작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조리기기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증속하기 위하여 고속팬을 장착할 필요도 없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의 유입에 대해서는, 먼저 상기 탑 플레이트(5)의 전면과 양측면은 테두리 부분은 상기 놓임부(3)에 접촉되어 실링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물이 유입된 가능성이 작다. 다만, 탑 플레이트(5)의 후면은 후방 개구부(60)가 열려 있을 뿐 아니라, 바디 프레임(4)이 탑 플레이트(5)의 후단부에서 더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 프레임(4)의 열려있는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물이 바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극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개구부(60)은 상기 캐비넷(1)에서 일정수준 위로 올려져 있어서, 제 1 차단벽(71)을 이룬다. 다시 말하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은 제 1 차단벽(71)에 막혀서 유입되지 않게 되지만, 내부의 공기는 후방 개구부(6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것 이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벽(71)을 통과하여 들어올 수 있는 물에 대해서는, 상기 캐비넷측 지지부(73)에서 상측으로 더 절곡되는 제 2 차단벽(72)에 의해서 다시금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바디 프레임(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한다. 상기 제 2 차단벽(72)에 의한 물의 차단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차단벽(71) 및 제 2 차단벽(72)의 사이 폭(W1)이 일정간격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 1 차단벽(71)을 넘어서 유입된 물은 유속은 상기 차단벽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멈춰지기 때문에, 제 2 차단벽(72)을 넘어서까지 물이 유입될 가능성은 더욱 현저하게 줄어든다.
상기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조리기기 내부의 더운 공기는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면서도, 외부의 물은 차단되어져서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바디 프레임이 자체적으로 캐비넷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캐비넷의 상면에 놓기만 하면 설치가 종료되어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빌트 인 조리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상기 캐비넷측 지지부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본 실시예에서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캐비넷측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 프레임(4)의 후방벽의 일부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캐비넷측 지지부(73)를 제공할 뿐 아니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측 지지부(74)를 이룬다. 그리고, 플레이트측 지지부(74)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물을 더 두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상기 캐비넷측 지지부(73)의 일부를 절개하여 전방으로 절곡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탑 플레이트(5)의 후단부에 대해서도 완벽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기를 더욱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측 지지부(74)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플레이트측 지지부(74)가 캐비넷측 지지부(73)에 비하여 상당한 정도로 좁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에 의한 문제점은 그다지 크지 않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측 지지부(74)가 차지하는 자체적인 두께로 인하여 탑 플레이트(5)가 놓이는 높이가 일정정도 더 높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나, 이같은 문제점은 상기 플레이트측 지지부(74)를 하측으로 약간 정도 절곡하는 방법에 의해서 충분히 극복할 수 있건, 판의 두께가 작은 것을 감안하여 무시할 수 있다.
또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탑 커버(6)를 따라서 후방으로 안내되고 있으므로, 그 유동방향을 바꾸어서 다시금 수용부(2)로 유입될 가능성도 작다.
상기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탑 플레이트의 후방부에 대한 지지가 안정되게 될 수 있음과 함께,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도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은 일측 모서리에서만 서로 이격되는 설명이 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위치하는 측으로 더운 공기가 송풍되지만 않는다면 어느측이라도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의 더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서, 외부의 물은 바디 프레임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됨은 물론이고, 기기의 동작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제공되고 내부에 적어도 히터가 수용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탑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일측 모서리는, 상기 캐비넷과 서로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간격부를 제공하고, 상기 간격부를 덮는 탑 커버가 포함되며,
    상기 탑 커버에서 상기 캐비넷과 접하는 부분은, 공기가 유동하는 후방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개구부의 하측부는 제 1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의 상측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팬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일측 모서리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단부를 넘어서까지 연장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의 모서리 측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공을 형성하며, 연장된 상기 바디 프레임의 모서리는 상기 캐비넷에 지지되는 캐비넷측 지지부를 제공하고, 상기 캐비넷측 지지부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외부로부터의 물유입을 방지하는 제 2 차단벽을 제공하며, 상기 후방 개구부는 상기 유출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 개구부는 상기 유출공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차단벽과 제 2 차단벽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02600A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KR10129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600A KR101291500B1 (ko)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PCT/KR2007/005749 WO2008084913A1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EP07834055.1A EP2102559B1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RU2009125566/03A RU2411415C1 (ru) 2007-01-09 2007-11-15 Встроенн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AU2007342771A AU2007342771B2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CN2007800496147A CN101600910B (zh) 2007-01-09 2007-11-15 嵌入式烹饪器具
US12/448,805 US20100313870A1 (en) 2007-01-09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MX2009007365A MX2009007365A (es) 2007-01-09 2007-11-15 Electrodomestico para cocinar integrad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600A KR101291500B1 (ko)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452A KR20080065452A (ko) 2008-07-14
KR101291500B1 true KR101291500B1 (ko) 2013-08-01

Family

ID=3981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600A KR101291500B1 (ko)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5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209A (ja)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209A (ja)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452A (ko) 200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74678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9004143A (ja) 誘導加熱調理器
RU2421664C2 (ru) Встроенная бытов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и комплект для ее установки
KR101291500B1 (ko)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기구
JP6305465B2 (ja) 加熱調理器
KR100826709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JP6441584B2 (ja) 加熱調理器
AU2007342771B2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20080064382A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KR100826705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29622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85554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JP6411772B2 (ja) 加熱調理器
KR100829621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US8881717B2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29623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26707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JP2012037183A (ja) 加熱調理器
JP429211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5207355A (ja) 加熱調理器
KR20080065454A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8006543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RU2420694C2 (ru) Встроенн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KR20080065352A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