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756A -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756A
KR20160114756A KR1020150040591A KR20150040591A KR20160114756A KR 20160114756 A KR20160114756 A KR 20160114756A KR 1020150040591 A KR1020150040591 A KR 1020150040591A KR 20150040591 A KR20150040591 A KR 20150040591A KR 20160114756 A KR20160114756 A KR 2016011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range
sink
ratchet
installation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기
Original Assignee
조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기 filed Critical 조동기
Priority to KR102015004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4756A/ko
Publication of KR2016011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레인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기 레인지를 수직으로 회동시켜 싱크대 상판 공간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는 싱크대 상판에 고정 축을 횡설하고, 전기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가 설치되는 설치함의 일단을 고정 축에 결합하여 회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회동시켜 벽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싱크대 상판의 조리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단순히 회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조작하므로 사용이 매우 쉬우며, 측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곳에 전기 레인지를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sink table}
본 발명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레인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기 레인지를 수직으로 회동시켜 싱크대 상판 공간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설거지를 위한 싱크볼과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가 설치된다. 따라서 싱크볼과 레이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음식물을 다듬거나 자르는 등의 작업 공간으로 활용되고, 각종 주방 용품을 놓는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가스 레인지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하이라이트, 핫플레이트, 인덕션 등의 전기 레인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임대 숙박시설에서는 화재 방지 목적으로 대부분 전기 레인지가 사용되는데, 주방 공간이 협소함에 따라 작은 싱크대가 이용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싱크대의 작업 공간 또한 매우 협소하여 조리함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 제10-0826707호(2008.04.24)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창안한 것으로, 전기 레인지를 사용하지 않을 시 수직으로 회동시켜 싱크대 상판의 조리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가열 직 후 가열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을 방지하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는,
싱크대 상판에 고정 축을 횡설하고,
전기 레인지의 일단을 고정 축에 결합하여 회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싱크대 상판에 고정 축을 횡설하고,
전기 레인지가 설치되는 설치함의 일단을 고정 축에 결합하여 회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레인지 또는 설치함은 측 방향으로 관통된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에 고정 축이 관통하도록 하여 전기 레인지 또는 설치함이 고정 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레인지 또는 설치함이 수직으로 위치하는 벽면에 걸쇠를 구비하여 전기 레인지 또는 설치함의 일 부분이 걸쇠에 걸림되어 수직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레인지 또는 설치함에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되,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고정 축에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치차;
전기 레인지 또는 설치함에 회동하도록 설치되며 치차의 톱니에 삽입 및 해제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래칫;
래칫의 걸림턱이 치차의 톱니에 삽입되도록 래칫을 회전시키는 비틀림 스프링;
래칫의 걸림턱이 치차의 톱니로부터 이탈되도록 래칫을 회전시키는 해제 레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는 전기 레인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회동시켜 벽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싱크대 상판의 조리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를 단순히 회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조작하므로 매우 손쉽고 측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곳에 전기 레인지를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 이용 후 바로 회동시켜 벽면에 위치시키면 가열된 부분이 벽면을 향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화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쇠 또는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전기 레인지가 강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낙하에 의한 전기 레인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가 벽면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는 싱크대 상판(SP)에 고정 축(10)을 횡설하고, 전기 레인지(1)의 일단을 고정 축(10)에 결합하여 전기 레인지(1)가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레인지(1)의 몸체에 축공을 형성하여 고정 축(10)을 삽입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레인지(1)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함(1')에 축공(2)을 형성하여 설치함(1')이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함(1')에는 전기 레인지(1)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설치함(1')에 전기 레인지(1)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설치함(1')은 그 선단에 손잡이(3)를 형성하여 회동조작이 용이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축(10)은 싱크대 상판(SP)에 고정되는 브라켓(11)에 설치되며, 설치함(1')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설치하거나 설치함(1')의 축공(2)을 관통하도록 길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축(10)은 싱크대 상판(SP)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하는 설치함(1')이 벽면에 매립되도록 벽면에 공간(S)을 형성하고 브라켓(11) 및 고정 축(10)을 공간(S) 내에 고정하면 설치함(1')이 수직으로 위치할 때 빌트인 방식으로 벽면과 동일 평면을 이룸으로써 깔끔한 주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벽면에는 수직으로 위치한 설치함(1')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쇠(20)를 구비한다. 여기서 걸쇠(20)는 고리 방식이나 후크 방식 등으로 형성하여 설치함(1')의 일 부분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축(10)의 길이를 설치함(1')의 폭보다 길게 형성하여 고정 축(10)을 따라 설치함이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 레인지는 고정 축(10)을 따라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원하는 위치에서 가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수직으로 위치시킬 때도 원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함(1')의 축공(2)과 고정 축(10) 간에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 수직으로 위치한 설치함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30)는 치차(31), 래칫(32), 비틀림 스프링(33), 해제 레버(34)로 구성된다.
상기 치차(31)는 고정 축(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축공(2)이 형성되고 둘레에 톱니(31')가 연속 형성된다. 이러한 치차(31)는 고정 축(10)을 따라 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해야 하므로 고정 축(10)과 치차(31)의 축공 단면적이 다각을 이루도록 한다. 물론, 고정 축(10)과 치차(31)의 축공을 원형으로 형성하면서 고정 축(10)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치차(31)의 축공에 요홈으로 삽입되는 돌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칫(32)은 설치함(1')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함(1')에 축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래칫(32)은 그 일단에 걸림턱(32')을 형성하여 래칫(32)의 회전 위치에 따라 치차(31)의 톱니(31') 사이에 삽입된다. 여기서 걸림턱(32')이 톱니(31') 사이에 삽입되는 위치는 고정 축(10)의 중심과 래칫(32)의 중심을 가상의 선(L)으로 연결할 때 이 가상의 선(L)에 위치하면 안되고 어느 일 측에 위치하여 설치함(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치함(1')은 수직으로 위치 변경할 때 회전되어야 하므로 걸림턱(32')이 걸림되는 위치는 가상의 선(L) 하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비틀림 스프링(33)은 래칫(32)의 축에 끼워져 그 일단이 래칫(32)에 걸림되고 타단은 설치함에 고정되어 비틀림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래칫(32)이 가상의 선(L)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결국, 설치함(1')이 수직으로 회동할 때 래칫(32)의 걸림턱(32')은 치차(31)의 톱니(31')를 반복적으로 타고 넘어가면서 설치함(1')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설치함(1')이 수평 방향으로 하강하려면 래칫(32)의 걸림턱(32')이 치차(31)의 톱니(31') 사이에 걸림되므로 회전하지 않는다. 즉, 설치함(1')을 손으로 파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다가 파지했던 손을 놓더라도 설치함(1')은 그 상태를 유지하여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 해제 레버(34)는 래칫(32)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설치함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수직으로 위치한 설치함(1')을 수평으로 위치시킬 때 해제 레버(34)를 당겨 래칫(32)을 회동시키면 걸림턱(32')이 치차(31)의 톱니(31'로부터 이격되어 설치함이 하강하며 회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해제 레버(34)는 손잡이(3)에 위치시키고, 해제 레버(34)와 래칫(32) 간을 와이어(W)로 연결하여 손잡이(3)를 잡을 때 해제 레버(34)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한 손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전기 레인지 1' : 설치함 2 : 축공
3 : 손잡이 10 : 고정 축 11 : 브라켓
20 : 걸쇠 30 : 일방향 클러치 31 : 톱니
31' : 치차 32 : 래칫 32' : 걸림턱
33 : 비틀림 스프링 34 : 해제 레버 S : 공간
SP : 싱크대 상판 W : 와이어

Claims (5)

  1. 싱크대 상판(SP)에 고정 축(10)을 횡설하고,
    전기 레인지(1)의 일단을 고정 축(10)에 결합하여 회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2. 싱크대 상판(SP)에 고정 축(10)을 횡설하고,
    전기 레인지(1)가 설치되는 설치함(1')의 일단을 고정 축(10)에 결합하여 회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레인지(1) 또는 설치함(1')은 측 방향으로 관통된 축공(2)을 형성하고, 축공(2)에 고정 축(10)이 관통하도록 하여 전기 레인지(1) 또는 설치함(1')이 고정 축(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레인지(1) 또는 설치함(1')이 수직으로 위치하는 벽면에 걸쇠(20)를 구비하여 전기 레인지(1) 또는 설치함(1')의 일 부분이 걸쇠(20)에 걸림되어 수직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레인지(1) 또는 설치함(1')에 일방향 클러치(30)를 설치하되 상기 일방향 클러치(30)는,
    고정 축(10)에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치차(31);
    전기 레인지(1) 또는 설치함(1')에 회동하도록 설치되며 치차(31)의 톱니(31')에 삽입 및 해제되는 걸림턱(32')을 구비한 래칫(32);
    래칫(32)의 걸림턱(32')이 치차(31)의 톱니(31')에 삽입되도록 래칫(32)을 회전시키는 비틀림 스프링(33);
    래칫(32)의 걸림턱(32')이 치차(31)의 톱니(31')로부터 이탈되도록 래칫(32)을 회전시키는 해제 레버(34);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KR1020150040591A 2015-03-24 2015-03-24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KR20160114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91A KR20160114756A (ko) 2015-03-24 2015-03-24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91A KR20160114756A (ko) 2015-03-24 2015-03-24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756A true KR20160114756A (ko) 2016-10-06

Family

ID=5716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591A KR20160114756A (ko) 2015-03-24 2015-03-24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47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07B1 (ko)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07B1 (ko)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33641A (ja) 引手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JP2006341004A (ja) 引出し型の乾燥キャビネット
KR20160114756A (ko)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KR20190034808A (ko) 공간 활용도를 위한 전기레인지 싱크대
JP6403244B2 (ja) 厨房装置
US20130220144A1 (en) Toaster
JP2007229022A (ja) 間仕切りカウンター
JP4404009B2 (ja) 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KR20080057394A (ko)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높이 조절 장치
ITAN990051A1 (it) Manopola temporizzata per fornelli a gas.
JP5750232B2 (ja) 水栓
JP3159982U (ja) スライド式扇状開閉シャッター
KR101427373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EP1637809B1 (en) Cooker hood comprising a protective device
HRP20040774A2 (en) Universal slicer with a rotational handle
JP5033483B2 (ja) 水栓ハンドル
JP3134704U (ja) オープンタイプの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5143868A (ja) 対面式キッチンユニット
KR20130001456A (ko) 전기로스터용 조작노브의 커버부재
JP2012230883A (ja) 延長コードスイッチ
KR20100004055U (ko) 탈,착 방지용 안전장치가 구비 된 칼 보관 케이스
JP4807051B2 (ja) 厨房装置
JP4949772B2 (ja) キッチン壁掛け収納装置
KR20150011116A (ko) 개수대 물 튀김 방지장치
CA2509167A1 (en) Food m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