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739B1 - 드롭핑곤로 - Google Patents

드롭핑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739B1
KR100286739B1 KR1019980018836A KR19980018836A KR100286739B1 KR 100286739 B1 KR100286739 B1 KR 100286739B1 KR 1019980018836 A KR1019980018836 A KR 1019980018836A KR 19980018836 A KR19980018836 A KR 19980018836A KR 100286739 B1 KR100286739 B1 KR 10028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top
wall
vent
flang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490A (ko
Inventor
요시히로 미쯔타니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9000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곤로케이스 내로 음식물의 조리국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한편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쉽게 버너에 공기를 취입할 수 있는 드롭핑곤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반경방향 연장부(11)에 의해 카운터톱(counter top : a)에 형성된 카운터톱개구(m)속에 매달리게 지지되며 내부에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1)와 카운터톱개구(m)를 덮는 상판(2)으로 이루어진 드롭핑곤에 대하여, 후부측에 대해서만 플랜지(20d)와 카운터톱(a) 사이에 곤로케이스(1)의 내부(p)와 카운터톱(a)의 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26)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드롭핑곤로
본 발명은 예를들어 시스템키친 등의 카운터톱개구 속에 매달리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드롭핑곤로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시스템키친의 카운터톱상면에 버너부를 위치시킨 드롭핑곤로의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X - X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대하여, 드롭핑곤로는 2개의 버너(b),(b)를 내부에 구비한 곤로케이스(c)가 카운터톱(a)의 개구(m)에 격납되어 있으며, 그 상부인 반경방향 연장부(d)에 의해 카운터톱(a)의 개구주연(n)에 매달리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b),(b)의 상부측이 카운터톱(a)의 상방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키면서 상판(e)이 곤로케이스(c)의 개구를 덮도록 카운터톱(a)의 개구상면에 올려진다. 상기 상판(e)은 글래스상판이며, 상판의 저부를 구성하는 글래스톱플레이트(f)와 상기 글래스톱플레이트(f)의 외주연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주벽(周壁)·플랜지·수하벽(垂下壁)으로 구성된 프레임(g)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톱상판(e)은 프레임(g)의 수하벽(h) 하단이 카운터톱개구주연(n)에 당접되어 카운터톱(a)에 설치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g)의 수하벽(h)이 곤로케이스(c)의 연장부(d)를 사방 전둘레에 걸쳐 덮게 되므로, 곤로케이스(c)의 내부(p)측은 폐색(閉塞)된다. 또한, 상기 글래스톱플레이트(f)에는 버너(b),(b)의 위치에 대응되어 버너용 개구(j),(j)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버너용 개구(j),(j)에 버너(b),(b)가 면하여 있다. 그리고, (k),(k)는 삼발이이다. 상기 버너(b),(b)는 상기 글래스톱플레이트(f)의 상면에 설치된 레버(L),(L)의 조작에 따라 점화·소화 및 화력이 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카운터톱(a)의 하부측에 대해서는, 곤로케이스(c) 내의 열기가 외부로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곤로케이스(c)의 밀봉성을 높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판(e)을 구비한 드롭핑곤로에서는 카운터톱(a)의 상면과 곤로케이스(c)의 내부(p)측이 차폐되어 있으며, 또한 곤로케이스(c)측에 대해서도 곤로케이스 내·외부를 가능한 한 폐색하여, 전체적으로 드롭핑곤로의 밀봉성을 높이고 있다.
그렇지만, 드롭핑곤로의 밀봉성이 높여지는 반면, 곤로케이스(c) 내의 버너(b),(b)에 공기의 공급이 어려워지고 따라서, 버너의 수가 많거나 또는 버너의 용량이 큰 드롭핑곤로에 대해서는 상판(e)에 구멍을 뚫어 통기구를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통기구는 곤로케이스(c) 내로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흘러드는 문제점과 통기구 자체가 눈에 띄기 쉽고 드롭핑곤로의 미관을 떨어뜨려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글래스톱 상판(e)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제의 상판에 대해서도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곤로케이스의 개구를 덮는 상판을 구비한 드롭핑곤로에 대하여, 곤로케이스 내로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미관을 해치지 않고 용이하게 버너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드롭핑곤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롭핑곤로의 일부를 도시한 도 7의 X - X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핑곤로의 일부를 도시한 도 7의 Y - Y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롭핑곤로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드롭핑곤로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드롭핑곤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그 평면도이며, (b)는 (a)에 대한 Z - Z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로서 (a),(b)는 각각 정면측과 후부측의 측면도.
도 7은 글래스탑플레이트를 사용한 드롭핑곤로의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드롭핑곤로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곤로케이스 2 글래스톱상판
3 패킹 11 연장부
20 프레임 20d 후부플랜지
21 글래스톱플레이트 26,126 통기구
120 상판 130 삼발이
a 카운터톱 m 카운터톱개구
r 입벽 p 드롭핑곤로내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드롭핑곤로는,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면개구를 구비하고 그 측벽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연장부에 의해 카운터톱에 형성된 카운터톱개구 속에 매달리게 지지되며 내부에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상기 상면개구를 덮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드롭핑곤로에 대하여, 상기 상판은 저부와 그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올라간 주벽과 상기 주벽의 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온 수하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하벽의 하단이 상기 카운터톱에 재치되고 후부측에 대해서만 상기 플랜지와 상기 카운터톱 사이에 상기 곤로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카운터톱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면, 곤로케이스의 내부와 카운터톱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가 후부측에 대해서만 플랜지와 카운터톱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부측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카운터톱의 정면측과는 반대방향이므로 상기 통기구가 플랜지와 카운터톱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해도 정면측으로부터는 전혀 눈에 띄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는 플랜지와 카운터톱과의 상하방향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더불어 상방향으로 개구하는 형태가 아니므로 조리용기로부터 상판으로 흘러내린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바로 통기공으로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통기구는 플랜지와 카운터톱과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예를들어 상판의 후부측에 대해서만 수하벽이 없이 플랜지의 하단과 카운터톱의 상면으로 형성된 간극을 통기구로 하는 형태외에도, 플랜지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온 수하벽에 창을 뚫어 설치하여 통기구로 하는 형태, 또는 상기 수하벽의 절개부로 형성된 개구를 통기구로하는 형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통기구의 개구의 형상이나 수량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상판은 저부와 그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올라간 주벽과 상기 주벽의 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수하벽으로 구성된 것이며, 이것들이 미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지 혹은 별개의 것들이 조립되어 형성되어진 것인지는 문제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드롭핑곤로는, 청구항 1을 한정하여, 상기 후부측의 플랜지에 대한 상기 통기구가 형성된 부위가 타부분의 플랜지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면, 통기구가 형성된 부위의 후부측 플랜지가 타부분의 플랜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후부측 플랜지가 높은만큼 카운터톱과 후부측 플랜지 사이에서 통기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그리고, 타부분의 플랜지를 그 전둘레에 걸쳐 높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후부측에 대해서만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전부 및 좌우측플랜지는 낮은 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카운터톱 위에서는 조리용기 등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이 보통인데, 조리용기의 이동이 용이하며 미관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일이 없다.
상기와 같이 후부측 플랜지의 부분에 높게 형성되는 부위는 후부측 플랜지를 구성하는 일부분이거나 전부분이거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통기구는 높게 형성된 후부측 플랜지의 하단과 카운터톱과의 간극을 통기구로 하는 형태외에, 후부측 플랜지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높게 형성된 후부수하벽에 창이나 절개부를 형성하여 이것을 통기구로 하는 형태도 포함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드롭핑곤로는, 청구항 2를 한정하여, 상기 통기구가 설치된 부위를 상기 후부측 플랜지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중앙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면, 후부측 플랜지를 높게 형성하여 통기구를 형성한 부위를 후부측 플랜지의 길이방향을 중앙부로 하기 때문에, 후부측 플랜지 전체에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일부분 이므로 보다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후부측 플랜지 전체에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후부측 플랜지의 좌우양단부는 높이가 낮은상태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그만큼 그 양단부에 공간이 생겨나 조리용기의 이동이나 취급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부측 플랜지의 하단과 카운터톱상면과의 간극을 통기구로 하는 형태에서는 후부측 플랜지의 중앙부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후부측 플랜지의 양단부측은 낮은 수하벽이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통기구형성에 따른 상판의 강도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그 밖에, 후부수하벽에 창이나 절개부를 형성하여 통기구로 하는 형태의 것에서는 후부측 플랜지의 중앙부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후부 수하벽의 중앙부도 높게 형성되는데, 그 높게 형성된 수하벽에 통기구가 설치되더라도 그것은 일부이며 눈에 띄지 않는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드롭핑곤로는,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면개구를 구비하고 그 측벽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연장부에 의해 카운터톱에 형성된 카운터톱개구 속에 매달리게 지지되며 내부에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상기 상면개구를 덮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드롭핑곤로에 대하여, 상기 상판은 글래스톱플레이트와 내주연부로 상기 글래스톱플레이트의 외주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이와 함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오는 수하벽의 하단이 상기 카운터톱에 재치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분중에 후측부분과 상기 카운터톱 사이에만 곤로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카운터톱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면, 곤로케이스 내부와 카운터톱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가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분중에 후측부분과 카운터톱 사이에만 설치된다. 상기 해결수단에 대해서도, 통기구가 상판의 후부측에 형성되므로 카운터톱의 정면에서는 눈에 띄지 않으며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는 프레임의 후측부분과 카운터톱의 상하방향의 사이에 형성되며, 더불어 상방향으로 개구하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조리용기로부터 상판으로 흘러내린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직접 통기공으로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통기구는 예를들어 상판의 후부측에 대해서만 수하벽이 없이 프레임 부분의 하단과 카운터톱의 상면으로 형성된 간극을 통기구로 하는 형태외에도, 프레임의 후측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온 수하벽에 창을 뚫어 형성시켜 통기구로 하는 형태, 또는 상기 수하벽을 절개하여 형성한 개구를 통기구로 하는 형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통기구의 개구형상이나 수량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롭핑곤로는, 청구항 4를 한정하여, 상기 프레임의 후측부분에 대하여 상기 통기구가 설치된 부위가 프레임의 타부분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면, 통기구가 설치된 부위인 후측부분이 타측의 프레임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측부분이 높은만큼 카운터톱과 프레임의 후측부분 사이에 통기구가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타부분을 모든 둘레에 걸쳐 높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후측부분에 대해서만 통기구를 형성하므로 전부측 및 좌우측 프레임 부분은 높이가 낮은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카운터톱 위에서는 조리용기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이 보통인데, 조리용기의 이동이 쉬우며 미관을 떨어뜨리지도 않는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후측부분중에 높게 형성된 곳은 후측부분을 구성하는 일부이거나 전부이거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통기구는 프레임의 후측부분이 높게 형성됨에 따른 후측부분과 카운터톱 상면과의 간극을 통기구로 하는 형태외에, 후측부분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높게 형성된 후부수하벽에 창이나 절개부를 형성하여 통기구로 하는 형태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인 드롭핑곤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드롭핑곤로는 전술한 도 7 및 도 8과 기본구성면에서 거의 같은 글래스톱상판을 구비한 드롭핑곤로이다. 도 1은 도 7에 대한 X - X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Y - Y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의 곤로케이스(1)는 측벽(13)으로 둘러싸인 상면개구(t)를 구비하고 그 측벽(13)의 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연장부(11)에 의해 카운터톱(a)에 형성된 카운터톱 개구(m)속에 매달리게 지지되며 내부에는 2개의 버너(b),(b)를 구비한 구성을 하고 있다(도 5(b)참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곤로케이스(1)는 카운터톱(a)에 구멍을 뚫어 형성한 개구(m) 내부에 격납되며 그 취부상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곤로케이스(1)의 상단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한 연장부(11)가 패킹(3)을 매개하여 카운터톱 개구(m)의 둘레에 당접되어 카운터톱(a)속에 매달리게 지지된다. 또한, 곤로케이스(1)의 측벽(주벽 : 13)의 일부에는 절기부(切起部 : 12)가 형성되어 이것이 개구(m)의 내주벽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글래스톱상판(2)이 상기 상면개구(t)를 덮도록 하여 상판으로서 카운터톱(a)에 재치된다.
글래스톱상판(2)은 글래스톱플레이트(21)와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0)은 4개의 요소(201 - 204 : 도 7 참조)가 액자틀 형상으로 맞붙여져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글래스톱플레이트(21)는 그 외주연이 프레임(20)의 내주연부(24)에 수용되어 지지되며 그리고 프레임(20)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온 수하벽(23)의 하단이 카운터톱(a)의 상면에 재치된다. 일반적인 상판, 예를들어 일체형성에 의한 금속제 상판은 저부와 그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올라간 주벽과 상기 주벽의 상단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오는 수하벽으로 구성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본 실시형태인 글래스톱 상판(2)에서는 글래스톱플레이트(21)가 그 저부에 해당되며 내주연(24)으로부터의 입상부(立上部 : 28)가 상기 주벽에 해당되고 또한 주벽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 부분(20a - 20d)이 상기 플랜지에 해당되며 수하벽(23)이 상기 수하벽에 해당된다.
그 밖에, 곤로케이스(1) 내의 버너(b),(b)나 글래스톱플레이트(21) 위의 삼발이(k) 등의 구성은 도 7 및 도 8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종래의 것과 서로 다른 점은 글래스톱상판(2)의 프레임(20) 요소(201 - 204)의 부분(20a - 20d)들중에 후측부분(20d)과 카운터톱(a) 사이에 통기구(26)를 형성한 점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후부수하벽(23d)에 하단까지 이르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이것을 통기구(26)로 하고 있다. 상기 절개부는 후부수하벽(23d)의 길이방향에 걸쳐 형성한 1개의 긴 절개부이며 도면상의 부호 (25)는 절개부의 측면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절개부는 상판(2)의 길이방향에 복수개로 나누어 형성시켜도 좋으며, 그러한 경우 복수개로 나뉘어 형성된 절개부는 프레임의 후측부분과 카운터톱(a)상면 사이에 칸막이를 형성하게 되어 후측부분(20d)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좋다. 또한, 통기구(26)를 절개하여 형성하지 않고 후부수하벽(23d)에 구멍을 뚫어 형성한 창을 통기구로 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도 후부수하벽(23d)의 길이방향에 걸친 1개의 창을 형성하거나 또는 창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후측부분(20d)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후부수하벽(23d)을 완전히 제거한 형태로서 후측부분(20d)의 하단과 카운터톱(a)의 상면과의 개구를 통기구로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통기구(26)에 의해 카운터톱(a) 상면과 곤로케이스(1)의 내부(p)측이 연통되어 버너(b),(b)의 일차공기구로 통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임(20)의 부분중에 후측부분(20d) 이외의 부분(20a - 20c) 즉, 카운터톱 정면부분(20a) 및 그 양측부분(20b),(20c)과 카운터톱(a)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구가 형성되지 않으며, 이들 부분에는 곤로케이스(1)의 내부(p)와 카운터톱(a)의 상면측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은 우측부분(20b)과 후측부분(20d)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통기구(26)가 카운터톱 정면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드롭핑곤로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곤로케이스(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기구(26)는 후부수하벽(23d)에 형성되거나 혹은 수하벽이 제거되어 없는 즉, 후측부분(20d)과 카운터톱(a)과의 개구를 통기구로 하며, 상기 어느 경우에도 개구가 상방을 향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통기구(26)로 직접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곤로케이스(1)의 연장부(11)가 패킹(3)을 매개하여 매달리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통기구(26)가 절개된 형태이거나 혹은 수하벽(23d)이 없는 형태에 의해 형성된 통기구(26)이더라도 상기 패킹(3)의 두께치수만큼 연장부(11)의 턱이 생겨서 카운터톱(a)에 체류하는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상기 턱을 타고넘어 침입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패킹(3) 자체의 밀봉성능에 의해 패킹(3)의 하부와 카운터톱(a)의 틈새로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침입하는 일도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 통기구(26)가 형성되는 후측부분(20d)과 연장부(11)의 간극은 약 6mm로 설정되는 한편 상기 통기구(26)가 요소(204)의 길이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필요한 통기량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에 도시된 도 4는 제 2 실시형태로서 프레임(20)의 부분중에 후측부분(20d)을 다른 부분(20a - 20c)보다 높게 형성함에 따라, 후부수하벽(23d)이 다른 수하벽(23a - 23c)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후부측만을 타부분보다 높게 했기 때문에 그만큼 통기구(26)를 한층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다른 부분(20a - 20c) 및 수하벽(23a - 23c)을 그 전체에 걸쳐 높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부분(20a - 20c) 및 수하벽(23a - 23c)은 높이가 낮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카운터톱(a) 위에서는 조리용기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이 보통인데, 이때 조리용기 등의 이동이 쉽고 또한 미관을 현저하게 해치지도 않는다. 상기 예에서는 후부수하벽(23d)에 통기구(26)로서 창을 형성한 형태를 기술했지만, 후부수하벽(23d)의 하단까지 이르는 절개부를 형성한 형태도 좋다. 또한, 상술한 후부수하벽(23d)을 완전히 제거한 형태인 후측부분(20d)의 하단과 카운터톱(a)의 상면과의 개구를 통기구(26)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통기구(26)는 그 개구가 상향이 되지 않기 때문에 통기구(26)로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직접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26)는 후부수하벽(23d)에 구멍을 뚫어 창형태로 형성했기 때문에 그 개구의 하측부분의 후부수하벽(23d)이 턱이되어 카운터톱(a) 상면에 체류하는 음식물의 조림국물이 상기 턱을 타고 넘어 통기구(26)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서 도 5 및 도 6에서는 전술한 글래스톱플레이트(21)를 대신하여 금속제의 상판을 보여주고 있다. 도 5(a)는 톱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대한 Z - Z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상판의 측면도이며, (a)는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후부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버너는 도 1 및 도 8과 같은 형태이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톱(a)의 개구(m)속에 곤로케이스(1)가 격납되어 있다. 상기 곤로케이스(1)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곤로케이스와 같은 것이며 측벽(13)으로 둘러싸인 상면개구(t)를 상판(120)이 덮고 있다. 그리고, (11)은 곤로케이스(1)의 연장부이다. 상기 상판(120)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125)와 그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올라간 주벽(129)과 상기 주벽(129)의 상단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 플랜지(127)와 상기 플랜지(127)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수하벽(128)으로 구성된다.
상판(120)은 상기 곤로케이스(1)의 개구(t)를 덮도록 카운터톱(a)의 개구연부에 재치된다. 상판(120)의 저부(125)에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버너에 대응하여 2개의 개구(121),(12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121),(121)의 주연을 둘러싸고 있는 국물받이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120)의 전부플랜지(127a)의 중앙에는 반달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에 천설한 구멍(123)을 통하여 레버(L)가 설치되어 버너의 점화 등을 행한다. 도면부호 (130)은 삼발이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상판(120)의 후부수하벽(128d)에만 곤로케이스 내부(p)와 카운터톱(a) 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126)를 형성하였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통기구(126)는 후부수하벽(128d)에 창형태로 상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이들 통기구(126)는 각각 장공형상의 창으로서 부엌의 입벽(立壁 : r)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공이 상하방향으로 약 6mm,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40mm의 수치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복수의 통기구(126)가 상판(120)의 후부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통기구(126)를 따라 곤로케이스(1)의 내부(p)와 카운터톱(a)의 상면측이 연통되어 버너에 통기할 수 있는 한편, 이들 통기구(126)는 카운터톱의 정면에서는 보이지 않으므로 드롭핑곤로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통기구(126)가 후부수하벽(128d)에 형성되고 앞서 기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개구가 상방을 향하고 있지 않으므로 조리용기로부터의 조리국물이 바로 통기구(126)로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드롭핑곤로에서는 상판(120)의 플랜지(127)중에 후부측플랜지(127d)의 일부, 도면상에서는 후부측플랜지(127d)의 길이방향에 대한 중앙부(122)만을 타부의 플랜지(127a - 127c)보다 높게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플랜지(127a - 127d)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내려오는 수하벽(128a - 128d)중에서 후부수하벽(128d)에 대해서만 일부가 타부의 수하벽(128a - 128c)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을 고벽부(128dH : 도 6 참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후부수하벽(128d)의 고벽부(128dH)에 상기 곤로케이스 내부(p)와 카운터톱(a) 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126)를 형성한 것이다. 물론, 수하벽(128a - 128d) 높이의 높낮이는 각각 플랜지(127a - 127d) 높이의 높낮이에 대응하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수하벽(128a - 128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후부수하벽(127d)에 대해서만 일부를 높게하여 고벽부(128dH)를 형성함에 따라, 그만큼 통기구(126)로서의 공기구를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공기구를 크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하벽(128)의 일부를 높게 하더라도 그것은 눈에 잘 띄지 않는 후부수하벽(128d)에 위치하며 또한 그 일부이기 때문에 더욱 눈에 잘 띄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다른 수하벽(128a - 128c) 및 후부수하벽(128d)의 고벽부(128dH)가 아닌 저벽부(128dL)는 높이가 낮은상태 그대로이므로 상판(120) 전체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조리용기를 상판(120) 위의 삼발이(130)로부터 카운터톱(a)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수하벽이 낮은 상태이므로 조리용기의 이동시에 문제가 없다. 그리고, 후부수하벽(128d)의 일부가 높아지더라도 그 바로 후방에는 통상적으로 높은 부엌벽(r)이 존재하므로 그 존재감이 약하여 눈에 잘 띄지 않으며 평탄한 상판이 주는 미감을 해치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부를 높게 형성한 부위가 상기 후부측플랜지(127d)의 중앙부(122)이므로 상기 후부측플랜지(127d)의 양단부는 높이가 낮은상태 그대로이며, 따라서 그만큼 양단부에 공간이 생겨 조리용기의 취급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통기구(126)의 형태로서는 고벽부(128dH)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통기구로 해도 좋으며, 고벽부(128dH)를 제거한 상태로서 그 후부플랜지(127d)의 하단과 카운터톱(a) 상면과의 간극을 통기구(126)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후부플랜지(127d)의 중앙부(122)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그 양단부의 후부수하벽(128dL)은 높이가 낮은상태 그대로 존재하므로 통기구형성에 따른 상판(120)의 강도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것은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카운터톱플레이트(21)와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 상판(2)에 대해서도 같다. 즉, 후부수하벽(23d)의 일부를 높게 형성하며 통기구(26)도 창형태나 절개부로 형성된 것 외에, 후부수하벽(23d)을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를 통기구(26)로할 수 있다.
그밖에, 전술한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후부수하벽(128d)을 그 전폭에 걸쳐 높게하여 통기구(126)를 형성해도 좋고 또한, 수하벽(128a - 128d)이 전부 동일한 높이의 수하벽이어도 좋다. 그리고, 이것들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도 후부수하벽(128d)에 창형태나 절개부를 형성하여 통기구로 하는 형태 외에 후부수하벽(128d)을 제거하여 통기구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롭핑곤로에서는 글래스톱상판이나 금속제상판을 상관하지 않고 여러 가지 상판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들 상판의 후부수하벽에 창이나 절개부형태의 통기구를 형성하거나, 또는 후부수하벽을 제거한 형태인 플랜지의 하단과 카운터톱(a) 상단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기구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부측수하벽에 대해서만 높게할 수 있는 한편, 그 일부만을 높게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중앙부 외에 임의의 부위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술한 각종의 형태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드롭핑곤로에 의하면, 곤로케이스 내부와 카운터톱 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를 후부측에 대해서만 플랜지와 카운터톱 사이에 형성했기 때문에 정면에서 눈에 띄지 않으며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곤로케이스 내로 공기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한편, 음식물의 조리국물이 바로 통기구를 통하여 곤로케이스 내로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드롭핑곤로에 의하면, 통기구가 형성된 부위인 후부측 플랜지를 타부의 플랜지보다 높게 형성시켰기 때문에 상기 후부측 플랜지가 높은만큼 곤로케이스 내로 공기의 공급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후부측 플랜지에 대해서만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부의 플랜지는 낮은 상태 그대로이므로 카운터톱 위에서 조리용기의 이동이 용이하며 작업성 및 미관을 해치지 않고 통기구를 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드롭핑곤로에 의하면, 후부측 플랜지를 높게 하여 통기구를 형성한 부위를 후부측 플랜지의 길이방향 중앙부로 했기 때문에 후부측 플랜지의 전체에 걸쳐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그것은 일부이며 한층 눈에 띄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그리고, 후부측 플랜지의 전체에 걸쳐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후부측 플랜지에 대한 좌우양단부가 높이가 낮은 상태이므로 그만큼 상기 양단부에 공간이 생기므로 조리용기의 이동이나 취급이 보다 쉬워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드롭핑곤로에 의하면, 통기구를 프레임의 후측부분과 카운터톱과의 사이에만 설치했기 때문에 역시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으며 공기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개구가 상방향이 아니므로 음식물의 조리국물 등이 바로 통기구를 통하여 곤로케이스 내부로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롭핑곤로에 의하면, 통기구가 설치된 부위인 프레임의 후측부분을 타측부분보다 높게 형성시켰기 때문에 그 후측부분이 높은만큼 곤로케이스 내부로 공기의 공급을 행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후측부분에 대해서만 높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타측부분은 높이가 낮은 상태 그대로이므로 카운터톱 위에서 조리용기의 이동이 쉽고, 작업성 및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통기구를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5)

  1.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면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연장부에 의해 카운터톱에 형성된 카운터톱개구속에 매달리게 지지되며 내부에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상기 상면개구를 덮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드롭핑곤로에 대하여, 상기 상판은 저부와 그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올라간 주벽과 상기 주벽의 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수하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하벽의 하단이 상기 카운터톱에 재치되고, 후부측에 대해서만 상기 플랜지와 상기 카운터톱 사이에 상기 곤로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카운터톱 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핑곤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측플랜지에 대한 상기 통기구가 형성된 부위가 타부측플랜지보다도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핑곤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가 형성된 부위를 상기 후부측플랜지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중앙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핑곤로.
  4.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면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한 연장부에 의해 카운터톱에 형성된 카운터톱개구속에 매달리게 지지되며 내부에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상기 상면개구를 덮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드롭핑곤로에 대하여, 상기 상판은 글래스톱플레이트와 내주연부로 상기 글래스톱플레이트의 외주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외주연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수하벽의 하단이 상기 카운터톱데 재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분중에 후측부분과 상기 카운터톱과의 사이에만 상기 곤로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카운터톱 상면을 연통하는 통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핑곤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부분에 대한 상기 통기구가 형성된 부위가 타측부분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핑곤로.
KR1019980018836A 1997-06-27 1998-05-25 드롭핑곤로 KR100286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083 1997-06-27
JP17208397A JP3288956B2 (ja) 1997-06-27 1997-06-27 ドロップインコン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90A KR19990006490A (ko) 1999-01-25
KR100286739B1 true KR100286739B1 (ko) 2001-04-16

Family

ID=1593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836A KR100286739B1 (ko) 1997-06-27 1998-05-25 드롭핑곤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88956B2 (ko)
KR (1) KR100286739B1 (ko)
TW (1) TWM24779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07B1 (ko)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26705B1 (ko) 2006-12-2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85554B1 (ko) 2007-01-08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US8875695B2 (en) 2007-01-08 2014-11-04 Lg Electronics Inc. Built-in cook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05B1 (ko) * 2001-12-27 2003-11-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조리기기의 국물침투방지 버너링 구조
JP4115424B2 (ja) * 2004-05-24 2008-07-09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天板及びコンロ
JP2006105555A (ja) 2004-10-08 2006-04-20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用ガラス天板
JP4633559B2 (ja) * 2005-06-30 2011-02-16 リンナイ株式会社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用のガラス天板
CN110822499A (zh) * 2019-11-22 2020-02-21 青岛澳柯玛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换装底壳燃气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05B1 (ko) 2006-12-2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85554B1 (ko) 2007-01-08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US8875695B2 (en) 2007-01-08 2014-11-04 Lg Electronics Inc.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26707B1 (ko)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247790U (en) 2004-10-21
JPH1122981A (ja) 1999-01-26
JP3288956B2 (ja) 2002-06-04
KR19990006490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739B1 (ko) 드롭핑곤로
US4718400A (en) Gas range construction
KR100540560B1 (ko) 드롭 인 곤로
JP4549930B2 (ja) ビルトイン式の3口こんろ
KR100267945B1 (ko) 드롭인곤로
GB2462172A (en) Household cooking appliance with light to illuminate different rack levels
KR100249239B1 (ko) 드롭인 곤로
JP6778792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JP3445715B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2920494B2 (ja) レンヂフードユニット
WO2011073167A1 (en) Oven with burner housing
CN219454029U (zh) 一种厨电系统
CN218552127U (zh) 一种空气炸锅
JP2018179438A (ja) ガスコンロ
JP3232015B2 (ja) ガスコンロ
JPH10170003A (ja) ガスこんろ
JP4568151B2 (ja) 厨房用キャビネット
KR100378394B1 (ko) 그릴
JP2003090544A (ja) ビルトインコンロ
JPH09318121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CN116123576A (zh) 一种厨电系统
JPS6041457Y2 (ja) 調理器
WO2015151041A1 (en) Cooking appliance, in particular for domestic use
JPS63101629A (ja) レンジ
JP2019033955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