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453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453A
KR20040044453A KR10-2004-7002435A KR20047002435A KR20040044453A KR 20040044453 A KR20040044453 A KR 20040044453A KR 20047002435 A KR20047002435 A KR 20047002435A KR 20040044453 A KR20040044453 A KR 2004004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temperature
display pan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323B1 (ko
Inventor
미찌유끼 스기노
유지 기꾸찌
도시히꼬 오사다
다까시 요시이
마꼬또 시오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37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2627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강조 변환부(52)는, 1수직 기간 전의 화상 데이터와 현 수직 기간의 화상 데이터와의 비교를 행하고, ROM(3a∼3c)의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4)에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가속 구동한다. 마이크로 컴퓨터(38)는, 서미스터(37)의 검출 온도에 히스테리시스를 부가하여, 온도 임계값 부근에서 검출 온도가 상하를 반복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근래,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경량화, 박형화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도 경량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CRT) 대신에 액정 표시 장치(LCD)와 같은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있다.
LCD는 2개의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강도를 조절하여 기판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얻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LCD는 휴대가 간편한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 중의 대표적인 것으로, 그 중에서도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스위칭 소자로서 이용한 TFT, LCD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LCD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기 때문에, 동화상을 구현할 필요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LCD는 응답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동화상을 구현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액정의 응답 속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1프레임 전의 입력 화상 데이터와 현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현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계조 전압보다 높은(오버슈트된) 구동 전압 혹은 보다 낮은(언더슈트된) 구동 전압을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액정 구동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하, 본원 명세서에서는, 이 구동 방식을 오버슈트(OS) 구동으로 정의한다.
종래의 오버슈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즉, 이제부터 표시하는 N번째의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Current Data)와, 프레임 메모리(1)에 보존된 N-1번째의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Previous Data)를 강조 변환부(2)로 읽어 내고, 양 데이터의 계조 천이 패턴과 N번째의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테이블 메모리(ROM)(3)에 보존되어 있는 부가 전압 데이터 일람표와 대조하며, 대조하여 찾아낸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N번째의 프레임의 화상 표시에 필요한 기입 계조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를 결정하고, 액정 표시 패널(4)에 인가한다. 여기서는, 강조 변환부(2)와 테이블 메모리(3)에 의해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테이블 메모리(3)에 저장되어 있는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파라미터)는,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의 실측값으로부터 사전에 얻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표시 신호 레벨 수 즉 표시 데이터 수가 8비트인 256계조의 경우, 256의 모든 계조에 대한 인가 전압 데이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예를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2계조마다의 9개의 대표 계조에 대한 실측값만을 기억해 놓고, 그 밖의 인가 전압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실측값으로부터 선형 보간 등의 연산으로 구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임의의 중간조로부터 다른 중간조로 변경시키는 시간이 길어, 중간조를 1프레임(예를 들면 60Hz의 프로그레시브 스캔의 경우에는 16.7msec) 내로 표시할 수 없어, 잔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중간조를 올바르게 표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지만, 상술한 오버슈트 구동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의 중간조를 단시간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정의 응답 속도는 온도 의존성이 매우 큰 것이 알려져 있으며, 액정 표시 패널의 온도가 변화되어도, 이것에 대응하여 표시 품위를 손상하지 않고 항상 계조 변화의 응답 속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는 액정 표시 패널 구동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4-3185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표시용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분 기억하는 RAM과, 액정 표시 패널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상기 RAM으로부터 1프레임 지연되어 판독되는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금회의 화상 데이터가 1프레임 전의 화상 데이터에 비해 변화되었을 때에 금회의 화상 데이터를 해당 변화 방향으로 상기 온도 센서의 검지 온도에 따라 강조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회로를 구비하고, 이 데이터 변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표시 구동하는 것이다.
즉, 온도 센서가 검지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온도를 예를 들면 3단계의 값 Th, Tm, Tl(Th>Tm>Tl)로 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A/D 변환기가 데이터 변환 회로로 출력하는 모드 신호를 Mh, Mm, Ml로 하며, 또한, 데이터 변환 회로의 ROM에는, 금회의 화상 데이터와 1프레임 지연된 화상 데이터를 지정 어드레스로 하는 화상 데이터의 테이블을 모드 신호의 수 「3」만큼 사전에 기억 설정해 둠으로써, 입력되는 모드 신호에 따른 테이블이 선택되고, 그 테이블 중의 금회의 화상 데이터와 1프레임 지연된 화상 데이터를 지정 어드레스로 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기입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로 출력한다.
그런데, 상술한 일본 특개평4-318516호 공보에 기재된 것에서는, 검지 온도의 3단계의 값 Th, Tm, Tl(Th>Tm>Tl)에 대응한 모드 신호 Mh, Mm, Ml을 생성하여, 이 모드 신호 Mh, Mm, Ml에 따라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의 검지 온도가 불안정하여, 각 단계 Th, Tm, Tl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경우, 모드 신호 Mh, Mm, Ml도 빈번하게 변화되게 되어, 동일한 계조 변화에 대해서도 ROM으로부터 판독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변동되게 된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에 변동 등의 증상이 발생하여, 화질을 열화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는, 액정 표시 패널(4)의 온도 분포에 의해 화질이 열화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직하형 백 라이트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 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서, 참조 부호 4는 액정 표시 패널, 참조 부호 11은 액정 표시 패널(4)을 배면으로부터 조사하기 위한 형광 램프, 참조 부호 12는 형광램프(11)를 점등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트랜스포머, 참조 부호 13은 전원 유닛, 참조 부호 14는 영상 처리 회로 기판, 참조 부호 15는 음성 처리 회로 기판, 참조 부호 16은 온도 센서이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4)의 응답 속도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발열 작용을 갖는 것은, 형광 램프(11)의 전극부, 인버터 트랜스포머(12), 전원 유닛(13)이다. 한편, 온도 센서(16)는, 그 본래의 목적으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4)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회로 기판 등의 다른 부재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구성 부재(11∼15)를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치로 한 경우, 인버터 트랜스포머(12), 전원 유닛(13)의 발열 작용의 영향을 가장 받기 어려운 음성 처리 회로 기판(15)에 온도 센서(16)를 부착하고, 이 온도 센서(16)의 검출 출력을, 영상 처리 회로 기판(14)에 설치된 오버슈트 구동 회로에서 이용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コ자형의 형광 램프(11)를 이용한 직하형 백 라이트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L자형의 형광 램프(11)를 이용한 사이드 엣지형 백 라이트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도, 형광 램프(11)의 전극부, 이 형광 램프(11)를 점등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트랜스포머가 후배부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패널(4)의 일부 영역에서는 온도 상승이 크고, 도 5에서 해칭으로 표시한 영역에 비해 그 밖의 영역쪽이 온도가 높아진다.
여기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단일의 온도 센서(16)에 의한 검출 온도를 액정 표시 패널(4) 전체의 온도로 간주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1프레임 단위로 오버슈트 구동의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발열 작용을 갖는 부재의 배치 위치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4)의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게 된다.
즉, 온도 센서(16)의 검출 온도보다 온도가 높게 되어 있는 액정 표시 패널(4)의 일부 영역에서는, 과소한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가 공급되게 되어, 셰도우 테일링(shadow tailing)이 발생한다. 한편, 온도 센서(16)의 검출 온도보다 온도가 낮게 되어 있는 액정 표시 패널(4)의 일부 영역에서는, 과대한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가 공급되게 되어, 백점이 발생하는 등(노멀 블랙 모드인 경우), 표시 화상의 화질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마찬가지로, 해당 액정 표시 장치가, 예를 들면 에어컨으로부터 나오는 바람이 닿는 장소나, 양지쪽의 직사 일광이 닿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액정 표시 패널(4)의 일부 영역만 온도가 내려가거나 올라가, 액정 표시 패널(4)의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므로, 일부 영역에서 과대한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가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되어 백점이 발생하거나, 과소한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가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되어 셰도우 테일링이 발생하는 등(노멀 블랙 모드인 경우), 표시 화상의 화질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이러한 설치 장소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4)의 면내 온도 분포의 문제는, 특히 표시 화면 사이즈가 대형화된 경우에 현저해진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도 6의 (a)에 도시한 통상 설치 상태(스탠드 설치 상태)에서 인버터 트랜스포머(12), 전원 유닛(13) 등의 다른 부재에 의한 발열 작용을 가장 받기 어려운 장소에, 온도 센서(16)를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하 반전 설치 상태(천장에 매단 상태)나,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90° 회전 설치 상태(화면 종횡 전환 상태)로 한 경우, 열기류의 경로가 변하기 때문에, 온도 센서(16)는 다른 부재에 의한 발열 작용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게 되어, 액정 표시 패널(4)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4)의 온도에 대응한 올바른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를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할 수 없게 되므로, 과소한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가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되어, 셰도우 테일링이 발생하거나, 과대한 인가 전압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가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되어, 백점이 발생하는 등(노멀 블랙 모드인 경우), 표시 화상의 화질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 내의 검출 온도가 불안정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가변 제어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의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상태에서도,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제1 발명은, 적어도 1수직 기간 전의 화상 데이터와 현 수직 기간의 화상 데이터와의 비교를 행하고, 해당 비교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에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가속 구동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장치 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장치 내 온도에 따라,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장치 내 온도에 히스테리시스를 부가하여,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가변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복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과, 1수직 기간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복수 분할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분할하고, 해당 분할된 입력 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해당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른 강조 변환을 행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는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2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테이블 메모리를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은, 제2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마다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테이블 메모리의 참조 테이블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은, 제2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구해진 강조 변환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가변 제어되는 가중 계수 k를, 상기 감산기의 출력 신호에 적산하는 승산기와, 상기 승산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갖고,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복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현 수직 기간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강조 변환을 행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는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은, 제6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테이블 메모리를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은, 제6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마다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테이블 메모리의 참조 테이블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은, 제6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구해진 강조 변환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가변 제어되는 가중 계수 k를, 상기 감산기의 출력 신호에 적산하는 승산기와, 상기 승산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갖고,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은, 제6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은, 제6항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최대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은, 제6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최소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은, 제6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히스토그램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발명은, 제6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발명은, 제14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을 검출하는 특징량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특징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발명은, 제14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를 검출하는 설치 상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설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발명은, 제14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 발명은, 제6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 발명은, 제18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을 검출하는 특징량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특징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 발명은, 제18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를 검출하는 설치 상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설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 발명은, 제18 발명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제1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내의 검출 온도가 불안정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가변 제어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내지 제5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의 각 분할 영역마다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각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오버슈트 구동을 행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의 면내 온도 분포에 대응한 기입 계조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내지 제21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의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상태에서도, 입력 화상 데이터에대하여 적절한 강조 변환 처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오버슈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오버슈트 구동 회로에 이용하는 OS 테이블 메모리에서의 테이블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3은 액정에 가하는 전압과 액정의 응답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직하형 백 라이트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의 (a)는 コ자형의 형광 램프를 이용한 직하형 백 라이트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도 5의 (b)는 L자형의 형광 램프를 이용한 사이드 엣지형 백 라이트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6은 액정 표시 장치의 (a) 통상 설치 상태, (b) 상하 반전 설치 상태, (c) 90° 회전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의 ROM의 테이블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9는 제1 실시예에서의 검출 온도와 강조 변환 파라미터 레벨과의 관계를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제1 실시예에서의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의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제2 실시예에서의 ROM의 테이블 내용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3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제3 실시예에 이용하는 OS 테이블 메모리의 테이블 내용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4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제4 실시예에 이용하는 OS 테이블 메모리의 테이블 내용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5 실시예에서의 기입 계조 수단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6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제6 실시예에서의 제어 CPU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0은 제6 실시예에서의 검출 온도와 강조 변환 파라미터 레벨과의 관계를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제6 실시예에서의 검출 온도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7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3은 제7 실시예에 이용하는 OS 테이블 메모리의 테이블 내용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8 실시예에서의 기입 계조 수단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9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6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10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7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11 실시예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10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ROM의 테이블 내용을 도시하는개략 설명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검출 온도와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하는 레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참조 부호 1은 프레임 메모리(FM), 참조 부호 3은 입력 화상 데이터의 계조 변화에 따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 메모리(ROM), 참조 부호 52는 현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와 FM(1)으로부터 판독된 전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계조 천이)에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ROM(3)으로부터 판독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보정 화상 데이터)를 결정/출력하는 강조 변환부, 참조 부호 5는 강조 변환부(52)로부터의 강조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4)의 게이트 드라이버(6) 및 소스 드라이버(7)에 액정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정 컨트롤러이다.
또한, 참조 부호 37은 장치 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 참조 부호 38은 서미스터(37)로부터의 전압값(검출 온도)에 대하여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실시하고, ROM(3)으로부터 판독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파라미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상기 구성에서, ROM(3)은 장치 내 온도에 대응한 LEVEL0∼LEVEL2의 3개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각각 저장된 ROM(3a∼3c)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ROM(3a∼3c)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화상 데이터의 계조 천이에 대응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저장한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표시 신호 레벨 수 즉 표시 데이터 수가 8비트인 256계조의 경우).
강조 변환부(52)는, 마이크로 컴퓨터(38)로부터의 파라미터 제어 신호에 따라, ROM(3a∼3c)을 적응적으로 전환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ROM(3a∼3c)으로부터 1프레임 전후의 계조 천이에 따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하며, 이것에 기초하여 액정 컨트롤러(5)로 출력하는 보정 화상 데이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38)로부터의 파라미터 제어 신호가 "LEVEL0"을 지시하고 있고, FM(1)으로부터의 1프레임 전 데이터가 "0"이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현 프레임의 데이터가 "128"인 경우, 강조 변환부(52)는 ROM(3a)을 선택하며, 「"194"의 데이터를 출력하십시오」라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강조 변환부(52)에서는, ROM(3)으로부터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0∼255까지의 입출력 테이블을 작성하고, 강조 변환 파라미터 데이터를 가미한 보정 화상 데이터(강조 변환 데이터)를 결정하여, 액정 컨트롤러(5)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1프레임 전 데이터가 "0"이고 현 프레임 데이터가 "100"일 때와 같이, ROM(3)에 기억된 테이블에 값이 존재하지 않는(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강조 변환부(52)에서 선형 보간 등의 계산을 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175" 정도의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내 온도에 따른 3단계의 LEVEL0∼LEVEL2에 대응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준비되며, 각각 ROM(3a∼3c)의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이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하기 위한 임계값 온도는 Threash0, Threash1이지만, 서미스터(37)에 의해 검출된 장치 내 온도가 상기 임계값 온도 부근에서 불안정한 경우, 강조 변환파라미터(LEVEL0∼LEVEL2)가 빈번하게 전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 내에서 서미스터 검출 온도에 히스테리시스를 부가하여, 파라미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38)에서 행하는 히스테리시스 처리에 대하여, 도 10의 흐름도와 함께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가 정기적(예를 들면 약 120m초마다)으로 장치 내 온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서미스터(37)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1), 전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와 비교한다(단계 S2).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쪽이 높은 경우, 즉 장치 내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는,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와 현재 LEVEL의 상한 온도 임계값인 Threash(LEVEL)+α를 비교한다(단계 S3). 여기서, α는 사전에 설정된 임의의 수이다.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쪽이 큰 경우에는, 현재 LEVEL을 1 올리고(단계 S4),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또한,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쪽이 작은 경우에는, 현재 LEVEL을 그대로 유지하고(단계 S5),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2에서,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쪽이 낮다고 판별된 경우, 즉 장치 내 온도가 하강한 경우에는,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와 현재 LEVEL의 하한 온도 임계값인 Threash(LEVEL-1)+α를 비교하여(단계 S6),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쪽이 작은 경우에는, 현재 LEVEL을 1 내리고(단계 S7),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또한, 금회 취득한 온도 데이터쪽이 큰 경우에는, 현재 LEVEL을 그대로 유지하고(단계 S8),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면, 현재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LEVEL1에 상당할 때, 새롭게 판독한 온도가 전회 판독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Threash1+α와 비교하여, 이것보다 더 높으면 LEVEL2로 이행한다. 또한, 새롭게 판독한 온도가 전회 판독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Threash0-α와 비교하여, 이것보다 더 낮으면 LEVEL0으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의 상승 하강에 따라 온도 임계값을 ±α함으로써, 검출 온도에 히스테리시스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 임계값 부근에서 검출 온도가 상하를 반복하는 경우에도, 이것에 부수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0∼LEVEL2)가 심하게 변동되지 않아, 안정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0∼LEVEL2)의 전환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1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은, 도 7과 함께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다른 점은, 마이크로 컴퓨터(38) 내의 히스테리시스 처리에 있기 때문에, 이 점에 한정하여 도 11의 흐름도와 함께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서미스터(37)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11), 이 취득한온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현재 LEVEL을 결정하며(단계 S12),이 결정된 현재 LEVEL과, 현재 선택되어 있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확정 LEVEL을 비교한다(단계 S13). 양자가 동일한 경우에는, 업 카운터, 다운 카운터 모두 카운터값을 클리어하고(단계 S14),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현재 LEVEL이 확정 LEVEL보다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업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1로 함과 함께, 다운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클리어하여(단계 S15), 업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5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16), 업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5에 달하지 않았을 때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업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5에 달했을 때는, 확정 LEVEL을 1 올리고,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단계 S17).
한편, 단계 S14에서, 현재 LEVEL이 확정 LEVEL보다 하강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운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1로 함과 함께, 업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클리어하여(단계 S18), 다운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5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19), 다운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5에 달하지 않았을 때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다운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5에 달했을 때는, 확정 LEVEL을 1 내리고,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단계 S17).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임계값은 고정하여 LEVEL의 변동을 감시하고, 완전하게 LEVEL이 변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 새로운 LEVEL로 이행함으로써, 검출 온도에 히스테리시스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 임계값 부근에서 검출 온도가 상하를 반복하는 경우에도, 이것에 부수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0∼LEVEL2)가 심하게 변동되지 않아, 안정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0∼LEVEL2)의전환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치 내 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서미스터(37)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도 통상 액정 표시 패널(4)을 구동하는 전원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 검출기가 출력하는 검출 신호를 공용하는 방법이나, 액정 표시 패널(4)의 근방에 설치되는 광원의 구동 전압을 검출하여, 이것을 간접적인 온도 검출 신호로 하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또한, 온도 검출 수단은 액정 표시 패널(4)면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이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구동 기판 상에서 온도를 측정하여, 액정 표시 패널(4)면의 온도와의 오차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즉, 사전에 액정 표시 패널(4)면과 구동 기판 상의 서미스터 부분과의 온도 상관 데이터를 취득해 놓고, 이 온도 상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 기판 상에서의 측정 온도에 대하여 보정을 실시한다.
여기서, 구동 기판 상과 액정 표시 패널(4)면에서는, 전원 투입 후로서 장치 내 온도가 포화되기까지의 온도 상승 커브에 차가 있기 때문에, 전원 투입 후의 경과 시간에 수반하는 온도 상승 커브의 차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마이크로 컴퓨터(38) 내에 갖게 하고, 해당 마이크로 컴퓨터(38)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 투입 후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여, 해당 경과 시간에 따라 보정해야 할 오차 온도를 가변 제어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장치 내 온도에 따라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LEVEL0∼LEVEL2에 대응하는 3개의 ROM(3a∼3c)을 설치하고, 이들을 전환 선택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의 ROM(3) 내에 LEVEL0∼LEVEL2의 각각에 대응한 어드레스의 할당을 행하고, 마이크로 컴퓨터(38)로부터의 파라미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참조하는 어드레스를 가변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ROM(3)으로부터 판독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는 변경하지 않고, 강조 변환부(52) 중에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가변하는 연산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ROM(3)으로부터 판독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계수 k(0<k<1)를 적산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파라미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계수 k의 값을 가변 제어 가능하게 하면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치 내 온도에 의해 전환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를 3단계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실시예의 히스테리시스 처리와 제2 실시예의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조합하여, 보다 확실하게 LEVEL 전환을 판별/제어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프레임 전의 화상 데이터와 현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2프레임 전, 3프레임 전의 화상 데이터도 이용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구하도록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13 및 도 14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종래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13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테이블 메모리의 테이블 내용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4)을 4개의 화면 영역으로 균등 분할한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하여, 패널 온도를 검출하는 4개의 온도 센서(16a∼16d)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4)의 영역 분할수는 4로 한정되지 않고, 균등 또는 불균등한 2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한 복수의 온도 센서를 설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입 계조 결정 수단으로서, 액정 표시 패널(4)의 온도에 대응한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저장된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3d, 3e)와, 프레임 메모리(1)에 저장되어 있는 1프레임 전의 화상 데이터(Previous Data)와 현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Current Data)를 입력하고, 이들의 조합(계조 천이)으로부터 테이블 메모리(ROM)(3d, 3e)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현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강조 변환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온도 센서(16a∼16d)에서 검출된 액정 표시 패널(4)의 각 분할 영역에서의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메모리(3d, 3e)를 적절하게 전환 선택하는 제어 CPU(17)를 구비하고 있고,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4)의 각 분할 영역에 대응하여 분할된 입력 화상 데이터의 각각은, 제어 CPU(17)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된 테이블 메모리(ROM)(3d, 3e)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함으로써, 화소 단위로의 강조 변환이 실시되어,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테이블 메모리(ROM)(3)로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 온도보다 낮은 경우(LEVEL0)에 이용하는 테이블 메모리(3d)와,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 온도보다 높은 경우(LEVEL1)에 이용하는 테이블 메모리(3e)라는 2종류의 ROM을 설치하고, 양자를 전환하여 참조함으로 오버슈트 구동을 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3 이상의 사전에 정해진 온도 범위의 각각에 대응한 3종류 이상의 ROM을 설치하여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것은, 표시 신호 레벨 수 즉 표시 데이터 수가 8비트인 256계조의 경우에 있어서, 32계조마다의 대표 계조 천이 패턴에 대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실측값)를 9×9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기억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온도 센서(16a∼16d)의 각각에서 검출된 검출 온도에 따라, 테이블 메모리(3d, 3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선택된 테이블 메모리(3d, 3e)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1프레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한다.이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선형 보간 등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모든 계조 천이 패턴에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4)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비교적 온도가 낮은 해칭 부분에 표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저온용의 테이블 메모리(3d)가 선택되며, 이것을 참조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함과 함께, 비교적 온도가 높은 그 밖의 부분에 표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고온용의 테이블 메모리(3e)가 선택되며, 이것을 참조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게 된다.
즉, 입력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 위치에 동기하여, 테이블 메모리(3d, 3e)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선택함으로써, 1프레임(1표시 화면) 내에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할 수 있고,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4)에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액정 표시 패널(4)의 각 화면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데이터마다, 그 검출 온도에 따른 강조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각 화면 위치의 온도에 대응한 적절한 기입 계조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모든 화면에 걸쳐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4)의 면내 온도 분포에 의해 국소적으로 생기는 백점의 발생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 등을 방지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강조 변환부(22)와 테이블 메모리(ROM)(3)로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테이블 메모리(3)를 형성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천이 전의 계조와 천이 후의 계조를 변수로 하는 2차원 함수 f(pre, cur)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기입 계조 데이터를 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6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15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테이블 메모리의 테이블 내용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메모리(3)로서 단일의 ROM(3f)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ROM(3f)을 참조함으로써, 강조 변환부(32)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강조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하는 기입 계조 데이터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테이블 메모리(ROM)(3f)와, 이 테이블 메모리(ROM)(3f) 내의 참조 테이블 영역을 제어 CPU(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환하여 참조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를 구하는 강조 변환부(32)에 의해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테이블 메모리(ROM)(3f)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온용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 고온용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각각의 테이블 영역(LEVEL0,LEVEL1)에 저장되어 있고, 이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기억된 참조 테이블 영역(LEVEL0, LEVEL1)은, 온도 센서(16a∼16d)의 각각에서 검출된 검출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참조된다.
즉, 온도 센서(16a∼16d)의 검출 출력에 따른, 제어 CPU(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참조하는 테이블 영역(LEVEL0∼LEVEL1)을 가변 전환 제어함과 함께, 1프레임 전후의 계조 천이에 따라, 각 테이블 영역의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여기서는 2종류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3 이상의 사전에 정해진 온도 범위의 각각에 대응한 3종류 이상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각 참조 테이블 영역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온도 센서(16a∼16d)의 각각에서 검출된 검출 온도에 따라, 테이블 메모리(3f)의 참조 테이블 영역(LEVEL0, LEVEL1)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선택된 참조 테이블 영역(LEVEL0, LEVEL1)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1프레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한다. 이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선형 보간 등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모든 계조 천이 패턴에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4)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비교적 온도가 낮은 해칭 부분에 표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저온용의 참조 테이블 영역(LEVEL0)이 선택되고, 이것을 참조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함과 함께, 비교적 온도가 높은 그 밖의 부분에 표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고온용의 참조 테이블 영역(LEVEL1)이 선택되며, 이것을 참조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게 된다.
즉, 입력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 위치에 동기하여, 참조 테이블 영역(LEVEL0, LEVEL1)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선택함으로써, 1프레임(1표시 화면) 내에서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할 수 있고,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4)에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액정 표시 패널(4)의 각 화면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데이터마다, 그 검출 온도에 따른 강조 변환을 실시함으로써, 각 화면 위치의 온도에 대응한 적절한 기입 계조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모든 화면에 걸쳐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4)의 면내 온도 분포에 의해 국소적으로 생기는 백점의 발생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 등을 방지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도 17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17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입 계조 결정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테이블 메모리(ROM)(3)로부터 판독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는 강조 변환부(2)와, 강조 변환부(2)에서 구한 강조 변환 데이터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를 감산하는 감산기(20)와, 감산기(20)의 출력 신호에 가중 계수 k를 적산하는 승산기(21)와, 이 승산기(21)의 출력 신호를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가산함으로써, 기입 계조 데이터를 얻는 가산기(23)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제어 CPU(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 계수 k의 값을 전환 제어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하는 기입 계조 데이터를 가변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4)의 각 분할 표시 영역마다, 온도 센서(16a∼16d)의 검출 온도에 따라, 제어 CPU(17)가 승산기(21)의 가중 계수를 k=1±α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의 표시 화면 위치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에 따른 적절한 강조 변환을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4)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비교적 온도가 낮은 해칭 부분에 표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가중 계수를 k=1-α로 가변한 승산기(21)의 출력 신호를 가산함과 함께, 비교적 온도가 높은 그 밖의 부분에 표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가중 계수를 k=1+α로 가변한 승산기(21)의 출력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하는 기입 계조 데이터를 가변 제어하고 있다.
즉, 입력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 위치에 동기하여, 승산기(21)의 가중 계수 k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1프레임(1표시 화면) 내에서 서로 다른 강조 변환이 실시된 기입 계조 데이터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4)에 면내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액정 표시 패널(4)의 각 화면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데이터마다, 그 검출 온도에 따른 가중 계수 k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각 화면 위치의 온도에 대응한 적절한 기입 계조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모든 화면에 걸쳐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적절하게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4)의 면내 온도 분포에 의해 국소적으로 생기는 백점의 발생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 등을 방지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18 내지 도 21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종래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18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제어 CPU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0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검출 온도와 강조 변환 파라미터 레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검출 온도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패널(4)을 4개의 화면 영역으로 균등 분할한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하여, 패널 온도를 검출하는 4개의 온도 센서(16a∼16d)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4)의 영역 분할수는 4로 한정되지 않고, 균등 또는 불균등한 2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한 복수의 온도 센서를 설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입 계조 결정 수단으로서, 액정 표시 패널(4)의 온도 특성에 대응한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저장된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3g∼3i)와, 프레임 메모리(1)에 저장되어 있는 1프레임 전의 화상 데이터(Previous Data)와 현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Current Data)를 입력하고, 이들의 조합(계조 천이)으로부터 테이블 메모리(ROM)(3g∼3i)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현 프레임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강조 변환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16a∼16d)에서 검출된 액정 표시 패널(4)의 각 영역에서의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메모리(3g∼3i)를 적절하게 전환하여 선택하는 제어 CPU(1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CPU(17)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6a∼16d)의 각각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기(18)와, 이 연산기(18)에 의한 연산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테이블 메모리(3g∼3i)를 전환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안정적으로 생성하는 히스테리시스 처리부(19)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CPU(17)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화면(프레임) 단위로 테이블 메모리(ROM)(3g∼3i)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선택된 테이블 메모리(ROM)(3g∼3i)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즉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전환하여,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강조 변환을 실시한 후에,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4)의 검출 온도가 제1 임계값 온도(Threash0)보다 낮은 경우에 이용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0)를 저장한 테이블 메모리(3g)와, 액정 표시 패널(4)의 검출 온도가 제1 임계값 온도(Threash0)와 제2 임계값 온도(Threash1)와의 사이에 있는 경우에 이용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1)를 저장한 테이블 메모리(3h)와, 액정 표시 패널(4)의 검출 온도가 제2 임계값 온도(Threash1)보다 높은 경우에 이용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2)를 저장한 테이블 메모리(3i)라는 3종류의 ROM을 설치하고, 이들을 전환하여 참조함으로써 오버슈트 구동을 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4 이상의 사전에 정해진 온도 범위의 각각에 대응한 4종류 이상의 ROM을 설치하여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테이블 메모리(ROM)(3g∼3i)는, 표시 신호 레벨 수 즉 표시 데이터 수가 8비트인 256계조의 경우에 있어서, 256의 모든 계조에 대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32계조마다의 9개의 대표 계조 혹은 64계조마다의 5개의 대표 계조에 대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만을 기억해 놓고, 그 밖의 계조 천이에 대응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기입 계조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로부터 선형 보간 등의 연산에 의해 구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온도 센서(16a∼16d)의 각각에서 검출된 검출 온도 데이터 a∼d에 기초하여, 제어 CPU(17)에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며, 이 제어 신호에 따라, 테이블 메모리(3g∼3i) 중 어느 하나가 화면(프레임) 단위로 적절하게 전환 선택된다.
그리고, 선택된 테이블 메모리(3g∼3i)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1프레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이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선형 보간 등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모든 계조 천이 패턴에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고, 이것을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 부재의 배치 위치나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 등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4)에 발생하는 면내 온도 분포에 대응하여,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에 대하여, 제어 CPU(17)의 연산기(18)에서 이하와 같은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구하고 있다.
(1) 평균값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것을 강조 변환 파라미터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로 한다. 이와 같이, 검출 온도데이터 a∼d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국소적인 현저한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화면 전체에 대하여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최대값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최대값을 구하고, 이것을 강조 변환 파라미터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로 한다. 이와 같이,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국소적인 저온 부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과대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함에 따른 백점화(노멀 블랙 모드인 경우)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최소값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최소값을 구하고, 이것을 강조 변환 파라미터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로 한다. 이와 같이,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국소적인 고온 부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과소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함에 따른 셰도우 테일링(노멀 블랙 모드인 경우)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히스토그램(다수결)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빈도 분포(히스토그램)를 구하고, 가장 빈도가 높은 온도 범위에 따라, 강조 변환 파라미터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온도 데이터 a∼d가 제1 임계값 온도(Threash0)와 제2 임계값 온도(Threash1) 사이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경우, 다수결의 원리를 이용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1)를 선택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가장 많은 화면 영역에서 검출된 온도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국소적인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보다 많은 화면 영역에서 최적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가중 평균값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각각에 소정의 가중 계수 l∼o를 승산한 후에 총합(a×1+b×m+c×n+d×o)을 산출하고, 이것을 가중 계수의 합(l+m+n+o)으로 제산함으로써 가중 평균값을 구하고, 이것을 강조 변환 파라미터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로 한다.
이와 같이, 검출 온도 데이터 a∼d의 가중 평균값을 이용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국소적인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원하는 화면 영역에 대응한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가중 계수 l∼o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이나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가변 설정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주목 화상은 화면 중앙 부분에 표시된다고 하는 전제에서, 화면 중앙에서의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한 가중 계수를 다른 것보다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
(6) 선택 추출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 a∼d로부터 소정의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추출하고, 이것을 강조 변환 파라미터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로 한다. 이와 같이, 검출 온도 데이터 a∼d 중의 일부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강조 변환 파라미터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국소적인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원하는 화면 영역에 대응한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온도 센서(16a∼16d) 중, 어느 것의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를 선택 추출할지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이나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전환 설정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이나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혹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지시에 기초하여, 상술한 (1)∼(6)의 연산 방법을 적절하게 전환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적절하게 조합하여 제어 신호를 구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 CPU(17)에서의 히스테리시스 처리부(19)는, 예를 들면 장치 내의 검출 온도가 불안정하고, 연산기(18)에 의한 연산 출력이 심하게 변동(난승강)된경우에도, 이것에 추종하지 않고 제어 신호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며, 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 제어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4)의 복수의 면내 위치에서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6a∼16d)를 설치하고, 이들 온도 센서(16a∼16d)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각 온도 범위에 대응한 복수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4)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항상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백점의 발생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 등을 억제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6 실시예에서는, 강조 변환부(2)와 테이블 메모리(ROM)(3g∼3i)로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테이블 메모리(3g∼3i)를 형성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천이 전의 계조와 천이 후의 계조를 변수로 하는 2차원 함수 f(pre, cur)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기입 계조 데이터를 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7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하여, 도 22 및 도 23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제6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22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3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테이블 메모리의 테이블 내용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메모리로서 단일의 ROM(3j)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ROM(3j)을 참조함으로써, 강조 변환부(32)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강조 변환을 실시하여,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하는 기입 계조 데이터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테이블 메모리(ROM)(3j)와, 이 테이블 메모리(ROM)(3i) 내의 참조 테이블 영역을 제어 CPU(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환하여 참조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를 구하는 강조 변환부(32)에 의해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테이블 메모리(ROM)(3j)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임계값 온도(Threash0) 이하에서 이용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0), 제1 임계값 온도(Threash0)와 제2 임계값 온도(Threash1) 사이에서 이용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1), 제2 임계값 온도(Threash1) 이상에서 이용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LEVEL2)가 각각의 테이블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강조 변환 파라미터가 기억된 각각의 참조 테이블 영역은, 온도 센서(16a∼16d)에 의해 검출된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구해진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참조된다. 즉, 제어 CPU(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참조하는 테이블 영역(LEVEL0∼LEVEL2)을 전환 제어함과 함께, 1프레임 전후의 계조 천이에 따라, 선택된 테이블 영역의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여기서는 3종류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4 이상의 사전에 정해진 온도 범위의 각각에 대응한 4종류 이상의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각 참조 테이블 영역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의 온도 센서(16a∼16d)의 각각에서 검출된 검출 온도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구하고, 테이블 메모리(3j)의 참조 테이블 영역(LEVEL0∼LEVEL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참조하여, 1프레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대응하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한다. 이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선형 보간 등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모든 계조 천이 패턴에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4)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항상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적절하게 보상하여, 백점의 발생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 등을 억제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대하여, 도 24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제6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24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입 계조 결정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테이블 메모리(ROM)(3)로부터 판독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는 강조 변환부(2)와, 강조 변환부(2)에서 구한 강조 변환 데이터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를 감산하는 감산기(20)와, 감산기(20)의 출력 신호에 가중 계수 k를 적산하는 승산기(21)와, 이 승산기(21)의 출력 신호를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가산함으로써, 기입 계조 데이터를 얻는 가산기(2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제어 CPU(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 계수 k의 값을 전환 제어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하는 기입 계조 데이터를 가변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온도 센서(16a∼16d)의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하여, 제어 CPU(17)가 소정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구하고, 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프레임) 단위로 승산기(21)의 가중 계수를 k=1±α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강조 변환 처리를 입력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을 적절하게 보상하여, 백점의 발생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 등을 억제하여, 표시 화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하여, 도 25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제6, 제7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25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으로서, 1 프레임 전후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24)를 설치하고, 이 움직임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CPU(17)의 연산기(18)에서의 연산 처리를 가변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정지 화상이나 그다지 움직임이 없는 화상에 대해서는, 액정 표시 패널(4)의 온도에 상관없이, 그 액정 표시 패널(4)의 광학 응답 특성에 의한 잔상이나 셰도우 테일링 등의 화질 열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 검출부(24)에서 소정 이상의 움직임량이 검출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최적의 강조 변환 처리가 행해지도록, 큰 움직임을 갖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 대응한 온도 데이터만을 선택 추출하거나, 혹은 가중치 부여하여 가중 평균을 구함으로써,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16 : 9의 와이드 어스펙트를 갖는 동화상을 4 : 3의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할 때, 원화상을 액정 표시 패널 화면의 중앙부에 표시함과 함께, 액정 표시 패널의 상하 단부에 흑 표시를 행하지만(비영상 부분에 흑 신호를 기입함), 이 경우, 액정 표시 패널의 화면 중앙부에서의 영상 표시 영역(동화상 표시 영역)에 대응한 1 또는 복수의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하 단부의 흑 표시 영역(정지 화상표시 영역)에 대응한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는 참조하지 않도록 전환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액정 표시 패널의 화면 중앙부에서의 영상 표시 영역(동화상 표시 영역)에 대응한 1 또는 복수의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한가중 계수를 크게 함과 함께, 상하 단부의 흑 표시 영역(정지 화상표시 영역)에 대응한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작게 하여, 가중 평균 연산을 행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움직임이 있는 영상 표시 부분(화면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 선택함으로써, 화면 전체에서 보다 확실하게 잔상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의 일례로서, 입력 화상 데이터의 움직임량을 이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입력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노이즈량이나 엣지량, 계조 천이 패턴 등의 표시 화면 영역마다의 특징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의 적절한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만을 선택 추출하거나, 혹은 가중치 부여함으로써,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또한,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제6 실시예에서의 (1)∼(6)의 연산 알고리즘을 적절하게 전환 선택하도록 하거나, 적절하게 조합하여 제어 신호를 구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10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대하여, 도 26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제6, 제7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26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를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액정 표시 패널(4)의 상하 반전 상태를 검지하는 상하 반전 센서(25), 및 액정 표시 패널(4)의 면내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면내 회전 센서(26)를 설치하고, 이들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CPU(17)의 연산기(18)에서의 연산 처리를 가변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하 반전 센서(25)는 도 6의 (a)에 도시한 통상 설치 상태(스탠드 설치 상태)와 도 6의 (b)에 도시한 상하 반전 설치 상태(천장에 매단 상태)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고, 면내 회전 센서(26)는, 도 6의 (a)에 도시한 통상 설치 상태(스탠드 설치 상태)와 도 6의 (c)에 도시한 90° 회전 설치 상태(화면 종횡 전환 상태)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들 센서(25, 26)는, 각각 중력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하거나, 혹은 자이로 센서 등의 방위 센서를 공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즉, 장치의 설치 상태가, 통상 설치 상태(스탠드 설치 상태)로부터, 상하 반전 설치 상태(천장에 매단 상태) 혹은 90° 회전 설치 상태(화면 종횡 전환 상태)로 변화된 경우, 장치 케이스 내의 열기류의 경로가 변화되어, 액정 표시 패널(4)의 온도 분포도 변화되게 된다. 그 결과,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판독할 수 없어, 부적절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액정 표시 패널(4)에 공급하게 되어, 잔상이나 셰도우 테일링 등의 화질 열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에 따라, 국소적인 발열 부재 등의 영향을 극력 배제하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화면 영역에 대응한 온도 데이터만을 선택 추출하거나, 혹은 가중치 부여하여 가중 평균을 구함으로써,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각 장치 설치 상태에 따라, 국소적인 발열 부재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액정 표시 패널의 화면 영역에 대응한 1 또는 복수의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국소적인 발열 부재 등의 영향을 받는 액정 표시 패널의 화면 영역에 대응한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는 참조하지 않도록 전환 제어한다.
혹은, 각 장치 설치 상태에 따라, 국소적인 발열 부재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액정 표시 패널의 화면 영역에 대응한 1 또는 복수의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한 가중 계수를 크게 함과 함께, 국소적인 발열 부재 등의 영향을 받는 액정 표시 패널의 화면 영역에 대응한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작게 하여, 가중 평균 연산을 행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온도 분포에 대응하여, 각 화면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 데이터에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전체에서 보다확실하게 잔상이나 셰도우 테일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해당 장치의 설치 상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제6 실시예에서의 (1)∼(6)의 연산 알고리즘을 적절하게 전환 선택하도록 하거나, 적절하게 조합하여 제어 신호를 구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11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대하여, 도 27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제6, 제7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27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시 입력한 조작 명령에 대응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광부(27)를 설치하고, 이 리모콘 수광부(27)에서 수신한 사용자 지시 내용에 기초하여, 제어 CPU(17)의 연산기(18)에서의 연산 처리를 가변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화면 중, 특히 사용자가 주목하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에서, 해당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에 의한 잔상이나 셰도우 테일링 등의 화질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이 주목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을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화면 영역에 대응한 온도 데이터만을 선택 추출하거나, 혹은 가중치 부여하여 가중 평균을 구함으로써,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의 일부 화면 영역에, 예를 들면 에어컨에서 나오는 바람이 직접 닿거나, 양지쪽의 직사 일광이 닿는 환경에서는, 이들의 영향을 극력 배제하기 위해 적당한 화면 영역을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소정의 화면 영역에 대응한 온도 데이터만을 선택 추출하거나, 혹은 가중치 부여하여 가중 평균을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입력 지시에 따른 소정의 화면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잔상이나 세도우 테일링이 억제된 고화질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사용자에 의한 지시 입력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제6 실시예에서의 (1)∼(6)의 연산 알고리즘을 적절하게 전환 선택하도록 하거나, 적절하게 조합하여 제어 신호를 구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전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리모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지시 입력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 본체에 설치된 조작 패널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시 입력을 행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컴퓨터나 텔레비전 수신기의 디스플레이에 유용하며, 특히 액정 패널의 광학 응답성을 개선하는 오버슈트 구동에서, 더욱 표시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하다.

Claims (21)

  1. 적어도 1수직 기간 전의 화상 데이터와 현 수직 기간의 화상 데이터와의 비교를 행하고, 해당 비교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강조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에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가속 구동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장치 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장치 내 온도에 따라,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장치 내 온도에 히스테리시스를 부가하여,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가변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복수 분할 영역의 각각에서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과,
    1수직 기간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복수 분할 영역의 각각에 대응하여 분할하고, 해당 분할된 입력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른 강조 변환을 행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는 기입 계조 결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테이블 메모리를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고,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마다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테이블 메모리의 참조 테이블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고,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구해진 강조 변환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가변 제어되는 가중 계수 k를, 상기 감산기의 출력 신호에 적산하는 승산기와,
    상기 승산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가산하는 가산기
    를 포함하며,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복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현 수직 기간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강조 변환을 행함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는 기입 계조 결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테이블 메모리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테이블 메모리를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온도 범위마다 서로 다른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마다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테이블 영역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고,
    상기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테이블 메모리의 참조 테이블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강조 변환 데이터를 구하여,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계조 결정 수단은,
    1수직 기간 전후에서의 계조 천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광학 응답 특성을 보상하는 강조 변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기억한 테이블 메모리와,
    상기 강조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구해진 강조 변환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가변 제어되는 가중 계수 k를, 상기 감산기의 출력 신호에 적산하는 승산기와,
    상기 승산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가산하는 가산기
    를 포함하며,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기입 계조 데이터로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최대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최소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히스토그램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을 검출하는 특징량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특징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검출하는 설치 상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설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의 가중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특징량을 검출하는 특징량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특징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검출하는 설치 상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설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지시 입력을 검출하는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 지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온도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47002435A 2001-11-09 2002-11-11 액정 표시 장치 KR100573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4078 2001-11-09
JPJP-P-2001-00344078 2001-11-09
JP2002237875A JP3502627B2 (ja) 2001-11-09 2002-08-19 液晶表示装置
JPJP-P-2002-00237875 2002-08-19
JP2002258828 2002-09-04
JPJP-P-2002-00258828 2002-09-04
JP2002271192 2002-09-18
JPJP-P-2002-00271192 2002-09-18
PCT/JP2002/011745 WO2003041043A1 (fr) 2001-11-09 2002-11-11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453A true KR20040044453A (ko) 2004-05-28
KR100573323B1 KR100573323B1 (ko) 2006-04-24

Family

ID=2748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435A KR100573323B1 (ko) 2001-11-09 2002-11-11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92995B2 (ko)
EP (1) EP1443486B1 (ko)
KR (1) KR100573323B1 (ko)
CN (1) CN1582464A (ko)
TW (1) TW200303001A (ko)
WO (1) WO20030410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71B1 (ko) * 2004-09-08 201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07252B1 (en) * 2002-05-17 2017-12-2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5031136A (ja) * 2003-07-07 2005-02-03 Pioneer Electronic Corp パネル表示装置
JP3870954B2 (ja) * 2003-07-31 2007-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230369B (en) 2003-10-01 2005-04-01 Vastview Tech Inc Driving circu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1528534B1 (en) * 2003-10-30 2012-04-18 VastView Technology Inc. Driving circu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579046B1 (ja) 2003-11-20 2004-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420538B2 (en) * 2003-12-03 2008-09-0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717917B2 (ja) 2004-01-16 2005-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信号処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表示制御方法
KR100989314B1 (ko) * 2004-04-09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381888B2 (ja) 2004-05-24 2009-12-09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4561341B2 (ja) * 2004-12-03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信号変換装置、画像信号変換方法、画像信号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TWI317922B (en) * 2004-12-13 2009-12-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6195231A (ja) * 2005-01-14 2006-07-27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オーバードライブ回路および液晶パネル駆動装置
JP4574676B2 (ja) 2005-03-31 2010-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TWI277922B (en) * 2005-03-31 2007-04-01 Au Optronics Corp Pixel driv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WO2006112108A1 (ja) 2005-03-31 2006-10-26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CN100353412C (zh) * 2005-06-03 2007-12-0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方法、时序控制器与平面显示器
KR20070017695A (ko) * 2005-08-08 2007-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7148369A (ja) * 2005-10-31 2007-06-1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制御回路、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回路
JP2007127972A (ja) * 2005-11-07 2007-05-24 Toshiba Corp 画像表示調整装置
JP4909587B2 (ja) * 2005-12-28 2012-04-04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902458B1 (ko) * 2006-02-14 2009-06-11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CN101101735B (zh) * 2006-07-07 2011-07-27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过度驱动方法
US20080284712A1 (en) * 2006-08-04 2008-11-20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river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1501752B (zh) * 2006-09-19 2012-03-21 夏普株式会社 液晶面板驱动装置、液晶面板驱动方法、液晶显示装置、车载用显示装置
WO2008041394A1 (fr) * 2006-10-02 2008-04-10 Sharp Kabushiki Kaisha Circuit d'entraînement et affichage
JP5139666B2 (ja) 2006-11-06 2013-02-0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輝度調整装置および輝度調整方法
US8134647B2 (en) * 2006-11-09 2012-03-13 Wintek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4238913B2 (ja) * 2006-12-19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温度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US20080284775A1 (en) * 2007-05-17 2008-11-20 Yuhren Sh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1627417B (zh) * 2007-05-28 2012-03-07 夏普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
JP5191711B2 (ja) * 2007-09-05 2013-05-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CN101779231B (zh) * 2007-09-14 2012-09-12 夏普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以及图像显示方法
EP2077547A1 (en) * 2007-12-31 2009-07-08 TPO Displays Corp. Display driver method and apparatus
CN101939778A (zh) * 2008-03-07 2011-01-05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及液晶显示装置和驱动方法
JP5215733B2 (ja) * 2008-05-28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オーバードライブ駆動用パラメータの決定方法
BRPI0917272A2 (pt) * 2008-08-22 2015-11-10 Sharp Kk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sinal de imagem, método de processamento de sinal de imagem, aparelho de exibição de imagem, receptor de televisão e dispositivo eletrônico
KR101512339B1 (ko) * 2008-12-24 2015-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보상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보상 장치 및 이 데이터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00214271A1 (en) * 2009-02-25 2010-08-26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temperature detec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8704860B2 (en) 2009-05-21 2014-04-2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JP4528877B1 (ja) * 2009-10-02 2010-08-25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表示方法
WO2011043290A1 (ja) * 2009-10-07 2011-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433106B1 (ko) * 2009-10-08 2014-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449404B2 (ja) * 2009-12-28 201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11102248A1 (en) 2010-02-19 2011-08-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248969A1 (en) * 2010-04-08 2011-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display apparatus and lcd driving method
JP5903758B2 (ja) * 2010-09-08 2016-04-13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US8907991B2 (en) 2010-12-02 2014-12-09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s for thermal compensation in AMOLED displays
JP5284457B2 (ja) * 2011-02-15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2006251B1 (ko) * 2011-11-15 2019-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5966444B2 (ja) 2012-03-01 2016-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958003B2 (ja) 2012-03-23 2016-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910259B2 (ja) 2012-04-06 2016-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CN103831361B (zh) * 2012-11-27 2016-03-23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双位置判断装置
US20140168388A1 (en) * 2012-12-19 2014-06-19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n a video monitor
JP2015114443A (ja) * 2013-12-11 2015-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EP3201906A1 (en) * 2014-10-02 2017-08-09 Carrier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US9997121B2 (en) * 2015-05-21 2018-06-12 Apple Inc. Display with physically modeled charge accumulation tracking
US20180017300A1 (en) * 2016-07-15 2018-01-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frigeration system operation
KR20200035567A (ko) 2018-09-27 2020-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JP2021184006A (ja) 2020-05-21 2021-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2199061B (zh) * 2020-09-30 2023-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和设备
CN112859402B (zh) * 2021-01-18 2022-09-09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一种液晶可变相位延迟器相位响应加速方法和加速系统
CN113066438B (zh) * 2021-03-29 2022-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亮度补偿装置、方法、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7840A (ja) 1983-12-23 1985-07-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母材の製造装置
JPS61245140A (ja) 1985-04-22 1986-10-31 Canon Inc 液晶装置
JPH0398085A (ja) 1989-09-11 1991-04-23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残像打消回路
JP3167351B2 (ja) * 1990-09-03 2001-05-21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US5347294A (en) * 1991-04-17 1994-09-13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JP3052418B2 (ja) 1991-04-17 2000-06-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駆動装置
JPH04365094A (ja) 1991-06-12 1992-12-17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6230750A (ja) * 1993-02-08 1994-08-19 Hitachi Ltd マトリクス表示装置
JP4046408B2 (ja) 1998-04-06 2008-02-13 杉本電器株式会社 傾斜面用引掛シーリング装置
JP3747703B2 (ja) * 1999-08-31 2006-02-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575864B (en) * 2001-11-09 2004-02-11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71B1 (ko) * 2004-09-08 201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3486B1 (en) 2013-10-09
TWI300547B (ko) 2008-09-01
TW200303001A (en) 2003-08-16
WO2003041043A1 (fr) 2003-05-15
WO2003041043A8 (fr) 2005-01-20
CN1582464A (zh) 2005-02-16
KR100573323B1 (ko) 2006-04-24
EP1443486A1 (en) 2004-08-04
US20040201564A1 (en) 2004-10-14
EP1443486A4 (en) 2009-04-08
US7592995B2 (en)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32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531383B2 (en) Display device with luminance variation control unit
JP4072080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06144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50146495A1 (en) LCD overdrive table triangular interpolation
JP2011053264A (ja) 液晶表示装置
US20120092387A1 (en) Overdriving apparatus and overdriving value generating method
JP200320776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44313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3108103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2008065332A (ja) グローバル画像(globalimage)検出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使用する表示装置及びその装置の駆動方法
JP3984561B2 (ja) 液晶表示装置
EP138299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rive method thereof
JP2004151672A (ja) 液晶表示装置
JP3579046B1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90010339A1 (en) Image compensation circuit, method thereof, and lcd device using the same
JP3502627B2 (ja) 液晶表示装置
JP3796253B2 (ja) 液晶表示装置
JP5019935B2 (ja) 液晶表示装置
JP3978206B2 (ja) 液晶表示装置
JP4482570B2 (ja) 液晶表示装置
JP4018007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4317623A (ja) 液晶表示装置
JP356412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5070799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