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071A -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071A
KR20040041071A KR1020030078735A KR20030078735A KR20040041071A KR 20040041071 A KR20040041071 A KR 20040041071A KR 1020030078735 A KR1020030078735 A KR 1020030078735A KR 20030078735 A KR20030078735 A KR 20030078735A KR 20040041071 A KR20040041071 A KR 2004004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laye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396B1 (ko
Inventor
도사키유타카
나가츠히데키
고우노시니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59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of adhesiv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3As outermos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제층 전체가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베이스 중합체로서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 표면부에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가 특정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며, 친수성 중합체(C)가 특정 비율로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는 마스킹 테이프, 양면 테이프, 표면 보호 필름, 포장용 테이프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점착제로서 환경 대책, 자원 절약, 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수분산형 점착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상기 수분산형 점착제의 사용량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수분산형 점착제 중에서도 고무계 수분산형 점착제는, 피착체에 대한 선택이 제한되고 저온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분산형 점착제는 우수한 접착 특성 및 내후성으로 인해 종래의 고무계 수분산형 점착제 대신 널리 보급되어 왔다(특허 JP-A-62-221531, JP-A-63-317575, JP-A-5-39468, JP-A-8-104853, JP-A-8-157783, JP-A-10-292162 및 JP-A-2000-239633 참조). (본원에 사용된 "JP-A"란 용어는 "비심사 공개된 일본 특허 출원"을 의미한다).
한편, 예컨대 마스킹 테이프는 도장이나 밀봉시 피착체를 마스킹한다. 그러나, 장마철 또는 겨울철의 저온 작업시 피착체의 표면이 결로되어 있으면, 접합시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어, 어긋나거나 벗겨질 가능성이 있어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결로면에서의 작업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결로면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용성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JP-A-8-12025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점착 테이프에서는 박리시 흡수 및 팽윤에 의해 용출된 저분자량 성분으로 인한 오염 또는 응집력 부족으로 인한 점착제 잔류가 일어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점착 테이프를 접착한 후, 경화 기간 중에 또는 바람에 의해 점착 테이프의 말단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양호한 초기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고 일정 하중하 박리 방지성이 양호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특정 유화제 및 특정 친수성 중합체를 각각 특정량 함유하고, 특정 아크릴계점착제를 사용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 표면에 상기 특정 비율의 유화제를 규정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초기 점착력을 개선하고, 일정 하중하 박리 방지성(일정 하중 박리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제층 전체가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베이스 중합체로서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 표면부에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가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C)가 0.5 내지 1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공한다.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로서, 알킬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설포네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및 설포숙신산형 음이온계 유화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전체 중의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은 점착제층 전체 중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 표면부에서 ESCA 측정법에 의한 황 원소의 비율은 1원자%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한면의 점착제층이 다층 구조를 갖고;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이 1 내지 5㎛의 두께를 갖고, 상기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를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점착제 층이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를 O.5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친수성 중합체(C)를 0.5 내지 1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를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의 표면부에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가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로서 다공성 기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제층 전체가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베이스 중합체로서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 표면부에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C)가 0.5 내지 1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의 표면부(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에 함유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은,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중량부(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부)이다. 점착제층 표면부에 함유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중량부를 초과하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의 향상 효과가 저하되고, 일정 하중하 박리 방지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함유 비율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의 향상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 전체 중의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점착제층 전체 중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부)인 것이 중요하다.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사용량이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중량부 미만이면, 아크릴계 중합체(A)를 제조하는 동안 중합 안정성이 저하되고,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기계적 안정성(점착제층의 형성 동안 코팅시의 기계적 안정성)이 저하된다. 한편, 5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내수성이 저하된다.
또한, 친수성 중합체(C)는 상기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또는 고형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중량부(바람직하게는 1 내지 13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 친수성 중합체(C)의 함유 비율이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중량부 미만이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의 향상 효과가 저하된다. 한편, 15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의 점도가 상승하여 코팅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부에서 ESCA 측정법에 의한 황 원소 비율이 1원자% 미만(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표면부에서 ESCA 측정법에 의한 황 원소 비율이 1 원자% 이상이면,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함유 비율이 높은 경우에서와 같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의 향상 효과가 저하되고, 일정 하중하 박리 방지성이 저하된다.
또한, 통상 점착제층의 외면(표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의 범위를 점착제층 표면부로서 지칭할 수 있다. 이는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르다. 이는 하기에 나타낸 ESCA(화학 분석용 전자 분광법) 측정법에 의해 점착제의 표면부를 측정하는 경우, 통상 표면으로부터 약 3㎚ 이하 깊이까지의 정보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점착제층 표면부에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함유 비율 또는 황 원소 비율은 ESCA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ESCA 측정법에 따른 측정에 있어서, 예컨대 울박-파이사(ULVAC-PHI INCORPORATED)에 의해 제작된 ESCA 장치(장치명: 모델 54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울박파이사에 의해 제작된 ESCA 장치(장치명 모델 5400)를 사용하는 경우, 광선원(X-선원): MgKα[300W(15kV)], 광전자 취출각: 45°, 분석 면적: 1.1㎜Φ의 조건에서 와이드 스캔 측정에 의해 및 검출된 원소에 대해서는 국소 스캔 측정에 의해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함유 비율 및 황 원소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표면이 박리면이고, 상기 박리면상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기재가 없는 양면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가 박리면을 갖지 않은 경우,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기재를 함유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점착제층은 기재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부에 함유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을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하기 위해서, 예컨대 (1)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방법, (2)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중량부를 초과하는(예컨대, 3중량부 초과 5중량부 이하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면서도, 점착제층 표면부에서는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가 되도록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방법, (3) 점착제층이 다층 구조(예: 2층 구조)이고,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1)의 방법에서, 기재의 한면의 점착제층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단층 구조의 점착제층이고, 상기 점착제층은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에 함유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을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점착제층 전체 중의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도 점착제층 전체 중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가 된다.
상기 (2)의 방법에서, 기재의 한면의 점착제층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단층 구조의 점착제층이고, 상기 점착제층 중의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농도는 표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상기 농도가 증가하도록 경사를 두어 제공된다. 따라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예컨대, 3중량부 초과 5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더라도, 점착제층 표면부에 함유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을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점착제층 전체 중의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은 사용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상응한다.
상기 (1) 또는 (2)의 방법에서, 비휘발분(또는 고형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중량부의 비율로 친수성 중합체(C)를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1) 또는 (2)의 방법에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경우, 다른면의 점착제층의 층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 또는 (2)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일 수도 있고, (3)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일 수도 있다. 또다르게는, 이러한 점착층은 다른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3)의 방법에서, 기재의 한면의 점착제층은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이고, 상기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에서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은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의 표면부에 함유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을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갖는 경우,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 전체와 관련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또는 고형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친수성 중합체(C)의 비율은 0.5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기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전체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외면측의 점착제층과 다른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율이 3중량부를 초과하는(예컨대, 3중량부 초과 5중량부 이하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3)의 방법에서, 다층 구조를 갖는 점착제층 전체 중의 친수성 중합체(C)의 비율이 상기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또는 고형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중량부의 범위내가 되도록 각각의 층에 대해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3)의 방법에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경우, 다른면의 점착제층의 층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 또는 (2)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일 수도 있고, (3)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일 수도 있다. 또다르게는, 이러한 점착층은 다른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에서, 점착제는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베이스 중합체로서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중합체로서 아크릴계 중합체(A)를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되고, 또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 및 친수성 중합체(C)를 각각 특정한 비율로 함유한 것이 중요하다.
(아크릴계 중합체(A))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는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선택적으로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아크릴계 중합체(A)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의 예로는,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계 중합체 중에 단량체 주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가 아크릴계 중합체 중에 단량체 성분 전량을 기준으로 5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크릴계 중합체 중의 단량체 성분의 전량을 기준으로 100중량%(바람직하게는 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중량%)일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은 단량체 성분 전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8중량%의 범위내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이 단량체 성분 전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미만이면, 양호한 박리력 및 응집력을 발휘하는 점착제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의 예 중에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 중에 함유된 공중합성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될 수 있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C1-3알킬 에스테르; 트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C13-18알킬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지환식 탄화수소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 등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나트륨 비닐설포네이트 등의 설폰산기 함유 단량체; 치환된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에틸렌 및 부타디엔 등의 올레핀류;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비닐 클로라이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 모폴린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도기 함유 단량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및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의 다작용성의 공중합성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메트)아크릴"이란 용어는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본원에 사용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용어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본원에 사용된 "(메트)아크릴아미드"란 용어는 "아크릴아미드 및/또는 메타크릴아미드"를 의미하고, 본원에 사용된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용어는 "아크릴로일 및/또는 메타크릴로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중합성 단량체는 단량체 성분 전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미만의 비율로 사용된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의 사용량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공중합성 단량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단량체 성분 전량을 기준으로 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A)는 상기 단량체(들)에 공지된 중합 방법 또는 관용의 중합 방법(특히, 유화 중합 방법)을 실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괄 충진 방법(배치식 중합 방법), 단량체 적하 방법, 단량체 유화물 적하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 등을 적하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적하하거나 분할하여 적하할 수 있다. 또한, 중합 온도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5 내지 100℃의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예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디설페이트,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클로라이드 등의 아조계 개시제; 칼륨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등의 퍼설페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퍼설페이트와 나트륨 비설파이트의 조합, 퍼옥사이드 및 나트륨 아스코베이트의 조합 등의 퍼옥사이드 및 환원제를 조합한 산화환원계 개시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수용성 개시제 또는 유용성 개시제일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 및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예컨대 약 O.01 내지 1중량부의 범위내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합에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A)의 분자량을 조정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쇄 이동제, 예컨대 라우릴 머캅탄, 글리시딜 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머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2,3-디메틸머캅토-1-프로판올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연쇄 이동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대체로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0.5중량부의 범위이다.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의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으면, 단량체의 조성 및 그 사용량 또는 배합 비율에 따라 아크릴계 중합체(A)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우수한 감압 접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통상 -20℃ 이하가 되도록 조성 및 그 배합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200,000 이상(예컨대, 약 200,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약 250,000 내지 9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000 내지 800,000일 수 있다.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는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 중에 함유된 황 원자의 형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예로는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등의 알킬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나트륨 설페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페닐 에테르 암모늄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페닐 에테르 나트륨 설페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네이트 등의 설포네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이나트륨 라우릴 설포숙시네이트, 이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설포숙시네이트 등의 설포숙시네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를 들 수 있다.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는 다른 음이온계 유화제, 비이온계 유화제(예: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등의 다른 유화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 및 다른 유화제에 프로페닐기 등의 라디칼 반응기를 도입시킨 라디칼 중합성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유화제를 병용하는 경우, 유화제의 전량이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중합체(A)는 유화된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유화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중합에 의해 제조할 때 사용할 수 있거나, 다양한 중합 방법에 의해 미리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물에 분산시켜 유화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를 사용함으로써 유화 중합을 실행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A)를 중합할 때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중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를 아크릴계 중합체(A)를 중합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중합체(C))
상기 친수성 중합체(C)로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또는 폴리(메트) 아크릴산을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C)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C) 중,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단독중합체;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서, 단독중합체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적합하지만, 비닐피롤리돈 및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도 친수성을 갖는다면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로서, 공지된 또는 관용의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가수분해도는 친수성을 갖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메트)아크릴산으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의 단독중합체 및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 및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도 친수성을 갖는다면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약 0.5×1O3내지 5×106(바람직하게는 0.8×103내지 3×106, 더욱 바람직하게는1×103내지 1×106)의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적으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의 향상 효과가 저하된다. 한편, 커지면 점착제의 점도가 상승하여 코팅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중합체(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3내지 1×106이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접착력의 향상 효과와 코팅성 사이의 균형이 특히 우수해진다.
친수성 중합체(C)로서, 첨가량, 중량 평균 분자량,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접착력의 향상 효과 및 코팅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 중합체(C)를 점착제층 중에 함유시키기만 하면 임의의 방법에 의해 함유시킬 수 있지만,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친수성 중합체(C)를 점착제층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중합체(C)를 아크릴계 점착제의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 이전에 사용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에 함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 이후에 수용액으로서 첨가함으로써 친수성 중합체(C)를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A),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 및 친수성 중합체(C)를 함유한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함유 비율에 대해서는,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사용량(함유 비율)은 통상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5중량부(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중합 안정성이 저하된다.
한편, 미리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유화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를 사용하는 경우,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사용량(함유 비율)은 통상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5중량부(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양 및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의 양은 서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는, 이를 아크릴계 중합체(A)를 중합할 때 사용하거나 미리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유화시킬 때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중합할 때, 그리고 상기 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유화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의 사용량(함유 비율)은, 상기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즉,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B)를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고, 그의 일부를 아크릴계 중합체(A)를 중합할 때 사용하고, 나머지를 중합 후에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친수성 중합체(C)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또는 고형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중량부(바람직하게는 1 내지 13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다작용성 단량체 대신(또는 다작용성 단량체와 함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교제를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합 후에 및 기재에 적용하기 전에 첨가하여,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서, 통상 아크릴계 점착제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수용성 가교제 또는 유용성 가교제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가교제의 예로는 에폭시계 가교제(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수분산형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친수화처리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활성 메틸올기 또는 활성 알콕시메틸기를 함유한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 수지계 가교제,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유용성 가교제의 예로는 에폭시계 가교제(예: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예: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유용성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또한, 가교제의 사용량은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에서 사용되는 양일 수 있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경우 pH 조정용 염기(예: 암모니아수) 또는 산 이외에 점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 예컨대 박리 조정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예: 안료 또는 염료), 산화 방지제 및 계면 활성제와 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점착제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 총 두께는 건조 후의 두께를 의미함)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약 1 내지 300㎛의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약 5 내지 80㎛이다. 또한, 점착제층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실제로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1㎛ 미만으로 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약 1 내지 5㎛(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최외면측의 점착제층 이외의 다른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총 두께(다층 구조의 전체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예시한 점착제층의 두께(총 두께)가 되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기재를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의 예로는 플라스틱 필름(예: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필름), 금속박 및 다공성 기재를 들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로서 다공성 기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기재의 예로는 종이계 다공성 기재(예: 일본 종이, 크래프트지, 크레이프지) 및 천계 다공성 기재(예: 부직포 및 직물)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마스킹 테이프인 경우에는 기재로서 일본 종이를 사용하거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인 경우에는 기재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초기 접착력의 향상에 특히 효과적이다.
일본 종이로서 고해된 목재 펄프 또는 상기 목재 펄프에 합성 단섬유가 혼방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단섬유 중의 합성 중합체의 예로는 비닐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의 각종 합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부직포로서 일반적인 섬유를 펄프와 혼방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기재의 기본 중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약 5 내지 200g/m2의 범위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기재의 기본 중량은, 다공성 기재가 일본 종이인 경우에는 통상 약 20 내지 100g/m2(특히 25 내지 50g/m2)이고, 부직포인 경우에는 통상 10 내지 20 g/m2이다.
기재의 두께는 목적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약 5 내지 300㎛의 범위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의 두께는 기재가 일본 종이인 경우에는 강도 및 탄력 등의 관점에서 40 내지 200㎛(특히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인 경우에는 30 내지 50㎛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기재는 단층 및 복층 형태 중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재(특히, 다공성 기재)에 목적에 따라 함침(含浸) 처리 또는 방수 가공 처리 이외에 박리 처리 등의 각종 공지된 처리 또는 관용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종류에 좌우되어 통상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기재를 갖고 단층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인 경우, 상기 기재에 바닥칠 처리, 백-사이징(back-sizing) 처리 또는 배면 처리를 실시하고; 기재의 적어도 한면(한면 또는 양면)에 상기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총 두께)가 5 내지 300㎛(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가 되도록 직접 코팅하여 건조시키거나, 분리기상에 건조 후의 두께(총 두께)가 5 내지 300㎛(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가 되도록 직접 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상기 기재위로 전사시킴으로써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예: 롤 형상으로 감긴 점착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코팅시, 통상의 코팅기, 예컨대 그래비어 롤 코팅기, 리버스 롤 코팅기, 키스 롤 코팅기, 딥 롤 코팅기, 바 코팅기, 나이프 코팅기, 스프레이 코팅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 보호를 위해 점착제층상에 박리 필름을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 필름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기재의 배면에 실리콘계 박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제 등의 박리 처리제로 배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양호한 초기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박리시 흡수 및 팽윤에 의해 용출된 저분자량 성분으로 인한 오염 또는 응집력 부족으로 인한 점착제 잔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 하중하 박리에 필요한 힘은 커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우수한 일정 하중 박리 방지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수계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 및 환경 위생상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본래의 점착성은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손상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점착제가 본래 가지고 있는 우수한 점착성은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따르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양호한 초기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하중하 박리 방지성도 양호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모든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1)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물 50부를채우고, 교반하면서 실온(25℃)에서 1시간동안 질소로 퍼징시켰다. 그 후, 칼륨 퍼설페이트 0.3부를 채우고,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92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5부, 아크릴로니트릴 2부, 아크릴산 1부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0.8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유화물을 물 50부에서 유화시킨 후, 70℃에서 3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75℃에서 2시간동안 숙성시켜 중합 반응을 종료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2.2부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중량%의 암모니아수로 중화시켜 점착제(이후 "점착제 A"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조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2)
중합 반응 후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2.2부의 후 첨가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점착제(이후 "점착제 B"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조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3)
단량체 유화물을 제조하는 동안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의 양을 0.8부 대신 2부로 하고, 중합 반응 후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2.2부의 후 첨가를 실시하지 않았던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점착제(이후 "점착제 C"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조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4)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46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2.5부, 아크릴로니트릴 1부, 아크릴산 0.5부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2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단량체 유화물)을 물 75부에서 유화시킨 것으로 채우고, 교반하면서 실온(25℃)에서 1시간동안 질소로 퍼징시켰다. 이 후,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중합 개시제) 0.025부를 가하고, 혼합물을 50℃의 온도에서 3시간동안 중합시켰다(제 1 단계 중합). 이 후, 칼륨 퍼설페이트 0.1부를 추가로 채우고, 혼합물을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46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25부, 아크릴로니트릴 1부, 아크릴산 0.5부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1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단량체 유화물)을 물 25부에서 유화시킨 것을 70℃에서 3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중합시켰다(제 2 단계 중합). 또한, 반응 혼합물을 75℃에서 2시간동안 숙성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0중량%의 암모니아수로 중화시켜 점착제(이후 "점착제 D"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조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5)
중합 반응 후 후 첨가시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의 양을 2.2부 대신 3.2부로 한 것으로 채운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점착제(이후 "점착제 E"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조했다.
실시예 1
점착제 A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1000) 10부 및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Tetrad)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에 의해 제조됨) 0.3부를 첨가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3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켜 일본 종이의 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했다(이후 "점착 테이프 A"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또한, 점착제(B)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됨) 0.3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60㎛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상기 점착 테이프(A)의 점착제층 면에 접합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2
점착제 A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1000) 2부 및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됨) 0.3부를 첨가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3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일본종이(기재)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켜 일본 종이의 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했다(이후 "점착 테이프 B"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또한, 점착제(C)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됨) 0.3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60㎛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상기 점착 테이프(B)의 점착제층 면에 접합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3
점착제 D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중량 평균 분자량 500,000) 2부 및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됨) 0.2부를 첨가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3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7㎛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1
점착제(A)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됨) 0.3부를 첨가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3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7㎛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2
점착제(E)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됨) 0.3부를 첨가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60㎛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실시예 2의 점착 테이프(B)의 점착제층 면에 접합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3
점착제(D)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용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품명: 테트라드 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됨) 0.2부를 첨가하여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3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일본 종이(기재)의 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7㎛가 되도록 코팅하고 건조시켜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평가 방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은 점착 테이프를 하기 측정 방법으로 유리의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 일정 하중하 박리 속도 및 표면상의 황 원소 비율에 대해 측정했다. 측정 또는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임의의 측정 방법에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접착시킨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벗긴 후 측정을 수행했다.
(습윤면 점착력의 측정 방법)
피착체로서의 유리를 23℃ 및 65% RH의 항온 항습 챔버에 설치된 설정 온도 0℃의 박스내에서 1시간동안 보관했다. 이 후, 유리를 박스로부터 꺼내(이 때, 유리 표면은 결로 상태 또는 습윤 상태로 되어 있음), 10초 후, 18㎜ 폭으로 절단한 점착 테이프(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각각의 점착 테이프)를 2㎏의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유리에 접합시키고, 점착 테이프를 접합 10초 후에 박리 속도 300㎜/분으로 180°각도로 박리시켜 유리의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이후 "습윤면 점착력"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N/18㎜-폭)을 측정했다.
(일정 하중 박리 속도의 측정 방법)
아크릴판에 18㎜ 폭으로 절단한 점착 테이프(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각각의 점착 테이프)를 500g의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접합시키고, 접합 30분 후에 점착 테이프의 단말에 30g의 하중을 걸어 박리 각도가 90°가 되도록 아크릴판에 고정시켰다. 23℃의 분위기에서의 1시간 당 박리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하중하 박리 속도(㎝/hr)를 측정했다.
(표면상의 황 원소 비율의 측정 방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각각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 표면을 울박 파이사에 의해 제작된 ESCA 장치(장치명: 모델 5400)를 사용하여 광선원(X선원): MgKα(300W, 15kV), 광전자 취출각: 45°, 분석 면적: 1.1㎜Φ의 조건에서 와이드 스캔 측정에 의해 정성 분석을 수행하고, 검출된 원소에 대해서는 국소 스캔 측정에 의해 추가로 정성 분석을 수행하여, 각각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 표면상의 황 원소 비율(원자%)을 구했다.
·점착제층 내부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의 비율은 점착제층 내부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비율(중량부)이다.
·점착제층 표면부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의 비율은 점착제층 표면부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비율(중량부)이다.
·점착제층 내부 및 표면부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의 비율은 점착제층 내부 및 표면부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비율(중량부)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비율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비율이다.
상기 표 1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점착 테이프는 모두 비교예 1 내지 3의 점착 테이프에 비해 유리의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고, 우수한 습윤면에 대한 점착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점착 테이프는 모두 일정 하중하 박리 방지성도 양호하다.
이는, 실시예에서 유화제로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를 사용하고, 상기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로서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의 비율이 점착제층 표면부에서 적절하고(또한, 점착제층 전체에서도 적절함), 친수성 중합체로서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적절한 비율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태양과 관련해서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화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의해 결로면 또는 습윤면에 대한 양호한 초기 점착력 및 양호한 일정 하중하 박리 방지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제층 전체가 (메트)아크릴산 C4-12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베이스 중합체로서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 표면부에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가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메트)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C)가 0.5 내지 1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가 알킬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설포네이트형 음이온계 유화제 및 설포숙신산형 음이온계 유화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황 원자 함유 음이온계 유화제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 전체 중의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의 비율이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 표면부에서 ESCA 측정법에 의한 황 원소 비율이 1원자% 미만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의 한면의 점착제층이 다층 구조를 갖고;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이 1 내지 5㎛의 두께를 갖고, 상기 최외면측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를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점착제 층이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과 관련된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를 O.5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점착제층 전체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중의 비휘발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친수성 중합체(C)를 0.5 내지 1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를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층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3㎚ 이하 범위내의 점착제층의 표면부에 황 원자를 함유한 음이온계 유화제(B)가 상기 점착제층 표면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가 다공성 기재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1020030078735A 2002-11-08 2003-11-07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KR100731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4967 2002-11-08
JP2002324967A JP3877670B2 (ja) 2002-11-08 2002-11-08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071A true KR20040041071A (ko) 2004-05-13
KR100731396B1 KR100731396B1 (ko) 2007-06-21

Family

ID=3210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735A KR100731396B1 (ko) 2002-11-08 2003-11-07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39103B2 (ko)
EP (1) EP1418213B1 (ko)
JP (1) JP3877670B2 (ko)
KR (1) KR100731396B1 (ko)
CN (1) CN1290954C (ko)
AT (1) ATE351893T1 (ko)
DE (1) DE60311212T2 (ko)
SG (1) SG115580A1 (ko)
TW (1) TWI27850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9584A3 (ko) * 2008-05-14 2010-01-21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반도체 웨이퍼 이면연삭 방법
KR20170031874A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삼쩜일사 종이모형을 이용한 조립식 구동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0911A1 (en) 2002-02-25 2006-04-26 Nitto Denko Corp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sive adhesive product
JP3877670B2 (ja) * 2002-11-08 2007-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415661B2 (ja) * 2004-10-18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類
JP2007314636A (ja) * 2006-05-24 2007-12-06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WO2008074333A1 (en) * 2006-12-20 2008-06-26 Coloplast A/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salt
JP5558660B2 (ja) * 2007-05-11 2014-07-23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性感圧接着シート
JP6045013B2 (ja) 2007-10-26 2016-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感圧接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28416B2 (ja) * 2007-11-30 2011-02-09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ラストマー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粘弾性部材
EP2334746B1 (de) * 2008-09-12 2012-02-01 Basf Se Klebstoffzusammensetzung für weichmacherfreie, selbstklebende, wiederablösbare etiketten
KR101188758B1 (ko) 2009-02-06 2012-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장치
WO2010107697A1 (en) 2009-03-16 2010-09-23 Interlock Industries, Inc. Multi-purpose adhesiv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KR101080380B1 (ko) 2009-08-14 2011-11-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접착력이 향상된 수화겔 접착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1043169A1 (ja) * 2009-10-08 2013-03-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US8440926B2 (en) * 2010-06-09 2013-05-14 Apple Inc. Low profile tape structures
JP5638891B2 (ja) * 2010-09-16 2014-12-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再剥離性粘着シート
CN102140318B (zh) * 2011-01-25 2013-01-09 南通高盟新材料有限公司 水性镀铝转移胶及其制备方法
TWI546358B (zh) * 2012-12-11 2016-08-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感壓膠及用於其之聚合物之合成方法
JP6097112B2 (ja) * 2013-03-27 2017-03-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及び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JP6152288B2 (ja) * 2013-03-27 2017-06-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気剥離性粘着剤組成物、及び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並びに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JP6121822B2 (ja) * 2013-07-08 2017-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乗物窓板用保護シート
JP6258681B2 (ja) * 2013-07-30 2018-01-1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IT202100006368A1 (it) * 2021-03-17 2022-09-17 Ppm Ind S P A Nastro per mascheratura di precisione di superfici delicat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918A (en) * 1972-03-24 1977-07-05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Water remov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NO135638C (ko) * 1972-03-24 1977-05-04 Beiersdorf Ag
DE2529512C2 (de) * 1975-07-02 1984-10-04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Klebmittel auf Basis von wäßrigen Dispersionen von Copolymerisaten des Butadiens
JPS61254678A (ja) 1985-05-07 1986-11-12 Nitto Electric Ind Co Ltd エアゾ−ル型感圧性接着剤組成物
JPH0745648B2 (ja) 1987-03-17 1995-05-1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
JPS63317575A (ja) 1987-06-19 1988-12-26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水性粘着剤組成物
DE3807238A1 (de) 1988-03-05 1989-09-14 Basf Ag Klebstoff
CA2050583C (en) 1990-02-07 2002-04-16 Ivan Sou Phong Lee Tackifiable acrylic emul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performance
JPH0693239A (ja) 1992-09-14 1994-04-05 Nisshin Chem Ind Co Ltd 感圧接着剤組成物
US5571617A (en) * 1993-04-23 1996-11-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tacky surface active microspheres
DE69420378T2 (de) * 1993-12-23 1999-12-30 Nitto Denko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ässrigen Dispersion eines Acrylpolymeren, Acrylpolymer so hergestellt, und druckempfindlicher Klebstoff, der dieses Polymer enthält
JP3717952B2 (ja) * 1994-04-01 2005-11-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医療用粘着剤及びこれを有する医療用ドレッシング材
KR100348371B1 (ko) * 1994-07-01 2005-02-23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점착성미소구를포함하는재배치가능한압감접착제
JPH08120251A (ja) 1994-10-20 1996-05-14 Sekisui Chem Co Ltd 水溶性粘着剤組成物及びマスキング用粘着テープ
JPH08157783A (ja) 1994-12-02 1996-06-18 Sekisui Chem Co Ltd 再剥離性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5516865A (en) * 1995-02-03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borne (meth) acrylic latex polymers for release
JPH08325307A (ja) 1995-05-31 1996-12-10 Mitsui Toatsu Chem Inc 粒子、共重合体、粘着剤組成物、粘着材、水系分散液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158609A (ja) 1996-11-29 1998-06-16 Toppan Forms Co Ltd 水系粘着剤塗布シート
JPH10292162A (ja) 1997-04-21 1998-11-04 Nichiban Co Ltd マスキング用紙粘着テープ
US6103316A (en) * 1998-07-17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electron beam polymerized emulsion-based acryla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6586510B1 (en) * 1998-12-15 2003-07-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movable emul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2000239633A (ja) 1999-02-16 2000-09-05 Sanyo Chem Ind Ltd アクリル系感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テープ、シートおよびそのマスカー
US6518343B1 (en) * 1999-06-18 2003-0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t-stick adhesives, articles, and methods
US20020016406A1 (en) * 2000-06-23 2002-02-07 Chen Augustin T. Adhesive compositions
SG120911A1 (en) * 2002-02-25 2006-04-26 Nitto Denko Corp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sive adhesive product
US7396868B2 (en) * 2002-02-25 2008-07-08 Nitto Denko Corporatio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JP4108499B2 (ja) * 2002-02-25 2008-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JP3877670B2 (ja) * 2002-11-08 2007-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9584A3 (ko) * 2008-05-14 2010-01-21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반도체 웨이퍼 이면연삭 방법
US10844248B2 (en) 2008-05-14 2020-11-24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back grinding method for semiconductor wafer
KR20170031874A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삼쩜일사 종이모형을 이용한 조립식 구동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8213A1 (en) 2004-05-12
DE60311212D1 (de) 2007-03-08
CN1498935A (zh) 2004-05-26
DE60311212T2 (de) 2007-05-24
TW200415224A (en) 2004-08-16
ATE351893T1 (de) 2007-02-15
TWI278502B (en) 2007-04-11
US20040091689A1 (en) 2004-05-13
JP2004155986A (ja) 2004-06-03
KR100731396B1 (ko) 2007-06-21
CN1290954C (zh) 2006-12-20
US8039103B2 (en) 2011-10-18
JP3877670B2 (ja) 2007-02-07
EP1418213B1 (en) 2007-01-17
SG115580A1 (en) 200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396B1 (ko)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JP5350332B2 (ja) 粘着製品
EP1340797B1 (e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US20090137727A1 (e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thereof
EP2053110B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7147559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テープ並びに気密防水用粘着テープ
WO2011052595A1 (ja) 粘着テ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結束材、並びに結束部品
US20130323498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7275650B2 (ja) 難接着被着体用粘着剤組成物、難接着被着体用粘着剤および難接着被着体用粘着テープ
JP4798912B2 (ja) 水系感圧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製品
EP2818486B1 (en) Water-disper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7045568B2 (e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7396868B2 (e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KR100895562B1 (ko) 테이프상 절연재, 절연 물품 및 절연재용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KR100758072B1 (ko) 수분산형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JP4731405B2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EP2062954B1 (e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2016102195A (ja) 粘着シート
JP2000218204A (ja) 塗装用マスキングテ―プまたはシ―ト
JP4087922B2 (ja) 粘着テープ
EP4116387A1 (en) Adhesive sheet
JPH07133468A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