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34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341A
KR20040040341A KR1020030068752A KR20030068752A KR20040040341A KR 20040040341 A KR20040040341 A KR 20040040341A KR 1020030068752 A KR1020030068752 A KR 1020030068752A KR 20030068752 A KR20030068752 A KR 20030068752A KR 20040040341 A KR20040040341 A KR 2004004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ation
display
reference potential
output termin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879B1 (ko
Inventor
나카가와키요시
야나기토시히로
나카노타케토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필요 계조수 64의 예를 들면 16배의 계조수 1024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단자(11)의 군을 구비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 회로와, 출력 단자의 군으로부터,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 64에 있어서의 각 계조 레벨의 출력 단자를 설정하는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비휘발 메모리와, 비휘발 메모리에서 설정된 출력 단자로부터, 입력 계조신호에 대한 출력 단자(11)를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패널에 전압인가 하는 셀렉터가 제공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 모드의 절환에 기인하는 계조표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반사표시와 투과표시 양쪽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의 관계가 반사표시와 투과표시의 표시모드에서 상이한 반투과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를 비롯한 표시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계조특성은, 입력 계조신호에 대해 출력 휘도가 선형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입력 계조 신호치 대 출력 휘도의 특성을 γ특성이라 한다. 이 γ특성이란,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의 휘도 L이 표시 장치에의 입력 계조신호치 E의 γ승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L = KEγ(일반적으로 γ = 2.2∼3, K는 정수)이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는, 입력 계조신호에 대한 출력 휘도가 선형이 아니고, 상기 γ특성의 관계를 갖는 것이 많기 때문에, 그대로는 올바른 계조표시를 할 수 없다.
그래서, 표시 장치에서는, 도7에 있어서「일반적인 화상의 γ 역특성」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올바른 계조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이를 고려하여 미리 입력 계조신호치 E의 1/γ승을 사용하여 보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γ보정이라 한다. 이에 의해, 동 도면에 있어서,「올바른 계조특성」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L = KE(K는 정수)로 되는 입력 계조신호에 대해 출력 휘도가 선형으로 되는 관계가 얻어진다.
그런데, γ역특성에 대응하는 γ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γ보정 회로를 사용한다. 이 γ보정 회로에서는, 64계조를 실현하기 위해, 64단계로 나누어진 64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어느 출력 단자를 각 셀렉터에서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64 계조를 실현한다. 이에 의해, 정확한 계조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γ보정 회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액정표시장치(70)의 소스 드라이버(71)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γ 보정의 최적치를 한번 설정하면,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중의 변경은 불가능하지만, 표시 모드가 불변인 경우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밝은 장소에서는 저소비전력화를 위해, 백라이트를 OFF하여 외부광을 사용하는 반사 방식(이하 '모드1'이라 함)으로, 어두운 장소에서는 종래와 같이 백라이트에 의한 투과 방식(이하, '모드2'라 함)의 양방의 장점을 합친 반투과 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상기 반투과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투과형으로부터 반사형으로 바꾸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조-휘도 특성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화상에서도 서로 다르게 보인다. 그 이유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시와 반사시의 차에 의해 인가전압(Ⅴ)-투과율(T) 특성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는, 인가전압(Ⅴ)-투과율(T)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인가전압(Ⅴ)-반사율의 관계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말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표시 모드에서 계조표시를 바꾸고 싶다고 하는 요구도 고려된다. 즉, 하나의 계조설정에서는 유저에 위화감을 주게된다.
그래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의 계조-전압 인가특성의 특성 커브를 복수개 준비하고, 각각의 표시 모드를 바꿀 때 연동하여 절환하도록 한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설정은 2개로 하고 있지만, 물론, 2개 이상의 설정이있고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휘도 특성을 투과시와 반사시에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다.
표시 모드에 의해 계조레벨이 변경 가능한 종래의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 2000-193936호(공개일 2000년 7월14일)」에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종류의 기준전위 발생회로(81,82)를 준비하고, 이들 기준전위 발생회로(81,82)의 어느 것을 반사/투과 판정신호에서 선택함으로써「투과」및「반사」의 계조 마다의 전압-투과율 특성/전압-반사율 특성을 맞추고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평10-333648호(공개일1998년 12월 18일)」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소 63-38989호(공개일 1988년 2월 19일)」에서는, 종래, γ보정 회로의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회로가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사용 모드에 맞추어 γ보정계수를 바꿀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감안하여,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γ보정 회로(90)의 기준 전압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91)에 축적하여 두고, 이를 취출하여 D/A 변환하여 기준전압 Vl∼VlO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간단히 임의의 γ보정 계수를 얻을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표시 장치 중,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2000-193936호(공개일 2000년 7월 14일 공개)」에서는, 각 표시모드에 있어서는 재설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모드 절환마다의 최적치로의 변경이 불가능하며,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이 같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평10-333648호(공개일 1998년 12월 18일)」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소63-38989호(공개일 1988년 2월 19일)」에 있어서도, 계조 보정전압을 이산적으로 밖에 변경시킬 수 없기 때문에, 계조특성을 매끄럽게 바꾸기 위해서는 계조 보정 전압의 입력 포인트를 많이 가질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역시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같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표시 모드의 절환에 기인하는 계조표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양방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의 관계가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표시 모드에서 상이한 반투과 방식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분압하도록 2개의 가변 저항기와 이들 2개의 가변 저항기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 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와의 조합을 2조 구비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이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에는, 각 가변 저항기의 저항치를 설정하도록, 표시 모드마다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가 기억된 메모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은, 전원 전압을 분압하도록 2개의 가변 저항기와 이들 2개의 가변 저항기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와의 조합을 2조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에는, 각 가변 저항기의 저항치를 설정하도록, 표시 모드마다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가 기억된 메모리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이 메모리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변 저항기의 저항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임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양방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의 관계가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표시 모드에서 상이한 반투과 방식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필요 계조수보다 많은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군을 구비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과, 상기 출력 단자군으로부터,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레벨의 출력 단자를 설정하는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출력 단자 설정 수단과, 상기 출력 단자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출력 단자로부터, 입력 계조신호에 대한 출력 단자를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화면으로 전압인가하는 선택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에는, 필요 계조수보다 많은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래더 저항기는 1개이기 때문에, 복수개가 제공되는 경우에 비해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이 커지지 않는다.
또한, 출력 단자군은, 필요 계조수 보다 많은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가 준비된다. 따라서,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계조레벨에 대해, 더욱 세밀한 계조레벨의 계조 기준전위가 출력되므로, 이를 선택함으로써, 고정밀도의 γ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단자 설정 수단은, 메모리로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출력 단자군으로부터,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레벨의 출력 단자를 설정함과 아울러, 선택수단은, 상기 출력 단자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출력 단자로부터, 입력계조신호에 대한 출력 단자를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화면으로 전압인가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 장치에 코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한 액세스가
가능한 비휘발성의 메모리를 설치하여, 표시 장치의 복수의 표시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γ보정치를 기억시켜 둔다.
그 결과, 계조표시가 정확하게 되고, 옥내, 옥외를 불문하고 표시 화상의 품위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의 절환에 기인하는 계조표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개시한 기재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 명백히 될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정표시장치의 1 실시예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b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비휘발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a는 점순차 방식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b는 1수평 기간의 소스 라인의 출력 전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4a는 선순차 방식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b는 1수평 기간의 소스 라인의 출력 전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5a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5b는 비휘발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6은 입력 계조신호와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7은 입력 계조신호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8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γ보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9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0은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과 방식 및 반사 방식의 입력 계조신호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1은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과 방식 및 반사 방식의 인가전압과 투과비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2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과 방식 및 반사 방식의 입력 계조신호와 인가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3은 이상 상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과 방식 및 반사 방식의 입력 계조신호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4는 종래의 다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γ보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5는 종래의 또 다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γ보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도1a 내지 도6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로서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표시 장치는 반드시 액정표시장치뿐 아니라,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과의 관계가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에서 상이한 것이면 다른 표시 장치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로서의 액정표시장치(1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화면으로서의 표시 패널(1)을 갖는 동시에, 이 표시 패널(1)을 구동하기 위해 소스 드라이버(2) 및 게이트 드라이버(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스 드라이버(2)에는, 코맨드 인터페이스(Ⅰ/F)(4)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PC)(5)가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PC)(5)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한 표시가 표시 패널(1)에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는, 도시하지 않은 백라이트를 OFF하여 외부광을 사용하는 반사 방식(이하, '모드1'이라 한다)과, 어두운 장소에서는 백라이트에 의한 투과 방식(이하, '모드2'라 한다)의 양방의 표시 모드가 가능한 반투과 방식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는, 출력 단자 설정 수단으로서의 비휘발 메모리(6)가 제공되어 있고, 이 비휘발 메모리(6)에는, 반사용 데이터(6a) 및 투과용 데이터(6b)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비휘발 메모리(6)은, 상기 소스 드라이버(2)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의해, 비휘발 메모리(6)에 기억된 반사용 데이터(6a) 및 투과용 데이터(6b)가 소스 드라이버(2)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이 비휘발 메모리(6)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5)로부터 코맨드 인터페이스(Ⅰ/F)(4)를 통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코맨드 인터페이스(Ⅰ/F)(4)란, 80계열 CPU로 대표되는 n비트(n은, 8, 9, 16 등)의 CPU 버스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상기 비휘발 메모리(6)의 반사용 데이터(6a) 및 투과용 데이터(6b)에는, 액정표시장치(10)의 표시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γ보정치가 기억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드 1로부터 모드 2로의 변경이나, 그 반대 등, 표시 모드의 변화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반사용 데이터(6a) 및 투과용 데이터(6b)의 최적치를 코맨드에 의해 바꿈으로써, 액정표시장치(10)의 동작 중에도 용이하게 상기 반사용 데이터(6a) 및 투과용 데이터(6b)를 그 최적치로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계조표시가 정확하게 되고, 옥내, 옥외를 불문하고 표시 화상의 품위 향상이 가능하다.
또, 상기 비휘발 메모리(6)을 탑재함으로써, 상기 설명 외의 표시모드에서 γ특성의 절환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잡한 회로를 조합하지 않고 용이하게 γ특성을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실용적인 액정표시장치(10)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10)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각 표시 모드에서 최적의 γ보정을 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1a 및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으로서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20)는, 필요 계조수 64의 예를 들면 16배의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7)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11)의 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단자(11)의 군에 있어서의 각 출력 단자(11)에는, 선택 수단으로서의 각 셀렉터(12)가 접속되는 동시에, 각 셀렉터(12)에는,출력단자 설정 수단으로서의 비휘발 메모리(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휘발 메모리(6)는,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 64에 있어서의 각 계조레벨의 출력 단자(11)을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셀렉터(12)는, 상기 비휘발 메모리(6)에서 설정된 출력 단자(11)로부터, 입력 계조신호에 대한 출력단자(11)를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패널(1)로 전압인가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γ보정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도1a 및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팰릿(color palette)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20)는, 예를 들면 64 계조를 실현하기 위해, 이 64계조보다 많은 계조 구분을 준비하여 놓고, 그 중에서 임의의 64계조를 선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 계조수로서 64개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24 단계로 나누어진 출력 단자(11)로부터 임의의 64개의 출력 단자(11)를 각각의 셀렉터(12)에서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64계조를 실현한다. 이 경우에, 어느 64개의 출력 단자(11)를 선택하는 지에 대해서는,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휘발 메모리(6)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반사 방식 및 투과 방식에 따른 출력 단자(11)가 선택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20)는, 필요 계조수로서 64개에 대해, 출력 단자(11)는 1024개로 되어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 계조수의 N배(N은 2이상의 정수)의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했던 바와 같이, N=1024/64=16이다. 또한, 이 N은, γ보정 고정밀도화의 관점에서는 많은 쪽이 좋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도트마다 표시를 행하는 점순차적 방식이면, 고성능의 D/A변환기(DAC : Digital-to -Analog Converter)(13)를 사용하여 1024 계조분의 출력 단자(11)를 절환하면 좋다.
그러나,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수평 기간(1H) 마다의 표시를 행하는 선순차적 방식에서는, 소스 라인(14)마다 D/A변환기(DAC)(13)을 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스 라인수 x1024 계조분의 출력 단자(11)를 준비할 필요가 있고, 출력 단자(11)를 만드는 것이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그래서, 보다 간편하게 실현하는 것으로서,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으로서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 회로(30)에는, 전원 전압(VOH-VOL)을 분압하도록, 일방에는, 2개의 가변 저항기(15·16)와 이들 2개의 가변 저항기(15·16)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7)가 제공되고, 타방에는, 2개의 가변 저항기(17·18)와 이들 2개의 가변 저항기(17·18)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 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7)가 제공되어 있다.
즉, 상기 2조의 래더 저항기(7·7)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과 반대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에 사용된다. 따라서, 도5a에 있어서 좌측의 래더 저항기(7)로부터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인 VO+∼V63+이 취출되는 한편, 도5a에 있어서 우측의 래더 저항기(7)로부터는, 역극성의 계조 기준전위인 V63-∼VO-이 취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30)에는, 각 가변 저항기(15∼18)의 저항치 Rl∼R4를 설정하도록, 표시 모드마다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가 기억된 비휘발 메모리(6)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계조 기준전위 생성 회로(30)에서는, 가변 저항기(15∼18)를 제공하여 두고, 이들 가변 저항기(15∼18)의 저항치를 바꾸어 VO∼V63의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가변 저항기(15∼18)의 저항치를 어떻게 바꾸는지에 대해서는,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휘발 메모리(6)에 반사 방식의 경우에는 저항치 Rl·R2·R3·R4가 선택되고, 투과 방식의 경우에는 저항치 Rl'·R2',·R3'·R4'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조특성을 변화시켜, 입력 계조신호에 대해 최적의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는 모든 계조신호에 대해 하나씩 설정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에, 몇몇 패턴의 γ보정치를 비휘발 메모리(6)에 준비해 두고, 최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에서는, 계조 기준전위 생성 회로(20)에는, 필요 계조수 64의 예를 들면 16배의 계조수 1024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7)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11)의 군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래더 저항기(7)는 1개이기 때문에, 복수개가 제공되는 경우에 비해 계조 기준전위 생성 회로(20)가 커지지 않는다.
또한, 출력 단자(11)의 군은, 필요 계조수 64의 예를 들면 16배의 계조수1024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가 준비된다. 따라서, 필요계조수 64에 있어서의 계조레벨에 대해, 더욱, 세밀한 계조레벨의 계조 기준전위가 출력되기 때문에, 이를 선택함으로써 고정밀도로 γ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비휘발 메모리(6)는, 메모리로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출력 단자(11)군으로부터,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 64에 있어서의 각 계조레벨의 출력 단자(11)를 설정함과 동시에, 셀렉터(12)는, 상기 비휘발 메모리(6)에서 설정된 출력단자(11)로부터, 입력 계조신호에 대한 출력 단자(11)을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패널(1)로 전압인가 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10)에 코맨드 인터페이스(4)에 의한 액세스가 가능한 비휘발 메모리(6)를 설치하여, 액정표시장치(10)의 복수의 표시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γ보정치가 기억되어 있다.
그 결과, 계조표시가 정확하게 되고, 옥내, 옥외를 불문하고 표시 화상의 품위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의 절환에 기인하는 계조표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에서는, 메모리는 비휘발성으로 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10)를 OFF해도 메모리에 기억된 내용이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비휘발 메모리(6)에는, 표시 모드마다 이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 64에 있어서의 각 계조 레벨에 대한 출력 단자 설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어, 이 출력 단자 설정 데이터에 의해, 용이하게 표시 모드마다의 소망의 각 계조 레벨에 대한 출력 단자(11)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비휘발 메모리(6)를 탑재함으로써, 표시 모드에서 γ특성의 절환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잡한 회로를 조합하지 않고 용이하게 γ특성을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실용적인 액정표시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2000-193936호(공개일 2000년 7월 14일)」와의 차이는, 본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에서는, 계조특성을 결정하는 래더 저항기(7)를 복수개 갖지 않는 점, 비휘발 메모리(6)를 갖고 있는 점, 비휘발성 메모리의 설정을 토대로 출력 단자(11)의 값을 제어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에서는, 비휘발 메모리(6)를 가짐으로써, 설정 변경도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설계치와 실제의 패널 특성의 어긋남이나, 설계 도중에 있어서의 패널 특성의 변경 등에 대해 용이하게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에서는,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30)는, 전원 전압(VOH-VOL)을 분압하도록 2개의 가변 저항기와 이들 2개의 가변저항기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 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7)의 조합을 2조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계조 기준전위 생성 회로(30)에는 각 가변 저항기(15∼18)의 저항치를 설정하도록, 표시 모드마다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가 기억된 비휘발 메모리(6)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이 비휘발 메모리(6)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변 저항기(15∼18)의 저항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이 비휘발 메모리(6)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임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드의 절환에 기인하는 계조표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에서는, 2조의 래더 저항기(7·7)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과 역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에 사용된다. 즉,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10)에 있어서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와 역극성의 계조 기준전위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이 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2조의 가변 저항기(15∼18), 즉 합계 4개의 가변 저항기(15∼18)를 제공함으로써,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과 반대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에 있어서, 임의의 계조레벨의 계조 기준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계조 기준전위 생성회로(301)를 콤팩트하게 하면서, 또한 비휘발 메모리(6)에 기입하는 정보량도 대단히 적게 된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개평10-333648호(공개일 1998년 12월 18일)」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특허공개 소63-38989호(공개일 1988년 2월 19일)」와의 차이는, 이들 문헌에서는 계조특성이 매끄럽게 변하려면, 계조보정 전압의 입력 포인트를 많이(실시예에서는 10포인트, 실제로는 +기입 /-기입용으로 그 배의 20포인트가 필요) 가져야 되는 것에 대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에서는, 2포인트(+기입/-기입용 모두 4포인트 필요)의 데이터로 끝나기 때문에, 비휘발 메모리(6)에 기입하는 정보량이 대단히 적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양방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과의 관계가 반사 표시와 투과표시와의 표시 모드에서 상이한 반투과 방식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전압을 분압하도록 2개의 가변 저항기와 이들 2개의 가변 저항기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의 조합을 2조 구비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에는, 각 가변 저항기의 저항치를 설정하도록, 표시 모드마다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가 기억된 메모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은, 전원 전압을 분압하도록 2개의 가변 저항기와 이들 2개의 가변 저항기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의 조합을 2조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에는, 각 가변 저항기의 저항치를 설정하도록, 표시 모드마다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가 기억된 메모리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모리의 저항치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변 저항기의 저항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임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드의 절환에 기인하는 계조표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기재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메모리가 비휘발성인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OFF로 해도, 메모리에 기억된 내용이 소거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기재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2조의 래더 저항기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과 역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조의 래더 저항기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과 반대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에 사용된다. 즉,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와 역극성의 계조 기준전위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이 점, 본 발명에서는, 2개의 2조의 가변 저항기, 즉 합계 4개의 가변 저항기를 제공함으로써,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과 역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에 있어서, 임의의 계조레벨의 계조 기준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을 콤팩트하게 하면서, 또한 비휘발 성 메모리에 기입하는 정보량도 대단히 적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양방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의 관계가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표시 모드에서 상이한 반투과 방식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필요 계조수보다 많은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군을 구비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과, 상기 출력 단자군으로부터,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레벨의 출력 단자를 설정하는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출력 단자 설정 수단과, 상기 출력 단자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출력 단자로부터, 입력 계조신호에 대한 출력 단자를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화면으로 전압인가하는 선택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에는, 필요 계조수보다많은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래더 저항기는 1개이기 때문에, 복수개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이 커지지 않는다.
또한, 출력 단자군은, 필요 계조수 보다 많은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가 준비된다. 따라서,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계조레벨에 대해, 더욱, 세밀한 계조레벨의 계조 기준전위가 출력되므로, 이를 선택함으로써 고정밀도로 γ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 수단에는, 필요 계조수의 N배(N은 2이상의 정수)의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출력 단자군은, 필요 계조수의 N배(N은 2이상의 정수)의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가 준비된다. 따라서,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계조레벨에 대해, 더욱, 세밀한 계조레벨의 계조 기준전위가 출력 되므로, 이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로 γ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단자 설정 수단은, 메모리로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출력 단자군으로부터,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레벨의 출력 단자를 설정함과 동시에, 선택 수단은, 상기 출력 단자 설정 수단으로 설정된 출력 단자로부터, 입력계조신호에 대한 출력 단자를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화면으로 전압을 인가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 장치에 코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한 액세스가 가능한 비휘발성의 메모리를 설치하여, 표시 장치의 복수의 표시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γ보정치를 기억시켜 둔다.
그 결과, 계조표시가 정확하게 되고, 옥내, 옥외를 불문하고 표시 화상의 품위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의 절환에 기인하는 계조표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고정밀도로 각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신호-휘도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구체적인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이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양방의 표시를 하는 동시에,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의 관계가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표시 모드에서 상이한 반투과 방식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전압을 분압하도록 2개의 가변 저항기와 이들 2개의 가변 저항기 사이에 제공되어 필요 계조레벨수의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는 래더 저항기의 조합을 2조 구비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이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에는, 각 가변 저항기의 저항치를 설정하도록, 표시모드마다의 저항치 설정 데이터가 기억된 메모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비휘발성인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래더 저항기는, 정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과 역극성의 계조 기준전위 생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
  4.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양방의 표시를 행하는 동시에, 인가전압과 투과율 또는 인가전압과 반사율의 관계가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표시 모드에서 상이한 반투과 방식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필요 계조수 보다 많은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1개의 래더 저항기에 의한 저항분압비로 결정되는 출력 단자군을 구비한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과,
    상기 출력 단자군으로부터,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레벨의 출력 단자를 설정하는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출력 단자 설정 수단과,
    상기 출력 단자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출력 단자로부터, 입력 계조신호에 대한 출력단자를 선택하여 취출하여 표시 화면으로 전압인가하는 선택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휘발성의 메모리에는, 표시 모드마다 당해 표시 모드에 따른 필요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레벨에 대한 출력 단자 설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기준전위 생성수단은, 필요 계조수의 N배(N은 2이상의 정수)의 계조수에 있어서의 각 계조 기준전위를 출력하도록 출력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
KR1020030068752A 2002-11-06 2003-10-02 표시 장치 KR100749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2229A JP2004157288A (ja) 2002-11-06 2002-11-06 表示装置
JPJP-P-2002-00322229 2002-11-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149A Division KR100683057B1 (ko) 2002-11-06 2006-04-2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341A true KR20040040341A (ko) 2004-05-12
KR100749879B1 KR100749879B1 (ko) 2007-08-21

Family

ID=321713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52A KR100749879B1 (ko) 2002-11-06 2003-10-02 표시 장치
KR1020060038149A KR100683057B1 (ko) 2002-11-06 2006-04-27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149A KR100683057B1 (ko) 2002-11-06 2006-04-2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62756B2 (ko)
JP (1) JP2004157288A (ko)
KR (2) KR100749879B1 (ko)
CN (2) CN1302452C (ko)
TW (1) TWI2593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869B1 (ko) * 2005-10-21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그레이 전압 레벨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288A (ja) * 2002-11-06 2004-06-03 Sharp Corp 表示装置
JP4199141B2 (ja) * 2004-02-23 2008-12-17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信号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111185B2 (ja) 2004-10-19 2008-07-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TWI401640B (zh) 2004-11-12 2013-07-11 Samsung Display Co Ltd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4442455B2 (ja) * 2005-02-17 2010-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準電圧選択回路、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27272A (ja) * 2005-02-17 2006-08-31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810840B2 (ja) * 2005-03-02 2011-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43233A (ja) * 2005-03-02 2006-09-14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43232A (ja) * 2005-03-02 2006-09-14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576720B2 (en) * 2005-11-30 2009-08-18 Au Optronics Corporatio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JP4936854B2 (ja) * 2006-10-25 2012-05-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ドライバ
JP5045997B2 (ja) 2007-01-10 2012-10-10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7171997A (ja) * 2007-03-19 2007-07-05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83670A (ja) * 2007-03-19 2007-07-19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57169A (ja) * 2007-12-27 2009-07-16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JP2009222786A (ja) * 2008-03-13 2009-10-01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4878060B2 (ja) * 2009-11-16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CN104091575A (zh) * 2014-06-26 2014-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伽马电压产生电路及产生方法、数据驱动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725A (ja) 1991-07-15 1993-01-29 Hitachi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3106953B2 (ja) * 1996-05-16 2000-11-06 富士電機株式会社 表示素子駆動方法
JP3338299B2 (ja) 1996-07-24 2002-10-28 大崎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量計試験台
JPH1062743A (ja) 1996-08-13 1998-03-06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該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3605829B2 (ja) 1997-04-18 2004-1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819113B2 (ja) 1997-06-03 200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138989A (ja) 1997-07-14 1999-02-12 Toshiba Corp 音声合成装置及び方法
JP3627246B2 (ja) * 1997-07-25 2005-03-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186688B2 (ja) 1998-03-19 2001-07-11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
JPH11333648A (ja) 1998-05-25 1999-12-07 Fuji Oozx Inc 研削盤
US6611249B1 (en) * 1998-07-22 2003-08-26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de aspect ratio flat panel display monitor independent white-balance adjustment and gamma correction capabilities
JP2000193936A (ja) 1998-12-25 2000-07-14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0227608A (ja) 1999-02-05 2000-08-1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022325A (ja) 1999-07-08 2001-01-26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JP3651371B2 (ja) 2000-07-27 2005-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JP3832627B2 (ja) 2000-08-10 2006-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線駆動回路、画像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3501751B2 (ja) * 2000-11-20 2004-03-0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の駆動回路、及び該回路を備える表示装置
JP2002366112A (ja) * 2001-06-07 2002-12-20 Hitachi Ltd 液晶駆動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744415B2 (en) * 2001-07-25 2004-06-01 Brillia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ltages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157288A (ja) 2002-11-06 2004-06-03 Sharp Corp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869B1 (ko) * 2005-10-21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그레이 전압 레벨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057B1 (ko) 2007-02-15
US20070195039A1 (en) 2007-08-23
US20040085635A1 (en) 2004-05-06
US7973752B2 (en) 2011-07-05
TWI259304B (en) 2006-08-01
CN100514436C (zh) 2009-07-15
KR20060055496A (ko) 2006-05-23
CN1873765A (zh) 2006-12-06
CN1302452C (zh) 2007-02-28
TW200408869A (en) 2004-06-01
CN1499476A (zh) 2004-05-26
US7262756B2 (en) 2007-08-28
JP2004157288A (ja) 2004-06-03
KR100749879B1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057B1 (ko) 표시 장치
JP2761128B2 (ja) 液晶表示装置
CN100440277C (zh) 显示装置及显示用驱动电路
KR100520861B1 (ko) 계조 표시용 기준 전압 발생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KR100430453B1 (ko)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 구동용 구동 회로
JP2004191581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1004438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5859633A (en) Gradation driving circuit of liquid crystal display
US74329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90278829A1 (en) Electro-optic device,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7133018B2 (en) Super twist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KR101899100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744336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ptimum gradation voltage setting apparatus thereof
KR20020010216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182300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13381B1 (ko) 감마기준전압 발생회로 및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446999B1 (ko)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658041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00580758C (zh) 显示装置、控制器驱动器以及显示板的驱动方法
KR2006012089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장치
KR100864978B1 (ko)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상방법 및 장치
KR100697381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KR20070014705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83279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의 구동 방법
KR20050058046A (ko)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404

Effective date: 200706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