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917A - 제거가능한 역반사 재료 - Google Patents

제거가능한 역반사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917A
KR20040036917A KR10-2004-7002554A KR20047002554A KR20040036917A KR 20040036917 A KR20040036917 A KR 20040036917A KR 20047002554 A KR20047002554 A KR 20047002554A KR 20040036917 A KR20040036917 A KR 2004003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article
retroreflective
retroreflective beads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 에이. 에릭슨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3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38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421Silicon containing

Landscapes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인간의 피부에 편안하게 부착될 수 있는 감압성 접착제를 갖는 일회용 역반사 테이프에 대해 기술한다. 상기 테이프는 폼 또는 부직 배킹을 포함한다. 적층기를 사용하에 배킹의 제1면에 역반사 비드를 용융시킨다. 배킹의 제2면은 감압성 접착제 재료로 코팅한다. 배킹의 제1면에 용융된 역반사 비드는 추가의 접착제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일회용 테이프에 역반사 표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제거가능한 역반사 재료{REMOVABLE RETROREFLECTIVE MATERIAL}
몇 개만 언급하자면, 도로 표지, 번호판, 신발 및 천 조각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역반사 재료를 사용하였다. 역반사성은, 반사 물질과 협동하는 작은 유리 비드 또는 미소구 층,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코팅된 층을 사용하는 것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드는 일반적으로, 비드가 주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직물에 고정하는 결합층에 매몰된다. 각 비드는 비드의 노출된 부분으로 도입되는 입사광을, 일반적으로 결합층에 매몰된 비드의 이면에 배치된 반사 물질로 집중시킨다. 반사 물질은 입사광을 비드를 통해 역반사시켜, 빛이 비드의 노출된 부분을 통해 입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통상, 비드 역반사 재료는 다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방법에 따르면,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유리 비드의 단일층을 경화가능한 수지에 배치한다. 수지를 경화시키면, 유리 비드가 수지의 표면에 고정된다. 유리 비드의 표면적의 절반을 알루미늄으로 코팅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비드는 알루미늄 코팅된 영역이 수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코팅되지 않은 비드를 기재 상에 놓고, 비드의 노출된 표면을 알루미늄으로 코팅하고, 기재를 경화가능한 수지에 압착하고, 수지를 경화하고, 기재를 벗겨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유리 비드를 알루미늄으로 완전히 코팅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유리 비드의 노출된 부분에 존재하는 알루미늄은 비드가 경화가능한 수지에 고정된 후 부식 제거된다. 다른 통상적인 응용에서, 절반이 코팅된 알루미늄 비드를 랜덤 배향으로 수지 내로 혼합시킨다. 경화하기 전에, 수지를 목적하는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요약
본원은 사람 피부에 편안하게 부착될 수 있고, 사용 후 쉽게 폐기될 수 있는 일회용 역반사 재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재료는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피부 또는 천에 부착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고, 또한 역반사 비드를 사용하여 일회용 재료에 역반사 표면을 제공한다. 상기 재료는 폼(foam) 또는 부직 배킹(backing)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반사 비드는 적층기(laminator) 등을 사용하여 배킹의 제1 면에 용융되어, 역반사 표면을 갖는 재료를 제공한다. 배킹의 제2 면은 감압성 접착제로 코팅된다.
한 측면에서, 본원은 접착 면과 비접착 면, 및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 면에 용융된 역반사 비드 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감압성 접착제는 사람 피부에 편안하게 부착될 수 있으면서도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의료용 접착제일 수 있다. 역반사 비드는 부가의 접착 재료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감압성 테이프의 비접착 면에 용융될 수 있다. 한 경우에, 테이프의 배킹은 페쇄-셀 교차-결합 폼과 같은 폼 재료로 제조된다.
그 내부에 용융된 역반사 비드를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 면은 마모 주기(abrasion cycle) 하에 놓이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 하에 놓인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마모 주기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스파르탄버그의 로손-헵필 세일, 인크(Lawson-Hemphill Sa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표준 연마 직물 SDL-235B를 사용하여, 영국 스톡포트의 굿브랜드 제프리스 세일스(Goodbrand Jeffreys Sales) LTD로부터 입수가능한 마틴달 마멸 및 마모 시험기 모델 GJS 037을 통한 1 주기로 정의된다. 재료를 마모시키기 전 및 후의 휘도 시험은 반사 비드가 배킹에 얼마나 잘 결합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면, 재료의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 수가 약 750인 경우, 초기 반사 휘도의 70%를 넘을 수 있거나, 또는 마모 주기 수가 약 750인 경우, 초기 반사 휘도의 90%를 훨씬 넘을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마모 주기 수가 5000을 넘는 경우, 최종 반사 휘도가 초기 반사 휘도의 90%를 넘는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원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폼 배킹, 및 폼 배킹의 제1 면에 용융된 역반사 비드 층을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비드는 적층기를 사용하여 폼 배킹의 제1 면에 용융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비드를 폼 배킹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 재료 또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제거될 수 있다. 폼 배킹의 제2 면은 감압성 접착 재료로 코팅되어, 폼 배킹이 사람 피부에 편안하게 접착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폼 배킹의 제2 면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매몰된 비드를 갖는 폼 배킹은 일회용 역반사 폼 재료로 판매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원은 하나 이상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한 방법은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 면을 역반사 비드로 덮고, 열 및 압력을 가해 역반사 비드를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 면에 용융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반사 비드는 절반이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유리 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비드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 면에 랜덤 배향되거나, 또는 각 비드의 코팅되지 않은 면이 주위에 실질적으로 노출되도록 의도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별법으로, 역반사 비드는 완전히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 비드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본 방법은 역반사 비드의 노출된 표면으로부터 알루미늄을 부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폼 배킹의 제1면을 역반사 비드로 덮고, 이 역반사 비드를 상기 폼 배킹의 제1면으로 녹여 넣기 위해 열 및 압력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하지만 상기 폼 배킹의 제1면에 상기 비드를 붙이기 위해 접착제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적층기를 사용하여 열 및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착탈식 역반사 물질은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역반사 감압성(pressure-sensitive) 접착 테이프는 1 이상의 표면(예를 들면 피부나 옷)에 영구적이지는 않은 역반사 특성을 부여하기에 특히 유용하다. 결과적으로 밤시간이나 어스름한 시간에 걷는 사람은 상기 역반사 감압성 테이프를 예를 들면 자신들의 피부에 부착하여 야간 운전자의 눈에 더 잘 띄게 할 수 있다.
상기 역반사 비드는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경화형 접착 물질이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이 때문에 생산 시간 및 단가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역반사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일회용 역반사 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값이 싼 역반사 테이프는 사용 후 쉽게 제거하고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마모가 높게 되어도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테이프는 제한된 횟수의 사용 후 폐기되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테이프의 역반사능이 감소하여도 용인될 수 있다.
단가를 더 낮추기 위해 상기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는 통상의 다른 역반사 물질 대신 저가 배킹, 예를 들면 사실상 더 영구적인 역반사 천조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압출 성형된 부직 물질 대신 폼 배킹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부직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부직 물질은 직물과 같은 물질이기 때문에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많은 응용 분야에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보인 것 처럼 폼 배킹은 부직 물질을 사용한 일회용 역반사 물질보다 우수한 역반사 휘도를 갖는 일회용 역반사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폼 배킹을 사용하여 형성된 역반사 물질은 하기 실시예에서 보인 것 처럼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
이때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을 첨부한 도면 및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하였다. 또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피부에 편안하게 부착된 역반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갖는 인간의 팔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역반사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축소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3 내지 5는 흐름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편안하게 부착된 역반사 재료(12)를 갖는 인간의 팔(10)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역반사 재료(12)는 의료용 테이프와 같은 일회용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반사능은 예를 들면 역반사 비드를 상기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녹여 넣음으로써 부여할 수 있다.
역반사 재료(12)는 1 이상의 표면(예를 들면 피부나 옷)에 영구적이지는 않은 역반사 특성을 부여하기에 특히 유용하다. 결과적으로 밤시간이나 어스름한 시간에 걷는 사람은 상기 역반사 감압성 테이프를 예를 들면 자신들의 피부에 부착하여 야간 운전자의 눈에 더 잘 띄게 할 수 있다. 상기 역반사 재료(12)는 다른 역반사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가이기 때문에 일회용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값이 싼 상기 역반사 재료(12)는 사용 후 쉽게 제거하고 폐기할 수 있다.
도 2는 역반사 재료(12)의 측면도이다. 역반사 재료(12)는 의료용 테이프와 같은 감압성 접착 테이프(14)를 포함한다. 감압성 접착 테이프(14)에는 감압성 접착제(20)가 배킹(18)의 제1면에 코팅되어 있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도포되어 있다. 배킹(18)은 의료용 폼 배킹 또는 의료용 부직 배킹일 수 있다. 폼 배킹을 사용하는 것이 가격 또는 그 이외의 이유로 더 바람직하다. 의료용 배킹을 사용하면 상기 역반사 재료를 인간의 피부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역반사 비드(16)층은 배킹(18)의 제2면에 용해되어 들어감으로써 역반사 표면을 제공한다.
배킹(18)은 열가소성 폼 또는 열가소성 부직 재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폼 배킹이 테이프의 많은 응용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황에 따라서는 폼 배킹이 부직 대체물보다 저가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제품의 응용에 더 적절할 수 있다. 또한 폼 배킹은 부직 대체물 또는 다른 직물 대체물보다 테이프의 응용에 더 적절할 수 있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 보인 것 처럼 폼 배킹은 부직 대체물을 사용한 재료보다 우수한 역반사 휘도를 갖는 역반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폼 배킹을 사용하여 형성된 역반사 재료는 하기 실시예에서 보인 것 처럼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역반사 비드(16)은 접착제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배킹(18)에 부착될 수 있다. 대신 열 및 압력을 사용하여 비드(16)을 배킹(18)에 녹여 넣기 위해 라미네이션 공정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접착제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이 접착제 또는 수지를 경화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생산 단가 및 생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배킹(18)은 비드(16)의 크기에 따라 비드가 충분히 배킹(18)에 녹아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역반사 비드(16)는 폼 배킹의 제1면 속으로 용융되며, 이때 폼 배킹은 제2면 상에 감압성 접착 재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폼 배킹은 독립 기포의(closed-cell) 가교 결합된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폼 배킹은 사람의 피부에 적용할 때 안전함을 확보하기 위한 의료용 폼 배킹일 수 있다. 상기 비드는 하기 상세히 설명된 적층 기술을 이용하여 폼 배킹의 제1면 속으로 용융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1회용 역반사 재료을 형성하기 위한 사례 공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특히, 배킹의 한 면상에 감압성 접착제를 갖는 테이프가 선택된다 (32). 상기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부직 배킹 또는 폼 배킹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폼 배킹이 더 좋은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이어서 배킹(34)의 비-접착면 상에 역반사 비드를 무작위적으로 배치한다.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배킹(36)의 비-접착면에 비드를 부착시킨다. 환언하면, 열과 압력이 비드를 배킹의 비-접착면 속으로 용융시킨다. 이어서 헐겁거나 과량의 비드가 있다면 예를 들어 상기 재료(38)를 흔들거나 상기 재료의 비드가 장착된 면을 깨끗이 닦아내어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수지 또는 접착제가 경화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재료를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적층기를 사용하여 열과 압력을 적용한다. 한 면에 감압성 접착제 재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1회용 역반사 재료(예: 역반사 폼 배킹)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 3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특히 역반사 폼 재료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보여진 바와 같이, 코팅되지 않은 유리 비드가 기재(52) 상에 놓여진다. 예를 들어, 상기 비드는 대략 비드의 표면적의 반이 대기에 노출되도록 기재 상의 수지 중에 세팅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비드의 노출된 표면을 알루미늄 또는 기타 적절한 반사제(54)로 코팅한다. 이어서 기재 중의 비드를, 폼 배킹(56)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적층시킨다. 별법으로, 상기 기재 중의 비드를 제2면 상에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는 폼 배킹의 제1면에 적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코팅된 표면이 테이프 속으로 용융되도록 상기 비드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면에서 배향된다. 이어서, 상기 기재가 박리될 수 있으며(58), 그로 인하여 비드의 알루미늄 코팅되지 않은 면이 대기에 노출된다. 기재는 폐기될 수 있다.
도 5는 역반사 감압성 접착 테이프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보여진 바와 같이, 알루미늄 코팅된 비드(또는 기타 적절한 반사제로 코팅된 비드)가 의료용 테이프(62)와 같은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적용된다. 별법으로, 제2면 상에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는 폼 배킹의 제1면에 비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비드를 비-접착면(64) 속으로 용융시키기 위하여 상기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적층될 수 있다. 이어서, 감압성 접착제의 비-접착면 속으로 용융된 비드의 표면만 알루미늄 코팅된 채로 남아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노출된 알루미늄 코팅 표면을 에칭할 수 있다(66). 이어서 헐겁거나 과량의 비드가 있다면 예를 들어 상기 재료(68)를흔들거나 상기 재료의 비드가 장착된 면을 깨끗이 닦아내어 제거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역반사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피부 또는 직물에 비-영구적 역반사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용이하게 적용되고, 이어서 사용 후 폐기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처음에 릴리스 라이너(release liner) 상에 보관하고 롤(roll)로 말을 수 있다. 이어서 테이프 조각들을 원하는 크기로 상기 롤로부터 잘라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테이프를 조각들로 사전에 잘라놓을 수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릴리스 라이너로부터 박리되고, 원하는 대로 여러 표면들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은 역반사 재료, 더 구체적으로, 비드 역반사 재료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들에서, 역반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휘도(brightness) 시험을 수행하였다. 휘도 시험에서, 역반사 재료의 "반사성" 또는 "반사 휘도"는 표준 역반사 조건, 즉 0°배향각, -4°입사각 및 0.2 °관찰각 하에서 볼 때 상기 재료의 겉보기 휘도의 척도이다. 휘도는 재료의 면적과 사용된 광원으로부터의 조명에 대하여 표준화된다. 상기 반사성 또는 반사 휘도는 또한 역반사 계수(RA)라고 지칭되며, 룩스 제곱미터 당 칸델라의 단위[cd/(lux-m2)]로 표현된다. ASTM 표준 방법 #808-94 "역반사를 기술하기 위한 표준 절차"를 참고한다. 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장비는 ASTM 규격에 따라 제조되었다.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대하여 마모 시험도 실시하였다. 상기 마모 시험은 표준 연마 직물 SDL-235B[사우쓰 캘리포니아, 스파르탄버그의 회사(Lawson-Hemphill Sa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함]를 사용하여 장치[Martindale Wear & Abrasion Tester model GJS 037][영국, 스톡포트의 회사(Goodbrand Jeffreys Sales LTD)로부터 입수가능함] 상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재료를 연마하기 전, 후의 휘도 시험은 반사 비드가 기재에 얼마나 잘 결합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1774W 폴리에틸렌 메디칼 폼(foam) 테이프(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퍼니 제품(이하, 3M)) 조각을 폼쪽을 위로하여 적층기(laminator)의 압반(platen) 상에 올려놓았다. 적층기는 HIX 모델 N-800(미국 켄사스주 피츠버그 소재 HIX corp. 제품)이었다. 반-알루미늄 도금 유리 비드(#145 Reflective Glass Elements로 3M에서 판매)를 상기 폼 표면에 부었다. 샘플을 325℉(163℃), 40psi(276kPa)에서 15초간 적층시켰다. 이어서 느슨한 비드를 털어내었다.
마무리된 샘플은 RA가 약 100이었다. 반사 비드는 테이프를 브러슁하거나 털어냄에 의해 제거되지 않았다. 여름에 한 실험자의 다리에 테이프 스트립을 부착하여 5킬로미터를 도보하는 과정에서, 테이프는 착용감이 좋았고(comfortable) 용이하게 제거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T-셔츠, 스웨트 셔츠 및 나일론 재킷에 부착시, 테이프는 그자리에 유지되었고 양호한 휘도 보유를 나타내었다.
네 개의 복제 샘플을 마모 시험 전후에 휘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휘도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A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리콘 이형지(release liner) 조각, 즉, 기재를 적층기의 압반 상에 놓았다. 완전 알루미늄 도금 유리 비드를 PCT 특허 공보 WO01/42823 A1(2001년 6월 14일 공개; 본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됨)에서 기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형지 상에 부었다. 1774W 폴리에틸렌 메디칼 폼 테이프(3M사 제품)를 비드상에 폼쪽을 아래로 하여 배치하였다. 샘플을 325℉(163℃), 40psi(276kPa)에서 15초간 적층시킨 다음 적층기로부터 회수하였다. 이어서, 느슨한 비드를 털어내었다. 상기 인용된 특허 공보에서 교시하는 바와 같이, 비드 표면이 흐릿한 회색에서 흰 은색으로 변할 때까지 표본을 0.5M NaOH 용액에 넣고 온화한 조건으로 진탕시켜, 비드의 노출된 표면 상의 알루미늄을 제거하였는데, 이 과정은 2분이 소요되었다. 마무리된 샘플은 RA가 약 300이었다.
실시예 3
1774W 폴리에틸렌 메디칼 폼 테이프(3M사 제품)을 폼쪽을 위로 하여 적층기 압반에 올려놓았다. Scotchlite(상표명) 5721 실버 인쇄 전사 필름(3M 제품) 조각을 폼에 대해 비드 쪽으로 폼 위에 놓았다. 샘플을 300℉(149℃), 40psi(276kPa)에서 60초간 적층시켰다. 인쇄 전사 필름의 기재를 24시간 후에 벗겨내었다. 마무리된 샘플은 RA가 대략 500이었다.
실시예 4
Volara(상표명) 5 TS 폼(두께 0.79mm) 한 조각 및 Volara 12EO 폼(두께 0.51mm) 한 조각(둘 다 미국 마이애미주 로렌스 소재 Voltek Corp.의 제품임)을 이면지(paper liner)(폴리에틸렌 CIS "MAL 그레이드" 종이(미국 뉴욕주 풀라스키 소재의 Felix Schoeller Technical Papers, Inc. 제품))에 양면코팅 접착 테이프(F9465C 전사 필름(3M))를 이용하여 부착시켰다. 이 폼은 독립-기포 가교 폴리올레핀 폼이다. 반-알루미늄 도금 유리 비드(3M, #145 Reflective Glass Element)를 폼 표면에 붓고, 샘플을 325℉(163℃), 40psi(276kPa)에서 15초간 적층시켰다. 초기 휘도 및 마모후 휘도를 시험하였다. 12EO 폼에 대한 시험은 1500 주기 후 종결되었다. 하기 표 B는 휘도 시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폼 배킹을 실시예 3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인쇄 전사 필름에 적층시켰다. 마모 전후 휘도를 시험하였다. 하기 표 C는 휘도 시험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실시예 6
실리콘 이형지 조각을 적층기의 압반에 올려놓았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유리 비드를 상기 이형지에 부었다.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특허 제6,017,219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감압 접착제 코팅된 섬유상 통기성 부직포 테이프 배킹 조각을 비드 상에 섬유쪽을 아래로 하여 배치하였다. 샘플을 350℉(177℃), 40psi(276kPa)에서 60초간 적층시켰다. 느슨한 비드를 털어내었다.
마무리된 샘플은 RA가 약 90이었다. 비드들이 테이프 기재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문지르거나, 휘거나 또는 손톱으로 긁어서 제거하기는 어려웠다. 상기 테이프 샘플을 도보로 약 5킬로 동안 피부에 부착하였다. 샘플은 착용감이 좋았고, 제자리에 유지되었고, 제거하기 쉬웠다. 또한, 샘플을 의복에 부착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마모 전후 휘도를 시험하였다. 하기 표 D는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샘플의 휘도 시험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실시예 7
실리콘 이형지 조각을 적층기의 압반에 올려놓았다. 실시예 2에서 사용된 것들과 같은 완전 알루미늄 도금 유리 비드를 상기 이형지에 부었다. 실시예 6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테이프를 비드상에 섬유쪽을 아래로 하여 배치하였다. 샘플을 325℉(163℃), 40psi(276kPa)에서 40초간 적층시켰다. 느슨한 비드를 털어내었다. 비드 표면이 흐릿한 회색에서 흰 은색으로 변할 때까지 표본을 1.0M NaOH 용액에 넣고 온화한 조건으로 진탕시켜, 비드의 노출된 표면 상의 알루미늄을 제거하였는데, 이 과정은 2분이 소요되었다. 마무리된 샘플은 RA가 약 300이었다.
마모 전후의 휘도를 시험하였다. 하기 표 E는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샘플의휘도 시험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마모 주기의 수 RA
0 주기 (초기 휘도) 293
750 244
1500 236
2250 233
3000 224
3750 223
4500 218
5250 214
다수의 실행 및 실시태양을 기술하였다. 예를 들어, 일회용 역반사 감압 접착제 테이프는 인체 피부에 안전하고 편안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또한, 접착제 테이프 또는 기타 응용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역반사 폼 배킹을 기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기타 실행 및 실시태양은 하기 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33)

  1. 감압성 접착제로 코팅된 접착면 및 비-접착면을 포함하는 테이프; 및
    상기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용융되는 역반사 비드의 층
    을 포함하는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인간의 피부에 편안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의료용 테이프인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의 층이 상기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적층되는 것인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폼 배킹(foam backing)을 갖는 의료용 테이프인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부직 배킹을 갖는 의료용 테이프인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약 750일 때 초기 반사 휘도의 70% 보다 큰 것인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약 750일 때 초기 반사 휘도의 90% 보다 큰 것인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5000보다 클 때 초기 반사 휘도의 90% 보다 큰 것인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의 층이 추가의 접착제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프의 비-접착면 상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것인 물품.
  10.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폼 배킹; 및
    상기 폼 배킹의 제1면에 용용되는 역반사 비드의 층
    을 포함하는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용용되는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약 750일 때 초기 반사 휘도의 70% 보다 큰 것인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용용되는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약 750일 때 초기 반사 휘도의 90% 보다 큰 것인 물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용용되는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5000 보다 클 때 초기 반사 휘도의 90% 보다 큰 것인 물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의 층이 추가의 접착제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폼 배킹의 제1면 상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것인 물품.
  15. 감암성 접착제 테이프의 비-접착면을 역반사 비드로 덮는 단계; 및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역반사 비드를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용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유리 비드를 포함하고, 각 유리비드가 유리 비드 표면적의 약 절반에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것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가 완전히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 비드이고, 상기 방법이 역반사 비드의 노출면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에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및 압력을 가하는 단계가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역반사 비드를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폼 배킹의 제1면을 역반사 비드로 덮는 단계; 및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역반사 비드를 상기 폼 배킹의 제1면에 용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유리 비드를 포함하고, 각 유리 비드가 유리 비드의 표면적의 약 절반에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것인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비드가 완전히 알루미늄 코팅된 유리 비드이고, 상기 방법이 역반사 비드의 노출면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에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및 압력을 가하는 단계가 폼 배킹의 제1면에 역반사 비드를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폼 배킹;
    제1면을 덮는 감압성 접착제 재료; 및
    제2면에 용융된 역반사 비드의 층
    을 포함하는 물품.
  24. 제23항에 있어서,
    폼 배킹의 제1면을 감압성 접착제 재료로 코팅하는 단계;
    폼 배킹의 제2면을 역반사 비드로 덮는 단계; 및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역반사 비드를 폼 배킹의 제2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열 및 압력을 가하는 단계가 폼 배킹의 제2면에 역반사 비드를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26. 제23항에 있어서,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약 750일 때 초기 반사 휘도의 70 퍼센트 보다 큰 것인 물품.
  27. 제23항에 있어서,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약 750일 때 초기 반사 휘도의 90 퍼센트 보다 큰 것인 물품.
  28. 제23항에 있어서, 역반사 비드의 층이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여기서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5000 보다 클 때 초기 반사 휘도의 90 퍼센트 보다 큰 것인 물품.
  29. 제23항에 있어서, 역반사 비드 층의 층이 접착제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폼 배킹의 제1면 상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것인 물품.
  30. 제23항에 있어서, 폼 배킹이 독립-기포(closed-cell) 가교 폼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31. 감압성 접착제로 코팅된 접착면 및 비-접착면을 포함하는, 인간의 피부에 편한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의료용 테이프; 및
    접착제 또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의료용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적층된 역반사 비드의 층으로서, 마모 주기를 거치기 전의 초기 반사 휘도 및 다수의 마모 주기를 거친 후의 최종 반사 휘도를 나타내고, 상기 최종 반사 휘도는 마모 주기의 수가 약 750일 때 초기 반사 휘도의 70 퍼센트 보다 큰 것인 역반사 비드의 층
    을 포함하는 물품.
  32. 제31항에 있어서, 의료용 테이프가 폼 배킹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33. 제31항에 있어서, 마모 주기의 수가 5000 보다 클 때 최종 반사 휘도가 초기 반사 휘도의 90 퍼센트 보다 큰 물품.
KR10-2004-7002554A 2001-08-20 2002-07-02 제거가능한 역반사 재료 KR200400369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34,031 US20030039805A1 (en) 2001-08-20 2001-08-20 Removable retroreflective material
US09/934,031 2001-08-20
PCT/US2002/021164 WO2003017236A2 (en) 2001-08-20 2002-07-02 Removable retroreflectiv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917A true KR20040036917A (ko) 2004-05-03

Family

ID=2546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554A KR20040036917A (ko) 2001-08-20 2002-07-02 제거가능한 역반사 재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30039805A1 (ko)
EP (1) EP1425727B1 (ko)
JP (1) JP2005500577A (ko)
KR (1) KR20040036917A (ko)
CN (1) CN1625761A (ko)
AT (1) ATE288116T1 (ko)
AU (1) AU2002316549A2 (ko)
BR (1) BR0212084A (ko)
CA (1) CA2457628A1 (ko)
DE (1) DE60202781T2 (ko)
MX (1) MXPA04001619A (ko)
TW (1) TWI271675B (ko)
WO (1) WO20030172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03810A (en) * 2007-02-02 2008-01-16 wen-xiu Ou Condom with capability of increasing the diameter, hardness and euphoria of the penis
CN102213397B (zh) * 2010-04-08 2014-04-02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导光管及其制造方法
JP6725425B2 (ja) * 2014-04-02 2020-07-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耐摩耗性ミクロスフィア物品
DE102015104898A1 (de) * 2015-03-30 2016-10-06 Fritz Lange Gmbh Hinweisschild mit Antiklebefoli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0861594B2 (en) 2015-10-01 2020-12-08 Dnanudge Limited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CN108639536A (zh) * 2018-05-29 2018-10-12 南京海益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防伪图案的容器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447A (en) * 1895-06-18 Process of reducing zinc slimes
US4102562A (en) * 1976-06-14 1978-07-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transfer sheet material
US4626127A (en) * 1983-04-11 1986-12-02 May David C Elastomeric pavement marker
US4902546A (en) * 1986-04-16 1990-02-20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Transfer metallization laminate
US4745916A (en) * 1987-02-13 1988-05-24 Seber Brett P Sun block and glare reflective tapes and patches
US5120154A (en) * 1989-08-28 1992-06-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fficway conformable polymeric marking sheet
US5202168A (en) * 1990-09-18 1993-04-13 Northrop Corporation Precision retro-reflective target tape
US5110655A (en) * 1990-10-17 1992-05-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high temperature resistant retroreflective marking material
US5207852A (en) * 1991-02-06 1993-05-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permeable retroreflective sheeting
US5128804A (en) * 1991-02-06 1992-07-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ermeable retroreflective sheeting
CA2061708C (en) * 1991-05-08 2002-04-23 Wu-Shyong Li Launderable retroreflective applique with colorant
US5238733A (en) * 1991-09-30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6048611A (en) * 1992-02-03 2000-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solids moisture resistant latex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2094899C (en) * 1992-05-18 2000-04-11 Britton G. Billingsley Non-woven fluorescent retroreflective fabric
US5900978A (en) * 1993-11-17 1999-05-04 Reflective Technology Industries Limited Retroreflective materials
DE69609599T2 (de) * 1995-03-23 2001-04-05 Minnesota Mining & Mfg Retroreflektive auflage
US5674605A (en) * 1995-09-15 1997-10-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transfer sheet and applique
US5620775A (en) * 1995-11-03 1997-04-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w refractive index glass microsphere coated article having a smooth surfa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same
US6017219A (en) * 1997-06-18 2000-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reading and language instruction
GB2339711B (en) * 1998-07-21 2002-07-31 Swintex Fabric reinforced retroreflective assembly
US6103152A (en) * 1998-07-3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les that include a polymer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DE69922849T2 (de) * 1999-06-17 2005-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t. Paul Retroreflektierender gegenstand mit einer farbigen schicht, die reflektierende blättchen und einen kovalent an ein polymer gebundenen farbstoff enthält
US6630531B1 (en) * 2000-02-02 2003-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for bonding to low surface energy surfaces
US6656319B1 (en) * 2000-10-25 2003-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id-activatable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1675B (en) 2007-01-21
EP1425727A2 (en) 2004-06-09
ATE288116T1 (de) 2005-02-15
DE60202781T2 (de) 2006-03-30
MXPA04001619A (es) 2004-07-23
AU2002316549A2 (en) 2003-03-03
US20030039805A1 (en) 2003-02-27
JP2005500577A (ja) 2005-01-06
CA2457628A1 (en) 2003-02-27
BR0212084A (pt) 2004-09-28
WO2003017236A2 (en) 2003-02-27
DE60202781D1 (de) 2005-03-03
CN1625761A (zh) 2005-06-08
WO2003017236A3 (en) 2003-06-19
EP1425727B1 (en)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0036B1 (en) Retroreflective sheeting containing a validation imag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70905C (zh) 用于可重复使用底材的提示扰动的制品
US4367920A (en) Retroflective sheeting
TW520446B (en) Method of mak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and a retroreflective article having an aluminum reflector
JP4464608B2 (ja) 鏡面積層体
EP0939913B1 (en) Rectroreflective sheet
KR20040036917A (ko) 제거가능한 역반사 재료
WO1996029620B1 (en) Retroreflective applique
KR20000048028A (ko) 기재에 다수의 입체유리소자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
JPH08171005A (ja) 光透過性再帰反射シート
EP1489439B1 (en) Method of making a retroreflective sheeting containing a validation image
JP4540330B2 (ja) 再帰反射媒体中間体の製造方法
WO1999034240A1 (en) Self-adhesive retroreflective sheeting
JP3634583B2 (ja) 反射性シート
JPH09327881A (ja) スタンピングホイル等として使用できる高輝性反射転写箔
KR20220074938A (ko) 불연속 결합제-매개 반사 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물품
JP2004252117A (ja) 熱転写用再帰反射媒体中間体とそれを用いた熱転写方法
JP2004252116A (ja) 熱転写用再帰反射媒体とその熱転写方法
JP2003105281A (ja) タックシート
JP2003107224A (ja) 耐ふくれ特性を有する再帰反射シート
JP2003315517A (ja) 再帰性反射材
JPH11305019A (ja) 微小球突出型補強等の被膜付き再帰反射体の製造方法
KR20040096749A (ko) 코너큐브형과 유리구슬에 의한 상호 보완적인재귀반사성을 갖는 반사원단과 이의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JPH09143889A (ja) 夜光性転写捺染材及びその製造法
JP2009544811A (ja) 再帰反射性テープを衣類に付着させ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