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552A - 스프링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링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552A
KR20040034552A KR1020030073501A KR20030073501A KR20040034552A KR 20040034552 A KR20040034552 A KR 20040034552A KR 1020030073501 A KR1020030073501 A KR 1020030073501A KR 20030073501 A KR20030073501 A KR 20030073501A KR 20040034552 A KR20040034552 A KR 2004003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coil
coil spring
annular plate
projectio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482B1 (ko
Inventor
와카모리마사미
후에키토시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4003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1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2Attachments or mountings where coils, e.g. end coils, of the spring are rigidly clamped or similarly fix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09Spring making
    • Y10T29/49611Spring making for vehicle or clu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15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 Y10T29/4992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by flaring inserted cup or tub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조립하기 위한 스프링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환형 플레이트 상에서 테이퍼 형상부를 갖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퍼 형성부의 선단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부분을 포함하는 펀치를 상기 선단부측으로부터 돌기부 내로 삽입시켜 상기 테이퍼 형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부분적인 팽창은 상기 테이퍼 형상부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선단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돌기부의 기부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면을 따라 팽창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프링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Spr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클러치기구에서 다판 클러치 피스톤(multi-plate clutch piston)을 위한 복귀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되는 스프링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스프링 조립체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2개의 환형 플레이트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게 배열된 다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실제 조립시에 있어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가 각 환형 플레이트의 내면 상에 대향하여 형성된 돌기부의 외주변부에 설정된다. 그런다음, 각 돌기부는 코킹(caulking)용 펀치를 사용하여 외측으로 팽창되어, 상기 돌기부의 외주변부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의 내면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가 한쪽 환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공정에서는 코킹용 펀치가 돌기부에 쉽게 도달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비교적 쉽게 코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가 다른 환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공정에서는 코킹용 펀치를 환형 플레이트들 사이의 영역내에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 경우에는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을 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를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에 부착시킬 때, 이전에서와 같이, 통상의 코킹용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돌기부를 코킹시키는 한편,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를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종분할 펀치(longitudinal-dividing punch)와 직경 팽창 핀(diameter-expanding pin)을 사용하여 상기 돌기부를 코킹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특히, 상기 종분할 펀치는 돌기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며, 그 선단부는 팽창 가능한 분할홈을 형성하므로써 분할된다. 상기 직경 팽창 핀은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며, 뽀족한 그 선단부는 상기 종분할 펀치의 분할홈 내로 안내되어, 상기 종분할 펀치의 선단부가 팽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팽창 핀의 뽀족한 선단부가 코킹 작업이 시행될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와 마주하는 동안, 종분할 펀치의 선단부가 이미 코킹된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 상의 돌기부로부터 삽입되어 하강된다. 그 결과, 상기 팽창 핀의 뽀족한 선단부는 상기 분할홈 내로 안내되어 상기 종분할 펀치의 선단부를 확장시키므로써, 상기 돌기부를 외측으로 팽창시켜 코킹할 수 있게 된다 (일본특허 제3288458호 참조).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를 상기 종분할 펀치 및 직경 팽창 핀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코킹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의 조립작업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돌기부를 코킹시킬 때, 상기 돌기부의 전체 주변부는 균일하게 직경팽창되지 않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분할홈에 의해 분할된 종분할 펀치의 선단부에서 부분적으로반 팽창된다. 따라서,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 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의 유지력이 저하되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이 분리될 수도 있으며, 더욱이, 상기 조분할 펀치의 선단부 자체가 상기 분할홈으로부터 분할되기 때문에, 상기 선단부의 강도가 저하되어 부러지거나 마모되기 쉽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환형 플레이트에 대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추가적인 가공공정에 의해 다른 환형 플레이트에 대한 테이퍼부를 형헝하기 위한 단계를 성형하는 도면;
도 3a는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를 코킹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상기 코킹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a는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를 코킹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상기 코킹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a 및 5b는 테이퍼 가공된 돌기부의 다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다른 예의 테이퍼 가공된 돌기부의 코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가 테이퍼 가공된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조립하기 위한 스프링 조립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환형 플레이트 상에서 테이퍼 형상부를 갖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퍼 형성부의 선단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부분을 포함하는 펀치를 상기 선단부측으로부터 돌기부 내로 삽입시켜 상기 테이퍼 형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부분적인 팽창은 상기 테이퍼 형상부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선단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돌기부의 기부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면을 따라 팽창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플레이트는 2개의 환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형성단계는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 상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삽입단계는 환형 플레이트들 중의 어느 하나의 돌기부 내에 펀치를 삽입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 상에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 상에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의 팽창된 돌기부로부터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내로 상기 펀치를 삽입하여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테이퍼 형상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역방향으로 테이퍼 가공된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직각으로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제6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 포립체는 환형 플레이트 및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돌기부는 상기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조립하도록 코킹되고,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반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그 자체가 2중으로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펀치가 돌기부의 테이퍼 형상부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하강될 때, 상기 펀치의 직경부의 작용에 의해 돌기부의 테이퍼 형상부의 선단부가 팽창되게 된다. 동시에, 큰 직경을 가지며 테이퍼 형상부에 이어 형성된 상기 돌기부의 기부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의 전제 원주면을 따라 팽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는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부는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므로써, 최종 단계까지 상기 2개의 환형 플레이트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제조공정이 사용될 펀치를 포함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전체 원주부에 걸쳐 코킹 상태가 실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가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내측방향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역방향으로 테이퍼진 부분 또는 직각으로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이러한 구성은 전체 원주부에 걸쳐 돌기부의 직경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6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직경보다 큰 높이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2중으로 중첩되며, 이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 상에서 큰 지지력을 갖는 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조립체는 2개의 환형 플레이트(1A, 1B), 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1A, 1B)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된 다수의 압축 스프링(2)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두개의 환형 플레이트(1A, 1B) 상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부(4A, 4B)를 팽창시켜, 상기 돌기부(4A, 4B)의 외주변부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1A, 1B)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2a, 2b)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환형 플레이트(1A, 1B)의 마주하는 내측면 상에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반경보다 크게 연장된 실린더 형성의 돌기부(4A, 4B)를 형성하는 경우, 펀칭 공정을 위한 펀치(8)와 다이(die:9)를 사용하여 상기 환형 플레이트(1A, 1B)를 펀칭 가공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3)을 형성한다. 그 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8)보다 약간 큰 펀치(10)를 사용하는 버어링 공정(burring process)에 의해 마주하는 환형 플레이트(1A, 1B)를 향해 돌출되는 원통형의 평행한 돌기부(4A, 4B)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계에서는 상기 2개의 환형 플레이트(1A, 1B)에 동일한 공정이 적용되므로, 상기 환형 플레이트(1A, 1B)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므로써 경제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1A)가 원래 상태로 사용되는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징(squeezing)용 펀치(11)를 사용하는 부가적인 공정에 의해 상기 돌기부(4B)의 선단부에 테이퍼 형상부(5)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직경까지 평행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테이퍼 형상부(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가 절삭된 경우에는 상기 돌기부(4B)의 높이를 상기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반경보다 낮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하에서, 상기 2개의 환형 플레이트(1A, 1B)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2)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2a)를 한쪽 환형 플레이트(1A) 상에 장착해야 한다. 이 경우, 상술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2a)는 단순히 팽행한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돌기부(4a)의 외주변부 상에 배치된다. 그런다음, 상기 돌기부(4A)는 그 내경부도 큰 직경(D2)을 갖는 펀치(12)를 사용하여 외측으로 팽창되므로써,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2a)의 전체 원주부가 상기 돌기부(4A)의 외주변부와 환형 플레이트(1)의 내면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이 때, D1 〉D2의 관계를 만족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2b)가 다른 환형 플레이트(1B) 상에 장착되며, 이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2b)가 테이퍼 가공된 돌기부(4B)의 외주변부 상에 배치된다. 그 후, 상기 돌기부(4B)의 테이퍼 형상부(5)의 내경(D3) 보다 큰직경(D4)을 갖는 펀치(13)가 이미 코킹된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1A)의 돌기부(4A)로부터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1B)의 돌기부(4B)를 향해 삽입되어 하강되므로써, 상기 돌기부(4B)의 테이퍼 형상부(5)가 점차 팽창된다. 상기 테이퍼 형상부(5)의 팽창은 상기 테이퍼 형상부(5)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 형상부(5)를 외측으로 계속 연장시키는 기부의 팽창을 수반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2b)는 상기 돌기부(4B)의 외주변부와 환형 플레이트(1B)의 내면에 의해 단순히 끼워지게 되며, 따라서, 이 경우, D3 〉D4 〉D1의 관계를 만족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코킹 상태에서는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1A) 뿐만 아니라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1B)에서도 상기 돌기부의 전체 주변부가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의 표면을 따라 팽창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제조방법과 비교하여, 특히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1B) 상에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2)의 지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장업이 훨신 간편해 진다.
또한, 상술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4B)는 다른 환형 플레이트(1B)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직경과 동일한 높이가지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테이퍼 형상부(5)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그러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 내측 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역방향으로 테이퍼 가공된 부분(6)을 가질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직각으로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부분(7)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도 동일한 코킹 상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4B)는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직경보다 큰 높이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이중으로 중첩되게 되며, 이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 상에서 강한 지지력을 갖는 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조립체가 설명된다. 상술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1B)에 대해서만 부가적으로 공정으로써 상기 돌기부(4B)의 선단부에 테이퍼 형상부(5)가 형성되는 반면, 제2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 형상부(5)가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1B) 뿐만 아니라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1A)의 돌기부(4A)의 선단부에도 형성된다. 따라서, 마지막 공정까지, 상기 2개의 환형 플레이트(1A, 1B)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제2실시예가 더 경제적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실제 코킹작업에 있어서, 비록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2a)가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1A)의 돌기부(4A)상에 배치되고, 그런 다음, 상기 테이퍼 형상부(5)의 내경(D3)보다 큰 직경(D4)을 갖는 펀치(13)가 테이퍼 형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돌기부(4A)의 테이퍼 형상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4A)를 팽창시킨다. 한편,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다른 단부는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1B)의 돌기부(1B)상에 배치된다. 그런다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 형상부(5)의 내경(D3) 보다 큰 직경(D4)을 갖는 동일한 펀치(13)가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1A)의 팽창된 돌기부(4A)를 통해 상기 돌기부(4B)의 테이퍼 형상부(5) 내로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4B)를 팽창시킨다. 그 결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2a)와 다른쪽 단부(2b)가 상기 돌기부(4A, 4B)의 외주변부와 상기 환형 플레이트(1A, 1B)의 내면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이, 이 경우, 상기 구부러진 단부(2a, 2b)의 전체 원주부가 코킹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2a, 2b)는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부(5a)는 각 돌기부(4A, 4B)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방향으로 테이퍼진 부분(6) 또는 직각으로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부분(7)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4A, 4B)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을 가지며, 그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테이퍼 형상부(5, 6, 7)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된 구조를 채용하므로써, 상기 펀치가 돌기부의 테이퍼 형상부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하강될 때, 상기 펀치의 직경부의 작용에 의해 돌기부의 테이퍼 형상부의 선단부가 팽창되게 된다. 동시에, 큰 직경을 가지며 테이퍼 형상부에 이어 형성된 상기 돌기부의 기부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의 전제 원주면을 따라 팽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는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 형상부는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므로써, 최종 단계까지 2개의 환형 플레이트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제조공정이 사용될 펀치를 포함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전체 원주부에 걸쳐 코킹 상태가 실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가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직경보다 큰 높이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2중으로 중첩되며, 이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 상에서 큰 지지력을 갖는 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9)

  1.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조립하기 위한 스프링 조립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환형 플레이트 상에서 테이퍼 형상부를 갖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퍼 형성부의 선단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부분을 포함하는 펀치를 상기 선단부측으로부터 돌기부 내로 삽입시켜 상기 테이퍼 형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부분적인 팽창은 상기 테이퍼 형상부에 이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 형상부의 선단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돌기부의 기부를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면을 따라 팽창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플레이트는 2개의 환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형성단계는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 상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삽입단계는 환형 플레이트들 중의 어느 하나의 돌기부 내에 펀치를 삽입시키는 단계이며, 또한,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 상에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한쪽 단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 상에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다른단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한쪽 환형 플레이트의 팽창된 돌기부로부터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내로 상기 펀치를 삽입하여 상기 다른 환형 플레이트의 돌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테이퍼 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들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들의 와이어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테이퍼 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역방향으로 테이퍼 가공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들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들의 와이어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역방향으로 테이퍼 가공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직각으로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들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들의 와이어 직경과 동일한 높이까지는 평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직각으로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9. 환형 플레이트; 및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돌기부는 상기 환형 플레이트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조립하도록 코킹되며, 상기 돌기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의 와이어 반경을 초과하는 높이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그 자체가 2중으로 겹쳐지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조립체.
KR1020030073501A 2002-10-21 2003-10-21 스프링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91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5315 2002-10-21
JPJP-P-2002-00305315 2002-10-21
JP2003190077A JP3926773B2 (ja) 2002-10-21 2003-07-02 ばね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3-00190077 2003-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52A true KR20040034552A (ko) 2004-04-28
KR100691482B1 KR100691482B1 (ko) 2007-03-09

Family

ID=3209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501A KR100691482B1 (ko) 2002-10-21 2003-10-21 스프링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4157B2 (ko)
EP (1) EP1416186B1 (ko)
JP (1) JP3926773B2 (ko)
KR (1) KR100691482B1 (ko)
CN (1) CN100424377C (ko)
DE (1) DE60303724T2 (ko)
MX (1) MXPA03009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7828A (zh) * 2020-07-07 2020-11-20 四川丰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踏步管梁支架成型模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7374B2 (ja) * 2003-07-02 2008-04-1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ばね組立体の製造方法
JP4077375B2 (ja) 2003-07-02 2008-04-1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ばね組立体の製造方法
JP5361196B2 (ja) * 2008-01-22 2013-12-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金属板材へのコイルスプリング固定方法
DE102008009815B4 (de) * 2008-02-19 2016-09-29 Robert Bosch Gmbh Rückzugkugel für eine hydrostatische Kolbenmaschine und System aus einer solchen Rückzugskugel und aus einer Vielzahl von Federn
JP5448184B2 (ja) 2009-06-18 2014-03-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ばね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CN102166608B (zh) * 2010-12-28 2012-08-22 扬州核威碟形弹簧制造有限公司 一种加工iii组碟簧的方法
JP5765732B2 (ja) * 2011-05-09 2015-08-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ばね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JP5246297B2 (ja) * 2011-05-16 2013-07-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組み付け構造、スプリング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組み付け方法
JP5203494B2 (ja) 2011-10-18 2013-06-0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ばねシート部材及びこれを具備するばね組立て体
US9074642B2 (en) * 2012-10-24 2015-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filler for a transmission
DE102013101109B4 (de) * 2013-02-05 2022-12-29 Viega Technology Gmbh & Co. Kg System und Setzwerkzeug zum Befestigen eines Einpressstutzens an einem Rohr
WO2017204098A1 (ja) * 2016-05-25 2017-11-3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バネ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2949A (en) * 1945-04-21 1947-12-16 Douglas Aircraft Co Inc Rivet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3122829A (en) * 1960-09-13 1964-03-03 Gen Motors Corp Method of assembling a coil spring seat cushion
US3866287A (en) * 1971-12-01 1975-02-18 Kuhlman Corp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spring assemblies
US4371154A (en) * 1980-12-31 1983-02-01 Kuhlman Corporation Spr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S61123460A (ja) 1984-10-23 1986-06-11 Tohoku Metal Ind Ltd 溶解成型方法
US4756071A (en) * 1986-07-29 1988-07-12 Chuohhatsujo Kogy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pring assemblies
JPH032934A (ja) 1989-05-30 1991-01-09 Kyushu Nippon Denki Software Kk I/oポートアクセスを利用したプロセス間通信方式
JPH032934U (ko) * 1989-06-01 1991-01-11
EP0539955B1 (en) * 1991-10-30 1998-02-18 Togo Seisakusho Corporation Spring assembly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automotive vehicle and the like
JPH06159418A (ja) 1992-11-20 1994-06-07 Chuo Hatsujo Kogyo Kk スプリング組立体の製造方法
JP3288458B2 (ja) 1993-01-28 2002-06-04 マツダ株式会社 ミッションリテーナー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10311357A (ja) 1997-05-13 1998-11-24 Chuo Hatsujo Kogyo Kk スプリング組立て体
DE29716899U1 (de) * 1997-09-22 1997-11-27 Avdel Verbindungselemente Dornbruchblindniet und Vorrichtung zu seiner Verarbeitung
JP4447188B2 (ja) 2001-07-11 2010-04-07 中央発条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ングの取付方法
JP4077375B2 (ja) * 2003-07-02 2008-04-1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ばね組立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7828A (zh) * 2020-07-07 2020-11-20 四川丰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踏步管梁支架成型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03724D1 (de) 2006-04-27
CN100424377C (zh) 2008-10-08
CN1497199A (zh) 2004-05-19
EP1416186B1 (en) 2006-03-01
US7374157B2 (en) 2008-05-20
US20040107560A1 (en) 2004-06-10
MXPA03009636A (es) 2005-04-19
JP3926773B2 (ja) 2007-06-06
EP1416186A2 (en) 2004-05-06
DE60303724T2 (de) 2006-08-10
KR100691482B1 (ko) 2007-03-09
JP2004197932A (ja) 2004-07-15
EP1416186A3 (en)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768B1 (ko) 스프링 조립체 제조방법
KR20040034552A (ko) 스프링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57228A1 (en) Locking ring
JP4077374B2 (ja) ばね組立体の製造方法
KR20000035245A (ko) 크랭크 샤프트 연결요소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42901A (ko) 열교환핀과 이 열교환핀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펀치세트
JP3288458B2 (ja) ミッションリテーナー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GB2066412A (en) Punch Press Assembly Including a Preloaded Encapsulated Sp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447188B2 (ja) スプリングの取付方法
JP6549795B2 (ja) バネ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044978A1 (ja) ばね組立体およびそのばね組立体の製造方法
CA1151062A (en) Punch press assembly including a preloaded encapsulated sp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321772Y2 (ko)
JPH0523895Y2 (ko)
GB2385107A (en) Folded element with ignition timing markings
JP4040187B2 (ja) 板材への突軸形成方法
JPH0139501B2 (ko)
JPH0381043A (ja) 自在継手用外輪の製造方法
JPS62147137A (ja) スプリング組立体の製造方法
JPS62171536A (ja) スプリング組立体の製造方法
JPS59145376A (ja) ポンプ、モ−タのピストンとドライブシヤフトとの連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71535A (ja) スプリング組立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