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535A -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535A
KR20040028535A KR1020030067134A KR20030067134A KR20040028535A KR 20040028535 A KR20040028535 A KR 20040028535A KR 1020030067134 A KR1020030067134 A KR 1020030067134A KR 20030067134 A KR20030067134 A KR 20030067134A KR 20040028535 A KR20040028535 A KR 2004002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tension
movable portion
guideway
compress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7882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리터
Original Assignee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2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01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conveying reciprocating or limited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32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 Y10T74/1884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with pull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부분, 그리고 선회축(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된 이동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로프를 갖는 구동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로프는 이동가능한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로프 드럼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인장/압축 로드(11)를 가지며,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한 단부(12)는 선회축(3)과 간격을 두고 이동가능한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2 단부(14)는 선회축(3)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뻗는 가이드웨이를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분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2 단부(10)는 제 1 로프(13)로부터 가이드웨이의 제 1 단부에까지 당겨지고, 그리고 제 2 로프(14)로부터 가이드웨이의 제 2 단부에까지 당겨질 수 있다.

Description

작동장치{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베이스 부분,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된 이동가능한 부분, 그리고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로프 드럼(rope drum)에 감겨질 수 있는 로프(rope)를 갖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작동 장치는 자동차 영역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은 플랩이며, 상기 플랩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로프 장치에 의해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힘에 반하여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상기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전단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액티브한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일 때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액티브하게 제어될 수 있는, 전제부에 제시한 방식의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후부에 있는 작동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의 옆문 영역에 있는 작동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 슬라이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자동차 후부2 테일게이트
3 선회축4 선형 가이드 장치
5 구동 장치6 슬라이딩 가이드웨이
7 개구 에지8 개구
9 가이드 슬라이드10 제 2 단부
11 인장/압축 로드12 제 1 단부
13 제 1 로프14 제 2 로프
15 풀리16 코팅
17 보덴와이어18 코팅
19 보덴와이어20 고정 부재
21 피스톤 로드22 실린더
23, 24 풀리25 옆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 장치가 인장/압축 로드를 가짐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인장/압축 로드의 한 단부는 선회축에 대해 간격을 두고 이동가능한 부분 또는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압축 로드의 제 2 단부는 선회축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뻗는 가이드웨이(guideway)를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분 또는이동가능한 부분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상기 인장/압축 로드의 제 2 단부는 제 1 로프로부터 가이드웨이의 제 1 단부쪽으로, 그리고 제 2 로프로부터 가이드웨이의 제 2 단부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형성에 의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폐쇄 방향 및 개방 방향으로 액티브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이 일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프 및 제 2 로프는 각각 하나의 로프 드럼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로프 드럼은 로프를 감아올리고 풀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인장/압축 로드의 제 2 단부가 두 개의 로프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의 동력학적인 구동에 의해서 각각의 로프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 로프가 움직이면 다른 로프가 멈추게 되는데, 이때 한 로프가 감겨지는 만큼 다른 로프가 풀어짐으로써 폐쇄 운동 및 개방 운동이 매우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두 개의 로프가 하나의 공통 로프 드럼으로 가이드되어서 가역성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로프 드럼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고 풀어질 수 있을 경우에 필요한 부품 및 공간 소비가 감소된다.
한 로프가 소정량 만큼 감겨지면 동시에 다른 로프가 이와 동일한 양 만큼 풀어지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된다. 이로 인해 이동가능한 부분의 개방 운동 및 폐쇄 운동이 매우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하나 또는 두 개의 로프 드럼은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로프 드럼이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 장치의 기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을 경우에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 장치에는 비교적 적은 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 장치는, 제 1 로프 및/또는 제 2 로프가 풀리(pulley)를 통과해서 로프 드럼까지 가이드될 때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로프 및/또는 제 2 로프가 도르래 방식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풀리를 돌아서 로프 드럼까지 가이드될 경우에는 필요한 인장력이 한 번 또는 여러 번 분할된다.
상기 제 1 로프 및/또는 제 2 로프는 보덴와이어(bowden wire)의 중심부를 형성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가이드웨이는 모든 형태의 연장부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웨이의 진로에 상응하여 비선형적(unlinear)으로 진행되는 조절운동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웨이는 거의 선형적인 가이드웨이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인장/압축 로드의 제 2 단부가, 슬라이딩 가이드웨이(sliding guideway) 내에서 가이드웨이를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 가이드 슬라이드(guide slide)에 배치될 경우에 조정운동이 쉬워지고 조정력이 적게 요구된다.
작동 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센서에 의해 이동가능한 부분과베이스 부분 간의 상대적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간단한 디자인일 경우에는 상기 센서가 회전 위치 센서이고, 상기 회전 위치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이동가능한 부분의 선회축에 대해 동축방향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회전 위치 센서에 의해 이동가능한 부분의 선회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위치 센서에 의해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회전 위치 센서가 하나 또는 두 개의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회전 위치 센서 대신에 선형 위치 센서일 수도 있으며, 상기 선형 위치 센서에 의해 인장/압축 로드의 제 2 단부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모든 방식의 위치 센서가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센서가 전위차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 드럼이 구동 장치의 클러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을 경우에는 구동 장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일 때 이동가능한 부분이 수동으로도 이동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클러치가 구동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러치가 전자기적 클러치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클러치가 전력 공급 중단 상태일 때 개방되고 전력 공급 상태일 때 폐쇄되면, 구동 장치에 전력 공급이 중단된 상태이거나 전원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로프 드럼이 경우에 따라서 기어에 의해 구동 모터로부터 분리된다.
클러치에 전력이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가 작동되지않은 상태일 때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 장치, 특히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가 자동으로 정지되면, 상기 구동 장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일 때 로프 드럼 및 경우에 따라서는 기어가 차단되므로 두 개의 로프 중 어떤 것도 풀어질 수가 없다. 따라서 인장/압축 로드의 제 2 단부 및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 슬라이드와 이동가능한 부분이 특정 위치에서 차단된다.
상기 베이스 부분과 이동가능한 부분 사이에 에너지 저장 장치가 배치될 경우에는 평형에 의해 이동가능한 부분의 위치 변동을 위한 작동력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분과 이동가능한 부분 사이에는 고정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고정력에 의해 현재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작동하게 되면서 현재 위치에서 고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수동으로 작동될 때 작동 장치의 기능은 특별한 제한없이 유지된다. 간단한 디자인일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고정 부재가 피스톤-실린더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피스톤은 이동가능한 부분과 연결되고 실린더는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피스톤은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고 실린더는 이동가능한 부분과 연결된다.
여기서 베이스 부분이 차체 부분이고 이동가능한 부분이 예컨대 자동차의 프론트 보닛(front bonnet), 테일게이트(tailgate) 또는 옆문과 같은 플랩(flap)일 경우에 작동 장치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즉
도 1에는 자동차의 후부(1)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자동차의 측면이 도시된다. 상기 자동차의 개구(8)는 테일게이트(2) 또는 옆문(25)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일게이트(2) 또는 옆문(25)은 수평 선회축(3)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형 가이드 장치(4) 및 구동 장치(5)는 도 1에서는 차체의 측벽에 배치되고 도 2에서는 옆문(25)에 배치된다.
상기 선형 가이드 장치(4)는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는 도 1에서 측면 개구 에지(7) 및 폐쇄될 개구(8)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 내에 가이드 슬라이드(9)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2 단부(10)는 가이드 슬라이드(9)에 연결되는 반면, 선회축(3)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뻗는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1 단부(12)는 선회축(3)과 간격을 두고 테일게이트(2)에 연결된다.
제 1 로프(13) 및 제 2 로프(14)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슬라이드(9)에 고정된다. 상기 로프(13 및 14)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를 따라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별 단부에 이르기까지 가이드 슬라이드(9)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상기 제 1 로프(13)는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의 상부 단부에서 풀리(15)를돌아서 가이드되고 180°만큼 편향되어서, 가요성 코팅(16)을 갖는 보덴와이어(17)의 중심부를 형성하며, 상기 보덴와이어(17)는 구동 장치(5) 쪽으로 가이드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16)의 단부가 선형 가이드 장치(4) 및 구동 장치(5)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제 2 로프(14)는 가요성 코팅(18)을 갖는 보덴와이어(19)의 중심부로서 구동 장치(5)쪽으로 가이드되며, 상기 코팅(18)의 단부는 마찬가지로 선형 가이드 장치(4) 및 구동 장치(5)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구동 장치(5)쪽으로 가이드된 로프(13 및 14)의 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공통의 로프 드럼에 감겨지고 풀어질 수 있으며, 상기 로프 드럼은 기어 및 전자기적 클러치에 의해 가역성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로프 드럼, 기어, 클러치 및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는 구동 장치(5)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지만 도면에서는 볼 수 없다.
도 2에서는 선형 가이드 장치(4)가 옆문(25)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는 상기 옆문(25)의 선회축(3)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뻗는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 가이드 슬라이드(9)에는 옆문(25)의 개별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간격 내에서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1 단부(12)가 연결되며,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2 단부는 선회축(3)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개구(8)의 수평 상부 에지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로프 및 제 2 로프(13 및 14)는 도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 장치(5)쪽으로 가이드된다.
피스톤-실린더 장치로 형성된 고정 부재(20)는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의 연장부에 대해 평행하게 선형 가이드 장치(4)에 배치되며, 실린더(22) 밖으로 돌출한 피스톤 로드(21)는 그것의 자유 단부에 의해 선회축(3)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개구(8)의 수평 상부 에지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21)의 자유 단부와 대향하는 실린더(22)의 단부는 선형 가이드 장치(4)에 연결된다.
옆문(25)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어서 클러치가 폐쇄되기 때문에, 로프 드럼이 그것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두 개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의 단부 영역에 배치된 가이드 슬라이드(9)가 제 1 로프(13)로부터 가이드웨이(6)의 다른 단부 영역에 이르기까지 당겨지며, 이때 상기 제 1 로프(13)가 로프 드럼에 감겨지고 감겨진 만큼 제 2 로프(14)가 로프 드럼으로부터 풀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에 의해 옆문(25)이 좀 더 열리게 된다.
상기 옆문(25)은 로프 드럼이 역회전 방향일 때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폐쇄된다.
테일게이트(2)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서 도 1의 클러치가 폐쇄된 상태로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테일게이트(2)가 자동 정지 방식으로 실행된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에 의해 현재 위치에 고정된다.
도 2에서는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클러치의 개방도 실행된다. 따라서 옆문(25)의 현재 위치가 고정 부재(20)에 의해 확실히 유지된다.
도 3에서는 제 1 로프 및 제 2 로프(13 및 14)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의 단부에서 선형 가이드 장치(4)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로프(13 및 14)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의 단부로부터 가이드 슬라이드(9)쪽으로 가이드되어서, 상기 가이드 슬라이드(9)의 풀리(23 및 24)를 돌아서 각각 가이드되고 180°만큼 편향된다. 또한 상기 로프(13 및 14)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보덴와이어(17 및 19)를 통과해서 구동 장치(5)로까지 뻗는다.
상기 로프(13 및 14)가 이와 같이 도르래 방식으로 가이드됨으로써 로프(13 및 14)에 제공되는 인장력이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한 구조일 때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액티브하게 제어될 수 있는, 전제부에 제시한 방식의 작동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5)

  1. 베이스 부분,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이동가능한 부분, 그리고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로프 드럼에 감겨질 수 있는 로프를 갖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인장/압축 로드(11)를 가지며,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한 단부(12)는 상기 선회축(3)과 간격을 두고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 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2 단부(10)는 상기 선회축(3)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뻗는 가이드웨이를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분 또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2 단부(10)가 제 1 로프(13)로부터 상기 가이드웨이어의 제 1 단부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제 2 로프(14)로부터 가이드웨이의 제 2 단부에 이르기까지 당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로프 드럼이 상기 제 1 로프 및 제 2 로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로프 및 제 2 로프가 상기 로프 드럼에 감겨지고 상기 로프 드럼으로부터 풀어질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로프(13, 14)가 공통의 로프 드럼으로 가이드되고 가역성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로프 드럼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질 수 있고 상기 로프 드럼으로부터 풀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두 개의 로프 드럼이 전기 모터 방식의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로프 드럼이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 장치의 기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프 및/또는 제 2 로프(13, 14)가 풀리(15)를 통과해서 상기 로프 드럼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프 및/또는 제 2 로프(13, 14)가 하나 또는 다수의 풀리(23, 24)를 중심으로 도르래 방식으로 상기 로프 드럼까지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프 및/또는 제 2 로프(13, 14)가 보덴와이어(17, 19)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웨이가 거의 선형적인 가이드웨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로드(11)의 제 2 단부(10)가 가이드 슬라이드(9)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슬라이드(9)가 슬라이딩 가이드웨이(6) 내에서 상기 가이드웨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 간의 상대적 위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회전 위치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의 선회 위치가 상기 회전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4. 제 4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의 위치가 상기 회전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선형 위치 센서이며, 상기 선형 위치 센서에 의해 상기 인장/압축 로드의 제 2 단부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6. 제 1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전위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드럼이 상기 구동 장치의 클러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전자기적 클러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전력 공급 중단 상태일 때 개방되고 전류 공급 상태일 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 특히 전기 모터형 구동 장치가 자동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과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 사이에 에너지 저장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2.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과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 사이에 고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을 고정력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의 작동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력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4. 제 2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상기 고정 부재(20)가 피스톤-실린더 장치로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피스톤은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22)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은 차체 부분이고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은 자동차의 프론트 보닛, 테일게이트(2) 또는 옆문(25)과 같은 플랩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KR1020030067134A 2002-09-28 2003-09-27 작동장치 KR100597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5458.2 2002-09-28
DE10245458A DE10245458A1 (de) 2002-09-28 2002-09-28 Betätigung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535A true KR20040028535A (ko) 2004-04-03
KR100597882B1 KR100597882B1 (ko) 2006-07-13

Family

ID=3196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134A KR100597882B1 (ko) 2002-09-28 2003-09-27 작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21004B2 (ko)
EP (1) EP1403555A3 (ko)
JP (1) JP4024738B2 (ko)
KR (1) KR100597882B1 (ko)
DE (1) DE102454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6787A (zh) * 2017-10-17 2020-06-05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5131B4 (de) * 2000-12-29 2009-04-09 Hs Products Karosseriesysteme Gmbh Windschild für Motorräder
JP4545374B2 (ja) * 2002-11-27 2010-09-15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開口部のドア開閉システム
FI116095B (fi) * 2003-04-02 2005-09-15 Abloy Oy Järjestely kääntöovilaitteistossa oven aseman tunnistamiseksi
JP4283600B2 (ja) * 2003-05-30 2009-06-2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DE102004007126A1 (de) * 2004-02-12 2005-08-25 Stabilus Gmbh Vorrichtung zum motorischen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Karosserieteils
FR2870310B1 (fr) * 2004-05-17 2007-10-12 Gilbert Muller Boite de vitesse a selection sequentielle par crabotage interieur
DE102004036405A1 (de) * 2004-07-26 2006-03-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Heckklappe
DE102005044579A1 (de) * 2004-10-28 2006-05-04 Stabilus Gmbh Antrieb zum Verschwenken einer an einer Karosserie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Klappe um eine Schwenkachse
EP1672160A3 (de) * 2004-12-17 2006-07-12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5030053B4 (de) * 2005-06-27 2013-05-29 Stabilus Gmbh Antrieb zum Verschwenken einer an eine Karosserie eines Fahrzeugs angeordnete Klappe
DE202005021669U1 (de) 2005-07-08 2009-03-12 Stabilus Gmbh Vorrichtung zum motor- und kraftbetätigten Bewegen einer um eine Schwenkachse schwenkbaren Klappe eines Fahrzeugs
CZ200783A3 (cs) * 2007-01-31 2008-08-13 Škoda Auto a. s. Zapojení elektrického ovládání delené výklopné zádi pro vozidla
JP5294702B2 (ja) * 2007-05-23 2013-09-18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7500711B1 (en) * 2007-08-24 2009-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 door for a passenger vehicle
KR100973480B1 (ko) 2009-10-28 2010-08-03 이복규 자동차의 배면유리를 이용한 실내환기장치
FR3025238B1 (fr) * 2014-08-28 2019-07-12 Faurecia Bloc Avant Ensemble arriere de vehicule pour l'ouverture et la fermeture d'un hayon
GB201514433D0 (en) * 2015-08-14 2015-09-30 Jaguar Land Rover Ltd Power system vehicle doors
DE102015215630A1 (de) 2015-08-17 2017-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m manuellen und/oder elektromotorischen Verstellen oder Feststellen eines ersten Fahrzeugteils und eines zweiten Fahrzeugteils relativ zueinander
DE102015215627A1 (de) 2015-08-17 2017-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m manuellen und/oder elektromotorischen Verstellen oder Feststellen eines ersten Fahrzeugteils und eines zweiten Fahrzeugteils relativ zueinander
DE102015215631A1 (de) 2015-08-17 2017-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m manuellen und/oder elektromotorischen Verstellen oder Feststellen eines ersten Fahrzeugteils und eines zweiten Fahrzeugteils relativ zueinander
DE102016118387A1 (de) 2016-09-28 2018-03-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kinematik
US10465430B2 (en) 2017-07-20 2019-11-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rive device for a vehicle door
DE102021113700A1 (de) 2021-05-27 2022-12-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abdeckungsvorrichtung, Fahrzeug mit einer Radabdeck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61407A1 (de) * 1970-12-14 1972-06-22 Wilhelm Karmann GmbH, 4500 Osnabrück Abstützung einer Front- oder Heckklappe bzw. Hecktür an Kraftfahrzeugen
DE3111633A1 (de) * 1981-03-25 1982-11-18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Stellvorrichtung, insbesondere kombinierte fensterhebe- und zentrale tuerverriegelungsanlage in kraftfahrzeugen
DE3744083A1 (de) * 1987-12-24 1989-07-06 Opel Adam Ag Vorrichtung zum motorischen oeffnen und schliessen schwenkbarer karosserieteile von kraftfahrzeugen
US5448856A (en) * 1994-08-18 1995-09-12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body with powered lift type tailgate
US5563483A (en) * 1995-02-06 1996-10-08 Chrysler Corporation Control function-power operated lift gate
US5588258A (en) * 1995-03-01 1996-12-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operator for pivotable vehicle closure element
EP0839251A1 (de) * 1995-07-20 1998-05-06 Klaus Fischer Vorrichtung zum öffnen eines fensterflügels
US6068327A (en) * 1997-10-21 2000-05-30 Peregrine Incorporated Upwardly folding vehicle door assembly
US5896703A (en) * 1998-06-26 1999-04-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liftgate cable drive
DE19904098A1 (de) * 1999-02-02 2000-08-03 Volkswagen Ag Vorrichtung zum selbsttätigen Öffnen einer Klappe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JP2001115737A (ja) * 1999-10-18 2001-04-24 Koito Mfg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の安全装置
US6398288B1 (en) * 1999-10-29 2002-06-04 Ohi Seisakusho Co., Ltd.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pivoting door
DE10110884B4 (de) * 2000-03-27 2010-01-21 Stabilus Gmbh Betätigungssystem, umfassend ein Kolben-Zylinderaggregat in Kombination mit einer Antriebseinrichtung
ES2198183B1 (es) * 2000-03-27 2005-04-01 Stabilus Gmbh Sistema de maniobra comprendiendo un grupo de piston-cilindro combinado con u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US6367864B2 (en) * 2000-04-18 2002-04-09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having power operated liftgate
JP3807932B2 (ja) * 2000-12-11 2006-08-0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トランクリッドの開閉装置
US20020084675A1 (en) 2000-12-28 2002-07-04 Buchanan Harry Charles Obstacle detection to the rear of a vehicle with a liftgate
DE10119340A1 (de) * 2001-04-20 2002-10-31 Stabilus Gmbh Betätigungssystem für eine Klappe o. dergleichen
JP3719987B2 (ja) * 2002-02-05 2005-11-24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自動開閉装置
EP1354739B1 (en) * 2002-04-19 2006-05-24 Ohi Seisakusho Co., Ltd. Automatic door operating device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6787A (zh) * 2017-10-17 2020-06-05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45458A1 (de) 2004-04-08
US7021004B2 (en) 2006-04-04
EP1403555A3 (de) 2005-04-27
EP1403555A2 (de) 2004-03-31
KR100597882B1 (ko) 2006-07-13
JP4024738B2 (ja) 2007-12-19
US20040159170A1 (en) 2004-08-19
JP2004124701A (ja)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882B1 (ko) 작동장치
JP5514055B2 (ja) 自動車構成部品を固定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US20030089042A1 (en) Coreless motor door closure system
KR20060037454A (ko) 도어 클로저가 제공된 개선된 스윙 도어 장치
US20070199246A1 (en) Window regulator cable drum
US20050217075A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vehicle
JPWO2013031553A1 (ja) 車両用ドア装置
JP2006008121A (ja) 車両用開放式屋根構造
JP5793285B2 (ja) 自動車構成部品を固定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WO2014061637A1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7223402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2011058353A5 (ko)
EP2889445A1 (en) Drive apparatus
US20060151231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shifting movement of a closure element
JP2005139899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WO2003040503A8 (en) Actuator and control for power decklid pulldown
JP2007276551A (ja) 車両用ドア開閉構造
CA2405712C (en) Coreless motor door closure system
JP200721786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7290823B2 (en) Closing unit
JP200820864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20060242909A1 (en) Drive mechanism for the actuation of an opening frame
JP5199790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527161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5006841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