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522A -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522A
KR20040021522A KR1020030044931A KR20030044931A KR20040021522A KR 20040021522 A KR20040021522 A KR 20040021522A KR 1020030044931 A KR1020030044931 A KR 1020030044931A KR 20030044931 A KR20030044931 A KR 20030044931A KR 20040021522 A KR20040021522 A KR 2004002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power
control
detectio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291B1 (ko
Inventor
다께다도모유끼
미야모또가즈끼
미우라시게오
우찌조노다께하루
우시로다까히로
다까따신이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02Handling the output data
    • G06K2215/0005Accepting output data; Preparing data for the controlling system
    • G06K2215/0017Preparing data for the controlling system, e.g. status, memor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서브 CPU는 슬리프 상태일 때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취득 요구에 대해서 대응한다. 또한, 슬리프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 갱신을 제어하기 위한 필요 전력을 서브 CPU를 사용하여 최소로 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잡(job)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린터(복사기, 복합기를 포함)와 컴퓨터를 네트워크 접속한 시스템이 존재한다.
도 16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복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응한다.
도 16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PC(개인용 컴퓨터;103a, 103b)와 복수의 복사기(101a, 101b), 서버(102)를 네트워크 접속한 구성이다. 복사기(복사기(101a, 101b) 모두)는 프린터부(231), 리더부(226), 컨트롤러부(232), DC 전원(2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부(23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와의 교환 및 DC 전원(203)의 온/오프 제어, 리더부(226), 프린터부(231)의 제어를 행한다.
통상, 복사기는 복사 동작, 프린트 동작을 소정 시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슬리프 모드(에너지 절약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PC에 인스톨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사기의 스테이터스(status)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용지없음이 발생한 경우, PC의 표시 스크린 상에서 그 복사기의 스테이터스가 표시 가능해진다. 복사기(101a, 101b)가 슬리프 상태라도, 네트워크에 접속된 PC로부터 프린트 요구가 있다면, 그것을 검지하여 복사기의 DC 전원(203)을 기동하여 복사기 전체를 기동시켜 프린트 출력을 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네트워크에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 예를 들면 복사기가 슬리프 상태일 때, PC로부터 복사기가 수시로 갱신되는 최신 스테이터스를 문의해 온 경우, 복사기 내부의 컨트롤러부(232)는 DC 전원(203)을 기동하여, 엔진 내부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문의한 스테이터스를 검지한다. 스테이터스를 검지하기 위해서, 제어부(232)는 리더부(226), 프린터부(231)와 통신을 행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에 회신하였다.
그 때문에, 슬리프 상태라는 에너지 절약을 달성하고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복사기의 스테이터스를 문의받을 때마다, 복사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복사기의 전원을 항상 통전해 둘 필요가 있어, 이는 최근 에너지 절약에 대하여 상반된다.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프린터내의 엔진의 센서에만 전류가 공급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가 프린터를 공유한다는 조건하에서, 스테이터스 요구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빈번히 요구되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기대될 수 없는 경우도 상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교하여 보다 한층 더 전력 절약화를 실현함과 함께, 사용자가 어떤성가신 동작을 행하거나 자각할 필요없이 외부 장치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요구에 갱신된 스테이터스를 응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각종 센서를 갖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메인 칩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적은 서브 CPU에, 외부 장치로의 스테이터스 응답을 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스테이터스 갱신 시에,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절전되는 스테이터스 갱신에 필요한 전원의 전원 공급을 주기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제어에 따라 갱신된 스테이터스를 외부 장치에 통지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또는, 검지 수단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검지 수단이 스테이터스를 갱신하도록 하고, 전력 제어 모드가 통상 대기 모드인 경우에, 네트워크 접속 수단에 의해 만들어진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에 대한 문의가 있을 때에, 검지 수단이 제1 제어 수단에 의해 검지되기 전에 검지된 스테이터스 정보를 통지하고, 전력 제어 모드가 에너지 절약 모드인 경우에, 네트워크 접속 수단에 의해 만들어진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에 대한 문의가 있을 때에, 갱신 제어 수단에 의해 갱신된 스테이터스 정보를 제2 제어 수단에 의해 통지하고, 제1 및 제2 제어 수단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력 제어 모드가 통상 대기 모드인지 에너지 절약 모드인지에 따라서 제어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복합기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a 및 도 3b로 구성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DCON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컨트롤러와 DCON과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DCON과 센서 A군과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한 DCON과 센서 B군과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로 구성된 도 8은 도 2에 도시한 RCON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한 급지계(paper feed system) 옵션의 I/F 회로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급지계 옵션의 I/F 회로와 센서 B군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제1 제어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제2 제어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제3 제어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제3 제어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각종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의 메모리 맵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DCON
202 : 컨트롤러
203 : DC 전원
204 : AC 입력부
205 : AC 드라이버
206 : FAX-UNIT
207 : LAN-UNIT
208 : 센서 A군
209 : 센서 B군
210 : 센서 C군
211 : 프린터 DC 부하군
212 : 레이저 관련부
213 : 배지 옵션
214 : 급지 옵션
215 : AC 부하군
216 : RCON
217 : 센서 D군
218 : 센서 E군
219 : 센서 F군
220 : 리더 DC 부하군
221 : 화상 센서
222 : 조작부
223 : 전원 스위치(소프트 스위치)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는, 전자 사진 방식이나 잉크제트 방식을 채용한 인쇄 장치(프린터), 팩시밀리, 혹은 프린트 처리, 팩시밀리 처리를 포함하는 복합 화상 처리를 행하는 디지털 복합기가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 디지털 복합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01a와 101b는 디지털 복합기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복합기는 전원(203)으로부터 프린터부(231)와 리더부(226)와 컨트롤러(232)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동작한다.
참조 부호 102는 서버, 참조 부호 103a와 103b는 퍼스널 컴퓨터이고, 근거리 통신망의 이더넷(등록상표)(104)으로, 상기한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더넷(등록상표)(104)을 통하여, 도 1에서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103a, 103b)나 서버(102)에 접속하여, 퍼스널 컴퓨터(103a, 103b)로부터 프린트 잡을 수신하거나, 퍼스널 컴퓨터(103a, 103b)로부터의 스테이터스의 문의에 대하여 스테이터스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스테이터스"란, 현재의 잡의 축적 상황이나 처리 상황, 현재 있는 용지 카세트의 사이즈 설정이나 그 용지 카세트 안에 용지가 있는지, 옵션의 접속 상황, 토너가 있는지 등을 말한다. 또한 디지털 복합기에는 팩시밀리 기능이 있어서 소정의 통신 회선(예를 들면, 전화 회선)을 통하여 외부와 통신 가능하게접속되어 있다.
이 디지털 복합기가 일반적인 복사기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면, 원고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동작에서, 화상 데이터는 CCD 혹은 컨택트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프린팅 동작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대전한 감광체에 잠상 화상을 형성하고, 그 잠상 화상에 현상재인 토너의 화상을 형성하여 그것을 전사지에 전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복합기에는 2개의 대기 모드, 즉 스탠바이 모드와 슬리프 모드가 있다. 이들 모드에서는 복사 동작, 프린트 동작, 팩시밀리 송신 동작, 팩시밀리 수신 동작, 스캐너 동작 및 기타 복합 동작 중 어느 하나도 행해지지 않는다.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상기한 동작은 하지 않지만, 상기한 동작이 곧 개시 가능한 모드이다. 슬리프 모드에서는, 상기한 동작을 하지 않고, 또한 상기한 동작을 곧 개시할 수는 없지만, 스탠바이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이 작은 모드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복합기(101a, 101b)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201은 제어 기판(DCON)으로, 후술하는 컨트롤러(주 제어 기판;202)로부터 인터페이스 I/F-1을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수취하여 프린트 제어를 담당하고, 각종 프린트 제어에 필요한 센서군(208, 209, 210)과 인터페이스 I/F-2, I/F-3, I/F-4를 통해 접속하여, 프린트를 행하기 위한 DC 부하군(211)과 인터페이스 I/F-5를 통해 접속하여, 감광체에 노광을 행하는 레이저 관련부(212)와 인터페이스 I/F-6으로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한다.
또한, DCON(201)은 소트를 행하는 배지(paper delivery) 옵션(213)과 인터페이스 I/F-17로 접속되고, 급지(paper feed)의 카세트 단수를 증설하는 급지 옵션(214)과 인터페이스 I/F-18로 접속되어 각종 정보를 직렬 통신으로 각각 제어한다.
센서는 3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 복사/프린트 동작 중이나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물론, 슬리프 모드에서도 정기적으로 검지를 행하는 센서 A군(208), 복사/프린트 동작 중이나 스탠바이 모드는 물론, 슬리프 모드에서도 센서 A군의 상태에 따라, 검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보다 상세한 검지를 행하기 위한 센서 B군(209), 복사/프린트 동작 중이나 스탠바이 모드에서만 검지를 행하고 슬리프 모드에서는 일체 검지를 행하지 않는 센서 C군(210)으로 나뉘어져 있다.
또한, DCON(201)은 후술하는 AC 드라이버(205)에 인터페이스 I/F-7로 접속하고 있고, AC 드라이버(205) 후에 접속하는 AC 부하군(215)을 제어한다. 이 AC 부하군(215)에는 토너를 발열시켜 융해하여 용지에 정착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히터가 포함된다. DCON(201)으로의 전원 공급에 있어서, 동작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에만 공급되는 전원은 DC 전원(203)으로부터 PW-DC-2를 통하여 행해지고, 슬리프 모드에도 공급되는 전원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인터페이스 I/F-1을 통하여 행해진다.
AC 드라이버(205)는 AC 부하군(215)으로 100V의 AC 전압을 인가한다. 이 경우에, DCON(201)으로부터의 인터페이스 I/F-7을 통한 온/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PW-AC-3을 통하여 트라이액(triac)이나 SSR 등의 스위치 소자를 스위칭함으로써, AC 부하군(215)으로 AC 100V의 통전·비통전을 전환한다.
참조 부호 216은 제어 기판(RCON)으로, 스캐너계를 제어하고, 화상 판독을 행하기 위한 화상 센서나 원고의 용지를 컨트롤하기 위한 센서군(217, 218, 219)과 인터페이스 I/F-12, I/F-13, I/F-14로 접속하여, DC 부하군(220)에 인터페이스 I/F-15로 접속하여, 이들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RCON(216)과 접속되는 센서들도 3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 복사/프린트 동작 중이나 스탠바이 모드는 물론, 슬리프 모드에서도 정기적으로 검지를 행하는 센서 D군(217), 복사/프린트 동작 중이나 스탠바이 모드는 물론, 슬리프모드라도 센서 D군이 변화하였으면, 그 후에 보다 상세한 검지를 행하기 위해서 검지를 행하는 센서 E군(218), 복사/프린트 동작 중이나 스탠바이 모드에서만 검지를 행하고 슬리프 모드에서는 일체 검지를 행하지 않은 센서 F군(219)으로 나뉘어져 있다.
참조 부호 221은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센서로, 그 전기 신호를 소정의 포맷으로 포맷하여, 인터페이스 I/F-16, I/F-9를 통하여 후술하는 컨트롤러(202)에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참조 부호 202는 메인 제어 기판(컨트롤러)으로, 인터페이스 I/F-1로 DCON(201)과 접속하고 있고, 한쪽은 I/F-9로 RCON(216)과 접속하고 있다. 이 접속에 의해 복사 모드에서는 원고의 비디오 데이터가 RCON(216)으로부터 컨트롤러(202)로 보내지고, 그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한 후에, 컨트롤러(202)로부터 DCON(201)으로 보낸다. 이 때, 컨트롤러(202)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거나, 비디오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프린터의 타이밍에 맞추는 등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컨트롤러(202)는 I/F-19를 통해 조작부(222)와 접속하여,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오퍼레이터로 필요한 메시지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 번호 223은 전원 스위치로서, I/F-20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슬리프 모드로의 이행이나 슬리프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로의 복귀에 대한 트리거가 된다.
또한, 컨트롤러(202)는 DC 전원(203)과 인터페이스 I/F-8로 접속하여, PW-DC-1, PW-DC-2, PW-DC-3에 포함되는 일부의 DC 전원 출력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러(202)는 인터페이스 I/F-11을 통하여 FAX-UNIT(206)에 접속하고, FAX-UNIT(206) 후의 전화 회선에 접속하고 있다. 또 컨트롤러(202)는 I/F-10을 통하여 LAN-UNIT(207)에 접속하여, LAN-UNIT(207) 후의 이더넷(등록 상표)에 접속한다. 여기서, LAN-UNIT(207)은 이더넷(등록상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유닛인 것이 상정된다. 무선/유선 쌍방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참조 부호 204는 AC 입력부를 나타내고, 전원 아웃렛으로부터 AC 입력부(204)로 PW-AC-1의 경로를 통해 AC 100V가 입력되고, AC 입력부(204)는 누전을 검지하기 위한 회로나, 노이즈를 제거하는 XCON이나, 그 XCON 등의 방전 저항등의 회로를 통하여, DC 전원(203)과 AC 드라이버(205)에 PW-AC-2의 경로를 통해 AC 100V의 전압을 공급한다. 화상 센서(221)는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센서이다.
도 3a 및 3b은 도 2에 도시한 DCON(2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3a 및 3b에서, P5VB와 P5VC는 각각 5V 전원으로, P5VB는 DC 전원(20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고, 복사/프린트 동작 중과 스탠바이 모드에서 공급된다. 참조 부호 301∼309는 인터페이스 회로(I/F 회로)를 나타낸다.
컨트롤러(202)는 DC 전원(203)을 제어하여 P5VB를 온/오프 한다. P5VC는 인터페이스 I/F-1을 통하여 컨트롤러(2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복사/프린트 동작 중과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항상 온이며, 슬리프 모드에서는 필요할 때만 온으로 한다.
또한, 슬리프 모드에서 필요할 때란, 컨트롤러가 병렬/직렬(P/S) 변환부 Q302 및 직렬/병렬(S/P) 변환부 Q303을 사용하여 센서 A군(208)과 센서 B군(209)의 검지를 행할 때 이다. 또, P5VC는 컨트롤러(20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참조 부호 Q301은 마이크로 컴퓨터로, 내부에 적어도 ROM, RAM을 갖고 있어, 그 ROM에 기입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마이크로 컴퓨터 Q301의 하나의 역할로는, 스테이터스의 감시가 있고, 후술하는 센서 A, B군(208, 209)을 입력 포트로 검지하고, 도어의 개폐나 카세트의 개폐 상태나 용지 사이즈나 용지의 유무를 스테이터스의 일부로서, 컨트롤러(202)(메인 CPU 혹은 서브 CPU로)에 I/F-1의 직렬 통신에 의해 연락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 Q301의 그 밖의 주된 역할은 프린트의 제어이고, 센서 A, B, C군(208, 209, 210)에 접속하는 입력 포트의 상태의 검지와, DC 부하군(211)에 접속하는 출력 포트와 AC 드라이버(205)에 접속하는 출력 포트에서 DC 부하군(211)과 AC 드라이버(205)를 온/오프 제어하여 용지의 반송 제어, 고압 제어, 정착 히터 제어 등을 실행한다.
Q309는 게이트 어레이로, I/F-1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취하고, 레이저 관련부(212)를 I/F 회로(308)와 인터페이스 I/F-3을 통하여 제어하여, 그 레이저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감광체를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광하고, 감광체 상에 대전 상태의 분포로서 잠상 화상을 형성한다. 마이크로 컴퓨터 Q301은 게이트 어레이 Q309가 동작을 하기 위한 설정치를 버스를 통하여 기입한다.
I/F-1로부터의 직렬 통신의 신호로서, 컨트롤러(202)로부터 DCON(201)으로의 직렬 데이터 신호인 SDATA_C2D와, DCON(201)으로부터 컨트롤러(202)로의 직렬 데이터 신호인 SDATA_D2C와, 직렬 데이터의 전송 클럭인 SCLK↓ 신호가 있고, 그 중에 직렬 데이터 신호 SDATA_C2D와 SDATA_D2C는, 슬리프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SLEEP 신호가 로우일 때, SLEEP 신호의 상태에서 접속처를 전환하는 신호 전환 회로 Q304, Q305, Q306, 및 Q308에 의해서 마이크로 컴퓨터 Q301의 직렬 통신 단자에 접속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컨트롤러의 메인 칩 Q701과 통신한다.
이 슬리프 모드 이외일 때의 통신 내용으로는, 커맨드나 스테이터스 등 다양한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 Q301에는 전송 클럭이 접속하지 않고, 전송 클럭의 불필요한 비동기의 통신을 컨트롤러(202) 사이에서 행한다.
다음에, 슬리프 모드에서는 도 2의 SLEEP 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신호 전환 회로 Q304, Q305, Q306, Q307, 및 Q308에 의해, SDATA_D2C, SDATA_C2D, SCLK↓의 신호가 직렬/병렬 변환부 Q303과 병렬/직렬 변환부 Q302에 접속하고 있다. 이 슬리프 모드에서의 통신 내용으로서, 슬리프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다양한 정보의 교환을 할 수 없는 것은 구성 상 분명하다. 이와 같이 슬리프 모드(에너지 절약 모드 중)과, 슬리프 모드가 아닌 경우에서, 스테이터스 등의 정보의 통지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직렬/병렬 변환부 Q303에 LOAD 신호가 접속되어 있고, LOAD 모드에서, 직렬/병렬 변환부 Q303은 내부의 직렬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출력 단자 Q0Q15에 직접 연결한 직렬/병렬 변환부 Q303 내부의 버퍼에 LOAD하고, LOAD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버퍼의 데이터를 유지한다.
직렬/병렬 변환부 Q303 내부의 직렬 레지스터의 데이터는 LSB 우선으로 SCLK↓에 동기하여 직렬/병렬 변환부 Q303의 SO 단자로부터 출력된다. 직렬/병렬 변환부 Q303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MSB에는 클럭에 동기하여 직렬/병렬 변환부 Q303의 SI 단자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컨트롤러로 송신되는 SDATA_D2C의 신호는 직렬/병렬 변환부 Q303의 SO 단자와 슬리프 모드에서 접속된다. 직렬/병렬 변환부 Q303의 SI 단자는 급지 옵션(214)과 슬리프 모드에서 캐스케이드 접속된다.
반대로 병렬/직렬 변환부 Q302는 LOAD 신호가 접속되고 있어, LOAD 모드에서는 입력 단자 D0D15의 데이터를 병렬/직렬 변환부 Q302의 내부의 직렬 레지스터에 LOAD한다. 병렬/직렬 변환부 Q302 내부의 직렬 레지스터의 데이터는 LSB 우선으로 SCLK↓신호에 동기하여 병렬/직렬 변환부 Q302의 SO 단자로부터 출력된다. 병렬/직렬 변환부 Q302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MSB에는 클럭에 동기하여 병렬/직렬 변환부 Q302의 SI 단자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 병렬/직렬 변환부 Q302의 SI 단자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SDATA_C2D의 신호가 슬리프 모드에서 접속된다. 병렬/직렬 변환부 Q302의 SO 단자는 급지 옵션(214)과 슬리프 모드에서 캐스케이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도 3a 및 3b의 구성에 따르면, 도 7의 메인 칩 Q701로부터의 SLEEP 신호의 하이 레벨 지시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 Q301로의 공급 전력이 절약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 Q301 대신에 신호 전환 회로 Q304, Q305, Q306, 및 Q308이 구동되기 때문에, 전력을 절약하면서 컨트롤러(202)와의 스테이터스 등의 정보 통신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이 실현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컨트롤러(202)와 DCON(201)과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C_P_READY는 컨트롤러(202)의 통신 준비가 허용된 것을 DCON(201)이 확인하기 위한 신호이다. P_P_READY는 DCON의 통신 준비가 허용된 것을 컨트롤러(202)가 확인하기 위한 신호이다.
SCLK↓는 직렬 통신의 클럭 신호이다. SDATA_C2D는 직렬 통신의 컨트롤러로부터 DCON(201)으로의 데이터 신호이다. SDATA_D2C는 직렬 통신의 DCON(201)으로부터 컨트롤러(202)로의 데이터 신호이다.
PSTART는 컨트롤러(202)가 DCON(201)에 프린트 개시를 통지하는 것을 허용하는 신호이다. VREQ는 상기 PSTART 신호를 받아 DCON(201)이 컨트롤러에 부주사(sub-scan)의 비디오 데이터 출력 개시를 요구하는 신호이다. VSYNC는 소정 수의 주주사(main scan) 라인 후에, 유효한 주주사 라인의 출력을 개시하는 것을 컨트롤러(202)가 DCON(201)에 통지하는 신호로서, VREQ에 이어지는 신호이다.
HREQ는 주주사마다 DCON(201)이 컨트롤러(202)에 주주사의 비디오 데이터 출력의 개시를 요구하는 신호이다. HSYNC는 소정 수의 전송 클럭 VIDEO_CLK 후에, 유효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컨트롤러가 DCON에 통지하는 신호로서, HREQ에 이어지는 신호이다. VIDEO_CLK는 VIDEO_DATA의 전송 클럭이다.
VIDEO_DATA는 8 비트의 비디오 데이터 신호이다. SLEEP 신호는 슬리프 모드에서 하이가 되는 컨트롤러(202)로부터 DCON(201)에 출력되는 신호이다. LOAD 신호는 직렬/병렬 변환과 병렬/직렬 변환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로드하는 신호임과 동시에, 일부 센서의 급전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P5VC는 컨트롤러(202)로부터 DCON(201)에 공급되는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5V 전원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DCON(201)과 센서 A군(208)과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센서 A군(208)은 도 3a 및 3b에 도시한 메카니컬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는 센서의 그룹이다. 도 3a 및 3b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5에서, SW501은 도어 개폐 검지 스위치로, 정착기 혹은 드럼 카트리지 등의 프로세스계를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경우에 개방할 필요가 있는 도어의 개폐를검지하는 것이다. SW502는 상단 카세트의 개폐 검지를 행하는 카세트 개폐 검지 상단 스위치이다.
참조 부호 SW503은 하단 카세트의 개폐 검지를 행하는 카세트 개폐 검지 하단 스위치이다. 참조 부호 SW504는 배지 옵션의 접속 검지를 행하는 배지 옵션 접속 검지 스위치이다. 참조 부호 SW505는 급지 옵션의 접속 검지를 행하는 급지 옵션 접속 검지 스위치이다. 도 5에서 P5VC는 전원이다.
참조 부호 Q501과 Q502는 PNP 트랜지스터로, 스위치 SW501 내지 스위치 SW505 각각에 공급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참조 부호 R501, R502, R503, R504, 및 R505는 상기 스위치 SW501 내지 스위치 SW505 각각으로 공급하는 전류값을 제한하는 저항기이다.
또한, R-IN0은 SW501의 온/오프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R-IN1는 SW502의 온/오프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R-IN2는 SW503의 온/오프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R-IN3은 SW504의 온/오프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R-IN4는 SW505의 온/오프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SLEEP 신호와 LOAD 신호는 P5VC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I/F 회로(301)에서는 PNP 트랜지스터 Q501과 Q502가 온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스위치 SW501로부터 스위치 SW505의 온/오프 검지가 가능하다.
스위치 SW501 내지 스위치 SW505의 온/오프의 검지를 필요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Q501과 트랜지스터 Q502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스위치 SW501로부터 스위치 SW505로의 전류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DCON(201)과 센서 B군(209)과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센서 B군은 도 3a 및 3b에 도시되어 있는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에 의한 센서 그룹이다.
도 6에서, Q607은 카트리지의 유무를 검지하는 카트리지 검지 센서이다. 참조 부호 Q608, Q609, Q610, 및 Q611은 상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각각 상단 용지 사이즈 0 센서, 상단 용지 사이즈 1 센서, 상단 용지 사이즈 2 센서, 상단 용지 유무 센서이다.
참조 부호 Q612, Q613, Q614, 및 Q615는 하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각각 하단 용지 사이즈 0 센서, 하단 용지 사이즈 1 센서, 하단 용지 사이즈 2 센서, 하단 용지 유무 센서이다.
또, I/F 회로 3은 도 3a 및 3b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센서 B군과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P5VC는 도 3a 및 3b에 도시되는 전원이다. SLEEP 신호, R-OUT0으로부터의 신호는, 도 3a 및 3b에 도시되는 I/F 회로 3의 입력 신호이다. 이들 신호에 의해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R-IN5 내지 R-IN13은 각 센서의 출력에 따른 I/F 회로 3로부터의 출력 신호이다. 이와 같이, 필요할 때에 효율적으로 센서 B군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센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음과 함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참조 부호 Q602, Q604, 및 Q606은 SLEEP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어,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PNP 트랜지스터이다. 참조 부호 Q601, Q603, 및 Q605는 각각 R-OUT0, R-OUT1, R-OUT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어,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PNP 트랜지스터이다. 참조 부호 R601 내지 R609는 각각 포토 인터럽터로의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한 저항기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센서 B군은 송신 데이터에 의해 전원 공급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통전이 필요할 때 이외의 경우에 오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슬리프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컨트롤러(202)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참조 부호 701∼708은 인터페이스 회로(I/F 회로)로, 각각 특정한 디바이스와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 또는 메인 칩 Q701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도 7에서, P5VA, P5VB와 P5VC는 각각 5V 전원으로, P5VA, P5VB가 DC 전원(20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고, P5VA는 서브 CPU 등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항상 공급되어 있다. P5VB는 복사/프린트 동작 중 등의 화상 형성 동작 중과 스탠바이 모드에서만 공급된다. 그리고, P5VC는 PV5A의 전원에 기초하여 실현되는 전원으로, 컨트롤러 내의 Q705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전원이고, DCON, RCON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 모드(슬리프 모드) 시에 P5VA 이외의 전원을 절전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히 P5VB는 전원 내에서 전원 회로를 멈추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PV5A, PV5B, 및 PV5C는 도 7뿐만 아니라, 도 3a, 도 3b, 도 4, 도 5, 도 6, 도 8a, 도 8b, 도 9, 도 10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이들 각 도면에서의 전원 PV5A, PV5B, PV5C는 도 11, 도 12, 도 13, 도 14의 흐름도에 따라 전원 제어되게 된다.
메인 칩 Q701은 전원이 오프라도 전지 BT 701에 의해 백업되어 데이터를 유지하는 RAM Q704를 워크 에리어로서, ROM Q70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각종 인터럽트 신호의 제어를 행하는 인터럽트 제어 회로, DMA 제어 회로, 각종 타이머, 화상 처리 회로, 해상도 변환 회로, 입출력 포트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포함하여 컨트롤러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메인 칩 Q701은 X'tal X701과 접속하여, 내부의 동작 클럭을 출력하는 PLL 회로를 포함하고, 이 PLL 회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전력 절약화를 위한 슬리프 상태가 되면 클럭 출력을 정지하여, 칩 전체의 소비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1칩 마이크로 컴퓨터(서브 칩) Q702에는 CPU, RAM, ROM 등 일반적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찬가지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 칩보다 복잡한 로직을 채용하지 않는 것이나, CPU의 클럭 주파수가 낮은 것이나, 용량이 적은 메모리를 구비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소비 전력이 적은 마이크로 컴퓨터가 채용된다. 그리고, 이 1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슬리프 상태에서도 스테이터스 갱신이나 외부로의 정보 통지를 위한 LAN-UNIT(207)의 구동 등, 메인 칩의 일부 통상의 동작을실행할 수 있다. 후술로써 자세히 설명하지만, 슬리프 모드에서의 전원 제어, 스테이터스 감시, 네트워크로부터의 커맨드의 감시와 응답 등도 실행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메인 칩) Q701에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서브 칩) Q702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709)가 NMI(논 마스커블(non-maskable) 인터럽트) 단자에 입력되어 있고, 만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슬리프 상태에 있을 때에 인터럽트 신호가 NMI에 입력되면, 슬리프 상태가 해제되어, PLL 회로가 인에이블로 되어 클럭이 메인 칩 전체에 공급되어, 메인 칩이 다시 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는 슬리프 상태에서의 RCON(216)이나 DCON(201)의 센서 신호를 감시하거나 FAX-UNIT(206)의 슬리프 복귀 신호를 감시한다. 또한, 슬리프 모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 Q702는 메인 칩 Q701을 대신하여 LAN-UNIT(207)에 커맨드 응답이나 스테이터스 정보를 보낸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와 메인 칩 Q701 사이는 직렬 통신(710)으로 커맨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상술한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709)가 메인 칩의 NMI 단자에 입력하고 있으며, 메인 칩 Q701이 슬리프 상태인지 동작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ACTIVE 신호(711)가 입력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223)는 조작부(222) 상에 있으며, 이 전원 스위치(223)의 입력에 의해서, 본 실시예의 디지털 복합기는 슬리프 상태로 이행하거나, 혹은 슬리프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단, 슬리프 상태로의 이행 타이밍은 전원 스위치(223)의 입력 타이밍으로 제한되지 않고, 조작부(222)로부터의 설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미리 정해진 시간, 본디지털 복합기가 대기 상태이면 자동적으로 슬리프 상태로 이행하도록 할 수 있다.
슬리프 상태로부터의 복귀 타이밍도 전원 스위치(223)의 입력으로 제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LAN으로부터의 커맨드나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호출 신호 등에 의해서도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슬리프 모드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SLEEP 신호(712)는 슬리프 모드에서 하이「H」 레벨 상태가 되고, 메인 칩 Q701로부터 RCON(216)으로 RCON과의 I/F 회로(706)를 통하여, DCON(201)으로 DCON과의 I/F 회로(701)를 통하여 신호를 보낸다.
슬리프 모드에서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DC 전원으로 P5VA 이외의 전원을 절단하고, 또한 트랜지스터 Q705에 의해 P5VC의 전원도 간헐적으로 온/오프시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킨다.
RCON(216)은 CCD 등의 광전 변환 소자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AD 변환하여 얻어진 디지털 신호에 셰이딩 처리 등의 판독 화상 처리를 하여 8 비트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원고 사이즈 등의 각종 센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컨트롤러로 출력되고, 또한 판독부의 모터의 제어도 행한다. I/F-9에는 수직 동기 신호(출력), 수평 동기 신호(출력), 수직 동기 요구 신호(입력), 수평 동기 요구 신호(입력), 클럭(출력), 8bit의 비디오 신호(입력), 비디오 신호 레디 신호(입력), SLEEP 신호(712)(출력), LOAD 신호(출력) 등의 신호선이 있으며, 또한 RCON의 센서 정보가 직렬 통신으로 입력되어 있다.
RCON(216)과의 I/F 회로(706)에서는 I/F-9의 각 신호를 메인 칩 Q701로 보낸다. 단, 슬리프 시에는 메인 칩 Q701이 신호의 수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로 보내지고, 이 전환 동작은 메인 칩 Q701로부터의 SLEEP 신호(712)에 의해 행해진다.
DCON(201)은 도 3a 및 3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화상의 기록을 행한다. I/F-1에는 도 4에서 설명한 신호선이 있고, DCON(201)의 센서 신호는 커맨드 스테이터스 신호와 함께 직렬 통신으로 입력되어 있다.
DCON(201)과의 I/F 회로(701)에서는 I/F-1의 각 신호를 메인 칩 Q701로 보낸다. 그러나, 슬리프 모드에는 메인 칩 Q701이 신호의 수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로 보내지고, 이 전환 동작은 메인 칩 Q701로부터의 SLEEP 신호(712)에 의해 행해진다.
I/F-1에 있어서, VIDEO_DATA 신호의 8개를 통상 시에는 화상 신호의 전송에 사용하고, 슬리프 모드에서는 SLEEP 신호에 의해서, 센서 신호 7개와 LOAD 신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I/F-1의 신호선의 개수를 절약할 수 있다.
화상 판독 시에, RCON(216)으로부터 I/F-9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화상 처리부로 전송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여, RAM Q704에 저장한다.
화상 기록 시에, RAM Q704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록 용지 사이즈나 각종 설정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해상도 변환을 행하여, I/F-1을 통하여 DCON(201)으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LAN-UNIT(207)는 이더넷(등록 상표)와 접속하기 위한 물리층(PHY), MAC층의제어를 행하는 이더넷(등록 상표) 접속 회로, IEEE802.3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LAN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LAN-UNIT I/F 회로(702)는 USB 또는 IEEE1284의 인터페이스 회로이고, LAN-UNIT(207)로부터 I/F-10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를 메인 칩 Q701로 전하고, 메인 칩으로부터의 정보를 LAN-UNIT(207)에 전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디지털 복합기의 스테이터스를 요구하는 커맨드가 LAN-UNIT(207)를 통하여 검지된 경우에는, 스테이터스 요구의 커맨드가 LAN-UNIT I/F 회로로부터 메인 칩 Q701로 전해져, 메인 칩 Q701이 기억부(RAM)에 유지하고 있는 필요한 스테이터스를 메인 칩 Q701로부터 LAN-UNIT I/F 회로로 전하고, LAN-UNIT I/F 회로는 이 정보를 I/F-10을 통하여 LAN-UNIT로 보낸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PC로부터 프린트 잡이 발생한 경우에는, 프린트를 요구하는 커맨드가 LAN-UNIT I/F 회로로부터 메인 칩 Q701로 전해져, 장치가 프린트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프린트 대기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응답을 메인 칩 Q701로부터 LAN-UNIT I/F 회로로 전하고, LAN-UNIT I/F 회로는 이 정보를 I/F-10을 통하여 LAN-UNIT로 보낸다.
네트워크 상의 PC(정보 처리 장치)가 이 응답을 받으면 계속해서 프린트 데이터를 송신하여 오기 때문에, 유사한 신호가 흐름으로써, 프린트 데이터는 메인 칩 Q701에 입력되어, 메인 칩 Q701로부터 필요한 화상 처리를 실시한 후, 처리된 프린트 데이터는 일단 RAM에 저장된다. 그리고, 화상 기록 시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I/F-1의 화상 신호로서 DCON으로 화상 데이터를 보내어 기록한다.
이상은 메인 칩 Q701이 통상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슬리프 모드에서의 움직임은 상기한 동작과는 서로 조금 다르다.
슬리프 모드에서는 네트워크와의 커맨드의 교환은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LAN-UNIT I/F 회로(702)는 LAN-UNIT(207)으로부터 I/F-10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를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로 전하고,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로부터의 정보를 LAN-UNIT(207)에 전한다.
슬리프 모드에서, 메인 칩 Q701은 슬리프 상태에 있고, 신호의 송수신은 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가 RCON(216)과의 I/F 회로(706)와 DCON(201)과의 I/F 회로(701)로부터 스테이터스 정보를 수신하여 감시한다. 별도로 나타내는 도면(흐름도)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LAN-UNIT(207)로부터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수취하면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는 스테이터스 정보를 응답으로서 LAN-UNIT로 보낸다.
슬리프 모드에서 본 실시예의 디지털 복합기로의 프린트 잡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디지털 복합기의 슬리프 모드가 해제될 때에는, 우선 LAN-UNIT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슬리프 모드로부터 복귀하지 않으면 처리할 수 없는 내용인지의 여부를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가 판단한다. 프린트 요구와 같은 슬리프 모드로부터 복귀하지 않으면 처리할 수 없는 커맨드를 받은 경우에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는 전원 제어 I/F 회로(705)에 슬리프 모드에 꺼져 있는 전원을 구동시키는 지시를 하고, 전원 제어 I/F 회로는 DC 전원(203)으로 전원 온 신호를 송출한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는 메인 칩 Q701의 NMI 단자에 대해서, 인터럽트신호(NMI)(709)를 출력하고, NMI 단자로부터 인터럽트 신호(709)를 받은 메인 칩 Q701은 별도의 도면(흐름도)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슬리프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한다. 메인 칩 Q701이 통상 상태가 된 것을 ACTIVE 신호(711)에 의해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가 확인하면,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는 수신한 커맨드의 내용을 직렬 통신(710)으로 메인 칩 Q701로 전한다. 메인 칩 Q701이 디지털 복합기가 수신한 커맨드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되었다고 판단하면(프린트 커맨드에 대해서, 장치가 기록을 할 수 있는 상태로 구동된 것을 확인하면), 메인 칩 Q701은 LAN-UNIT에 필요한 응답을 보낸다.
FAX-UNIT(206)은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CODEC, 부호화된 데이터를 FAX 송신을 위해 변조하고, 또한 수신한 FAX 신호를 복조하는 MODEM, FAX의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FAX 제어부, 호출 신호(CI)를 검출하여 CI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CI 검출 회로, 오프훅(off-hook)을 검출하여 오프훅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오프훅 검출 회로 등을 포함한다.
FAX-UNIT와의 I/F 회로(703)는 IEEE1284 인터페이스 회로이고, I/F-11을 통하여 FAX-UNIT(206) 사이에서의 커맨드 및 화상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또한, I/F 회로(703)는 CI 검출 신호(입력), 오프훅 검출 신호(입력)를 수신한다.
FAX 송신 시에는 RAM Q70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FAX-UNIT로 송출하여 FAX 송신을 행하고, FAX 수신 시에, FAX-UNIT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단 RAM에 저장한다. 화상 기록 시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I/F-1의 화상 신호로서 DCON으로 화상 데이터를 보내어 기록한다.
슬리프 모드에서는 I/F-11 중 CI 검출 신호와 오프훅 검출 신호를 감시하고 있어, CI 착신이나 오프훅이 검출되면,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와 메인 칩 Q701에 FAX로부터의 ACTIVATION 신호(713)를 송출한다. FAX로부터의 ACTIVATION 신호를 수신한 1칩 마이크로 컴퓨터는 전원을 구동하고, 메인 컨트롤러를 슬리프 모드로부터 복귀시켜, 장치를 FAX-UNIT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FAX로부터의 ACTIVATION 신호(713)를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와 메인 칩 Q701의 양쪽에 입력시키고 있지만, FAX ACTIVATION 신호(713)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에만 입력시키고,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가 직렬 통신(710)에 의해 FAX-UNIT로부터의 ACTIVATION 신호에 의해 기동된 것을 전해도 상관없다.
도 8a 및 8b는 도 2에 도시한 RCON(216)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8a 및 8b에서, RCON(216)은 도 3a 및 3b에 도시한 DCON과 비교하여 프린터 DC 부하군(211)이, 도 2 중 리더(reader) DC 부하군(220)에 재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 부호 901∼904, 908, 및 909는 인터페이스 회로(I/F 회로)를 나타내고, I/F 회로(901)는 RCON(216)의 I/F 회로 2 및 I/F 회로 3으로 구성된다. I/F 회로(902)는 RCON(216)의 I/F 회로 DC-3을 구비한다.
I/F 회로(903)는 상기 RCON(216)과의 I/F 회로 14를 구비한다. I/F 회로(904)는 RCON(216)의 I/F 회로 5를 구비한다. I/F 회로(908)는 RCON(216)의 I/F 회로 6이다. I/F 회로(909)는 RCON(216)의 I/F 회로 1이다.
RCON(216)에는 도 3a 및 3b 중의 AC 드라이버(205), I/F 회로(305), 배지 옵션(213), I/F 회로(306), 급지 옵션(214), I/F 회로(307), 레이저 관련부(212), I/F 회로(308)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성분에 접속되는 신호선도 존재하지 않는다. 화상 센서(221)는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센서이다.
참조 부호 PW-DC-3은 RCON(216)의 전원 I/F이다. Q901은 RCON(216)의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참조 부호 Q902는 RCON(216)의 직렬/병렬(P/S) 변환기이다. 참조 부호 Q903은 RCON의 병렬/직렬(S/P) 변환기이다. 참조 부호 Q904는 RCON(216)의 3 스테이트 버퍼이다. 참조 부호 Q906은 RCON(216)의 3 스테이트 버퍼이다.
도 9는 도 3a 및 3b에 도시한 급지계 옵션(214)의 I/F 회로 18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RCON(216)과 DCON(201)의 I/F 회로 2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도 9에서, SW1002는 상단 카세트의 개폐 검지를 행하는 카세트 개폐 검지 상단 스위치이다. SW1003은 하단 카세트의 개폐 검지를 행하는 카세트 개폐 검지 하단 스위치이다. P5VC는 도 3a 및 3b에 도시되는 전원이다.
참조 부호 Q1001 및 Q1002는 PNP 트랜지스터이고, 스위치 SW1002 및 SW1003에 공급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참조 부호 R1002 및 R1003은 스위치 SW1002 및 SW1003으로 공급하는 전류값을 제한하는 저항기이다.
참조 부호 R-IN 17은 SW1002의 온/오프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참조 부호 R-IN 18은 SW1003의 온/오프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SLEEP 신호와 LOAD 신호는 P5VC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I/F 회로 18로서는 트랜지스터 Q1001과 Q1002가 온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스위치 SW1002 및 SW1003의 온/오프 검지가 가능하다.
스위치 SW1002 및 SW1003의 온/오프의 검지를 필요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 Q1001 및 Q1002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스위치 SW1002 및 SW1003으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3a 및 3b에 도시한 급지 옵션(214)의 I/F 회로 3과 센서 B군(209)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본적으로는, 이 인터페이스는 RCON 및 DCON과 유사한 구성으로, 유사한 동작을 하는 것이다. 또한, 센서 B군은 포토 인터럽터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이다.
도 10에서, 참조 부호 Q1108은 상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상단 용지 사이즈 0 센서이다. 참조 부호 Q1109는 상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상단 용지 사이즈 1 센서이다. 참조 부호 Q1110은 상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상단 용지 사이즈 2 센서이다. 참조 부호 Q1111은 상단 카세트의 용지의 유무를 검지하는 상단 용지 유무 센서이다.
참조 부호 Q1112는 하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하단 용지 사이즈 0 센서이다. 참조 부호 Q1113은 하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하단 용지 사이즈 1 센서이다. 참조 부호 Q1114는 하단 카세트의 용지 사이즈를 검지하는 하단 용지 사이즈 2 센서이다. 참조 부호 Q1115는 하단 카세트의 용지의 유무를 검지하는 하단 용지 유무 센서이다.
참조 부호 P5VC는 도 3에 도시되는 전원이다. SLEEP 신호, R-OUT 17 및 R-OUT 18은 I/F 회로 3의 입력 신호이다. 이들 신호에 의해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참조 부호 R-IN 22 내지 R-IN 29는 I/F 회로 3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이다.
참조 부호 Q1104 및 Q1106은 PNP 트랜지스터로, SLEEP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참조 부호 Q1103 및 Q1105는 PNP 트랜지스터로, 각각 R-OUT 17, R-OUT 18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고,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참조 부호 R1102 내지 R1109는 각각 포토 인터럽터로의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한 저항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포토 인터럽터 센서로의 통전을 필요로 할 때 이외의 경우에 턴오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의 이행, 및 통상 상태로의 복귀, 및 슬리프 상태에서의 DCON, RCON의 스테이터스 감시, LAN-UNIT로부터의 커맨드 감시, 및 LAN-UNIT로의 스테이터스 송신은 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이하, 서브 CPU라 함), 및 메인 칩 Q701(이하, 메인 CPU라 함)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이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제1 제어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서브 CPU의 동작 수순에 대응한다. 또, 단계 S201∼S217은 각 단계를 나타낸다.
또한, 서브 CPU는 DC 전원 P5VA에 접속되어 항상 동작하고 있고, 그 동작은메인 CPU가 정지 상태에 있는 슬리프 상태와, 메인 CPU가 통상 동작하고 있는 통상 상태로 크게 구별된다. 우선, 통상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 CPU로부터의 ACTIVE 신호(711)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온 상태인 경우(S201)에는, 장치는 통상 상태이고, 메인 CPU로부터 DCON(201) 및 RCON(216)의 스테이터스를 수신하고(S202), 전원 스위치(223)를 감시하는 동작을 반복한다(S203).
여기서, 전원 스위치(223)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를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메인 CPU에 시스템 다운 요구(SYSTEM DOWN)를 송신한다(S204). 스테이터스의 수신 및 시스템 다운 요구는, 서브 CPU-메인 및 CPU 사이의 직렬 통신(710)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한편, 메인 CPU에서의 ACTIVE 신호가 오프가 되면(S201), 장치는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 이행한다. 또, ACTIVE 신호가 오프가 되는 요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장치가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가 되면, 우선 전원 제어 I/F 회로(705)에 DCON(201), RCON(216)계로의 전원 P5VB의 오프를 지시한다(S205).
다음에, DCON(201), RCON(216)의 스테이터스 감시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S206). 본 타이머는 스테이터스를 취득하는 시간 간격을 계시하는 타이머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00msec를 계시한다.
그리고, 100msec의 시간 간격을 계시하기까지의 동안에, FAX 잡 요구가 있는지(S207), 프린트 잡 요구가 있는지(S208), 전원 스위치가 눌러졌는지(S209), 외부 기기로부터 스테이터스 요구가 있는지(S210) 등의 감시를 반복하고, 잡 요구가 있는 경우(S207, S208의 Yes) 및 전원 스위치가 눌러진 경우(S209의 Yes)는, 전원 제어 I/F(705)에 DCON(201), 및 RCON(216)계로의 전원 P5VB의 ON을 지시하고(S211), 메인 CPU ACTIVATION 신호(709)를 온한 후(S212), 메인 CPU의 기동(ACTIVATION 신호 ON)을 대기하여(S213), 단계 S209의 기동 요인 및 단계 S207 및 단계 S208의 LAN-UNIT로부터 수신한 커맨드 등의 정보를 메인 CPU로 전송하고(S214), 단계 S201로 되돌아가, 통상 상태로 이행한다.
또, 단계 S207의 FAX 잡의 유무 판정은, 상술한 FAX-UNIT I/F 회로(703)로부터 공급되는 CI 검출 신호, 오프훅 검출 신호로써 판정된다. 프린트 잡의 유무는 상술한 LAN-UNIT I/F 회로(702)로부터 공급되는 커맨드에 의해 판정되고, 이 커맨드는 메인 CPU로 전송된다.
한편, 외부 기기로부터 스테이터스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S210), 유지하는 최신 스테이터스를 LAN-UNIT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 송신한다(S215). 외부 기기로 송신된(통지된) 스테이터스 정보는 외부 기기에 설치된 표시부에 스테이터스 정보로서 표시되고, 사용자는 최신 스테이터스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되는 DCON(201), RCON(216)의 스테이터스는 메인 CPU로부터 수신한 스테이터스, 또는 단계 S217에서 취득한 스테이터스 중 어느 하나의 최신 스테이터스이다.
스테이터스 감시 타이머가 100msec를 계시하면(S216)(물론, 시간 간격은 100msec로 제한되지 않는다), DCON(201), 및 RCON(216)으로부터 스테이터스를 취득하고(S217), 단계 S20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217의 스테이터스 취득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13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상기 설명이 스테이터스 감시 타이머가 100msec로 설정되었다는 가정에서 이루어졌지만,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 감시 타이머가 10초 또는 30초와 같이 더 긴 시간으로 설정되면, 화상 형성 장치측의 전원 공급의 주파수는 감소한다. 따라서, 더 큰 전력 절약 효과가 얻어지고, 적합하게 갱신된 최근 스테이터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1의 흐름도에 따르면, 화상 형성에 따른 처리 시/전원 스위치 누름 등의 검지가 행해지지 않는 한 P5VB의 전원이 절전된다. 메인 CPU가 절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요구(S210)에 대하여, 소비 전력이 적은 서브 CPU가 스테이터스를 응답할 수 있다. 또, 외부에 응답하는 스테이터스는 단계 S217의 처리에 따라 갱신되지만, 단계 S217의 스테이터스 처리에 있어서도 전력 절약화가 행해진다.
다음에, 메인 CPU의 동작을 도 1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제2 제어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로, 메인 CPU의 동작 수순에 대응한다. 또, 단계 S301∼S322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또한, 메인 CPU는 서브 CPU와 마찬가지로, DC 전원 P5VA에 접속되어 항상 동작하고 있지만, 그 동작은 메인 CPU가 CPU 클럭(X701)이 정지한 정지 상태에 있는 슬리프 상태와, FAX 송수신, 프린트 동작, 스캔 동작, 외부 기기로부터 스테이터스 요구 응답 등, 시스템의 모든 동작이 가능한 통상 상태로 크게 구별된다.
메인 CPU가(정지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가 되면, 우선 ACTIVE 신호(711)를 온한다(S301).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동작에 의해 서브 CPU는 통상 상태가 된다. 다음에, 서브 CPU로부터 기동 요인 및 커맨드를 수신한다(S302). 이 때, 수신하는 커맨드는,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CPU가 LAN-UNIT로부터 수신한 커맨드이고, 이것은 단계 S307 이후에서 처리된다.
다음에, SLEEP 신호(712)를 오프한다(S303).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동작에 의해 컨트롤러에 있어서 DCON-I/F 회로(701)와, DCON(201) 사이의 RCON-I/F 회로(706)와 RCON(216)과의 직렬 통신 I/F가 DCON-I/F 회로(701) 및 RCON-I/F 회로(706)에서 서브 CPU로부터 메인 CPU로 전환된다.
또한, DCON(201), 및 RCON(216)에서도, 직렬 통신 I/F가 하드웨어 구성으로부터, DCON 마이크로 컴퓨터 Q301, 및 RCON 마이크로 컴퓨터 Q901로 전환함과 동시에, DCON 마이크로 컴퓨터 Q301, 및 RCON 마이크로 컴퓨터 Q901의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전력 절약형 슬리프 이행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S304). 본 타이머는 통상 상태로부터, 다시,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로, 본 실시예에서는 1 시간을 계시한다. 1 시간을 계시하기까지의 동안에, DCON(201), RCON(216)으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수신이 있는지(S305), 및 서브 CPU로부터의 시스템 다운 요구가 있는지(S306), FAX 잡 요구가 있는지(S307), 프린트 잡 요구가 있는지(S308), DCON 마이크로 컴퓨터 Q301로부터 잡 요구가 있는지(S309), RCON 마이크로 컴퓨터 Q901로부터 잡 요구가 있는지(S310), 외부 기기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요구가 있는지(S311)의 감시를 반복한다.
그리고, 시스템 다운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S306), 후술하는 단계 S315 이후의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의 이행 처리를 행한다.
또한, 잡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잡을 실행하고(S312), 다시 전력 절약형 슬리프 이행 타이머에 1 시간을 설정하고, 타이머를 재스타트시켜(S313), 단계 S305로 되돌아간다.
또, FAX 잡의 유무는 상술한 FAX-UNIT I/F 회로(703)로부터 공급되는 CI 검출 신호, 오프훅 검출 신호, 또는 단계 S302에서 서브 CPU로부터 수신한 커맨드로써 판정된다. 프린트 잡의 유무는 상술한 LAN-UNIT I/F 회로(702)로부터 공급되는 커맨드, 또는 단계 S302로써 서브 CPU로부터 수신한 커맨드로써 판정된다. DCON, RCON으로부터의 잡 요구는 각각의 직렬 통신 I/F에서 수신한다.
외부 기기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요구의 유무는, 상술한 LAN-UNIT-I/F 회로(702)로부터 공급되는 커맨드로써 판정된다. 또한, 잡의 실행 방법은 일반적인 어떠한 방법에도 실현할 수 있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력 절약형 슬리프 모드 이행 타이머가 1 시간을 계시하는, 즉 어떤 잡도 실행하지 않은 상태가 1시간 경과하면(S314)(물론, 시간이 1시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15에서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 이행하기 때문에, 메인 CPU는 이후의 단계에서 스스로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의 이행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단계 S315 이후의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의 이행 처리에 대하여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서브 CPU로부터 시스템 다운 요구가 있는 경우(S306), 또는 전력 절약형 슬리프 이행 타이머에 의해, 메인 CPU가 스스로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S314)에 실행되는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의 이행 처리로, 우선 직렬 통신 I/F를 통하여, DCON, RCON에 전원 절단 예고를 송신하고(S315), DCON(201), RCON(216)으로부터의 전원 절단 허가 응답의 수신을 대기한다(S316).
또, DCON 마이크로 컴퓨터, RCON 마이크로 컴퓨터는 전원 절단 예고를 수신하면, 소정의 전원 절단 처리를 행하여, 완료하면 메인 CPU에 전원 절단 허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CON 마이크로 컴퓨터, RCON 마이크로 컴퓨터의 양쪽으로부터 전원 절단 허가 응답을 수신하면(S316), DCON, RCON의 스테이터스를 서브 CPU로 송신한다(S317). 또, 여기서 송신되는 DCON, RCON의 스테이터스는, 단계 S305에서, DCON 마이크로 컴퓨터, RCON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최신 스테이터스이다.
다음에, SLEEP 신호(712)를 온한다(S318).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동작에 의해, 컨트롤러에서는, DCON-I/F 회로(701) 및 RCON-I/F 회로(706)에서 DCON 및 RCON과의 직렬 통신 I/F가 메인 CPU로부터 서브 CPU로 전환한다. 또한, DCON, RCON에서도 직렬 통신 I/F가 DCON 마이크로 컴퓨터 Q301, RCON 마이크로 컴퓨터 Q901로부터 하드웨어 구성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DCON 마이크로 컴퓨터 및 RCON 마이크로 컴퓨터는 슬리프 상태가 된다.
다음에, ACTIVE 신호(711)를 오프한다(S319).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동작에 의해, 서브 CPU는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가 된다.
다음에, 메인 CPU 스스로를 CPU 클럭(X701)을 정지한 정지 상태로 하고, 전력 절약형 슬리프 상태로의 이행이 완료된다(S320). 이 상태는 서브 CPU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CPU ACTIVATION 신호(709)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까지 계속된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S321), 정지 상태는 해제되고(S322), 통상 상태의 단계 S301로 이행한다.
다음에, 전력 절약형 슬리프 중에 서브 CPU가 DCON으로부터 스테이터스를 취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제3 제어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로, 서브 CPU의 동작 수순(도 11에 도시한 단계 S217의 스테이터스 취득 처리 수순의 상세 수순)에 대응한다. 또, 단계 S401∼S430은 각 단계를 나타낸다.
우선, DCON 및 급지부의 하드웨어 직렬 통신 블록을 동작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P5VC를 온한다(S401). 이 P5VC를 구동시킴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I/F 회로 2 및 3에 통전이 이루어져, 센서 A군, B군은 신호 검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스 갱신 시에, 에너지 절약 모드 시로 절전되어 있는 스테이터스 갱신에 필요한 전원(센서군으로의 통전)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에 상당하고, 그 제어에 따라 갱신된 스테이터스가 도 11의 단계 S215에서 서브 CPU의 처리에 기초하여 LAN-UNIT(207)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통지된다.
다음에 LOAD 신호를 로우 "L" 레벨로 하고(S402), 병렬/직렬 변환부 Q302의 입력 데이터의 안정까지, 100usec 웨이트한다(S403). 이후에, LOAD 신호를 하이 "H" 레벨로 하고, 병렬/직렬 변환부의 입력 데이터를 확정한다(S404).
다음에, 센서 B군(209)의 통전을 오프시키도록, 송신 데이터 0000(hex)을 세트하고(S405), SCLK↓로부터 32개의 클럭 clk를 출력함으로써 32 비트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406). 이에 의해서 센서 A군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부수하여 센서 B군의 정보도 수신하지만, 전원 공급이 오프이기 때문에, 무효 데이터로 하도록 제어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SDATA_C2D를 통하여, 직렬/병렬 변환부 Q303에, 송신 데이터 0000(hex)가 송신되고, SDATA_D2C를 통하여, 병렬/직렬 변환부 Q302로부터 R-IN31∼R-IN0의 데이터가 수신된다. 단, 이 때 수신된 R-IN5∼R-IN16 및 R-IN19∼R-IN31은 무효한 데이터이다. 또한, 급지 유닛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송수신 데이터의 상위 16 비트는 무효한 데이터가 된다.
다음에, LOAD 신호를 L 레벨로 하고(S407), 100μsec 웨이트한 후(S408), LOAD 신호를 H 레벨로 하고, 직렬/병렬 변환부 Q303의 출력 데이터를 확정한다(S409). 여기서, 스테이터스의 변화를 체크하기 위한 레지스터의 데이터로서 다음 송신 데이터를 0으로 클리어하여 초기화한다(S410). 이 단계 S410은 통신 버퍼를 클리어하기 위한 단계이다.
다음으로, 수신한 센서 A군의 스테이터스와, 취득 완료된 최신 스테이터스를 비교한다.
수신 데이터의 bit 0(R-IN0)에 따른 도어 개폐 검지 스위치(SW501)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S412), 다음 송신 데이터의 bit 0을 세트(여기서의 세트란 0으로부터 1로 세트하는 것을 가리킨다)하고, 다음 데이터 송신 시에 카트리지 검지 센서(Q607)의 검지 결과가 R-IN5에 출력되도록 한다(S413).
수신 데이터의 bit 1(R-IN1)에 따른 카세트 개폐 검지 상단 스위치(SW502)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화할 때는(S414), 다음 송신 데이터의 bit 1을 세트하고, 다음 데이터 송신 시에, 상단 카세트 사이즈 0 센서(Q608), 상단 카세트 사이즈 1 센서(Q609), 상단 카세트 사이즈 2 센서(Q610), 상단 용지 유무 검지 센서(Q611)의 검지 결과가 R-IN6∼R-IN9에 출력되도록 한다(S415).
수신 데이터의 bit 2(R-IN2)에 따른 카세트 개폐 검지 하단 스위치(SW503)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화할 때에는(S416), 다음 송신 데이터의 bit2를 세트하고, 다음 데이터 송신 시에, 하단 카세트 사이즈 0 센서(Q612), 하단 카세트 사이즈 1 센서(Q613), 하단 카세트 사이즈 2 센서(Q614), 하단 용지 유무 검지 센서(Q615)의 검지 결과가 R-IN10∼R-IN13에 출력되도록 한다(S417).
수신 데이터의 bit4(R-IN4)에 따른 급지 옵션 접속 검지 스위치(SW505)가 접속 있음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S418), 단계 S419 이후의 옵션 카세트의 카세트 개폐 상태의 변화를 판정하고, 접속없음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423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수신 데이터의 bit17(R-IN17)에 따른 옵션 카세트 개폐 검지 상단 센서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화할 때에는(S419), 다음 송신 데이터의 bit17을 세트하고, 다음 데이터 송신 시에, 옵션 상단 카세트 사이즈 0 센서, 옵션 상단 카세트 사이즈 1 센서, 옵션 상단 카세트 사이즈 2 센서, 옵션 상단 용지 유무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가 R-IN22∼R-IN25에 출력되도록 한다(S420).
수신 데이터의 bit18(R-IN18)에 따른 옵션 카세트 개폐 검지 하단 센서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화할 때는(S421), 다음 송신 데이터의 bit18을 세트하고, 다음 데이터 송신 시에, 옵션 하단 카세트 사이즈 0 센서, 옵션 하단 카세트 사이즈 1 센서, 옵션 하단 카세트 사이즈 2 센서, 옵션 하단 용지 유무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가 R-IN26∼R-IN29에 출력되도록 한다(S422).
여기서, 다음 송신 데이터가 0일 때에는(S423), 센서 B군의 상태를 검출할 필요가 없는 경우로, 변화가 있는 센서 A군의 데이터만을 갱신하고, P5VC를 오프하여(S424), 스테이터스의 취득 및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 단계 S424의 처리에 의해서, 스테이터스 갱신이 종료한 후, 스테이터스 갱신에 필요한 전원을 절전하는 제어가 실현되고 소비 전력을 보다 한층 적게 할 수 있다.
다음 송신 데이터가 0 이외인 경우에는(S423), 센서 B군의 상태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 단계 S425 이후의 스테이터스의 2차 취득 및 판정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단계 S423의 판정 처리에 의해 단계 S412로 도어가 개방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것이나 카세트 개폐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연동하여 센서 B군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반대로, 센서 B군의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센서 B군에 기초한 스테이터스 수집을 행하지 않고 한층 더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우선, 상술한 다음 송신 데이터를 SCLK↓로부터 32개의 클럭 clk를 출력함으로써, 32 비트의 데이터를 송신한다(S425)(이 때, 수신된 데이터는 무효한 데이터로 파기된다). 다음에, LOAD 신호를 L 레벨로 하고(S426), 100μsec 웨이트한 후(S427), LOAD 신호를 H 레벨로 한다(S428). 이 동작에 의해 직렬/병렬 변환부의 출력 데이터가 확정되고, 센서 B군의 스테이터스가 병렬/직렬 변환부의 입력 데이터로서 확정된다. 그리고, 다시 SCLK↓로부터 32개의 클럭 clk를 출력하고, 32 비트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S429), 센서 B군의 스테이터스를 취득한다.
또, 이 때 송신된 데이터는 LOAD 신호의 온/오프 제어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무효한 데이터이다.
다음에 수신한 데이터 중 유효한 데이터만을 갱신하고(S430), 단계 S424 이후의 처리를 행하여 스테이터스의 취득 및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유효한 데이터란 단계 S429에서 송신한 데이터의 bit0이 1인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의 bit5이고, 송신한 데이터의 bit1이 1인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의 bit6∼bit9이고, 송신한 데이터의 bit2가 1인 경우에는 bit10∼bit13이고, 송신한 데이터의 bit17이 1인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의 bit22∼bit25이고, 송신한 데이터의 bit18이 1인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의 bit26∼bit29이고, 그 이외에는 전부 무효한 데이터이다.
또한, 본 흐름도에서는 DCON 및 급지 유닛으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취득 및 판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RCON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센서 D군(217), 센서 E군(218)의 스테이터스를 취득·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DCON및 급지 유닛으로부터 스테이터스 취득 및 판정을 행할 때는 RCON으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취득 및 판정도 동시에 실행된다.
이와 같이, 도 13 및 도 14의 흐름도에 따르면, 서브 CPU를 포함하는 외부로부터의 소정의 신호 검지 등에 필요한 P5VA에 항상 통전시킴과 함께, 화상 형성(레이저 관련부(212) 등)이나 급지 구동(급지 옵션(214) 등)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P5VB를 절전한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브 CPU(1칩 마이크로 컴퓨터 Q702)와 메인 칩 Q701을 물리적으로 별도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칩(CPU)에 있어서 고주파수 클럭에 동작하는 모드와, 저주파수 클럭에 동작시키는 모드를 각각, 메인 칩, 서브 칩에 상당시키거나, 소정의 칩에서의 국소 전원을 절전하고, 작은 소비 전력으로 상기 칩을 구동시키는 모드를 서브 칩에 상당시키는 것도 상정된다.
이하, 도 15에 도시하는 메모리 맵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각종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의 메모리 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군을 관리하는 정보, 예를 들면 버전 정보, 작성자 등도 기억되고, 또한 프로그램 판독측의 OS 등에 의존하는 정보, 예를 들면 프로그램을 식별하여 표시하는 아이콘 등도 기억되는경우도 있다.
또한, 각종 프로그램에 종속하는 데이터도 상기 디렉토리에 관리되어 있다. 또한, 각종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인스톨하는 프로그램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 해동(decompressing)하는 프로그램 등도 기억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 11∼도 14에 도시하는 기능이 외부로부터 인스톨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어도 된다. 그리고, 그 경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정보군을, CD-ROM이나, 플래시 메모리나, FD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혹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기억 매체로부터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본 발명의 신규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EEPRO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메모리 매체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복합기가 슬리프 상태였다고 해도, 네트워크로부터 문의된 스테이터스의 응답을 하는 경우에, 극히 적은 에너지로, 또한 저비용으로 응답을 실현할 수 있다.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는, 소비 전력이 큰 메인 칩을 대신하여 서브 칩이 네트워크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요구에 응답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작게 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 모드 시에, 메인 칩을 슬리프 상태로 하여 동작을 멈추고, 서브 칩이 스테이터스를 인식하여 스테이터스 요구에 응답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스테이터스가 화상 형성 장치의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갱신되면, 센서군은 복수의 유형으로 분류되고, 전원은 필요한 그룹(형)의 센서에만 공급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는 주기적으로 갱신된다. 따라서,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내용과 유사하게 외부 호스트 컴퓨터에 통지된 내용을 유지하면서, 더 큰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낭비적이지 않은 전력 제어하에서 스테이터스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외부 호스트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최신의 스테이터스, 또는 화상 형성 장치가 특별히 소정의 추가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동작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동작함으로써 어떤 특별한 지각의 필요없이 최신의 스테이터스와 유사한 스테이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 모드 중에 프린트 요구 등의 커맨드를 받아, 디지털 복합기를 통상 모드로 복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서브 칩이 이것을 판단하여 메인 칩을 기동시킴과 함께, 서브 칩이 받은 프린트 요구 등의 커맨드 정보를 메인 칩에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상에서의 커맨드 응답을 지체없이 행하면서, 저소비 전력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여,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종래에 비하여 보다 한층 더 전력 절약화를 실현함과 함께, 외부 장치로부터의 스테이터스 요구에 갱신된 스테이터스를응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복수의 각종 센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메인 칩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작은 서브 CPU에, 외부 장치로의 스테이터스 응답을 행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2)

  1.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터스 갱신 시에,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절전되어 있으며, 스테이터스 갱신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전원 제어에 따라 갱신된 스테이터스를 상기 외부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스테이터스 갱신이 종료한 후, 상기 스테이터스 갱신에 필요한 전원을 절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를 각각 검지하기 위한 제1 검지 수단 및 제2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2 검지 수단에 대한 전원 공급을, 상기 제1 검지 수단에 대한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제1 검지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검지 결과에 의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며, 통상 대기 시보다 소비 전력이 적은 에너지 절약 모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모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
    상기 전력 제어 모드가 상기 통상 대기 모드인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에 대한 문의가 있을 때에,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스테이터스 정보를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
    상기 검지 수단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스테이터스를 갱신하도록 하는 갱신 제어 수단;
    상기 전력 제어 모드가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인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에 대한 문의가 있을 때에, 상기 갱신 제어 수단에 의해 갱신된 스테이터스 정보를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 및
    상기 전력 제어 모드가 상기 통상 대기 모드인지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인지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수단 각각에 대한 전력 공급 모드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스테이터스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접속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는 상기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스테이터스를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스테이터스 신호 전환 수단; 및
    상기 통상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이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이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 정보를 교환하도록 전환 제어를 행하는 네트워크 전환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은 적어도 제1 검지 수단 및 제2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형의 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의 간헐적 공급에 따라 상기 제1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지 수단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검지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따라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중에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주기적으로 검지를 행하고, 상기 제2 검지 수단은, 상기 동작 중에 또는 상기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상기 제1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검지가 필요하다고 결정된 경우에 검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검지를 행하지 않는 제3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은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잡 요구를 받을 때에는,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동작을 재개시키는 요구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잡 요구에 기초한 커맨드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잡 요구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의 프린트 잡 요구 및 팩시밀리 잡 요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테이터스 갱신 시에,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절전되어 있으며, 스테이터스 갱신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 단계의 전원 제어에 따라 갱신된 스테이터스를 상기 외부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스테이터스 갱신이 종료한 후, 상기 스테이터스 갱신에 필요한 전원을 절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되는 제1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하는 제1 검지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되는 제2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하는 제2 검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제2 검지 수단에 대한 전원 공급은, 상기 제1 검지 수단에 대한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제1 검지 수단에 의해 획득된 검지 결과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 제어 수단과 제2 제어 수단이 통신 가능한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전력 소비가 통상 대기 모드에서 보다 적은 에너지 절약 모드로 장치를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모드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를 검지하는 검지 단계;
    상기 전력 제어 모드가 상기 통상 대기 모드인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에 대한 문의가 있을 때에,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검지 단계에서 검지된 스테이터스 정보를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지 단계;
    상기 검지 단계에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검지 단계를 활성화하여, 상기 스테이터스를 갱신하는 갱신 단계;
    상기 전력 제어 모드가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인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에 대한 문의가 있을 때에, 상기 갱신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갱신 단계에서 갱신된 스테이터스 정보를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통지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모드가 상기 통상 대기 모드인지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인지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수단 각각에 대한 전력 공급 모드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단계는,
    상기 통상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검지 단계로부터의 스테이터스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는 상기 검지 단계로부터의 스테이터스를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스테이터스 신호 전환 단계; 및
    상기 통상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이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이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 정보를 교환하도록 전환 제어를 행하는 네트워크 전환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단계는 적어도 제1 검지 수단 및 제2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형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고,
    상기 갱신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검지 수단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통지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검지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따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중에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주기적으로 검지를 행하고, 상기 제2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 중에 또는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상기 제1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검지가 필요하다고 결정된 경우에 검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단계에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중에,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검지를 행하지 않는 제3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잡 요구를 받을 때에는,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동작을 재개시키는 요구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잡 요구에 기초한 커맨드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잡 요구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단으로부터의 프린트 잡 요구 및 팩시밀리 잡 요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KR1020030044931A 2002-07-03 2003-07-03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KR100572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4232 2002-07-03
JP2002194232A JP3984876B2 (ja) 2002-07-03 2002-07-03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522A true KR20040021522A (ko) 2004-03-10
KR100572291B1 KR100572291B1 (ko) 2006-04-19

Family

ID=2972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931A KR100572291B1 (ko) 2002-07-03 2003-07-03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83262B2 (ko)
EP (1) EP1378859B1 (ko)
JP (1) JP3984876B2 (ko)
KR (1) KR100572291B1 (ko)
CN (1) CN126063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81B1 (ko) * 2004-07-27 2008-0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3505B2 (ja) * 2001-08-27 2008-04-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298256B2 (ja) 2002-10-08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041127A (ja) * 2003-07-23 2005-02-17 Brother Ind Ltd ステータス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及び通信処理装置
JP2005229432A (ja) * 2004-02-13 2005-08-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並びに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376853B2 (en) * 2004-03-15 2008-05-20 Canon Kabushiki Kaisha Network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for the same
US8635283B2 (en) * 2004-04-05 2014-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gging the seen/not-seen status of a real time message
WO2006085378A1 (ja) * 2005-02-10 2006-08-17 Fujitsu Limited 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59906A (ja) * 2005-03-15 2006-09-28 Ricoh Co Ltd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省電力制御方法、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583981B2 (ja) * 2005-03-16 2010-11-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EP1708411A1 (en) * 2005-03-28 2006-10-04 Canon Kabushiki Kaisha A network device having a power saving mode,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JP4796442B2 (ja) * 2005-07-05 2011-10-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59150B2 (ja) * 2005-10-07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126348B2 (en) * 2006-02-06 2012-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344185B2 (en) * 2006-02-07 2008-03-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pplied load displacement structure for pillar garnish
JP4804215B2 (ja) * 2006-04-25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79667B2 (ja) * 2006-07-12 2012-02-2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情報報知装置
KR101286136B1 (ko) * 2006-11-24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JP2008171292A (ja) * 2007-01-15 2008-07-24 Toshiba Corp 画像生成装置,表示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65372B2 (ja) * 2007-08-08 2010-05-1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452290B1 (ko) * 2007-09-28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음을 감소시키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59865A1 (en) * 2008-04-11 2009-10-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Using At Least One Of A Special Purpose Processor And Motion Sensing
JP4660597B2 (ja) 2009-03-03 2011-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064649B1 (ko) 2009-03-26 2011-09-15 전자부품연구원 네트워크 스위치 전력관리 방법 및 장치
JP5555444B2 (ja) * 2009-04-13 2014-07-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12864B2 (ja) 2009-08-31 2012-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101644804B1 (ko) * 2009-09-09 201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 저전력 모드 제어방법
JP2011098561A (ja) * 2009-10-05 2011-05-19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
JP5586924B2 (ja) * 2009-11-24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25458B2 (ja) * 2010-04-12 2014-1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101235854B1 (ko) * 2010-08-27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JP5696480B2 (ja) 2011-01-04 2015-04-08 株式会社リコー 制御装置、ネットワークに接続可能な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007513B2 (ja) * 2011-03-03 2016-10-12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制御装置
JP2012196770A (ja) * 2011-03-18 2012-10-18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3018189A (ja) * 2011-07-11 2013-01-3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133445B2 (ja) * 2011-08-08 2013-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報知装置
JP5522142B2 (ja) * 2011-10-04 2014-06-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40363B2 (ja) * 2011-10-19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333145B1 (ko) 2011-12-20 2013-11-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서브 프로세서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 및 이를 구비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JP2013166311A (ja) * 2012-02-15 2013-08-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38862B2 (ja) * 2012-03-01 2016-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起動制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TW201403497A (zh) 2012-07-09 2014-01-16 Alpha Imaging Technology Corp 電子裝置及數位顯示裝置
KR20140036844A (ko) 2012-09-18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호스트 장치, 서버 및 이들의 잡 수행 방법
JP6119443B2 (ja) 2013-06-11 2017-04-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5089673A (ja) * 2013-11-07 2015-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22440B2 (ja) * 2013-12-27 2016-1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応答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応答方法
WO2016190363A1 (ja) * 2015-05-26 2016-12-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6549585B (zh) * 2015-09-16 2019-02-19 柯尼卡美能达办公系统研发(无锡)有限公司 电源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JP6949578B2 (ja) * 2017-06-23 2021-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47298B2 (en) * 2017-11-29 2020-08-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Dynamic interrupt rate control in computing system
CN109195122A (zh) * 2018-08-31 2019-01-11 广州巨时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窄带物联网的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8573A (en) * 1981-04-09 1982-10-16 Ricoh Co Ltd Facsimile controlling system
DE69429849T2 (de) * 1993-11-08 2002-08-22 Seiko Epson Corp Feststellung des Betriebszustands eines Druckers
JPH103450A (ja) * 1996-06-18 1998-01-06 Brother Ind Ltd ステータス応答装置
JP3285807B2 (ja) * 1997-12-26 2002-05-27 富士通株式会社 電源及びハードウェア障害の切り分け装置及びその方法
JP3715772B2 (ja) * 1998-02-04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ホストコンピュータ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3315941B2 (ja) * 1999-02-09 2002-08-19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175440A (ja) 1999-12-20 2001-06-29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並びに画像記録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画像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175618A (ja) 2000-12-06 2002-06-21 Sony Corp 磁気記録媒体
JP3659165B2 (ja) * 2000-12-06 2005-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制御装置
JP2002268778A (ja) * 2001-03-14 2002-09-2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3503605B2 (ja) * 2001-03-26 2004-03-08 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81B1 (ko) * 2004-07-27 2008-0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7796588B2 (en) 2004-07-27 2010-09-1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0633C (zh) 2006-06-21
JP3984876B2 (ja) 2007-10-03
EP1378859A2 (en) 2004-01-07
JP2004034488A (ja) 2004-02-05
US7283262B2 (en) 2007-10-16
EP1378859B1 (en) 2012-05-23
CN1480820A (zh) 2004-03-10
KR100572291B1 (ko) 2006-04-19
EP1378859A3 (en) 2010-03-31
US20040004732A1 (en)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291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JP4298256B2 (ja) 画像形成装置
US68951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0520638C (zh) 图像处理装置
JP4250396B2 (ja) 画像形成装置
EP229314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w Power Thereof
CN100562836C (zh) 数据处理装置和省电控制方法
JPH07181843A (ja) 低消費電力型の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60358A1 (en) Power supplying mode switching controll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73021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2142385A (ja) サーバ装置、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H11146103A (ja) 複合機
JP444032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11755A (ja) 画像処理装置、省電力制御方法及び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CN103517010A (zh) 图像形成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图像形成系统
JP2003089254A (ja) 情報入出力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ネットワーク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8244317A (ja) デジタル複写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810643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3052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96869A (ja) 代理応答機能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EP0750247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nectable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via an interface
JP5821406B2 (ja) 画像処理装置、省電力制御方法及び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H0829506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1797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352410A (ja) 通信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