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136B1 -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6136B1 KR101286136B1 KR1020060117229A KR20060117229A KR101286136B1 KR 101286136 B1 KR101286136 B1 KR 101286136B1 KR 1020060117229 A KR1020060117229 A KR 1020060117229A KR 20060117229 A KR20060117229 A KR 20060117229A KR 101286136 B1 KR101286136 B1 KR 1012861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unit
- unit
- auxiliary power
- electronic device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전자기기는, 주 전원을 제공하는 주전원부, 외부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온/오프 제어부,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주전원부를 오프시키는 메인 제어부, 메인 제어부로 보조전원을 제공하는 보조전원부, 및,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온/오프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 중 하나의 제어에 따라, 메인 제어부로 전달되는 보조전원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발생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전자기기, 원격 부팅(Wake-On LAN), 보조 전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200 : 전자기기 110, 210 : 보조 전원부
120, 220 : 제1 스위칭부 130, 230 : 제어부
140, 240 : 주전원부 150, 250 : 온/오프 제어부
260 : 입력부 270 : 제2 스위칭부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해당 기기가 가지는 고유의 기능을 처리 및 수행하며, 소정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의 예로는, 디스플레이 장치, 컴퓨터 및 휴대용 기기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는 외부기기 중의 하나인 서버와 연결되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를 서버에 연결하여 제어함으로써, 공항이나 증권, 호텔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버에 다수의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경우, WOL(Wake-On LAN) 기능(이하, "WOL 기능"이라 함)을 이용할 수 있다. WOL 기능이란, LAN을 통해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의 온/오프 동작을 서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한편, 전자기기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WOL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를 통해 오프 신호가 전송되면, 전자기기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하지만, 전자기기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서버로부터 WOL 기능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전송받는 온/오프 제어부와 전자기기의 주(主)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에는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도 온/오프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인한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보조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주(主) 전원을 제공하는 주전원부, 외부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온/오프 제어부, 상기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전원부를 오프시키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로 보조전원을 제공하는 보조전원부, 및, 상기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온/오프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 중 하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제공되는 보조전원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온/오프 제어부는 상기 주전원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전원부로부터 보조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WOL(Wake-On LAN)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기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기기 온 신호가 입력되면 일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주전원부를 온시키고, 상기 기기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대기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주전원부를 오프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전원부로부터 제공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온/오프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대기 모드 및 일반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WOL 기능이 미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온/오프 제어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WOL 기능이 미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및 상기 WOL 기능이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온시켜 상기 온/오프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은 WOL(Wake-ON LAN) 기능이 설정된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의 전자기기(100)는 보조 전원부(110), 제1 스위칭부(120), 메인 제어부(130), 주전원부(140) 및 온/오프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보조 전원부(110)는 메인 제어부(130) 및 온/오프 제어부(150)에 보조 전원을 제공한다.
한편, 제1 스위칭부(120)는 보조 전원부(110) 및 메인 제어부(130) 사이에 연결되며, 턴-온/오프 동작을 통해 보조 전원부(110)에서 제공되는 보조 전원을 메인 제어부(130)에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이 경우, 제1 스위칭부(120)는 메인 제어부(130) 또는 온/오프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턴-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스위칭부(120)로는 텀블러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주전원부(140)는 전자기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主) 전원을 제공하며, 메인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 어 전자기기(100)의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 경우, 일반모드란,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온되어 전자기기(100)가 구동되는 상태를 말하며, 대기 모드란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자기기(10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온/오프 제어부(150)는 LAN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미도시)와 연결되어 외부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온/오프 제어부(150)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외부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스위칭부(120) 및 메인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즉, 온/오프 제어부(150)는 LAN과 같은 통신망을 관장하는 이더넷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현되어 WO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130)는 주전원부(140)의 전원을 온/오프하여 전자기기(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130)는 전자기기(1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온/오프 제어부(150)를 통해 외부 오프 신호가 전송되면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여 전자기기(1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130)는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오프되면, 제1 스위칭부(120)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스위칭부(120)가 턴-오프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스위칭부(120)는 온/오프 제어부(150)를 통해 직접 외부 오프 신호를 전송받아 턴-오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온/오프 제어부(150)는 보조 전원부(110)로부터 보조 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WOL(Wake-On LAN)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1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은 차단하고 온/오프 제어부(150)에만 보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대기 모드에서 구동이 필요하지 않은 메인 제어부(130)로 인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온/오프 제어부(150)를 통해 외부 온 신호가 전송되면, 제1 스위칭부(120)는 턴-온된다. 이 경우, 제1 스위칭부(120)가 턴-온됨에 따라, 보조 전원부(110)에서 제공되는 보조 전원이 메인 제어부(130)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메인 제어부(130)가 보조 전원의 공급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에서 온/오프 제어부(150)를 통해 외부 온 신호가 전송되면, 메인 제어부(130)는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온되도록 제어하여 전자기기(100)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200)는 보조 전원부(210), 제1스위칭부(220), 메인 제어부(230), 주전원부(240), 온/오프 제어부(250), 입력부(260) 및 제2 스위칭부(270)를 포함한다.
도 2의 전자기기(200)는 WOL(Wake-On LAN) 기능이 사용자 등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택 가능한 경우, 그 선택 상태에 따라 내부 구성 요소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는 실시 예에 따른 것이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기재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260)는 WOL 기능의 설정 명령 또는 미설정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 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을 통해 사용자가 WOL 기능 설정을 선택하면, 입력부(260)는 WOL 설정 명령을 메인 제어부(230)에 전달하고, 사용자가 WOL 기능 미설정을 선택하면, 입력부(260)는 WOL 미설정 명령을 메인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한편, 입력부(260)는 전자기기(200)의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한 기기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경우, 기기 온/오프 신호는 전자기기(200) 외부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 또는 리모컨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부(270)는 보조 전원부(210) 및 온/오프 제어부(250) 사이에 연결되어, 턴-온/오프 동작을 통해 보조 전원부(210)에서 제공되는 보조 전원을 온/오프 제어부(250)에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이 경우, 제2 스위칭부(270)는 메인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턴-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부(270)는 텀블러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30)는 전자기기(20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230)는 입력부(260)를 통해 WOL 기능 미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스위칭부(270)를 턴-오프 제어하여 온/오프 제어부(250)를 비활성화시킨다.
한편, 메인 제어부(230)는 WOL 기능이 미설정되고 전자기기(2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입력부(260)를 통해 기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주전원부(240)의 전원을 오프시켜 전자기기(2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230)는 기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스위칭부(270)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여 턴-오프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스위칭부(220)는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메 인 제어부(230)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230)는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미설정되고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온/오프 제어부(25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은 차단되고, 메인 제어부(230)에만 보조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대기 모드에서 구동이 필요하지 않은 온/오프 제어부(250)로 인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메인 제어부(230)는 WOL 기능이 미설정되고 전자기기(2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입력부(260)를 통해 기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주전원부(240)의 전원을 온시켜 전자기기(20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230)는 기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스위칭부(270)에 온 신호를 전송하여 턴-온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WOL 기능이 설정되면, 메인 제어부(230)는 제2 스위칭부(270)를 턴-온시켜 온/오프 제어부(250)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메인 제어부(230)는 입력부(260)를 통해 WOL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스위칭부(270)를 턴-온시켜 온/오프 제어부(25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WOL 기능에 따른 외부 온/오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 제어부(230)는 WOL 기능이 설정되고 전자기기(2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온/오프 제어부(250)를 통해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주전원부(240)의 전원을 오프시켜 전자기기(2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230)는 주전원부(240)의 전원이 오프되면, 제1 스위칭부(220)를 턴-오프시켜 보조 전원부(210)를 통해 자신에게 제공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 경우, 제2 스위칭부(270)는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온/오프 제어부(250)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온/오프 제어부(250)는 WOL 기능에 따른 외부 온/오프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설정되고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2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은 차단되고, 온/오프 제어부(250)에만 보조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구동이 필요하지 않은 메인 제어부(230)로 인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온/오프 제어부(250)는 WOL 기능이 설정되고, 전자기기(2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서버(미도시)를 통해 외부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스위칭부(220)를 턴-온시킨다. 제1 스위칭부(220)가 턴-온됨에 따라 보조 전원부(210)에서 제공되는 보조 전원이 메인 제어부(230)에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230)가 보조 전원의 공급에 따라 활성화되면, 온/오프 제어부(250)를 통해 수신된 외부 온 신호에 대응하여 주전원부(240)의 전원이 온되도록 제어하여 전자기기(20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전자기기(2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며, 대기 모드에서 메인 제어부(230) 및 온/오프 제어부(250)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전자기기(100)가 WOL 기능에 따른 외부 온/오프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실시 예에 따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전자기기(100)의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S310).
다음, 전자기기(100)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서버(미도시)를 통해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주(主) 전원을 오프시켜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320).
이 후, 전자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메인 제어부(1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한다(S330).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130) 또는 온/오프 제어부(250)가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전원부(110)와 메인 제어부(130)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칭부(120)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메인 제어부(1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자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온/오프 제어부(150)에만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S340). 이에 따라, 전자기기(100)의 대기 모드에서 구동이 필요하지 않는 메인 제어부(130)로 인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S310 단계를 통해, 전자기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서버(미도시)를 통해 외부 온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13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S350). 이 경우, 서버(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외부 온 신호를 제1 스위칭부(120)에 전송함으로써, 제1 스위칭부(120)가 턴-온되도록 하여 보조 전원부(110)에서 제공되는 보조 전원이 메인 제어부(130)에 공급되게 된다.
이 후, 전자기기(100)의 메인 제어부(130)는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주 전원부(140)의 전원을 온시켜 전자기기(10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S360). 이와 같이, 전자기기(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스위칭부(120)의 턴-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메인 제어부(1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WOL 기능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WOL 기능이 설정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405). 확인 결과, WOL 기능이 설정되었다면, 전자기기(200)의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S410).
다음, 전자기기(200)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서버(미도시)를 통해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주(主) 전원을 오프시켜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415). 이 후, 전자기기(200)가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메인 제어부(2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한다(S420). 다음, 전자기기(2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온/오프 제어부(250)에만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S425). 이에 따라,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설정되고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구동이 필요하지 않은 메인 제어부(2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S410 단계를 통해, 전자기기(2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서버(미도시)를 통해 외부 온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23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S430). 이 후, 전자기기(200)의 메인 제어부(230)는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주전원부(240)의 전원을 온시킴으로써 전자기기(20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S435). 이와 같이,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스위칭부(220)의 턴-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메인 제어부(23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게 된다.
S405 확인 결과, WOL 기능이 미설정되었다면, 전자기기(200)의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S440).
다음,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미설정되고 일반 모드로 확인된 상태에서 기기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주(主) 전원을 오프시켜 전자기기(20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445). 한편, 전자기기(200)의 기기 온/오프 신호는 전자기기(200) 외부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 또는 리모컨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음, 전자기기(200)가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온/오프 제어부(25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한다(S450). 구체적으로,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전원부(210)와 온/오프 제어부(250)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칭부(270)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온/오프 제어부(25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전자기기(2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메인 제어부(230)에만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S455). 구체적으로, 보조 전원부(210)와 메인 제어부(230)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칭부(220)의 턴-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조 전원부(210)로부터 제공되는 보조 전원을 메인 제어부(230)에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미설정되고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구동이 필요하지 않은 온/오프 제어부(250)로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440 단계를 통해,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미설정되고 대기 모드로 확인된 상태에서 기기 온 신호가 입력되면, 주(主) 전원을 온시켜 전자기기(20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S460).
이 후, 전자기기(200)는 온/오프 제어부(25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S470). 구체적으로, 보조 전원부(210)와 온/오프 제어부(230)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칭부(270)를 턴-온시켜 보조 전원부(210)로부터 제공되는 보조 전원을 온/오프 제어부(25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200)가 WOL 기능이 미설정된 상태에서는 동작 모드에 따라 제2 스위칭부(270)의 턴-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온/오프 제어부(250)에 공급되는 보조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자기기(200)의 WOL 기능 설정 상태 및 동작 모드 상태에 따라 제1 스위칭부(220) 및 제2 스위칭부(270)의 턴-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제어부(230) 또는 온/오프 제어부(250)에 제공되는 보조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대기 모드에서 최소한의 내부 구성요소에만 보조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 주(主) 전원을 제공하는 주전원부;외부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온/오프 제어부;상기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전원부를 오프시키는 메인 제어부;상기 메인 제어부로 저전력의 보조전원을 제공하는 보조전원부; 및,상기 외부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온/오프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 중 하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제공되는 보조전원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온/오프 제어부는,상기 주전원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전원부로부터 보조전원을 제공받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WOL(Wake-On LAN)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기기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기기 온 신호가 입력되면 일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주전원부를 온시키고, 상기 기기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대기모드로 동작하여 상 기 주전원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조전원부로부터 제공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온/오프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제어부는,대기 모드 및 일반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WOL 기능이 미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온/오프 제어부를 비활성화시키고,상기 WOL 기능이 미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및 상기 WOL 기능이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온시켜 상기 온/오프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7229A KR101286136B1 (ko) | 2006-11-24 | 2006-11-24 |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7229A KR101286136B1 (ko) | 2006-11-24 | 2006-11-24 |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7194A KR20080047194A (ko) | 2008-05-28 |
KR101286136B1 true KR101286136B1 (ko) | 2013-07-16 |
Family
ID=3966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7229A KR101286136B1 (ko) | 2006-11-24 | 2006-11-24 |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613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6131B1 (ko) * | 2000-09-22 | 2003-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대기전원 절전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2004034488A (ja) * | 2002-07-03 | 2004-02-05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
-
2006
- 2006-11-24 KR KR1020060117229A patent/KR1012861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6131B1 (ko) * | 2000-09-22 | 2003-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대기전원 절전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2004034488A (ja) * | 2002-07-03 | 2004-02-05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7194A (ko) | 2008-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74615B2 (en) |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 |
KR101697443B1 (ko) | 저전력소모 대기 회로장치, 에어컨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 |
JPWO2004001716A1 (ja) |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節電制御装置 | |
JP4163732B2 (ja) | 表示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 |
KR20070079523A (ko) | 휴대용컴퓨터의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9160199B2 (en) |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 |
JP2012112544A (ja) | 空気調和機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2006340469A (ja) | 節電装置 | |
US20040015733A1 (en) |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 |
KR101203561B1 (ko) |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286136B1 (ko) |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기기 | |
US20020099965A1 (en) | Energy-saving control interface and method for power-on identification | |
KR20100129664A (ko) |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
JP2006205589A (ja) | 省電力機器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 |
KR101911273B1 (ko) |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1148606A (ja) |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 |
JPH08336187A (ja) |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電源制御装置 | |
JP7255158B2 (ja) | 給湯装置 | |
JP2000341430A (ja) | 通信装置 | |
US8542001B2 (en) | Power circuit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 |
JP2005269850A (ja) | 電源制御システム | |
KR200375959Y1 (ko) | 직렬포트 병렬포트를 이용한 멀티탭 | |
JP2000267767A (ja) | オンラインシステム | |
KR100776002B1 (ko) |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20000051907A (ko) | 보안장비의 릴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