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080A - 무선 단말기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080A
KR20040015080A KR10-2003-7012747A KR20037012747A KR20040015080A KR 20040015080 A KR20040015080 A KR 20040015080A KR 20037012747 A KR20037012747 A KR 20037012747A KR 20040015080 A KR20040015080 A KR 20040015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oad
transistors
pull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730B1 (ko
Inventor
정회삼
이승욱
이원석
박준배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 H03F1/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with MOS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3/04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3/10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8A variable capacitor being added in the output circuit, e.g. collector, drain, of an amplifier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9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circuit of an amplifying stage comprising an LC-networ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3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on or off by putting into parallel or not, by choosing between amplifiers by (a )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기술된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는 무선 단말기용 입력 증폭기 또는 무선 단말기 송신기의 전치 증폭기 단계로서 적절하다. 증폭기(MN1)은 병렬 배치로 트랜지스터들의 네트워크(MP1-MPn)를 배치함으로써 가변이득을 얻을 수 있고, 각각은 PMOS 스위치(220)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하여 공진 회로(Rp,Lp)를 위한 가변 공진을 제공한다. 전력 분산은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고, 각각은 PMOS 스위치(220)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하다. 증폭기의 공진 주파수는 광 풀-업 커패시터들(Cp1-Cpn)을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동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VARIABLE GAIN LOW-NOISE AMPLIFIER FOR A WIRELESS TERMINAL}
무선 통신에서, 단말장치(예를 들어, 핸드세트)에서의 입사 신호는 전파(電波)전파의 환경(송신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포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다. 송신 단말기로부터의 강한 복사 신호는 원거리 기지국에 유용하나, 근거리 기지국인 경우에는 덜 유용하다. 이런 강한 신호는 송신기 근처에 있는 외부 단말기에 원치않는 가짜 신호(spurious signal)를 부여할 수 있고, 송신기의 배터리를 낭비시킨다. 또한, 수신기에서 증폭을 위한 회로는 대형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를 잘라낼 수 있고 변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입력 및 출력 신호는 각각 수신 블럭에서의 저잡음 증폭기(LNA)와 송신 블럭에서의 전치증폭기에 의해 증폭된다. 다음 단계에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선형성이 반드시 성취되어야 한다. LNA가 대형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를 자르는 것(clipping)을 막기 위하여, LNA의 이득은 제어가능하게 되어야 한다(이득은 대형 입력 신호에 대해 낮아짐). 유사하게는, 송신기의 전치증폭기의 이득은 배터리를 낭비하지 않고, 다음 단계인 전력 증폭기를 혹사하지 않도록 하지 위하여 제어되어야 한다.
도 1은 전류-분리 이득-제어 기술(current-splitting gain-control techniques)을 사용하는 관련기술의 저잡음 증폭기를 도시한다. 관련기술의 이득 제어 체계에서, LNA의 이득은, 이득의 원인이 되는 하부회로, 즉, 차동 증폭기의 드레인 바이어스 전류(drain bias current)를 감소시킴으로써(즉,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된다. 만일 입력 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예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LNA는 완전히 바이패스되어 증폭이 발생하지 않는다. 불행하게도, 바이어스 전류의 감소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원치않는 컷오프에 의해 발생되는 선형성의 저하를 동반한다. 바이패스 작동에 내재된 LNA의 이득의 갑작스런 변화는 우수한 선형성과 원하는 잡음 성과를 동시에 얻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이득 제어를 위해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본 출원은 전문이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2001년 3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연속번호 60/279,45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저잡음 증폭기(LNA) 또는 전치 증폭기에서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LNA 또는 전치 증폭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득 제어 회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관련기술에 따른 전류-분리 이득-제어 기술에 의한 LNA의 회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들의 협대역에서 원하는 이득을 가진 저잡음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서의 증폭기를 위한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턴온 레지스턴스를 갖는 스위치로서 작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회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 MN1을 분배된 NMOS 트랜지스터들 MN[1]~MN[n]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지는 가변 컨덕턴스 파라미터 k를 제공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설계된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NMOS 트랜지스터들 MC[1]~MC[n]를 턴온 또는 턴오프 시키는 PMOS 스위치들의 회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공진 주파수들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구동 트랜지스터 MN1을 사용하여 다-주파수대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도 3a의 일반화된 버전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상기한 문제들 및/또는 단점들을 해결하고 적어도 앞으로 기술될 장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잡음 증폭기 또는 송신기의 전치증폭기에서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잡음 증폭기 및 대형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출력 신호의 절단을 감소시키거나 피하는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낭비하지 않고 다음 단계(전력 증폭기)를 혹사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기의 전치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변이득 증폭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 전극을 갖는 제 1 트랜지스터,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드레인을 포함하고, 입력신호는 제어 전극과 결합되고, 제 1 기준 전압은 제 1 전극과 결합되고 출력 전압은 제 2 전극과 결합된다; 부하 인덕터는 제 2 기준 전압과 제 1 트렌지스터의 제 2 전극 사이에 결합된다; 부하 커패시터는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과 결합하고; 가변 저항은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주파 증폭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스를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 게이트 및 드레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입력 신호는 게이트와 결합된 입력 단자에 의해 입력되고, 소스는 기준 전압 소스와 결합되고, 출력 신호는 드레인과 결합된 출력 단자에 의해 출력된다; 부하 인덕터는 전압 소스와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된다; 부하 커패시터는 출력 단자 및 기준 전압 소스 사이에 결합된다; 가변 저항은 전압 소스와 부하 인덕터와 병렬인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풀-업 커패시터는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풀-업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부하 인덕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들의 각각과 결합된 다수의 스위치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목적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일부 기술될 것이고 일부는 심사를 통해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해 질 것이고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구체적으로 지적된 바에 따라 구현되고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성분들을 나타내는 참조 번호와 같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저잡음 증폭기(예를 들어, 동조된) 및 전치증폭기를 위한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술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회로도에 채택될 수 있고 LNA 또는 전치증폭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junction transistor(BJT)) 또는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JFET))와 같은 장치 기술들의 임의의 타입에 적용가능하다. 설명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금속-산화-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기술을 사용하여 아래에 기술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증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a는 주파수들의 협대역에서 원하는 이득을 갖는 동조된 LNA를 도시한다. LNA는 n-채널 MOS(NMOS) 트랜지스터 MN1(200) 및 커패시터 Cp(205), 인덕터 Lp(210), 및 저항 Rp(215)을 포함하는 부하(load)로 제조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커먼 소스 NMOS 트랜지스터(common-source NMOS transistor)(MN1)(200)의 게이트 노드(gatenode)에 가해질 수 있고, 그 증폭된 신호는 드레인 노드(drain node)(212)에서 나타날 수 있고 또는 출력 단자(214)는 여기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항 Rp(215) 및 인덕터 Lp(210)는 전력 공급 전압(216)(예를 들어, Vdd) 및 드레인 노드(212) 사이에 결합되고, 커패시터 Cp(205)는 접지 단자(218) 및 드레인 노드(212)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커패시터 Cp(205)는 다음 단계(예를 들어, 믹서)의 입력 커패시턴스 및/또는 입력 노드에서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인덕터Lp(210)는 바람직하게는 커패시터 Cp(205)를 가진 병렬-공진 회로를 형성하고 원하는 주파수에서의 LNA의 이득을 조율하여, 공진 주파수에 이득의 피크를 위치시킨다. 인덕터(210)는 나선형 또는 본드-와이어 인덕터(또는 외부 인덕터를 사용함으로써)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LNA의 이득을 적절히 제어하고 출력을 포화 또는 컷-오프에 의해 변형시키는 입력 신호를 피하기 위하여, 저항 Rp(215)은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증가된 크기에 대한 이득을 감소시키기 위한 드레인 바이어스 전류(즉, 도 2a에서의 iD의 DC 성분)의 감소는 전력을 절약하지만, MN1(200)의 원치않는 컷오프 작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선형성의 저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득을 낮추기 위한 도 2a에서 Rp(215)의 값의 감소는 LNA의 선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득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만일 선형성이 전력 소비의 감소보다 더 중요하다면, 드레인 바이어스 전류가 아닌 Rp(215)가 제어될 수 있다.
이득은 공진 주파수에서 Rp2에 비례한다. 따라서, 공진 부하의 양호도(Quality factor) Q가 Rp(215)에 직접 비례하기 때문에, 이득은 Cp(205) 및 Lp(210)의 고정된 값에 대한 공진 회로(즉, 이득 피크의 예리함에 비례한다)의 양호도 Q2에 비례한다:
따라서, Rp(215)를 제어 하는 것은, 고정된 값의 Cp(205) 및 Lp(210)에 대해 Q를 제어하는 것과 동등하다.
도 2b는 도 2a에서의 증폭기를 위한 회로 구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저항 또는 가변 레지스턴스는 병렬로 배치된 p-채널 MOS(PMOS) 트랜지스터 MP[1]~MP[n](220, 225, 230)로 구현된다. 각 PMOS 트랜지스터는 턴온 되었을 때(즉, 그 게이트 전압이 낮춰질 때), 그 선형 영역에서 작동하도록 만들어져서, 도 2c에 나타난대로 턴-온(turn-on) 레지스턴스를 가진 스위치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전체 레지스턴스는 게이트 신호 제어[1]~제어[n](235, 240,...245)의 로직에 의해 제어된다. 이런 PMOS 스위치들을 하나씩 제어하면, 증폭기의 이득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이런 모든 PMOS 스위치들이 턴온 되었을 때 증폭기는 최소 이득을 갖는다(모든 이들의 게이트 전압을 낮춤으로써).
커먼-게이트 NMOS 트랜지스터 MC1(250)는 출력으로부터 입력을 더 절연 시키기 위하여 부가되어 밀러 효과(Miller effect)를 감소시킨다. 바이어스-제너레이팅 블럭(bias-generating block)BIAS_GEN1(255)은 포화 영역에서 MC1(250)을 유지시킴으로써 출력 신호의 MC1(250)의 진동(swing)에 의해 MC1(250)의 작동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하거나 적게 영향을 받게 한다.
부하의 Q를 감소시키는 것은 DC 바이어스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보다는 적게 선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방법들과 비교하여 더 높은 전력 소비를 하게 된다. 도 2b에서의 회로로써 선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드레인 바이어스 전류는 반드시 유지되어야하고, 일정한 DC 전력 소비가 동반되어야 한다. MN1(200)의 컨덕턴스 파라미터 k(게이트 폭에 비례)가 도 2b에서의 회로에 대해 고정되기 때문에, 증폭기의 DC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만일 DC 전력 소비가 반드시 감소되어야 한다면, 이득 제어의 새로운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k를 가변성이 되게 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3a에서의 회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a에서 나타낸대로, 구동 트랜지스터 MN1(200)은 분배된 NMOS 트랜지스터 MN[1]~MN[n](예를 들어, 300,305,..310)로 나뉘어진다. 이런 트랜지스터들은 상응하는 NMOS 트랜지스터 MC[1]~MC[n](예를 들어, 315,320,...325)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NMOS 트랜지스터 MC[1]~MC[n]은 도 3b에 예시로 나타낸 상응하는 PMOS 스위치들(330, 335,...340)에 의해 각각 턴온 되거나 턴오프 된다. 입력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선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 3a에서 BIAS_GEN2(345)를 가진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동시에 이득을 저하시키고 DC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게이트 바이어스의 증가 속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k의 값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k의 빠른 변이는 이득 단계의 넓어진 갭을 초래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의 감소와 이득 제어의 유연성 사이에 트레이드 오프(trade off)가 필요하다. 유익하게도, 만일 풀-업 저항(Rp)(350)이 Rp(215)에 대해 기술한 것처럼 가변적이 된다면 더 부드러운 이득 제어가 일어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변 저항은 도 2b에 있는 p-채널 MOS(P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a에서의 회로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 송신기의 전치증폭기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낮은 용량의 부하를 그 출력에 부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것은 전형적인 전치증폭기가 입력 임피던스가 50Ω(마이크로파 기술에서 표준 임피던스)로 설정될 수 있는 전력 증폭기를 구동시키기 때문이다.
풀-업 커패시터 Cp´(400)는 풀-업 인덕터 Lp(41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즈-연결 스위치(405)로 턴온 되거나 턴오프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해서, 스위치(405)는 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MOSFET(CMOS))"송신 게이트"로 실행될 수 있고, 이 경우 공진 주파수는 상응하여 하강할 수 있고 상승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증폭기가 변동 주파수대에서 안정하게 작동한다면, 다른 원하는 주파수대역 상에 위치하도록 될 수 있다. 이중-대역 작동의 한 예는 약 800MHZ의 셀룰러(celluar) 주파수대역 및 약 1800MHZ의 PCS(시간-다중화)대역에 유용한 무선 통신용 증폭기일 수 있다. 원하는 주파수대역은 CMOS 스위치를 제어하는 외부 신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추가 주파수대 선택성은 도 4a에서의 회로에 대한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 4b에 도시된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일 구동 트랜지스터 MN1(415)에 의해 다-주파수대역 작동을 성취할 수 있다. 작동에서, 커패시터 Cp´[1] - Cp´[n](예를 들어, 420, 425,...430)은 상응하는 시리즈-연결 스위치들(예를 들어, 435, 440,...445)(CMOS 송신-게이트 스위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되어서 턴온 되거나 턴오프 될 수 있다.
상기한대로, 무선 통신에서 이득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여러 장점들을 갖는다. 통합 전치증폭기 또는 MOSFET 기술(예를 들어, 무선 통신용 단말 장치)을 사용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클리핑(clipping) 변형을 피하기 위하여, 이득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풀-업 부하에서 가변 저항을 포함함으로써 조절가능하게 될 수 있다. 가변 저항은 도 2b에서 나타난대로 선형 영역에서 작동하는 분배된 PMOS 트랜지스터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DC 전력 소비의 제어성뿐만 아니라 이득 제어성을 얻기 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분배된 트랜지스터들로 나뉘어질 수 있고, 개별적으로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또한, 공진 주파수는 조절될 수 있고 또는 다-대역 작동은 추가의 커패시터 또는 유사한 것을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들 및 장점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내용은 다른 타입의 장치들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적이고,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많은 대안, 변형 및 변이는 당해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청구항에서, 기능식 청구항들은 인용된 청구항을 실시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구조들을 포함하고 구조적 동일체뿐만 아니라 동일한 구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용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22)

  1. 제어 전극,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갖는 제 1 트랜지스터;
    제 2 기준 전압 및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 사이에 결합되는 부하 인덕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되는 부하 커패시터; 및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고, 입력 신호가 제어 전극과 결합되고, 제 1 기준 전압이 제 1 전극에 결합되고 출력 신호가 제 2 전극과 결합되는 가변이득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은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배치되고 제어 라인들의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 및 부하 커패시터 사이에 결합되는 절연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게이트 전극 제어 라인들의 제 1 네트워크와 결합되는 다수의 제 2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제 2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이 제 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가변이득 증폭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의 상응하는 제 2 전극 및 부하 커패시터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제 3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3 트랜지스터들은 상응하는 게이트 전극 제어 라인들의 제 2 네트워크와 결합되는 가변이득 증폭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업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8. 제 1 항에 있어서,
    풀-업 커패시터들은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된 다수의 풀-업 커패시터들을 더 포함하고, 풀-업 커패시터들의 상응하는 하나와 부하 인덕터를 각각 결합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한 가변이득 증폭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스위치들이 CMOS 기술로 구현되는 가변이득 증폭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풀-업 커패시터들이 풀-업 커패시터들의 선택에 따라 가변 저항의 부하 레지스턴스 및 부하 인덕턴스를 갖는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가변이득 증폭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회로가 800MHz 또는 1800MHz에서 공진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이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다수의 부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부하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이 제어 라인들의 제 3 네트워크의 상응하는 하나에 결합하는 게이트 전극을 갖는 가변이득 증폭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된 다수의 풀-업 커패시터들을 더 포함하고, 풀-업 커패시터들이 풀-업 커패시터들 중의 상응하는 하나와 부하 인덕터를 각각 결합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한 가변이득 증폭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게이트 전극 제어 라인들의 제 1 네트워크와 결합되는 다수의 제 2 트랜지스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의 상응하는 제 2 전극과 부하 커패시터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제 3 트랜지스터 및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 및 부하 커패시터 사이에 결합되는 절연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제 2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이 제 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결합되고, 제 3 트랜지스터들이 상응하는 게이트 전극 제어 라인들의 제 2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가변이득 증폭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된 다수의 풀-업 커패시터들을 더 포함하고, 풀-업 커패시터들이 풀-업 커패시터들 중의 상응하는 하나와 부하 인덕터를 각각 결합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한 가변이득 증폭기.
  16. 소스, 게이트 및 드레인을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
    전력 전압 소스 및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는 부하 인덕터;
    출력 단자 및 기준 전압 소스 사이에 결합되는 부하 커패시터;
    전력 전압 소스 및 출력 단자 사이에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가변저항 및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업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입력 신호가 게이트와 결합된 입력 단자에 의해 입력되고, 소스가 기준 전압 소스와 결합되고, 출력 신호가 드레인에 결합된 출력 터미널에 의해 출력되고, 적어도 하나의 풀-업 커패시터들의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들의 각각과 부하 인덕터를 결합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한 다-주파 증폭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부하 커패시터 사이에 결합된 절연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다-주파 증폭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이 구동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다수의 추가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부하 커패시터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절연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이득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고, 다수의 절연 트랜지스터들이 게이트 전극 제어 라인들의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다-주파 증폭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이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다수의 부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부하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이 제어 라인의 제 3 네트워크의 상응하는 하나에 결합되는 게이트 전극을 갖는 다-주파 증폭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이 부하 인덕터와 병렬로 결합되는 다수의 부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부하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이 제어 라인들의 제 3 네트워크의 상응하는 하나와 결합되는 게이트 전극를 갖는 다-주파 증폭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풀-업 커패시터들이 풀-업 커패시터들의 선택에 따라 부하 레지스턴스 및 부하 인덕턴스를 가진 공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다-주파 증폭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회로가 800MHz 또는 1800MHz에서 공진되고, 스위치들이 CMOS 기술로 구현되는 다-주파 증폭기.
KR1020037012747A 2001-03-29 2002-03-28 무선 단말기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KR100914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945101P 2001-03-29 2001-03-29
US60/279,451 2001-03-29
US09/940,806 2001-08-29
US09/940,806 US6424222B1 (en) 2001-03-29 2001-08-29 Variable gain low noise amplifier for a wireless terminal
PCT/US2002/009478 WO2002080357A1 (en) 2001-03-29 2002-03-28 Variable gain low-noise amplifier for a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080A true KR20040015080A (ko) 2004-02-18
KR100914730B1 KR100914730B1 (ko) 2009-08-31

Family

ID=2695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747A KR100914730B1 (ko) 2001-03-29 2002-03-28 무선 단말기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424222B1 (ko)
EP (1) EP1374396B1 (ko)
JP (1) JP2004522350A (ko)
KR (1) KR100914730B1 (ko)
CN (1) CN1315255C (ko)
AT (1) ATE431009T1 (ko)
CA (1) CA2442332A1 (ko)
DE (1) DE60232230D1 (ko)
HK (1) HK1064813A1 (ko)
TW (1) TWI286878B (ko)
WO (1) WO2002080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348B2 (en) * 2001-10-25 2003-09-16 Motorola, Inc.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autobiasing supply regulation
US7113033B2 (en) * 2002-01-31 2006-09-26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impedance load for a variable gain radio frequency amplifier
US6639472B2 (en) * 2002-03-26 2003-10-28 Intel Corporation High bandwidth, low power, single stage cascode transimpedance amplifier for short haul optical links
GB2410141B (en) * 2002-07-24 2006-03-15 Sirific Wireless Corp Multi-standard amplifier
US7010330B1 (en) 2003-03-01 2006-03-07 Theta Microelectronics, Inc. Power dissipation reduction in wireless transceivers
JP3906173B2 (ja) * 2003-03-17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回路
US6819179B2 (en) * 2003-04-16 2004-11-1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Variable gain low noise amplifier
US6888411B2 (en) * 2003-06-06 2005-05-03 Broadcom Corporation Radio frequency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linearity insensitive to gain
JP2005033596A (ja) 2003-07-08 2005-02-03 Nec Corp 高周波増幅回路
US7173489B1 (en) * 2003-08-25 2007-02-06 Marvell Semiconductor, Inc. Programmable gain voltage buffer
JP4176606B2 (ja) * 2003-09-29 2008-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エミッタ接地回路を用いた高周波受信機
CN100442656C (zh) * 2003-10-21 2008-12-10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低噪声放大器及放大信号的方法
JP2005167501A (ja) * 2003-12-01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振幅減衰機能付き同調回路、及び無線通信装置用集積回路
US9026070B2 (en) 2003-12-18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wireless diversity receiver with multiple receive paths
US7023272B2 (en) * 2004-04-19 2006-04-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band low noise amplifier system
DE102004021153B3 (de) * 2004-04-29 2005-09-15 Infineon Technologies Ag Ultra-Breitband-Signalverstärker
JP2006072817A (ja) * 2004-09-03 2006-03-16 Koito Mfg Co Ltd ピーク検出回路及び放電灯点灯装置
US7084707B2 (en) * 2004-09-24 2006-08-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Low noise amplifier and related method
KR100758854B1 (ko) * 2005-03-29 2007-09-19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가변 이득 모드를 갖는 저잡음 증폭기 및 차동증폭기.
KR100877504B1 (ko) * 2005-07-07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출력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모듈레이션 감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253682A (zh) * 2005-08-30 2008-08-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低噪声放大电路和接收系统
US9450665B2 (en) 2005-10-19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07189569A (ja) * 2006-01-16 2007-07-26 Ricoh Co Ltd 増幅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KR100709326B1 (ko) 2006-09-26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이득증폭기
AU2007332756B2 (en) * 2006-12-11 2011-11-17 Quasar Federal Systems, Inc. Compact underwater electromagnetic measurement system
US7689187B2 (en) * 2007-03-01 2010-03-30 Motorola, Inc. Dual input low noise amplifier for multi-band operation
JP2008277882A (ja) * 2007-04-25 200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増幅回路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7486135B2 (en) * 2007-05-29 2009-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ble, variable gain LNA for multi-band RF receiver
JP2009065511A (ja) * 2007-09-07 2009-03-26 Fujitsu Ltd 増幅回路及び通信機
US7701289B2 (en) * 2007-10-24 2010-04-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Variable gain amplifier including series-coupled cascode amplifiers
US7760019B2 (en) * 2008-03-04 2010-07-20 Micron Technology, Inc. Adaptive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load compensation
US8229043B2 (en) * 2008-03-21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Stepped gain mixer
WO2009137522A2 (en) * 2008-05-06 2009-11-12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equence timing to mitigate supply resonance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
US8571510B2 (en) * 2008-08-18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High linearity low noise receiver with load switching
JP4903834B2 (ja) * 2009-04-27 2012-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利得可変増幅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用の集積回路
JP5308243B2 (ja) * 2009-06-10 2013-10-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ゲイン回路
US20120206150A1 (en) * 2009-08-27 2012-08-16 Kyle David Holzer Adjustable gain amplifier, automated test equipment and method for adjusting a gain of an amplifier
JP2011055055A (ja) * 2009-08-31 2011-03-17 Texas Instr Japan Ltd 増幅回路及び信号強度検出回路並びにオフセット電圧調整方法
TWM377794U (en) * 2009-09-18 2010-04-01 Princeton Technology Corp Low noise amplifier and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ing system
CN102474231A (zh) * 2010-03-10 2012-05-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可变增益放大器
US8912843B2 (en) * 2010-07-06 2014-12-16 Cadence Ams Design India Private Limited Ultra low cut-off frequency filter
US8258869B2 (en) * 2010-08-01 2012-09-04 Quintic Holdings Low noise amplifier with current bleeding branch
US9178669B2 (en) 2011-05-17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Non-adjacent carrier aggregation architecture
US9252827B2 (en) 2011-06-27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splitting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US9154179B2 (en) 2011-06-29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with bypass mode for improved sensitivity
US8400224B1 (en) * 2011-10-28 2013-03-19 Broadcom Corporation Programmable low noise amplifi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30109325A1 (en) * 2011-10-28 2013-05-02 Broadcom Corporation Dual mode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30109331A1 (en) * 2011-10-28 2013-05-02 Broadcom Corporation Transmit/receive switch with esd protec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774334B2 (en) 2011-11-09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ceiver switching
US9362958B2 (en) 2012-03-02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chip signal splitting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US9172402B2 (en) 2012-03-02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reuse architecture
US9118439B2 (en) 2012-04-06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for imbalanced carriers
US9154356B2 (en) 2012-05-25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Low noise amplifiers for carrier aggregation
US9867194B2 (en) 2012-06-12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UE scheduling with shared antenna and carrier aggregation
CN102790589B (zh) * 2012-08-27 2015-04-29 上海市计量测试技术研究院 一种用于测量高阻高压差分探头1MHz共模抑制比的放大器
US9300420B2 (en) 2012-09-11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US9543903B2 (en) 2012-10-22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s with noise splitting
CN103138725A (zh) * 2013-01-11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金属板电容的电路及射频开关、低噪声放大器
US8995591B2 (en) 2013-03-14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Reusing a single-chip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to support non-cellular diversity
US8970296B1 (en) 2013-03-26 2015-03-03 Guerrilla RF, Inc. Amplifying circuit with bypass mode and series isolation switch
JP6344390B2 (ja) * 2013-08-08 2018-06-20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並列共振回路
WO2015067985A1 (en) * 2013-11-07 2015-05-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justable losses of bond wire arrangement
US9337775B1 (en) * 2014-12-05 2016-05-10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a low noise amplifier module
US10177722B2 (en) 2016-01-12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low-noise amplifier with tunable integrated power splitter
JP6470213B2 (ja) * 2016-03-16 2019-02-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器
JP6845461B2 (ja) * 2016-07-28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増幅回路
TWI672903B (zh) * 2018-10-03 2019-09-21 立積電子股份有限公司 放大器電路
CN109787574B (zh) * 2018-12-29 2021-05-04 南京汇君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毫米波可变增益放大器结构
EP3940953A4 (en) * 2019-03-30 2022-03-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VARIABLE GAIN AMPLIFIER AND PHASE CONTROL NETWORK TRANSCEIVER
WO2020243606A1 (en) * 2019-05-31 2020-12-03 Macom Technologies Solutions Holdings, Inc. Dc coupled amplifier having pre-drive and bias control
WO2021063120A1 (en) * 2019-10-04 2021-04-08 The University Of Hong Kong Current-limiting driver circuit and method
TWI819309B (zh) * 2021-05-25 2023-10-21 立積電子股份有限公司 射頻放大器與偏壓電路
US20230387868A1 (en) * 2022-05-25 2023-11-30 Qualcomm Incorporated Wideband Amplifi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1127A (en) * 1962-04-02 1965-06-22 Rca Corp Agc with compensation for change in collector capacitance
US3559088A (en) * 1969-08-07 1971-01-26 Motorola Inc Transistor amplifi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US4520324A (en) * 1983-03-11 1985-05-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OS Gain controlled amplifier
US4586004A (en) * 1983-06-27 1986-04-29 Saber Technology Corp. Logic and amplifier cells
FR2558997B1 (fr) * 1984-01-31 1989-02-03 Thomson Csf Amplificateur correcteur du temps de propagation de groupe de signaux electriques et chaine d'amplification a frequence intermediaire de faisceaux hertziens comportant un tel amplificateur
JP2938999B2 (ja) * 1991-05-23 1999-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ューナ用半導体装置およびチューナ
US5355096A (en) * 1993-07-06 1994-10-11 Trw Inc. Compace HBT wide band microwave variable gain active feedback amplifier
JPH07106907A (ja) * 1993-10-04 1995-04-21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帯域増幅器
DE4341507C1 (de) * 1993-12-06 1995-02-23 Siemens Ag Verstärkerstufe
JP2685014B2 (ja) * 1995-02-28 1997-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周波増幅器
JPH09298477A (ja) * 1995-06-29 1997-11-18 Sony Corp 短波受信機およびローパスフィルタ
JPH10190378A (ja) * 1996-12-27 1998-07-21 Nec Corp 超高効率線形増幅器
FR2770053B1 (fr) * 1997-10-22 2000-01-0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amplificateur a double gain
JP2000036564A (ja) * 1998-07-21 2000-02-02 Oki Electric Ind Co Ltd 可変抵抗器及び可変利得回路
JP2000101360A (ja) * 1998-09-21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増幅器
US6100761A (en) 1998-10-07 2000-08-08 Microtune, Inc. Highly linear variable-gain low noise amplifier
JP2000261265A (ja) * 1999-03-10 2000-09-22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帰還型可変利得増幅回路
GB9916901D0 (en) * 1999-07-19 1999-09-22 Cambridge Silicon Radio Ltd Adjustable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0796A1 (en) 2002-12-19
US6424222B1 (en) 2002-07-23
HK1064813A1 (en) 2005-02-04
CA2442332A1 (en) 2002-10-10
KR100914730B1 (ko) 2009-08-31
EP1374396B1 (en) 2009-05-06
DE60232230D1 (de) 2009-06-18
WO2002080357A1 (en) 2002-10-10
ATE431009T1 (de) 2009-05-15
TWI286878B (en) 2007-09-11
CN1502164A (zh) 2004-06-02
US6657498B2 (en) 2003-12-02
CN1315255C (zh) 2007-05-09
EP1374396A4 (en) 2007-12-12
JP2004522350A (ja) 2004-07-22
EP1374396A1 (en) 200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30B1 (ko) 무선 단말기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KR102287445B1 (ko) 저잡음 증폭기를 바이패스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457577B1 (en) Method to build asymmetrical transmit/receive switch with 90 degrees impedance transformation section
US8427240B2 (en) Low-noise amplifier with gain enhancement
US8081033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and high-frequency signal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075690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안테나 스위치
US10778211B2 (en) Switch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odule
TWI438958B (zh) 毫米波切換器及衰減器
US20090029654A1 (en) Using radio frequency transmit/receive switches i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JP2009290411A (ja) 低雑音受信装置
US6630861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EP3518426B1 (en) Rf switch
JP2004201262A (ja) 増幅機能を備えたアンテナスイッチングモジュール
US6259323B1 (en) Gain control for low noise amplifier
KR101699375B1 (ko) 다중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정합회로
KR101037613B1 (ko) 저잡음 증폭기
KR20050102180A (ko) 오디오 저장기기를 위한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JPH10126176A (ja) 伝送回路装置
Wang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a fully integrated IMT-Advanced/UWB dual-band LNA
JP2004007586A (ja) 高周波スイッチ、高周波スイッチ・増幅回路、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
Ellinger Amplitude Control and Switches
Kim et al. A 3.3 V front-end Receiver GaAs MMIC for the digital/analog dual-mode hand-held phones
JP2002314441A (ja) 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