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781A -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781A
KR20040006781A KR1020020041169A KR20020041169A KR20040006781A KR 20040006781 A KR20040006781 A KR 20040006781A KR 1020020041169 A KR1020020041169 A KR 1020020041169A KR 20020041169 A KR20020041169 A KR 20020041169A KR 20040006781 A KR20040006781 A KR 2004000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lithium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189B1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189B1/ko
Priority to US10/617,811 priority patent/US7678504B2/en
Priority to JP2003274506A priority patent/JP4202854B2/ja
Priority to CNB031650031A priority patent/CN1288791C/zh
Publication of KR2004000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a)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양극; b)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음극; c) 상기 양극과 음극사이에 존재하는 세퍼레이터; 및 d) 비수성 유기용매, 리튬염, 및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해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웰링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와 관련하여 이들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의 고성능화 및 대용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상업화되어 사용 중인 리튬 이차 전지는 평균 방전 전위가 3.7V, 즉 4V대의 전지로서 3C라 일컬어지는 휴대용 전화,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에 급속도로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의 심장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전지의 용량, 성능 특성의 개선과 함께 과충전 특성과 같은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지가 과충전되면 충전상태에 따라양극에서는 리튬이 과잉 석출되고, 음극에서는 리튬이 과잉 삽입되어 양극 및 음극이 열적으로 불안정해져 전해질의 유기용매가 분해되는 등 급격한 발열반응이 일어나고, 또한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여 전지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해질 중에 레독스 셔틀(redox shuttle) 첨가제로서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709,968호는 2,4-디플루오로아니솔(2,4-difluoroanisole)과 같은 벤젠 화합물을 첨가하여 과충전 전류 및 이로 인한 열폭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비수계 리튬 이온 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879,834호에는 바이페닐(biphenyl), 3-클로로티오펜(3-chlorothiophene), 퓨란 등의 방향족 화합물을 소량 첨가하여 비정상적인 과전압 상태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중합되어 내부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레독스 셔틀 첨가제들은 산화발열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지 내부 온도를 조기에 상승시켜 세퍼레이터의 기공을 빠르고 균일하게 차단(shut-down)시킴으로써 과충전 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과충전시 정극 표면에서 첨가제의 중합반응이 과충전 전류를 소비하여 전지를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그러나 첨가제의 중합반응으로는 과충전 전류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고 산화반응에 의한 분해로 가스가 다량 발생하여 전지의 스웰링(swelling) 현상이 심화되는 등 상기와 같은 레독스 셔틀 첨가제로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 스웰링 현상은 전지가 특정 방향으로 부풀어오르는 등 특정면의 중심부가 변형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 첨가제들은 전지의 고온 특성이나 수명 특성 등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스웰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전지의 내압 상승시 내부의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벤트 또는 전류 차단기(current breaker)를 장착하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내압 상승으로 인하여 오작동의 위험까지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밖에도 전지의 스웰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극판을 10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열처리한 후 상온 냉각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출원 제1999-109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웰링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각형 리튬 이차 전지의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구체예에 따르면, a)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양극; b)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음극; c) 상기 양극과 음극사이에 존재하는 세퍼레이터; 및 d) 비수성 유기용매, 리튬염, 및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스웰링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구체예에 따르면, 리튬염; 비수성 유기용매;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질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주입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인 비수계 리튬 이차 전지(1)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전지는 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기재에 코팅하여 양극(2) 및 음극(4)으로 사용하고 양극(2)과 음극(4) 사이에 세퍼레이터(6)를 삽입하여 이를 권취하여 전극조립체(8)를 형성한 다음 케이스(10)에 넣어 제조된다. 상기 전지의 상부는 캡 플레이트(12)와 가스켓(14)으로 밀봉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12)에는 전지의 과압 형성을 방지하는 안전밸브(safety vent; 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2) 및 음극(4)에 각각 양극 탭(18)과 음극 탭(20)을 설치하고 절연체(22, 24)는 전지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된다. 전지를 밀봉하기 전에 전해질(26)을 주입한다. 주입된 전해질(26)은 세퍼레이터(6)에 함침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a)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양극; b)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음극; c) 상기 양극과 음극사이에 존재하는 세퍼레이터; 및 d) 비수성 유기용매, 리튬염, 및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해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 또는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하여 리튬-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 LiMn2O4, LiCoO2, LiNiO2, LiFeO2, V2O5등과 같은 복합 금속 산화물, TiS, MoS 등 설파이드 화합물, 유기 디설파이드 화합물이나 유기 폴리설파이드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또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탄소재 물질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탄소섬유, 비정질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밖에, 종래부터 리튬 전지의 양극 또는 음극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세퍼레이터로는 폴리에틸렌 세퍼레이터,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2층 세퍼레이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3층 세퍼레이터 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3층 세퍼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질은 비수성 유기용매, 리튬염, 및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는 n-메틸 아세테이트, n-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중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경우 환형(cyclic) 카보네이트와 사슬형(chain) 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와 사슬형 카보네이트는 1:1 내지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피비로 혼합되어야 전해질의 성능이 바람직하게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질은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에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로는 하기 화학식 1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p는 0 내지 6의 정수이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젠, 플루오로벤젠, 톨루엔, 플루오로톨루엔, 트리플루오로톨루엔, 자일렌 등이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에서 카보네이트계 용매/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의 부피비가 1:1 내지 3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피비로 혼합되어야 전해질의 성능이 바람직하게 나타난다.
리튬염은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비수성 유기용매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한다.
상기 리튬염으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4F9SO3, LiAlO4, LiAlCl4, LiGaCl4, LiN(CxF2x+1SO2)(CyF2y+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LiNO3, LiCl, 및 L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시켜 사용가능하다.
리튬염의 농도는 0.6 내지 2.0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7 내지 1.6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리튬염의 농도가 0.6M 미만이면 전해질의 전도도가 낮아져 전해질 성능이 떨어지고, 2.0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는 전지의 고온에서의 스웰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고분자내에 P=O 결합을 가지고 있어 전지의 난연성능을 개선시켜, 결과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는 중합가능한 관능기로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을 중합시켜 형성된다.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알키닐기 등이 바람직하며, 이중 비닐기, 실릴기(silyl), 실록시기 (siloxy)등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에틸 비닐 포스포네이트, 디메틸 비닐 포스포네이트, 디프로필 비닐 포스포네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ethylene glycol methacrylate phosphate; CH2=C(CH3)CO2CH2CH2OP(O)(OH)2), 알릴 디에틸 포스포노아세테이트(allyl diethylphosphonoacetate; (C2H5O)2P(O)CH2CO2CH2CH=CH2), 트리에틸 3-메틸-4-포스포노크로토네이트(triethyl 3-methyl-4-phosphonocrotonate; (C2H5O)2P(O)CH2C(CH3)=CHCO2C2H5), 알릴 테트라 이소프로필포스포로디아미다이트(allyl tetraisopropylphosphorodiamidite; [[CH3)2CH]2N]2POCH2CH=CH2) 등이 있다.
상기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는 전해질 총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5 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고분자가 0.005 중량%보다 적으면 선형 고분자 첨가 효과를 보기가 어려우며, 5 중량%보다 많을 때에는 전지의 용량이 저하되고, 기타 제반 전지 성능도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는 전지의 스웰링 특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전극 표면에 피막 형성에도 도움을 준다. 전극 표면에 형성된 유기질 피막은 충방전중 리튬 이온의 부반응을 억제하여 리튬 이온의 양이 가역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절연 수지로 된 세퍼레이터를 삽입하고 이를 와인딩(winding)하거나 스택킹(stacking)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 다음,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고 전해질을 주입하여 조립된다.
상기 양극으로는 양극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제를 혼합하고, 이들을 금속호일 또는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집전체에 도포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음극으로는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필요에 따라 도전제를 혼합하고, 이들을 금속호일 또는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집전체에 도포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리튬염; 비수성 유기용매;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질을 주입하여 전지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전지를 상온(약 20℃)에서 방치하거나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이 중합되어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더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중합반응에 관여하는 중합개시제로는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벤조페논(BPO), 퍼옥사이드계열의 개시제인 디라우로일 퍼록사이드(dilauroyl peroxide), 디(4-tert-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Di(4-tert-butylcyclohexyl) peroxydicarbonate), t-아밀퍼옥실 2-에틸 헥사노에이트(t-amyl peroxyl 2-ethyl hexanoate) 등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함량은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부보다 작으면, 전극 표면에 효과적인 피막이 생기기 어려우며, 10 중량부보다 크면 개시제 자체 분해로 인한 가스발생이 문제시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 카보네이트(E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플루오로벤젠(FB)을 30:55:5:10의 부피비로 혼합한 유기용매에 1.3M LiPF6를 첨가한 다음, 디에틸 비닐 포스포네이트 0.5 중량%와 디에틸 비닐 포스페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소부티로니트릴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양극 활물질인 LiCoO2(평균입경: 10㎛), 도전제(수퍼 P) 및 바인더(PVDF)를 94:3:3의 중량비로 N-메틸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위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롤 프레스로 압연하여 폭 4.9cm이고 두께가 113㎛인 양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음극 활물질인 메조카본 파이버(MCF:petoca사), 옥살산 및 바인더(PVDF)를 89.8:0.2:10의 중량비로 NMP에녹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 슬러리를 구리 집전체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롤 프레스로 압연하여 폭 5.1cm이고 두께가 117 ㎛인 음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극판 및 음극 극판의 사이에 폴리에틸렌(PE) 다공성 필름(폭: 5.3cm, 두께: 18㎛)으로 만든 세퍼레이터를 삽입하여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각형 전지 케이스에 넣고 상기 전해질 조성물 5.6g을 주입한 후 24시간 방치하여 P=O 함유 선형 고분자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 카보네이트(E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플루오로벤젠(FB)을 30:55:5:10의 부피비로 혼합한 유기용매에 1.3M LiPF6를 첨가한 다음, 디에틸 비닐 포스포네이트 0.5 중량%와 디에틸 비닐 포스포네이트를 기준으로 이소부티로니트릴 2.7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극 극판 및 음극 극판의 사이에 폴리에틸렌(PE) 다공성 필름(폭: 5.3cm, 두께: 18㎛)으로 만든 세퍼레이터를 삽입하여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각형 전지 케이스에 넣고, 상기 전해질 조성물 2.2 g을 주입하여 전지를 조립하였다. 조립된 전지를 75℃ 오븐에서 4시간 방치하여 디에틸 비닐 포스포네이트가 반응하여 P=O 함유 선형 고분자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비교예 1)
에틸렌 카보네이트(E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플루오로벤젠(FB)을 30:55:5:10의 부피비로 혼합한 유기용매에 1.3M LiPF6를 첨가한용액을 전해질 조성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형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스웰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각형 전지 각각 3개에 대하여 0 V 내지 4.2 V의 전압 범위에서 0.2C로 충방전을 실시하여 화성(formation)을 실시하였다. 0.5C로 표준 충전한 상태에서 90℃의 고온 챔버 안에 4시간 및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전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전지의 두께(mm) 초기 3.84 3.83 3.83
4시간 후 4.78 4.27 5.11
48시간 후 7.81 6.90 9.87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전지의 스웰링 특성이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스웰링 특성이 우수하며 난연특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전지에 비하여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Claims (15)

  1. a)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양극;
    b)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탈삽입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음극;
    c) 상기 양극과 음극사이에 존재하는 세퍼레이터; 및
    d) 비수성 유기용매, 리튬염, 및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인 리튬 이차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트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및 부틸렌 카보네이트(B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인 리튬 이차 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트는 환형(cyclic) 카보네이트와사슬형(chain) 카보네이트의 혼합용매인 리튬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는 카보네이트계 용매와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의 혼합용매인 리튬 이차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는 하기 화학식 1의 방향족 화합물인 리튬 이차 전지.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p는 0 내지 6의 정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는 벤젠, 플루오로벤젠, 톨루엔, 플루오로톨루엔, 트리플루오로톨루엔, 자일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인 리튬 이차 전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와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는 1:1 내지 30: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상기 리튬염으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4F9SO3, LiAlO4, LiAlCl4, LiGaCl4, LiN(CxF2x+1SO2)(CyF2y+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LiNO3, LiCl, 및 L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리튬 이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0.6 내지 2.0M의 농도로 사용되는 리튬 이차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을 중합시켜 형성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디에틸 비닐 포스포네이트, 디메틸 비닐 포스포네이트, 디프로필 비닐 포스포네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ethylene glycol methacrylate phosphate; CH2=C(CH3)CO2CH2CH2OP(O)(OH)2), 알릴 디에틸 포스포노아세테이트(allyl diethylphosphonoacetate; (C2H5O)2P(O)CH2CO2CH2CH=CH2), 트리에틸 3-메틸-4-포스포노크로토네이트(triethyl 3-methyl-4-phosphonocrotonate;(C2H5O)2P(O)CH2C(CH3)=CHCO2C2H5), 및 알릴 테트라 이소프로필포스포로디아미다이트(allyl tetraisopropylphosphorodiamidite; [[CH3)2CH]2N]2POCH2CH=C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리튬 이차 전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의 함량은 전해질 총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인 리튬 이차 전지.
  14. 리튬염; 비수성 유기용매;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질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주입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P=O 결합을 가지는 선형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전지를 제조한 다음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2-0041169A 2002-07-15 2002-07-15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6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169A KR100463189B1 (ko) 2002-07-15 2002-07-15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10/617,811 US7678504B2 (en) 2002-07-15 2003-07-14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3274506A JP4202854B2 (ja) 2002-07-15 2003-07-15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B031650031A CN1288791C (zh) 2002-07-15 2003-07-15 一种锂二次电池和用于制备该电池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169A KR100463189B1 (ko) 2002-07-15 2002-07-15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781A true KR20040006781A (ko) 2004-01-24
KR100463189B1 KR100463189B1 (ko) 2004-12-23

Family

ID=3043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169A KR100463189B1 (ko) 2002-07-15 2002-07-15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8504B2 (ko)
JP (1) JP4202854B2 (ko)
KR (1) KR100463189B1 (ko)
CN (1) CN1288791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6733A1 (en) * 2004-08-10 2006-02-16 Cheil Industries Inc.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KR100624470B1 (ko) * 2005-06-14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70448B1 (ko) * 2004-05-31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이차전지
KR101102729B1 (ko) * 2007-05-23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077633A1 (ko) * 2012-11-15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충전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077635A1 (ko) * 2012-11-15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충전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8235B2 (en) * 2003-07-17 2011-06-28 Uchicago Argonne Llc Long life lithium batteries with stabilized electrodes
JP4580662B2 (ja) * 2004-02-27 2010-11-17 三井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9012096B2 (en) * 2004-05-28 2015-04-21 Uchicago Argonne, Llc Long life lithium batteries with stabilized electrodes
CN100376057C (zh) * 2004-07-07 2008-03-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非水电解液锂离子二次电池
KR100635704B1 (ko) 2004-10-01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이차전지
GB2437902B (en) * 2005-03-02 2010-12-08 Univ Chicago Novel redox shuttles for overcharge protection of lithium batteries
WO2006116251A2 (en) * 2005-04-26 2006-11-02 The University Of Chicago Processes for making dense, spherical, active materials for lithium-ion cells
US7968231B2 (en) * 2005-12-23 2011-06-28 U Chicago Argonne, Llc Electrode materials and lithium battery systems
US8367253B2 (en) * 2006-02-02 2013-02-05 U Chicago Argonne Llc Lithium-ion batteries with intrinsic pulse overcharge protection
JP5702901B2 (ja) * 2006-12-06 2015-04-1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非水電解質
US8277683B2 (en) * 2008-05-30 2012-10-02 Uchicago Argonne, Llc Nano-sized structured layer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to enable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rate capability lithium batteries
KR101688477B1 (ko) * 2009-05-08 2016-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KR101585147B1 (ko) * 2009-05-21 2016-0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JP5922665B2 (ja) 2011-09-29 2016-05-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5785064B2 (ja) * 2011-11-18 2015-09-24 三井化学株式会社 ホスホノ酢酸化合物を含有する非水電解液、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DE112012005743B4 (de) * 2012-01-25 2022-02-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ichtwässrige Elektrolytsekundärbatter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JP6016015B2 (ja) * 2012-07-23 2016-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994262B1 (ko) * 2012-11-09 2019-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2793307A3 (en) * 2013-04-16 2015-02-18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661798B1 (ko) * 2013-09-04 2016-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이금속-메타인산화물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또는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US9997781B2 (en) 2013-09-04 2018-06-12 Lg Chem, Ltd. Transition metal-metaphosphate an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or hybrid capacitor including the anode active material
DE102013221195A1 (de) 2013-10-18 2015-04-23 Wacker Chemie Ag Phosphonatosilane als Additive in Elektrolyten für Lithium-Ionen-Batterien
KR102163733B1 (ko) * 2013-11-29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TWI565121B (zh) * 2014-06-13 2017-01-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非水性電解質和包含彼之鋰二次電池
US10389211B2 (en) * 2014-10-08 2019-08-20 Borgwarner Inc. Axially extending electric machine electronics cooling tower
US10938665B2 (en) 2015-12-15 2021-03-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ustom service
CN110911743B (zh) * 2018-09-14 2021-10-15 多氟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添加剂、锂离子电池电解液及锂离子电池
CN111253523B (zh) * 2020-01-19 2022-05-17 四川大学 一种不燃凝胶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3311A2 (en) * 1993-11-10 1995-05-18 Valence Technology, Inc. Capped compounds for solid polymeric electrolytes
JP3669024B2 (ja) * 1995-05-26 2005-07-06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A2156800C (en) * 1995-08-23 2003-04-29 Huanyu Mao Polymerizable aromatic additives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non-aqueous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3354057B2 (ja) 1996-10-03 2002-12-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有機電解液二次電池
JPH11273731A (ja) * 1998-03-18 1999-10-08 Hitachi Maxell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014737B2 (ja) 1998-09-17 2007-11-28 昭和電工株式会社 熱重合性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0182621A (ja) * 1998-12-11 2000-06-30 Fujitsu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およびこの負極の製造方法
US6200701B1 (en) * 1999-01-25 2001-03-13 Wilson Greatbatch Ltd. Phosphonate additives for nonaqueous electrolyte in rechargeable cells
KR100553731B1 (ko) 1999-03-30 2006-0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각형 이차전지용 전극 기재의 제조방법
JP4144830B2 (ja) * 1999-04-27 2008-09-03 ユニケミカル株式会社 燃料電池用高分子固体電解質膜
US6905637B2 (en) * 2001-01-18 2005-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set composi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JP2001210373A (ja) 2000-01-24 2001-08-03 Showa Denko Kk 電気化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6466B1 (ko) 2000-07-25 2002-02-28 김순택 리튬 설퍼 전지용 전해액
US7351500B2 (en) * 2000-11-16 2008-04-01 Hitachi Maxell, Ltd. Lithium-containing composite oxide and nonaqueous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761490B2 (ja) 2001-03-14 2011-08-31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ルオロアルキル基含有ホスホン酸重合体、その製造方法、高分子電解質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342605B1 (ko) * 2001-07-05 2002-06-29 이원재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448B1 (ko) * 2004-05-31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이차전지
US7981551B2 (en) 2004-05-31 2011-07-19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e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and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WO2006016733A1 (en) * 2004-08-10 2006-02-16 Cheil Industries Inc.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KR100624470B1 (ko) * 2005-06-14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02729B1 (ko) * 2007-05-23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077633A1 (ko) * 2012-11-15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충전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077635A1 (ko) * 2012-11-15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충전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US8877363B2 (en) 2012-11-15 2014-11-04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wireless charge
US9130235B2 (en) 2012-11-15 2015-09-08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wireless 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3944A1 (en) 2004-01-22
JP2004039642A (ja) 2004-02-05
CN1288791C (zh) 2006-12-06
US7678504B2 (en) 2010-03-16
CN1501542A (zh) 2004-06-02
KR100463189B1 (ko) 2004-12-23
JP4202854B2 (ja)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189B1 (ko)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15332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458568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80468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70448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이차전지
KR100467435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463188B1 (ko) 리튬 이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
KR100471973B1 (ko)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36252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리튬 전지
KR20050096401A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76693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58742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628470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20050029778A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627269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467451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658741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471979B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98232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156251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570601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55100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50048935A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