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 1에 따른 전동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로서, 릴 본체, 전동 모터, 모터 구동부, 듀티비 설정수단, 장력 선택 조작수단, 사권경 검출수단, 듀티비 보정수단, 모터 제어수단을 갖추고 있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것이다. 스풀은 권사(卷絲)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는 스풀을 줄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모터 구동부는 전동 모터를 듀티비가 변화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로 구동하는 것이다. 듀티비 설정수단은 스풀에 감기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복수단계의 장력에 따른 복수단계의 듀티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장력 선택 조작수단은 장력을 복수단계의 어느 것으로부터 선택 조작하기 위한 수단이다. 사권경 검출수단은 스풀에 감기는 낚싯줄의 사권경을 검출하는 수단이다. 듀티비 보정수단은 선택된 장력에 따른 듀티비를 사권경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사권경에 따라 보정하는 수단이다. 모터 제어수단은 듀티비 보정수단으로 보정된 듀티비로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이 전동 릴에서는 장력 선택 조작수단에 의해 복수단계 중 어느 하나의 장력이 선택되면, 선택된 단계의 장력 듀티비가 설정되고, 그 듀티비로 모터 구동부가 제어된다. 사권경이 변화하면 검출된 사권경에 따라 듀티비가 보정되고, 보정된 듀티비로 모터 구동부가 제어된다. 여기에서는, 모터 구동부를 제어할 때 전류값을 검출하여 목표가 되는 전류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듀티비를 설정하여 그 듀티비로 제어하는 오픈 루프 제어를 하고 있으므로, 제어 중에 듀티비가 상하로 변동하지 않고 사권경에 따라 듀티비가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때 스풀 회전 속도의 상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와우링음을 억제하여 소비전력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게다가, 현재의 장력을 예를 들어 토크 등으로 검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계 구성도 간소하게 된다.
발명 2에 따른 전동 릴은 발명 1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듀티비 설정수단은 복수단계의 장력마다 복수의 사권경에 따른 듀티비를 저장하는 듀티비 기억수단을 가지고, 듀티비 보정수단은 장력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장력과 사권경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사권경에 따라 듀티비 기억수단에 기억된 듀티비를 읽어낸다. 이 경우에는, 기억수단에 미리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는 것만으로 듀티비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간단하게 된다.
발명 3에 따른 전동 릴은 발명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듀티비 기억수단에는 스풀에 복수단계의 장력을 각각 작용시켰을 때 정지하기 직전의 스풀 동경과 최대 사권경의 듀티비를 측정하여 얻어진 복수의 사권경에 따른 듀티비가 저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실제로 측정한 스풀 동경과 최대 사권경과의 듀티비를 이용하여 각 사권경의 데이터를 얻고 있기 때문에, 장력을 높은 정밀도로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전동 릴은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사권경 검출수단은 스풀의 회전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회전 위치 데이터 검출수단과, 검출된 회전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풀로부터 방출되거나 스풀에 감기는 낚싯줄길이를 산출하는 줄길이 산출수단과, 산출된 줄길이와, 스풀에 감기는 낚싯줄의 전체길이와, 스풀의 동경에 따라 낚싯줄이 감긴 상기 스풀의 사권경을 산출하는 사권경 산출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경우에는, 스풀 회전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낚싯줄길이, 즉 채비의 수심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사권경을 산출할 수 있어, 사권경의 검출이 용이하다.
< 실시예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R)에 장착되는 릴 본체(1)과, 릴 본체(1) 옆쪽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와,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드래그(3)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은 좌우 한 쌍의 측판(7a, 7b)와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좌우를 덮는 좌우 측면 커버(9a, 9b)를 가지고 있다. 핸들(2)측(도 1의 우측)의 측면 커버(9b)에는, 핸들(2)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뒷부분의 연결부재(8)에는, 외부전원 접속용 전원코드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코드(19)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핸들(2)에 연결된 스풀(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10)의 내부에는 스풀(10)을 줄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직류 구동 모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1)의 핸들(2)측 옆면에는 핸들(2) 및 모터(12)와 스풀(10)과의 구동 전달을 온/오프 하는 클러치의 조작 레버(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를 온 하면, 채비의 자체무게로 인한 줄풀림 도중에 줄푸는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릴 본체(1)의 상부에는 카운터 케이스(4)가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는 릴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표시창(20)이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의 상부에는 채비의 수심이나 물고기 서식 위치를 수면으로부터 및 바닥으로부터의 두 가지 기준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5)가 마련되어 있으며, 표시부(5)의 주위에는 조작키부(6)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4자리의 7세그먼트 표시의 수심 표시영역(5a)와, 그 아래쪽에 배치된 3자리의 바닥 물고기 서식 위치 수심 표시영역(5b)와, 수심 표시영역(5a)의 도 2 우측에 배치된 속도 단수 표시영역(5c)와, 수심 표시영역(5a)의 도 2 우측 하부에 배치된 장력 단수 표시영역(5d)를 가지고 있다. 속도 단수 표시영역(5c)는 조작키부(6)에 의해 조작된 현재의 속도를 5단계 세그먼트 도형으로 표시한다. 장력 단수 표시영역(5d)는 조작키부(6)에 의해 조작된 현재의 장력을 1-5의 5단계 숫자로 표시한다. 또한, 수심 표시영역(5a)의 위쪽에는 표시 모드를 나타내는 「바닥으로부터」의 문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속도 모드와 장력 모드의 제어 모드를 표시하는 「속도·장력」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다. 나아가, 「학습」, 「지정」, 「기본감기」, 「줄 풀기 중단」, 「0 세트」의 5가지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바닥으로부터」의 문자는 수심 표시 모드가 바닥으로부터 모드일 때 표시된다. 바닥으로부터 모드라는 것은, 채비의 수심을 바닥을 기준으로 표시하는 모드이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채비의 수심은 수면을 기준 (위로부터 모드)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학습」∼ 「기본 감기」까지 문자는 권사 모드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권사 모드의 문자가 표시된다.
조작키부(6)은 표시부(5)의 도 1 우측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변경 스위치(SK) 및 모터 스위치(PW)와, 좌측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모터 모드 스위치(VT), 권사 모드를 새로 바꾸기 위한 권사 모드 스위치(MD) 및 바닥이나 물고기 서식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메모 스위치(TB)를 가지고 있다.
모터 스위치(PW)는 모터(12)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모터 스위치(PW)가 온으로 조작되었을 때 모터(12)를 회전시켜 연속 감아 올림이 가능한 스위치로 되어 있다.
변경 스위치(SK)는 구동된 모터(12)의 속도 또는 토크를 증감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상하 두 개의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 변경 스위치(SK)의 위쪽 스위치(SK1)를 누르면 속도 또는 장력이 증가하고 아래쪽 스위치(SK2)를 누르면 감소한다.
모터 모드 스위치(VT)는, 모터(12)를 제어하는 모드에서 장력 제어하는 장력 모드와 속도 제어하는 속도 모드를 바꾸기 위한 스위치로서, 스위치를 누를때마다 제어 모드가 다른것으로 바뀐다. 그리고, 초기 설정에서는 제어 모드가 속도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권사 모드 키(MD)는 3가지 권사 모드를 설정 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예를 들어 이것을 한 번 누르면 학습 모드로 설정되고, 2회 연속하여 누르면 지정 모드, 3회 연속하여 누르면 기본 감기 모드로 각각 권사 모드가 설정된다. 여기서, 학습 모드는 줄의 지름이나 길이를 모르는 낚싯줄을 스풀(10)에 감을 때 사용 되는 권사 모드로서, 줄이 감기는 최종 부분에서의 스풀 회전수와 스풀 1회전 당 줄길이의 관계를 학습하여 낚싯줄 전체길이에 걸친 스풀 회전수와 1회전 당 줄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드이다. 지정 모드는 기억부(46) 내에 준비된 호수 및 길이의 낚싯줄을 스풀에 감을 때 사용되는 모드이다. 기본 감기 모드는 미리 지정된 사권경까지 기본줄을 감은 후에 미지의 낚싯줄을 감을 때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이 기본 감기 모드는, 사권경이 다를 뿐 기본적으로 학습 모드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을 행한다.
메모 스위치(TB)는 채비가 바닥에 도달했을 때 눌리거나, 물고기 서식 위치에 도달하면 눌리는 스위치로서, 그때의 수심이 바닥이나 물고기 서식 위치으로서설정된다. 이 바닥 메모 스위치(SM)을 소정시간 이상 누르면, 낚싯줄이 끊어졌을 때 등에 수심표시의 0점을 새로운 위치에 세트할 수 있다.
릴 제어부(30)은 카운터 케이스(4) 내에 배치된 CPU, RAM, ROM, I/O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릴 제어부(30)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표시부(5)의 표시 제어나 모터 구동 제어 등 각종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릴 제어부(3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키부(6)의 각종 스위치와, 스풀 센서(41)과, 스풀 카운터(4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 제어부(30)에는 버저(buzzer)(44)와, PWM 구동회로(45)와, 표시부(5)와, 기억부(46)과, 기타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스풀 센서(41)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리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리드 스위치가 먼저 검출펄스를 발신했는지에 의해 스풀(10)의 회전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스풀 카운터(42)는 스풀 센서(41)의 온/오프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로서, 이 계수값에 의하여 스풀 회전수에 관련된 회전 위치 데이터가 얻어진다. 스풀 카운터(42)는 스풀(10)이 정회전 (낚싯줄 풀림 방향의 회전)하면 계수값이 감소하고, 반대 회전하면 증가한다. 버저(44)는 경보음을 울리기 위하여 사용된다. PWM 구동회로(45)는 모터(12)를 PWM 구동하는 것으로서, 릴 제어부(30)에 의해 듀티비가 제어되어 모터(12)를 가변토크로 구동한다.
기억부(46)은 예를 들어 EEPROM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46)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고기 서식 위치의 표시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데이터 기억영역(50)과, 실제 낚싯줄길이와 스풀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학습 데이터를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 기억영역(51)과, 속도 단수(SC)에 따른 스풀(10)의 감아 올리는 속도(rpm) 상한치를 기억하는 속도 데이터 기억영역(52)와, 5단계의 장력마다 예를 들어 10단계의 사권경에 따른 모터(12)의 듀티비를 기억하는 장력 데이터 기억영역(53)과,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영역(54)가 설치되어 있다.
속도 데이터 기억영역(52)에는, 예를 들어, 단수(SC)가 1속인 경우에 상한의 속도 데이터(SS)=257rpm, 2속의 경우에 (SS)=369rpm, 3속의 경우에 (SS)=503rpm, 4속의 경우에 (SS)=665rpm, 5속의 경우에 (SS)=1000rpm이 각각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장력 데이터 기억영역(53)에는 스풀 동경과 최대 사권경 사이에 장력 단수마다 복수단계의 사권경에 대응한 듀티비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예를 들어 장력 단수TC가 1단의 경우에 듀티비(%) TS=17~25, 2단의 경우에 TS=27~40, 3단의 경우에 TS=40~60, 4단의 경우에 TS=53~80, 5단의 경우에 TS=67~100의 범위로 각각 스풀 동경으로부터 최대 사권경의 사이에 10단계의 값이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듀티비 값은, 스풀(10)에, 예를 들어 5단계의 장력을 각각 작용시켰을 때 정지하기 직전의 스풀 동경과 최대 사권경과의 듀티비를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단계의 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스풀 동경과 최대 사권경과의 2개 듀티비 데이터에 의한 듀티비와 사권경의 관계를 일차 직선에 근사하고, 근사하여 얻어진 일차 직선으로부터 그 중간의 복수의 사권경에서의 듀티비를 산출하여, 얻어진 각 단계의 사권경에 따른 듀티비가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기억영역(54)에는 설정된 속도 단수(SC) 또는 장력 단수(TC) 등의 각종 일시적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줄길이 산출방법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풀 1회전 당 낚싯줄길이(Y)와 스풀 회전수(X)와의 관계를 1차 직선에 근사시킬 수 있음을 이용하여 낚싯줄(L)을 산출하고 있다.
굵기와 전체길이가 불분명한 낚싯줄을 사권경(B)mm로부터 스풀(10)에 층형상으로 감아서, c회전에서 전체 낚싯줄 감기가 끝났다고 가정한다. 다음에, 그 상태에서 (S)mm만큼 낚싯줄을 풀었을 때 스풀(10)이 d회전했다고 가정한다.
이제, 스풀 회전수(X)와 스풀 1회전 당 낚싯줄길이(Y)의 관계를, 가로축에 스풀 회전수(X)를, 세로축에 스풀 1회전 당 줄길이를 잡으면, 일차 직선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기울기를 (A)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Y=AX+Bπ
따라서, 스풀 회전수(X)와 스풀 1회전 당 줄길이(Y)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제, 스풀(10)이 c회전했을 때의 스풀 1회전 당 줄길이를 Y(c), c회전 감기 후, 소정길이(S)를 방출하며 d회전했을 때의 스풀 1회전 당 줄길이를 Y(c-d)라고 하면, 이들은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Y(c)=A·c+Bπ
Y(c-d)=A·(c-d)+Bπ
도 5에 도시한 그래프에서는, 빗금친 사다리꼴의 면적이 감기 종료후의 줄 방출 길이(S)에 상당하고 있으므로, 줄 방출 길이(S)는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S=d·{Y(c) +Y(c-d)}/2
식 4에 식 2, 3 을 대입하면,
S=d·{A·c +Bπ +A·(c-d) +Bπ} /2
=d·{A·(2 c-d) +2Bπ} /2
식 5를 경사(A)에 대하여 풀면 다음과 같이 된다.
A=2(S-Bπd) /d(2 c-d)
따라서, 4개의 데이터 (S, B, c, d)를 식 6에 대입함으로써 일차 직선의 기울기 (A)를 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풀(10)이 감기 시작해서 2000번 회전으로 감기가 끝나고, 거기서 10m 풀어냈을 때에 스풀이 60번 회전했을 경우, 스풀(10)의 동경(사권경)이 30mm이었다고 하면, 일차 직선의 기울기 (A)는 아래와 같이 된다.
A=2(10000-94. 2*60) /60(2*2000-60)=0.0368
그리고, 기울기(A), 절편(Bπ)의 근사 일차 직선이 결정되면, 일차 직선을 스풀 1회전마다 적분처리 (면적 산출 처리)함으로써 감기 시작부터 감기 종료까지의, 예를 들어 스풀 1회전마다의 줄길이(L1~LN)을 구한다. 그리고, 감기 종료시의 스풀 회전수(c)일 때의 수심(LX)를 「0」으로 세트하고 거기부터 감기 시작까지의 수심(LX(=LN))과 스풀 회전수(X)와의 관계를 산출하여 기억부(46)의 학습 데이터 기억영역(51)에 예를 들어 맵 형식(LX=MAP(X))로 기억한다.
실제 낚시를 할 때 스풀(10)이 회전하면, 그 때에 스풀 센서(41)이 검출한 스풀 회전수(X)에 기초하여, 기억부(46)의 맵으로부터 줄길이(LX)를 읽어내고, 읽어낸 줄길이(LX)에 기초하여 채비의 수심(낚싯줄 앞단의 수심)을 표시부(5)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릴 제어부(30)에 의해 행해지는 구체적인 제어 처리를 도 6 이후의 제어 플로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전동 릴이 전원코드를 통해서 외부전원에 접속되면, 도 6의 스텝 S1에서 초기설정을 행한다. 이 초기 설정에서는 스풀 카운터(42)의 계수값을 리셋하거나, 각종 변수나 플래그를 리셋하거나, 모터 제어 모드를 속도 모드로 하여, 표시 모드를 위로부터 모드로 한다.
다음으로 스텝 S2에서는 표시 처리를 행한다. 표시 처리에서는 수심 표시등의 각종 표시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속도 모드 시에는 속도 단수 표시영역(5c)에 변경 스위치(SK)에 의해 조작된 속도 단수가, 장력 모드 시에는 장력 단수의 표시영역(5d)에 장력 단수가 표시된다. 또한, 속도 모드와 장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드가 표시된다.
스텝 S3에서는 조작키부(6)의 어느 스위치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 한다. 또한 스텝 S4에서는 스풀(10)이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41)의 출력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 S5에서는 기타 지령이나 입력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위치가 눌러질 경우에는 스텝 S3에서 스텝 S6으로 이행하여 키 입력 처리를 실행한다. 또 스풀(10)의 회전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4에서 스텝 S7로 이행한다. 스텝 S7에서는 각 동작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기타 지령 혹은 입력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5에서 스텝 S8로 이행하여 기타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6의 키 입력 처리에서는 도 7의 스텝 S11에서 모터 제어 모드 스위치(VT)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2에서는 권사 모드 스위치(MD)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3에서는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4에서는 변경 스위치(SK)의 위쪽 스위치(SK1)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5에서는 변경 스위치(SK)의 아래쪽 스위치(SK2)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6에서는 기타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타 스위치의 조작에는 메모 스위치(TB)등의 조작을 포함하고 있다.
모터 모드 스위치(VT)가 눌러지면 스텝 S11에서 스텝 S17로 이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모터 제어 모드가 속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 모드 중에 모터 모드 스위치(VT)가 눌러진다고 하는 것은 낚시꾼이 장력 모드로 하려고 하는 것이므로, 스텝 S19로 이행하여 제어 모드를 장력 모드에 세트한다. 이에 따라, 변경 스위치(SK)의 조작에 의하여 토크 제어가 실행된다. 속도 모드가 아닌 장력 모드 시에는 스텝 S17에서 스텝 S18로 이행하여, 모터 제어 모드를 속도 모드로 세트한다.
권사 모드 스위치(MD)가 눌러지면 스텝 S12에서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20에서는 학습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권사 모드 스위치(MD)를 한 차례 조작하여 학습 모드가 설정되면 스텝 S20에서 스텝 S21로 이행하여 후술하는 학습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권사 모드 스위치(MD)의 여러차례 조작에 의하여 지정 모드나 기본 감기 모드 등의 다른 권사 모드가 설정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0로부터 스텝 S22로 이행하여 설정된 기타 권사 모드를 실행한다.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지면 스텝 S13에서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모터(12)가 이미 온 되어 있는지 (회전하고 있는지)여부를 판단한다. 모터 회전 중에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진다는 것은 낚시꾼이 모터(12)를 정지시키려고 하기 때문이므로, 스텝 S25로 이행하여 모터(12)를 오프시킨다. 모터 정지중의 경우에는 스텝 S23에서 스텝 S24로 이행하여 모터(12)를 온한다.
변경 스위치(SK)의 위쪽 스위치(SK1)이 눌러지면, 스텝 S14에서 스텝 S26로 이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제어 모드가 속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 모드일 때에는 스텝 S28로 이행하여, 후술하는 속도 증가 처리를 실행한다. 장력 모드일 때에는 스텝 S26에서 스텝 S27로 이행하며, 후술하는 장력 증가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위쪽 스위치(SK1)이 눌려 있으면 속도 증가 또는 장력 증가 처리를 행하므로, 결과적으로 위쪽 스위치(SK1)을 누르고 있는 시간만큼 이러한 증가처리가 실행된다.
변경 스위치(SK)의 아래쪽 스위치(SK2)가 눌러지면, 스텝 S15에서 스텝 S29로 이행한다. 스텝 S29에서는 제어 모드가 속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 모드일 때에는 스텝 S31로 이행하여, 후술하는 속도 감소 처리를 한다. 장력 모드일 때에는 스텝 S29에서 스텝 S30로 이행하여, 후술하는 장력 감소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도, 아래쪽 스위치(SK1)이 눌러져 있으면 속도 감소 또는 장력 감소 처리를 하므로, 결과적으로 아래 스위치(SK1)를 누르고 있는 시간만큼 이러한 감소 처리가 실행된다.
기타 스위치 입력이 행해지면, 스텝 S16에서 스텝 S32로 이행하여, 예를 들어, 현재 수심의 바닥 물고기 서식 위치로 세트하는 등의 조작된 스위치 입력에 따른 기타 키 입력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1의 학습 처리에서는 도 8의 스텝 S40에서 줄 감기가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41)에 의하여 스풀(10)이 회전을 개시한 것을 검출한 것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 S41에서는 줄 감기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소정의 키 조작 (예를 들어 메모키(TB)의 소정시간 이상의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단한다. 줄 감기가 종료된 후, 예를 들어 낚싯줄을 10m 방출하여 스풀 회전수와 스풀 1회전 당 줄길이와의 관계를 학습하는 것인데, 스텝 S42에서는 그 10m의 방출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도 소정의 키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그리고 낚싯줄에 예를 들어 10m마다 다른 채색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방출 조작을 할 수 있지만, 낚싯줄에 따라서는 채색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10m의 낚싯줄을 앞단에 연결하고 다시 10m의 낚싯줄을 감아도 좋다. 줄 방출이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40으로 돌아간다.
줄 감기가 개시되면 스텝 S40에서 스텝 S4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3에서는 스풀 회전수(X)를 스풀 카운터(42)의 값에 따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스풀 센서(41)이 스풀 1회전 당 10 펄스를 출력하고, 스풀 카운터(42)가 스풀 1회전 당 10씩 증가할 때에는, 스풀 카운터(42)가 10 증가하면 스풀 회전수(X)를 1 증가한다.
줄 감기가 종료되어 스풀(10)의 회전이 정지하면 스텝 S41에서 스텝 S44로 이행한다. 스텝 S44에서는 감기가 완료되었을 때의 스풀 회전수(X)를 총 회전수(c)에 세트한다. 스텝 S45에서는 낚싯줄의 방출에 따라 스풀 회전수(X)를 줄인다. 이 감산도 스텝 S43과 같이 예를 들어 스풀 카운터(42)가 10씩 줄어들면 스풀 회전수(X)를 1 감소시킨다.
줄 방출이 종료되면 스텝 S42에서 스텝 S46로 이행한다. 스텝 S46에서는 스풀 총회전수(c)에서 방출에 의하여 감소한 스풀 회전수(X)를 감산하여, 감산 값을 방출 회전수(d)로 세트한다. 이 방출 회전수(d)가 10m 낚싯줄을 풀어냈을 때의 스풀(10)의 회전수이다. 스텝 S47에서는 기억부(46)으로부터 사권경(Bπ)및 방출길이(S)를 읽어낸다. 이 2개의 데이터는 미리 기억부(46)에 기입되어 있다.
스텝 S48에서는 얻어진 4개의 데이터 (c, d, Bπ, S)에 의하여 상기 식 6에 의해 근사 일차 직선의 기울기(A)를 구하여, 근사 일차 직선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줄의 지름 및 길이를 모르는 낚싯줄의 전체 길이에 걸친 스풀 1회전 길이(Y)와스풀 회전수(X)와의 관계가 결정된다. 이 스풀 1회전 길이(Y)를 이용하여 사권경 (SD)(Y / π)를 구하고, 장력 모드일 때의 기억부(46)의 장력 데이터 기억영역(53)으로부터 설정된 단계의 장력의 사권경에 따른 듀티비를 읽어내 장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스텝 S49에서는 얻어진 일차 직선을 적분처리하여 감김 시작에서 감김 종료까지의 스풀 회전수(X)와 줄길이(LN)과의 관계를 산출한다. 그리고, 감김 종료를 수심 0으로 세트하여 줄길이(LN)을 수심(LX)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해 스풀 회전수(X)와 수심(LX)와의 관계가 결정된다.
스텝 S50에서는 얻어진 스풀 회전수(X)와 수심(LX)의 관계를 맵 형식으로 기억부(46)에 기억하고 메인 루틴으로 돌아간다. 이에 따라서, 상술한 학습 처리가 실행되며, 낚싯줄 전체에 걸친 학습을 행하지 않고 최종 부분만의 학습으로 사권경에 따라 변화되는 스풀 회전수와 줄길이와의 관계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가 종료되면 키 입력 루틴으로 돌아간다.
스텝 S28의 속도 증가 처리에서는 도 9의 스텝 S51에서, 전에 세트 된 속도 단수(SC)를 데이터 기억영역(54)로부터 읽어낸다. 여기서, 데이터 기억영역(54)에는 속도 단수(SC)가 증가 또는 감소될 때마다 그 값이 기억된다.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또는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져 모터(12)가 정지되었을 때에, 속도 단수(SC)가 「0」으로 세트되어,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스텝 S52에서는 읽어낸 속도 단수(SC)를 1단계 높인다. 이 때 증가된 속도 단수(SC)는 표시 처리에 있어서 속도 단수 표시영역(5c)에 표시됨과 함께, 데이터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그리고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진 직후는, 속도 단수(SC)가 1단계 높아져서 「1」로 세트된다. 또한, 속도 단수(SC)가 「5」로 세트 되면 그 이상 증가되는 일은 없다.
스텝 S53에서는 속도 데이터 기억영역(52)에서 증가한 속도 단수(SC)에 따른 속도 데이터(SS)를 읽어내어 세트한다. 스텝 S54에서는 스풀 센서(41)의 출력으로부터 스풀(10)의 속도 데이터(SP)를 읽어들인다.
스텝 S55에서는 읽어들인 속도 데이터(SP)가 세트 된 속도 단수(SC)에 따른 속도 데이터(SS)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 데이터(SP)가 속도 데이터(SS)미만일 때에는 스텝 S55에서 스텝 S56으로 이행한다. 스텝 S56에서는 현재의 듀티비(D)를 데이터 기억영역(54)로부터 읽어낸다. 데이터 기억영역(54)에는 듀티비(D)가 세트될 때마다, 세트된 듀티비(D)가 기억된다.
스텝 S57에서는 데이터 기억영역(54)로부터 읽어낸 현재의 듀티비(D)가 최대 듀티비(DU)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최대 듀티비(DU)는, 통상 「100」이지만, 속도 단수(SC)나 모터(12)의 부하 등에 따라 최대 듀티비(DU)의 설정을 변경해도 무방하다. 듀티비(D)가 최대 듀티비(DU)미만일 때에는, 스텝 S57에서 스텝 S58로 이행하여, 듀티비(D)를 소정의 증분(DI) 증가하여 세트한다. 이 새롭게 세트 된 듀티비(D)는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 증분(DI)는 예를 들면「5」이다. 스텝 S57에서 듀티비(D)가 최대 듀티비(DU)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59로 이행한다. 스텝 S59에서는 듀티비(D)를 최대 듀티비(DU)로 세트한다.
한편, 스텝 S55에서 속도 데이터(SP)가 속도 데이터(SS)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아무 처리를 하지 않고 키 입력 처리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 S58 또는 S59의 처리가 끝나면 키 입력 처리로 돌아간다.
이 속도 증가 처리에서는, 위쪽 스위치(SK1)을 누르고 있는 시간만큼 속도 단수(SC)를 높이고, 높인 속도 단수(SC)에 대응한 감아 올림 속도까지 스풀(10)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위쪽 스위치(SK1)을 누르는 것을 멈추면, 다시 위쪽 스위치(SK1) 또는 아래 스위치(SK2)가 눌러질 때까지 속도 증가 처리나 속도 감소 처리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속도 증가 결과의 속도 단수(SC)가 유지되고 그 감기 속도가 유지된다.
스텝 S27의 장력 증가 처리에서는, 속도 모드와 같이 속도를 검출하여 그 속도가 되도록 듀티비를 변경하는 클로즈드 루프 제어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장력 단계(TC)마다 나아가 사권경(SD)마다 듀티비(TS)를 설정하여, 그 듀티비(TS)에 따라 오픈 루프 제어를 실행한다. 장력 증가 처리에서는 도 10의 스텝 S61에서, 전에 세트 된 장력 단수(TC)를 데이터 기억영역(54)로부터 읽어낸다. 여기서, 데이터 기억영역(54)에는 장력 단수(TC)가 증가 또는 감소할 때마다 그 값이 기억된다. 또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또는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져 모터(12)가 정지했을 때에, 장력 단수(TC)가 「0」으로 세트 되고,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스텝 S62에서는, 읽어낸 장력 단수(TC)를 1단 높인다. 이 때의 증가한 장력 단수(TC)는 표시 처리에 있어서 장력 단수의 표시영역(5d)에 표시됨과 함께,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또한,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진 직후는 장력단수(TC)가 1단 높아져 「1」로 세트된다. 그리고, 장력 단수(TC)가 「5」로 세트 되면 그 이상 증가하는 일은 없다.
스텝 S63에서는 사권경(SD)의 산출처리를 실행한다. 사권경 산출처리에서는, 도 11의 스텝 S71에서 스풀 회전수(X)를 읽어들인다. 스텝 S72에서는, 스풀 회전수(X)와 함께, 학습 처리에 의하여 얻은 스풀 1회전 길이(Y)와 스풀 회전수(X)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차식으로부터 스풀 1회전 길이(Y)를 산출한다. 스텝 S73에서는, 얻어진 스풀 1회전 길이(Y)를 π로 나누어 사권경(SD)를 산출한다.
스텝 S64에서는 산출한 사권경(SD)와 증가한 장력 단수(TC)에 따른 듀티비(TS)를 장력 데이터 기억영역(53)으로부터 읽어내, PWM 구동회로(45)로 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설정되는 듀티비(TS)가 사권경(SD)에 의해 보정된 것이 되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항상 설정된 장력에 가깝게 된다.
이 장력 증가 처리에서는 위쪽 스위치(SK1)을 누르고 있는 시간만큼 장력 단수(TC)를 높이고, 높아진 장력 단수(TC)에 대응한 장력이 되도록 사권경에 따른 듀티비(TS)를 읽어내어 세트된다. 또, 위쪽 스위치(SK1)을 누르던 것을 그만두면, 다시, 위쪽 스위치(SK1) 또는 아래쪽 스위치(SK2)가 눌러질 때까지 장력 증가 처리나 장력 감소 처리는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장력 증가 결과의 장력 단수(TC)가 유지되어 그 장력이 유지된다. 이 결과, 부하가 커지면 속도는 늦어지고, 부하가 작아지면 속도는 빨라진다. 이 때문에, 부하가 작은 채비의 회수 시 등에 채비를 고속으로 회수할 수 있어 손 바꾸기가 빨라진다. 게다가 사권경에 따라 듀티비(TS)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감을 때 목줄이 끊기거나 물고기의 입이 절개되면서 바늘이 빠져 버리는 경우가 좀처럼 발생하지 않으며 드래그 조정을 할 필요가 없다.
스텝 S31의 속도 감소 처리에서는, 도 12의 스텝 S81에서, 전에 세트 된 속도 단수(SC)를 데이터 기억영역(54)로부터 읽어낸다. 스텝 S82에서는 읽어낸 속도 단수(SC)를 1단 낮춘다. 이 때의 감소된 속도 단수(SC)는 표시 처리에 있어서 속도 단수의 표시영역(5c)에 표시되는 것과 함께,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그리고, 속도 단수(SC)가 「1」로 낮춰지면 그 이상 감소되는 일은 없다. 스텝 S83에서는 속도 데이터 기억영역(52)에서 감소된 속도 단수(SC)에 따른 속도 데이터(SS)를 읽어낸다. 스텝 S84에서는 스풀 센서(41)의 출력으로부터 스풀(10)의 속도 데이터(SP)를 읽어들인다.
스텝 S85에서는, 읽어들인 속도 데이터(SP)가 세트 된 속도 단수(SC)에 따른 속도 데이터(SS) 이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 데이터(SP)가 속도 데이터(SS)를 넘을 때에는 스텝 S85에서 스텝 S86으로 이행한다. 스텝 S86에서는 현재의 듀티비(D)를 데이터 기억영역(84)로부터 읽어낸다.
스텝 S87에서는, 데이터 기억영역(54)로부터 읽어 낸 현재의 듀티비(D)가 최소 듀티비(DL)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최소 듀티비(DL)은 통상적으로 「40」이다. 듀티비(D)가 최소 듀티비(DL)을 넘을 때에는 스텝 S57에서 스텝 S88로 이행하여 듀티비(D)를 소정의 감소 분(DI) 감소시켜 세트한다. 이 세트된 듀티비(D)는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 감소 분(DI)는, 예를 들어 「5」이다. 스텝 S88에서, 듀티비(D)가 최소 듀티비(DL) 이하라고 판단하면스텝 S89로 이행한다. 스텝 S89에서는, 듀티비(D)를 최소 듀티비(DL)로 세트한다.
한편, 스텝 S85에서 읽어들인 속도 데이터(SP)가 세트된 속도 단수(SC)에 따른 속도 데이터(SS) 이하가 되었는지를 판단 하면 아무 처리를 하지 않고 키 입력 처리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 S88 또는 S89의 처리가 종료되면 키 입력 처리로 돌아간다.
이 감속 처리에서는, 아래쪽 스위치(SK2)를 누르고 있는 시간만큼 속도 단수(SC)를 낮추어, 낮춰진 속도 단수(SC)에 따른 감기 속도까지 스풀(10)의 감기 속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아래쪽 스위치(SK2)를 누르는 것을 그만두면, 다시 위쪽 스위치(SK1) 또는 아래쪽 스위치(SK2)가 눌러질 때까지 속도 증가 처리나 속도 감소 처리는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속도 감소 결과의 속도 단수(SC)가 유지되어 그 감는 속도가 유지된다.
스텝 S30의 장력 감소 처리에서는, 도 13의 스텝 S91에서, 전에 세트된 장력 단수(TC)를 데이터 기억영역(54)로부터 읽어낸다. 여기서, 데이터 기억영역(54)에는 장력 단수(TC)가 증가 또는 감소할 때마다 그 값이 기억된다. 또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및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져 모터(12)가 정지했을 때에, 장력 단수(TC)가 「0」으로 세트되어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스텝 S92에서는 읽어낸 장력 단수(TC)를 1단 낮춘다. 이 때의 감소한 장력 단수(TC)는 표시 처리에 있어서 장력 단수의 표시영역(5d)에 표시됨과 함께, 데이터 기억영역(54)에 기억된다. 또한, 모터 스위치(PW)가 눌러진 직후는 장력 단수(TC)가 1단 높여져서 「1」로 세트된다. 그리고, 장력 단수(TC)가 「1」로 세트되면 그 이상 감소되는 일은 없다.
스텝 S93에서는 사권경(SD)의 산출처리를 실행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권경 산출처리는, 장력 증가 처리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94에서는 산출한 사권경(SD)와 감소한 장력 단수(TC)에 따른 듀티비(TS)를 장력 데이터 기억영역(53)으로부터 읽어내어 PWM 구동회로(45)에 세트한다. 이것에 의해 설정되는 듀티비(TS)가 사권경(SD)에 의해 보정된 것이 되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항상 설정된 장력에 가깝게 된다.
이 장력 감소 처리에서도, 아래쪽 스위치(SK2)를 누르고 있는 시간만큼 장력 단수(TC)를 낮추고, 낮춰진 장력 단수(TC)에 따른 장력이 되도록 사권경에 따른 듀티비(TS)가 읽어내져 세트된다. 또한, 아래쪽 스위치(SK2)를 누르는 것을 그만두면, 다시, 위쪽 스위치(SK1) 또는 아래쪽 스위치(SK2)가 눌러질 때까지 장력 증가 처리나 장력 감소 처리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장력 감소 결과의 장력 단수(TC)가 유지되어 그 장력이 유지된다. 이 결과, 부하가 커지면 속도는 늦어지고, 부하가 작아지면 속도는 빨라진다. 이 때문에, 부하가 작은 채비 회수 시 등에 채비를 고속으로 회수할 수 있어 손 바꾸기가 빨라진다. 게다가 사권경에 따라 듀티비(TS)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감아 올릴 때에 목줄 끊김이나 물고기의 입이 절개되면서 바늘이 빠져버리는 일이 좀처럼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드래그의 조정을 할 필요가 없다.
스텝 S7의 각 동작 모드 처리에서는, 도 14의 스텝 S101에서 스풀(10)의 회전방향이 줄 방출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41)의 어느리드 스위치가 먼저 펄스를 발신했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스풀(10)의 회전방향이 줄 방출 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101에서 스텝 S102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는 스풀 회전수가 감소할 때마다 스풀 회전수로부터 기억부(46)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 수심을 산출한다. 이 수심이 스텝 S2의 표시 처리로 표시된다. 스텝 S103에서는 얻어진 수심이 바닥 위치에 일치하였는지, 즉, 채비가 바닥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닥 위치는 채비가 바닥에 도달했을 때 메모 스위치(TB)를 누르는 것으로 기억부(46)에 세트된다. 스텝 S104에서는 기타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 한다. 기타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각 동작 모드 처리를 끝내고 메인 루틴으로 돌아간다.
수심이 바닥 위치에 일치하면 스텝 S103에서 스텝 S105로 이행하여, 채비가 바닥에 도달한 것을 알리기 위해서 버저(44)를 울린다. 기타 모드의 경우에는, 스텝 S104에서 스텝 S106으로 이행하여 지정된 기타 모드를 실행한다.
스풀(10)의 회전이 줄감기 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101에서 스텝 S107로 이행한다. 스텝 S107에서는 스풀 회전수로부터 기억부(46)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어 수심을 산출한다. 이 수심이 스텝 S2의 표시 처리에 의하여 표시된다. 스텝 S108에서는 수심이 뱃전 정지 위치에 일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뱃전 정지 위치까지 감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 루틴으로 돌아간다. 뱃전 정지 위치에 도달하면 스텝 S108에서 스텝 S109로 이행한다. 스텝 S109에서는 채비가 뱃전에 있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버저(44)를 울린다. 스텝 S110에서는 모터(12)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물고기가 잡혔을 때에 거두어 들이기 쉬운 위치에 물고기가 배치된다.이 뱃전 정지 위치는, 예를 들어 수심 6m이내에서 소정시간 이상 스풀(10)이 정지되어 있으면 세트된다.
이 전동 릴에서는, 모터 제어 모드 스위치(VT)에 의해 장력 모드가 선택되면, 장력 단수마다 장력이 일정하게 모터(12)가 제어된다. 이 때문에, 감아 올릴 때 목줄 끊김이나 물고기의 입이 절개 되면서 바늘이 빠져버리는 경우는 좀처럼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오픈 루프 제어에 의하여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고 있으므로, 제어 중에 듀티비가 상하로 변동하지 않고 사권경에 따라 듀티비가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장력이 일정하게 제어 될 때의 스풀의 회전 속도 상하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와우링음을 억제하여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현재의 장력을 예를 들어 토크 등으로 검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계의 구성도 간소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변경 스위치(SK)의 위쪽 스위치 또는 아래쪽 스위치의 조작 시간에 의해 속도 또는 토크의 단수를 증감 하도록 구성했지만, 조작 횟수에 따라 증가하도록 해도 좋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누르는 버튼 형태의 변경 스위치(SK)에 의해 단수의 증감조작을 실행하였지만, 릴 본체(1)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에 의해 단수의 증감 조작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단수의 증감 조작만을 이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에 따라 행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단수의 증감 조작과 모터의 온/오프 조작을 이 조작 레버로 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력 데이터 기억영역(53)에 장력 단계마다 사권경에 따른 듀티비가 저장되어 있었지만, 장력 단계마다의 소정 사권경 (예를 들어 스풀 동경)에서의 듀티비만을 기억하여, 그것을 산출 또는 검출된 사권경에 따라 보정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줄길이의 학습 결과의 데이터에 의해 사권경을 산출하였지만, 줄길이 검출기 등을 전동 릴에 장착하여, 그것에 의한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사권경을 검출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광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의 검출자를 이용한 사권경 검출기로 사권경을 직접 검출하도록 해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