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130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130A
KR20030093130A KR10-2003-0035108A KR20030035108A KR20030093130A KR 20030093130 A KR20030093130 A KR 20030093130A KR 20030035108 A KR20030035108 A KR 20030035108A KR 20030093130 A KR20030093130 A KR 20030093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lead wiring
substrate
display device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859B1 (ko
Inventor
하야시히사오
도리야마시게따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filling grooves in the support with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과, 이들 기판 사이에 설치된 화소 영역과, 이들 기판 중의 하나의 연장부에 설치된 외부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외부 배선은 연장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연장부에 설치된 외부 배선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의 각종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된 화소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정밀, 고화질의 표시를 제공하는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이용되고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서 이용된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 영역 S와, 이 화소 영역 S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주변 회로 영역 R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 TFT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는, 각 TFT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에 접속된 리드 배선을 갖는다. 이 리드배선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소 영역 S 이외의 부분, 즉 주변 회로 영역 R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현재 많은 LCD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TFT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는, TFT가 그 위에 형성되는 구동 기판의 제조와, 이 구동 기판에 대향하는 다른 기판의 제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기판은 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접합 및 정렬되며, 이 간극에 액정을 주입하도록 하고 있다.
구동 기판의 제조 공정은, 먼저, 유리 기판 등의 투광성 기판 상에 각 TFT의 게이트 절연막이 되는 실리콘 산화막이나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다음에 층간 절연막으로서의 실리콘 산화막이나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다음에 리드 배선이 되는 Al(알루미늄) 등의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마지막으로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리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상, 리드 배선의 위에는 층간 절연막이 더 형성된다.
리드 배선은, 예를 들면, 특허 공개 공보 제2001-242803호 공보, 특허 공개 공보 제2001-284592호 공보, 특허 공보 제3247793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TFT를 덮는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된다. 통상의 리드 배선의 배치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리드 배선(14)은 층간 절연막(13)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으로부터 리드 배선(14)의 높이는 대부분의 경우 0.5㎛∼1㎛ 정도이다.
따라서, 통상의 리드 배선은 기판으로부터 0.5㎛∼1㎛ 정도의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압력 등에 의해 리드 배선이 손상되기 쉽다. 특히, TFT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한쌍의 기판(유리 기판)을 접합하거나, 리드 배선이 그 위에 형성될 한쪽의 기판에 연장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른 쪽 기판의 일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이 연장부에 형성된 리드 배선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TFT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가 리드 배선에 접촉하여 손상(긁힘)을 입힐 가능성도 있다. 리드 배선에 손상이 생기면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electromigration)이나 온도 등에 의해 도전 중에 리드 배선에 단선을 초래하여,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장부에 설치된 리드 배선을 외력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도 1a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드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리드 배선의 배치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 장치
10 : 트렌치
11a : 기판
11b : 기판
12 : 게이트 절연막
13 : 층간 절연막
14 : 리드 배선
16 : 절연막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과, 이들 기판 사이에 설치된 화소 영역과, 이들 기판 중의 하나의 연장부에 설치된 외부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배선이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과, 이들 기판 사이에 설치된 화소 영역과, 이들 기판 중의 하나의 연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소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 배선을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제조 방법은 상기 연장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목부 내에 외부 배선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기판들 중의 하나의 연장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내에 외부 배선이 배치된다. 따라서, 외부 배선이 오목부의 주변부로부터 내측으로 메워지게 되어, 연장부에 가해지는 외압으로부터 외부 배선이 보호될 수 있게 됨으로써, 외압에 의한 리드 배선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표시 장치(1)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1)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11a, 11b)과, 이들 기판(11a, 11b) 사이에 설치된 화소 영역 S와, 이들 기판 중의 하나의 연장부(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b)의 연장부)에 설치된 리드 배선(외부 배선)(14)을 포함한다. 이 표시 장치(1)는 화소 영역 S에 주로 액정을 이용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는, 기판(11b)의 연장부에 설치된 리드 배선(14)이 연장부에 형성된 트렌치(오목부)(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기판(11b)의 연장부에는 표시 영역 S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소자인 집적 회로 C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집적 회로 C에는 이 리드 배선(14)을 통하여 외부배선 부재인 플렉시블 케이블 F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리드 배선(14)은 복수의 리드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 배선(14)이 기판(11b)에 형성된 트렌치(10)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 배선(14)이 트렌치(10)의 주변부로부터 기판(11b)측으로 메워지는 상태가 되어, 리드 배선(14)을 외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1b를 참조하여 리드 배선(14) 및 그 주변부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유리 기판 등의 기판(11b) 상에 SiO2/Si3N4/SiO2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절연막(12)이 형성되며, 또한 게이트 절연막(12) 위에는 SiO2나 Si3N4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절연막(12)은 표시 장치(1)의 표시부가 되는 화소 영역 S에서의 TFT의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게이트 절연막(12)은 화소 영역 S 이외의 영역, 즉 주변 회로 영역에 남겨져 있다.
이 층간 절연막(13) 및 게이트 절연막(12)의 일부를 에칭함으로써, 트렌치(10)가 형성된다. 트렌치(10)의 깊이는 기판(11b)에까지 미치도록 하여, 후에 배치될 리드 배선(14)을 기판(11b)에 가깝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기판 등의 기판(11b)을 에칭하여 에칭된 기판(11b)(트렌치(10)의 저부)의 표면에 요철이 생기게 함으로써, 리드 배선(14)의 기판(11b)에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트렌치(10)는, TFT이나 주변 회로에서 형성되는 컨택트홀(관통 홀)의 형성을위한 에칭과 동일한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렌치(10)를 형성하기 위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추가할 필요없이, 마스크를 변경하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트렌치(10)는 그 저면의 폭보다 트렌치 상부의 폭이 더 넓도록, 순테이퍼 형상(normally tapered)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리드 배선(14)과 집적 회로 C나 플렉시블 케이블 F 사이의 접속부에 트렌치(10)의 측면을 따라서 리드 배선(14)이 설치될 때, 급격한 단차에 의한 리드 배선(14)의 단선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리드 배선(14)을 구성하는 각 리드는 트렌치(10)의 저면에 형성된 금속막(14a)과 이 금속막(14a)을 완전히 덥도록 금속막(14a)의 상면에 형성된 배리어 메탈(15)로 이루어진다. 금속막(14a)은 예를 들면 Al, Al-Si, Al-Si-Cu, Cu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리어 메탈(15)은 예를 들면 Ti나 TiN로 이루어진다. 이 배리어 메탈(15)을 형성함으로써, 리드 배선(14)과 집적 회로 C나 플렉시블 케이블 F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금속막(14a)과 배리어 메탈(15)의 전체 두께는, 트렌치(10)의 깊이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금속막(14a) 및 배리어 메탈(15)은 리드 배선(14)으로서 기능하며, 기판(11b)으로부터 리드 배선(14)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리드 배선(14)이 후속 공정에서의 외압에 의해 악영향을 받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막(14a) 및 배리어 메탈(15)을 트렌치(10) 내에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이 층간 절연막(1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한다.
수정예로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은 층간 절연막(1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은 게이트 절연막(12)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은 트렌치(10)의 주변부에서 기판(11b)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금속막(14a) 및 배리어 메탈(15)을 트렌치(10)의 주변부로부터 더욱 내측으로 메워지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리드 배선(14)을 후에 가해질 수 있는 외압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리드 배선(14)으로부터 트렌치(10)의 저부의 모서리까지의 거리는 1㎛∼3㎛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오정렬(misalignment)로 인해 리드 배선(14)이 트렌치(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배선(14)을 덮고 있는 절연막(16)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수정예로서, 트렌치(10)를 리드 배선(14)으로 전부 매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트렌치(10)의 상부 개구가 막히게 되어, 절연막(16)의 형성을 위한 스핀 코팅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1b)을 세정한 후, 스퍼터링 및 에칭에 의해 기판(11b) 상에 게이트 전극(20)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20)을 덮도록 기판(11b) 상에 게이트 절연막(12)을 형성한 다음, 게이트 절연막(1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21)을 형성한다. 그 후, 비정질 실리콘막(21)에 레이저 어닐링을 실시하여 폴리실리콘막(22)을 형성한다. 폴리실리콘막(22)을 형성한 후에는,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 주입을 행한다.
다음에,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20)에 대응하는 각 위치의 폴리실리콘막(22) 상에 스토퍼막(23)을 게이트 전극(20)에 대하여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한 다음, 스토퍼막(23)을 각각 덮도록 폴리실리콘막(22) 상에 레지스트(24)를 형성한다. 그 후, 이 레지스트(24)를 마스크로 하여 이온 주입을 행하여, LDD 영역에 인접하는 소스,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막(22)을 에칭한다. 그 후,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폴리실리콘막(22)의 표면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13)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칭에 의해 층간 절연막(13)의 필요 부분에 컨택트홀을 형성한다. 이 컨택트홀의 형성을 위한 에칭과 동시에, 나중에 리드 배선(14)이 형성될 위치의 기판의 표면에 층간 절연막(13)과 게이트 절연막(12)을 통하여 트렌치(10)를 형성한다. 이 에칭 공정의 후에는, 각 컨택트홀에 배선(25)을 형성하고, 트렌치(10) 내에 리드 배선(14)을 형성함으로써, 리드 배선(14)의 상면이 층간 절연막(13)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한다.
배선(25) 및 리드 배선(14)을 형성한 후에는,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25) 및 리드 배선(14)을 덮도록 절연막(16)을 형성한다. 이 절연막(16)에는 도시하지 않은 광 확산면 및 반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기판(11b)과는 별도로 대향 기판을 형성하여, 이들을 접합하여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이 간극에 액정을 주입하여, 표시 장치(1)를 완성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i를 참조하여, 리드 배선(14)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리 기판 등의 기판(11b) 상에, 화소 영역에 형성되게 되는 TFT 등을 위한 게이트 절연막(12)을 CVD 또는 열 산화법에 의해 형성한다(도 3a).
게이트 절연막(12)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을 순차 적층한 다층막이다. 이 게이트 절연막(12)의 두께는 50㎚∼300㎚이다. 게이트 절연막(12)은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패터닝된 다음, 계속해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에칭된다. 이 패터닝 공정 시, 리드 배선 형성부 주변에는 게이트 절연막(12)이 남게 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을 리드 배선 형성부 주변에 남기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에, 게이트 절연막(12)의 바로 위, 또는 게이트 절연막(12)을 남기지 않은 경우에는 기판(11b) 위에, 층간 절연막(13)을 CVD 등에 의해 형성한다(도 3b). 층간 절연막(13)은, TFT 등의 트랜지스터를 배선으로부터 절연하기 위한 막이다. 층간 절연막(13)의 두께는 100㎚∼1㎛ 정도이고, 통상 500㎚ 정도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층간 절연막(13)을 덮도록 레지스트(24)를 도포한 다음, 노광 및 현상에 의해 패터닝한다(도 3c). 이 패터닝 시에는, 그 패턴의 폭을 후에 트렌치(10)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설정해야 한다. 통상, CAD에 의해 그린 패턴을 마스크에 프린트한다. 이 때, 트렌치(10)의 폭은, 리드 배선(14)의 폭+ 2.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렌치(10) 폭의 가능한 범위는 리드 배선(14)의 폭 + 1.0㎛∼3.0㎛이다. 트렌치(10)의 폭을 리드 배선의 폭 + 1.0㎛으로 설정한 경우, 이 폭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오정렬로 인해 리드 배선(14)이 트렌치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한이 된다. 트렌치(10)의 폭을 리드 배선의 폭 + 3.0㎛으로 설정한 경우, 이 폭은 후에 형성될 절연막(16)이 코팅 후에 평탄성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한이 된다. 따라서, 트렌치(10)의 폭을 전술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층간 절연막(13) 및 게이트 절연막(12)을 부분적으로 에칭하여 트렌치(1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에칭은 10% 내지 20% 농도의 HF(hydrofluoric acid) 수용액에 절연막을 침지함으로써 50 내지 200㎚/min의 속도로 수행된다.
이 에칭은 트렌치(10)의 깊이가 기판(11b)까지 미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후에 배치될 리드 배선(14)을 기판(11b)의 근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1b)을 에칭함으로써, 에칭된 기판(11b)의 표면(트렌치(10)의 저부)에 요철이 생기게 함으로써, 리드 배선(14)의 기판(11b)에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3d는, 이 에칭 공정에서 트렌치(10)의 깊이가 기판(11b)까지 미치는 경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10% 내지 20% 농도의 불산 수용액에 기판(11b)을 침지함으로써 이방성 에칭을 행한다.
트렌치(10)의 깊이는 후에 형성될 리드 배선(14)의 두께에 의존하지만, 리드 배선(14)의 두께를 0.5㎛으로 하면, 트렌치(10)의 깊이는 0.5㎛∼2.0㎛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렌치(10)의 깊이를 0.5㎛으로 한 경우, 이 깊이는 리드 배선(14)이 트렌치(10)의 상부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한이 된다. 트렌치(10)의 깊이를 2.0㎛으로 한 경우, 이 깊이는 트렌치(10)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리드 배선(14)을 형성할 때 리드 배선(14)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한이 된다. 따라서, 트렌치(10)의 깊이는 전술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렌치(10)는 TFT나 주변 회로에 컨택트홀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공정과 동일한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렌치(10)를 형성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트렌치(10)는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의 폭보다 트렌치(10) 상부의 폭이 더 넓도록, 순테이퍼 형상(normally tapered)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후에 기판(11b)에 접속될 집적 회로 C(도 1a 참조)나 플렉시블 케이블 F(도 1a 참조)과 리드 배선(14) 사이의 접속부에 트렌치(10)의 측면을 따라서 리드 배선(14)이 설치될 때, 급격한 단차에 의한 리드 배선(14)의 단선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트렌치(10)를 형성한 다음, 기판(11b)의 전면에 스퍼터 등에 의해, 리드 배선(14)을 구성하는 금속막(14a)를 형성한다. 금속막(14a)은 예를 들면 Al, Al-Si, Al-Si-Cu, Cu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 후, 금속막(14a)의 전면을 덮도록 배리어 메탈(15)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 배리어 메탈(15)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3e는, 배리어 메탈(15)을 형성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배리어 메탈(15)은 예를 들면 Ti나 TiN으로 이루어진다. 배리어 메탈(15)을 형성함으로써, 집적 회로 C(도 1a 참조)나 플렉시블 케이블 F(도 1a 참조)와 리드 배선(14)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 배리어 메탈(15)에 의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막(14a)의 내부식성이 개선된다.
금속막(14a) 및 배리어 메탈(15)의 전체 높이는 트렌치(10)의 깊이보다 작게 설정된다. 금속막(14a) 및 배리어 메탈(15)은 리드 배선(14)으로서 기능하며, 기판(11b)으로부터 리드 배선(14)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리드 배선(14)이 외압을 받기 쉽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막(14a) 및 배리어 메탈(15)은 트렌치(10) 내에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이 층간 절연막(13)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그 후, 배리어 메탈(15)의 표면에 레지스트(28)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패터닝하여 트렌치(10) 내의 배리어 메탈(15)을 마스킹 처리한다(도 3f). 그 후, 레지스트(28)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기의 에칭 조건 하에서 이방성 에칭을 실시한다(도 3g). 즉, 에칭 가스로 Cl2와 BCl3를 이용하여, 적당한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에칭을 행한다.
여기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은 층간 절연막(13)의 상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은 게이트 절연막(12)의 상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메탈(15)의 상면은 트렌치(10)의 주변부 내에서 기판(11b)의 상면보다 낮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금속막(14a) 및 배리어 메탈(15)을 트렌치(10)의 주변부로부터더욱 내측으로 메워지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리드 배선(14)을 후에 가해질 수 있는 외압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리드 배선(14)의 단선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 후, 레지스트(28)를 제거하여 리드 배선(14)을 완성하고(도 3h), 기판(11b)의 표면에 보호막으로서 절연막(16)을 형성한다(도 3i). 절연막(16)은 주로 스핀 코팅에 의해 형성된다. 리드 배선(14)은 트렌치(10) 내에서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13)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메워지게 배치되므로, 절연막(16)의 형성을 위한 스핀 코팅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공정에 의해 리드 배선(14)을 트렌치(10) 내에서 리드 배선(14)이 외압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되도록 제공할 수가 있어, 리드 배선(14)의 손상과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LCD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쌍의 기판을 접합한 구성을 갖는 임의의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기판을 정합시켜 형성한 표시 장치로서, 한쪽의 기판에 오목부를 갖는 연장부를 제공하고, 이 오목부 내에 외부 배선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외압 등으로부터 외부 배선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리드 배선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장치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하기의 청구항의 사상 또는 범주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8)

  1.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된 화소 영역과, 상기 기판 중의 하나의 연장부에 설치된 외부 배선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배선은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외부 배선의 높이보다 크거나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주변부 내에서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다층의 박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설치된 회로 소자와 상기 연장부에 접속된 외부 배선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된 화소 영역과, 상기기판 중의 하나의 연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소 영역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 배선을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외부 배선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의 형성 시에 관통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외부 배선의 높이보다 크거나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오목부의 주변부 내에서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다층의 박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다층의 박막으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갖는 상기 기판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30035108A 2002-05-31 2003-05-31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94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9040 2002-05-31
JP2002159040A JP4007074B2 (ja) 2002-05-31 2002-05-31 表示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130A true KR20030093130A (ko) 2003-12-06
KR100994859B1 KR100994859B1 (ko) 2010-11-16

Family

ID=2999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108A KR100994859B1 (ko) 2002-05-31 2003-05-31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879368B2 (ko)
JP (1) JP4007074B2 (ko)
KR (1) KR100994859B1 (ko)
CN (1) CN100354731C (ko)
TW (1) TWI2847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7313A (ja) * 2004-02-10 2005-08-25 Tohoku Pioneer Corp 電気光学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54983B2 (ja) * 2004-05-11 2010-09-29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60104088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085014B2 (ja) * 2005-05-26 2012-1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4964442B2 (ja) * 2005-08-10 2012-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01176B2 (ja) * 2005-10-12 2012-03-21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TWI325077B (en) * 2005-12-29 2010-05-21 Au Optronics Corp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22204B1 (ko) * 2006-06-07 2008-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96652B1 (ko) * 2007-06-27 2013-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패드부 및 그의 제조방법
US8243245B2 (en) * 2008-03-17 2012-08-14 Liquid Design Systems Inc. BSC macrostructure for three-dimensional wiring and substrate having the BSC macrostructure
KR101987094B1 (ko) 2012-06-15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7998B1 (ko) 2012-06-20 2019-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9001B1 (ko) 2012-09-07 2019-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2929053B (zh) * 2012-11-05 2016-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351410B1 (ko) 2015-06-02 2022-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차량용 표시 장치, 및 표시 모듈의 제조 방법
CN107300996B (zh) * 2017-06-09 2019-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207068855U (zh) * 2017-07-26 2018-03-02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
CN110703949B (zh) * 2019-10-10 2022-05-1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绝缘胶保护的改良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432A (en) * 1991-09-04 1994-05-31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capacitor and a thin film transistor in a trench for each pixel
JPH08186336A (ja) * 1994-12-28 1996-07-1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基板、駆動回路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H0990397A (ja) * 1995-09-28 1997-04-04 Sharp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H10319439A (ja) * 1997-05-19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H112835A (ja) * 1997-06-13 1999-01-06 Sharp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US6433841B1 (en) * 1997-12-19 2002-08-13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apparatus having faces holding electro-optical material in between flattened by using concave reces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3019053B2 (ja) * 1997-12-25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05386A (ja) * 1998-07-31 2000-04-1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26138B2 (ja) * 1998-09-10 2010-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極基板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素子
JP2000275672A (ja) * 1999-03-24 2000-10-06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CN1186683C (zh) * 1999-09-08 2005-01-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4193339B2 (ja) * 1999-09-29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3989662B2 (ja) * 2000-01-13 2007-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3913A (ja) 2000-03-27 2001-12-1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3485107B2 (ja) * 2000-06-13 2004-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695303B1 (ko) * 2000-10-31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신호부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6768B1 (ko) * 2001-07-21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267780C (zh) * 2002-11-11 2006-08-02 Lg.飞利浦Lcd有限公司 用于液晶显示器的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04248A (ja) 2004-01-08
US8558981B2 (en) 2013-10-15
JP4007074B2 (ja) 2007-11-14
US7394514B2 (en) 2008-07-01
CN100354731C (zh) 2007-12-12
CN1469161A (zh) 2004-01-21
TW200405062A (en) 2004-04-01
KR100994859B1 (ko) 2010-11-16
US20050179851A1 (en) 2005-08-18
US20080273156A1 (en) 2008-11-06
US20040008314A1 (en) 2004-01-15
US6879368B2 (en) 2005-04-12
TWI284751B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4514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808039B1 (ko)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136288B2 (en) Display device
JP4543385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540947B1 (ko) 표시장치와그제조방법
JP5040222B2 (ja) 表示装置
US836262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972434B2 (en) Substrate for displ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having the same
US842045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070002212A1 (en) Interconnect structure for tft-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0608090B1 (en) Semiconductor device which can be applied to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emiconductor device
JP3455506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04266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761756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37626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646279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03791B1 (ko)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2881868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0508022B1 (ko)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50745A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0040827A (ja) 半導体装置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196359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21350A (ko)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60007A (ko)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H08241892A (ja) 絶縁膜を有する薄膜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