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843A - 스타터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부 스타터 - Google Patents

스타터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부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843A
KR20030088843A KR1020020083965A KR20020083965A KR20030088843A KR 20030088843 A KR20030088843 A KR 20030088843A KR 1020020083965 A KR1020020083965 A KR 1020020083965A KR 20020083965 A KR20020083965 A KR 20020083965A KR 20030088843 A KR20030088843 A KR 2003008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terminal
control circuit
control device
auxiliar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모토모토이
간자키쇼오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84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400/00Control systems adapted for specific engine types; Special features of engin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ower supply, connectors or cabling for engine control systems
    • F02D2400/18Packaging of the electronic circuit in a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결선이 쉽고, 내진성이 우수하고, 보조스위치와 쉽게 일체화 할 수 있는 스타터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부 스타터를 제공한다.
스타터(19)의 메인스위치(23)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2)를 소유하고, 이 보조스위치(2)의 절연체로 형성된 캡(4)에 제어회로부(3)를 설치하는 동시에, 캡(4)에 배치된 단자와 제어회로부(3)을 접속용구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타터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부 스타터{STARTER CONTROL DEVICE AND STARTER}
본 발명은 엔진을 시동하는 스타터의 제어장치와 그 제어장치를 장착한 스타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스위치의 캡에 제어회로부를 설치한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종래장치로서 일본국 특개 2000-87831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가 있다. 이 종래장치에서는 보조스위치의 부착브래킷의 다리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보호회로를 구비한 것으로, 보호회로와 보조스위치의 캡에 설치된 터미널과는 리드선에 의해 접속된 스타터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장치에서는 보호회로와 보조스위치의 캡에 설치된 터미널과는 리드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리드선의 피복의 제거작업이나 리드선의 도체부분에 예비 납땜작업이 필요하게 되거나, 내진성이 저하하거나 보조스위치와 보호회로를 일체로 구성하는 때는 구조적으로 변경이 번거로운 것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보조스위치의 캡에 배치된 단자와 제어회로부와의 결선이 쉽고, 내진성이 우수하고, 보조스위치와 제어회로부의 일체화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스타터 제어장치, 및 그 스타터제어장치를 스타터에 일체적으로 장착해서 결선이 용이하고, 장착성이 좋은 제어장치부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 제어장치에서는 스터터의 메인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를 소유하고, 이 보조스위치의 절연체로 형성된 캡에 제어회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캡에 배치된 단자와 상기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에서는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와 스타터 제어장치를 소유하고, 상기 스타터 제어스위치는 상기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를 소유하고, 이 보조스위치의 절연체로 형성된 캡에 제어회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캡에 배치된 단자와 상기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결선이 용이하고, 소형으로 내진성이 우수하고, 보조스위치와 제어회로부의 일체화가 쉽게 되는 값싼 스타터 제어장치와 스타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스타터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스타터 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기접속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제어회로부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타임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스타터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제어회로부 스타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타터 제어장치, 2 : 보조스위치, 3 : 제어회로부,
4 : 캡, 5 : 수납부, 6 : C단자,
7 : B단자, 8 : SW단자, 9 : 접속용구,
11 : 접속용구, 13 : 케이스, 14 : 코일,
16 : 기판, 17 : 나사, 19 : 스타터,
19a : 제어회로부 스타터, 20 : 베터리, 21 : 키스위치,
21b : 시동단자, 23 : 메인스위치.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스타터 제어장치의 사시도로, 도 2는 그 요부단면도, 도 3은 전기접속도, 도 4는 제어회로부의 회로도, 도 5는 타임차트이다. 또, 도면중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쳐서 설명한다. 도 1에서 1은 스타터 제어장치로 스위치(2)와 제어회로부(3)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4는 페놀수지등의 절연체로 형성된 캡으로, 캡(4)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어회로부(3)을 수납하는 수납부(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회로부(3)를 갖지 않는 통상의 보조스위치(2)의 캡(4)의 형상을 변경해서, 일체로 수납부(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캡(4)에는 각각 동재등으로 형성된 C단자(6), B단자(7) 및 SW단자 (8)가 설치되어 있다. C단자(6)와 황동판등의 도전체로부터 프레스구부림등으로 형성된 접속용구(9)의 좌부(9a)가 와셔(10)에 의해 캡(9)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도 접속되고, 접속용구(9)의 일단을 이루는 접속부(9b)는 제어회로부(3)를 수납하는 수납부(5)의 방향으로 굴곡되어서 제어회로부(3)를 수납하는 수납부(5)의 방향으로 굴곡되어서 제어회로부(3)와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B단자(7)와 접속용구(11)의 좌부(11a)가 와셔(12)에 의해 캡(4)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도 접속되고, 접속용구(11)의 일단을 이루는 접속부 (11b)는 제어회로부(3)을 수납하는 수납부(5)의 방향으로 굴곡되어서 제어회로부 (3)를 수납하는 수납부(5)의 방향으로 굴곡되어서 제어회로(3)와 접속되어 있다.
보조스위치(2)는 철판등의 도전체로 형성된 케이스(13)의 내부에 코일 14을 소유하고, 캡(4)에 설치된 SW단자(8)에 코일(14)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14)에의 통전에 따라, 캡(4)의 설치한 C단자(6)와 B단자(7)간이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13)의 원통사의 외주면에는 철판등의 도전체로 형성된 부착브래킷(15)이 용접으로 일체로 부착되고, 부착브래킷(15)에구비한 다리부(15a)에는 부착공(15b)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요부단면도로서, 캡(4)과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5)에 제어회로부(3)가 수납되어 있다. C단자(6)에서 접속용구(9)의 접동부(9b)를 통해서, 제어회로부(3)의 기판(16)에 납땜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B단자(7)에서 접속용구(11)의 접속부(11b)를 통해서, 제어회로부(3)의 기판(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코일(14)의 다른쪽의 단말 (14a)는 기판에 납댐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기판(16)은 철구등의 도전체의 나사(7)에 의해 캡(4)과 함께, 케이스(13)에 설치한 나사부(13a)에 함께 체결하고, 케이스 (13)와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어회로부(3)의 이스는 기판(16)에서 나사(17)를 통해서, 케이스(13) 및 부착브래킷(15)에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3)의 수납 및 접속이 끝난 후에 절연성에 폭시등의 수지(18)를 수납부(15)에 충전해서 고화한 후, 제어회로부(3)의 고정 및 실을 실시하고 있다.
도 3은 전기접속도이고, 스타터 제어장치(1)와 스타터(19) 배터리(20), 키스위치(21)의 접속을 표시하고 있다. 스타터(19)는 모터부(22)와 메인스위치(23)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부(22)는 전기자(24)와 전기자(24)에 급전하는 브러시(25)와 자극을 이루는 계자코일(26)으로 되어 있다. 메인스위치(23)는 스타터(19)의 작동을 제어하는 S단자(27)에 접속된 P코일(28)과 H코일(29) 및 전기접점을 구성하는 배터리단자(30), 모터단자(31), 가동접점(32)으로 되어 있다. 스타터 제어장치(1)는 보조스위치(2)와 제어회로부(3)로 구성되어 있고, 보조스위치(2)는 전기접점을 구성하는 C단자(6), B단자(7), 가동접점(33)을 구비하고, 이 전기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코일(14)을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20)의 플러스측에서 배터리케이블(34)을 통해서, 스타터(19)의 배터리단자(30)에 접속되고, 배터리(20)의 마이너스측은 어스되어 있다. 배터리(20)의 플러스측에서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를 통해서 스타터 제어장치(1)의 SW다자(8)에 접속되어 있다. 또, (21a)는 키스위치(21)의 ON단자로 엔진운전중의 키스위치(21)의 통사의 위치이고, 시동단자(21b)는 엔진의 시동조작시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스타터 제어장치(1)의 B단자(7)에는 배터리(20)의 플러스측이 접속되고, C단자(6)은 메인스위치(23)의 S단자(27)와 접속되어 있다. 또, 스타터 제어장치(1)의 내부접속은 상기 설명한 접속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제어회로(3)의 회로도이고, Q1 및 Q2는 트랜지스터, Q3는 FET, IC1 및 IC2는 컴퍼레이터, D1 ~ D4는 다이오드, ZD1 및 ZD2는 제너다이오드, R1 ~ R12는 저항, C1은 콘덴서로, 도 4의 접속이 되어 있다. 도 4의 B점에는 B단자(7)에서 접속단자(11)를 통해서, 배터리(20)의 전압이 항시 인가되어 있고, FETQ3의 게이트 G에도 배터리(20)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되어, FETQ3는 ON상태로 되어 있다. 컴퍼레이터 IC1의 마이너스단자와, 컴퍼레이터 IC2의 마이너스단자는 접속되어 있고, C단자(6)가 ON시에는 공히 제너다이오드 ZD2와 다이오드 D1으로 정해지는 전압이 인가된다.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에는 C단자(6)가 ON시는 컴퍼레이터 IC1의 마이너스단자에 대해 다이오드 D2분만큼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C단자(6)가 OFF시는 제너다이오드 ZD2와 다이오드 D1으로 정하는 전압을 저항 R7과 저항 R8로 분압한 전압이 인가된다. 컴퍼레이터 IC2의 플러스단자에는 제너다이오드 ZD2가 다이오드 D1으로 정해지는 전압을 저항 R5와 저항 R6로 분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전압은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이 인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를 닫으면, FETQ3은 ON상태이므로, 배터리(20)에서 시동단자(21b), SW단자(8)을 통해서 코일(14)이 통전되어, 이로인해 가동접점(33)이 이동해서 B단자(7)와 C단자(6)간을 폐로 한다. 가동접점(33)이 폐로 하면, C단자(6)에서 메인스위치(23)의 3단자(27)에 배터리(20)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되어 P단자(28) 및 H단자(29)이 통전되어, 가동접점(32)이 이동해서 배터리단자(30)와 모터단자(31)간을 폐로 한다. 가동접점(32)이 폐로 되면, 배터리(20)로부터의 전류가 유입해서, 계자코일(26)과 전기자(24)의 전자작용에 의해, 전기자(24)는 회전하고, 그 회전력으로 엔진을 시동할 수가 있다. 엔진이 시동해서 키스위치(21)을 시동단자(21b)로부터 ON단자(21a)로 되돌리면, 보조스위치(2)의 코일(14)에의 통전이 차단되므로, 가동접점(33)은 개로 하고, 함께 가동접점(32)도 개로 하므로, 모터부(22)에의 통전은 차단되어 시동조작은 완료된다.
이때의 제어회로부(3)의 동작에 대해, 도 4에서 설명한다.
진술한 설명과 같이, FETQ3는 ON상태가 되어 있고,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 (21b), SW단자(8)을 통해서 코일(14)이 통전되고, 가동접점(33)이 이동해서, B단자 (7)와 C단자(6)간을 폐로 해서, C단자(6)에는 배터리(20)로부터의 전압이 발생한다. 이 전압은 C단자(6)로부터 접속용구(9)를 통해서 도 4의 C단자에 유도되어,저항 R1을 거쳐, 트랜지스터 Q2를 ON시켜, 또 트랜지스터 Q1을 ON시켜서 컴퍼레이터 IC1 및 IC2의 전원 및 입력전압을 발생시킨다. 또, 다이오드 D2, 저항(9)을 통해서 콘덴서 C1를 충전한다.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의 전압을 컴퍼레이터 IC1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이 높으므로, 컴퍼레이터 IC1의 출력은 H(HIGHT)가 되고, FETQ3의 ON상태는 계속된다. 또, 컴퍼레이터 IC2의 플러스단자의 전압은 컴퍼레이터 IC1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보다도 전압이 낮으므로, 컴퍼레이터 IC2의 출력은 L(LOW)가 되고, 트랜지스터 Q1의 ON상태는 계속되어,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 (21b)가 차단될때까지, 이 상태가 계속해서 스타터(19)에서 엔진을 시동작동한다.
다음, 스타터(19)의 전기자(24)가 회전해서 엔진을 시동작동하였으나, 예를들면 엔진이 좋지 않아 시동에 이르지 않고, 도2중에서 시동조작을 중지 했을때등, 일단 키스위치(21)를 시동단자(21b)에서 ON다자(21a)로 되돌리고, 바로 다시 시동단자(21b)의 위치로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키스위치(21)를 시동단자(21b)로부터 ON단자(21a)에 일단 되돌렸으므로, 코일(14)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가동접점(33)이 개로해서, C단자(6)에 발생하고 있던 배터리(20)로부터의 전압이 없어진다. 콘덴서 C1은 제너다이오드 ZD2와 다이오드 D1으로 정해지는 전압으로 충전되어 있었으나, C단자(6)의 전압이 없어지면, 저항 (10)과 콘덴서 C1로 정해지는 시정수로 방전해서, 서서히 컴퍼레이터 IC1 및 IC2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은 저하한다.
이 콘덴서 C1의 충전을 저항(10)과 콘덴서 C1으로 정하는 시정수로 방전시킴으로서, 타이머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에는 제너다이오드 ZD2와 다이오드 D1으로 정해지는 전압을 저항 R7과 저항 R8에서 분압한 전압이 인가되고, 이 전압이 컴퍼레이터 IC1의 마이너스단자 보다도 낮으므로, 컴퍼레이터 IC1의 출력은 L이 되어, FETQ3이 OFF가 된다. 콘덴서 C1이 방전해서 서서히 전압이 저하되고,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의 전압보다도 낮아지고, 컴퍼레이터 IC1의 출력이 H가 될때까지 FETQ3의 OFF가 계속된다.
이 사이에, 키스위치(21)를 시동단자(21b)로 해도, FETQ3이 OFF이므로, 코일 (14)에는 통전되지 않고, 스타터(19)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5는 이들의 일련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5(a)에서 1은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의 전압, 2는 컴퍼레이터 IC1 및 IC2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 3은 컴퍼레이터 IC2의 플러스단자의 전압으로 이들의 전압의 대소관계와 시간에 대한 변화를 모식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5(b)에서 4는 컴퍼레이터 IC2의 출력단자의 상태, 5는 컴퍼레이터 IC1의 출력단자의 상태를 표시하고, H는 출력이 HIGHT, L은 출력이 LOW를 표시한다. 도 5(C)의 (6)은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의 ON, OFF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도 5(d)의 (7)은 FETQ3의 ON, OFF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5(e)의 (8)은 보조스위치(2)의 가동접점(33)의 ON, OFF상태로 표시하고 있고, 도 5(f)의 (9)는 제어회로부(3)의 기판(16)의 전원의 ON, OFF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5에서 시간TO에서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가 ON(시동조작)되나, 그시간 TO보다 전에, 컴퍼레이터 IC2의 출력단자 H, 컴퍼레이터 IC1의 출력단자는 H, FETQ3은 ON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간 TO에서 시간 T1까지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가 ON(시동조작)되어,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의 전압, 컴퍼레이터 IC1 및 IC2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컴퍼레이터 IC2의 플러스단자의 전압은 각각 도 5(a)의 대소관계에서 변화한다. 또, 컴퍼레이터 IC2의 출력단자는 H에서 L에 컴퍼레이터 IC1의 출력단자는 H의 상태를 계속하고 있다. FETQ3은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의 OFF에 따라 OFF하고, 보조스위치(2)의 가동접점(33)도 OFF하므로, 스타터(19)는 키스위치(21)의 시동조작에 연동해서 작동한다. 제어회로부(3)의 기판(16)의 전원을 ON상태를 계속하고 있다.
다음에, 시간 T1에서 T2의 사이에 일단 시동단자(21b)를 OFF해서, 시간 T2에서 다시 시동단자(21b)를 ON하면, 컴퍼레이터 IC1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이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의 전압보다도 높으므로, 컴퍼레이터 IC1의 출력단자는 L이 되어, FETQ3은 OFF되어 있고, 보조스위치(2)의 가동접점(33)도 OFF가 되어, 스타터 (19)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 시간은 컴퍼레이터 IC1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이 컴퍼레이터 IC1의 플러스단자의 전압보다도 낮아질때까지 계속해서 시간 T3에서 FETQ3가 ON이 가능해진다. 이 시간이 도 5의 시간 T로 스타터(19)의 재맞물림 방지시간이 된다. 그후, 시간 T4에서 컴퍼레이터 IC2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이 컴퍼레이터 IC2의 플러스단자의 전압보다도 낮아지므로, 컴퍼레이터 IC2의 출력단자는 H가 되어, 트랜지스터 Q1이 OFF되므로, 제어회로부(3)의 기판(16)의 전원은 OFF된다.
또, 스타터(19)의 전기자(24)가 회전해서 엔진을 시동작동하였으나, 예를들면 엔진이 상태가 나빠 시동이 안되고, 도중에서 시동조작을 중지했을때 등, 일단 키스위치(21)를 시동단자(21b)에서 ON단자(21a)로 되돌렸을때는 전기자(24)는 타성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자극의 자류자기와의 작용으로 전압이 발생해서, 이 발전전압이 S단자(27), C단자(6), 접속용구(9)를 거쳐, 도 4의 C점에 인도되어 콘덴서 C1이 방전중이라도 발전전압이 콘덴서 C1의 전압보다도 높은 동안으로, 발전전압에 의해 콘덴서 C1을 충전하도록 작용해서, 이 결과스타터(19)의 재맞물림 방지시간 (T)가 길어지도록 동작한다.
실시의 형태 1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조스위치(2)의 캡(4)과 일체로 수납부(5)가 쉽게 구성하고, 보조스위치(2)의 C단자(6)나, B단자(7)로부터 접속용구나 접속용구(11)에 의해 짧은 거리에서 확실하게 제어회로부(3)와 접속할 수 있으므로, 결선이 쉽고 노이즈에 대해 유리할뿐아니라, 소형이고 내진성이 우수한 보조스위치(2)와 제어회로부(3)의 일체화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값싼 스타터 제어장치(1)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제어장치를 갖지 않는 시동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스타터 제어장치(1)를 추가함으로써, 스타터(19)를 변경하지 않고, 쉽게 구성할 수 있고, 스타터(19)의 표준화가 도모된다. 또, 메인스위치(23)의 P코일(28)이나, H코일(29)에 비해, 보조스위치(2)의 코일(14)은 저항치가 높으므로, 전류가 적고, FETQ3이나 키스위치(21)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C단자(6)가 제어회로부(3)를 접속용구(9)로 접속하였으므로, C단자(6)의전압을 검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가 시동조작된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배선이 불필요하게 될 정도로 보조스위치(2)와의 일체화가 쉽게 된다. 또, 스타터(19)의 발전전압을 검출할 수가 있으므로, 전기자 (24)의 타성회전중에 스타터(19)가 작동해서, 스타터(19)나 엔진측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B단자(7)와 제어회로부(3)를 접속용구(11)로 접속하였으므로, 제어회로부(3)의 전원때문에 새로운 배선이 필요치 않고, 보조스위치 (2)와의 입체화가 쉽게 된다. 또, FETQ3는 ON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응답성이 좋고, 만일 제어회로부(3)의 일부에 불편한 일이 생겨도 엔진의 시동은 가능하다.
제어회로부(3)의 기판(16)의 어스를 도전체의 나사(17)를 통해서, 도전체의 케이스(13)에 구성하였으므로, 어스를 위한 새로운 배선이 필요없고, 보조스위치 (2)와의 일체화가 쉽게 된다. 또, 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를 경유해서 보조스위치(2)의 코일(14)에 통전하였으므로, 새로운 배선을 추가하는 일 없이, 보조스위치(2)와의 일체화가 쉽게 된다.
제어회로부(3)에 타이머회로를 구비하고, 소정시간 스타터(19)의 재작동을 금지하였으므로, 엔진이나 전기자(24)가 타성회전중에 엔진에 다시 물려들어가, 엔진이나 스타터(19)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어회로부(3)의 전원의 ON시간을 제어하였으므로, B단자(7)에서 제어회로부(3)의 전원을 취하고 있어도, 소정시간후에 자동적으로 전원이 OFF해서 소비전력이 거의 없어지고, 배터리(20)의 수명이 향상하는 외에, 노이즈에 대해 유리해진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스타터 제어장치의 사시도로, 1은 스타터 제어장치로, 도 1과 거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 1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쳐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는 스타터 제어장치를 스타터에 일체적으로 부착한 제어장치부 스타터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X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제어장치부 스타터(19a)는 주로 기구부(35), 모터부(22), 메인스위치(23), 스타터 제어장치(1)에서 구성되어 있다. 기구부(35)의 외각을 이루는 브래킷(36)은 알루미다이케스트등의 도전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브래킷(36)에 모터부(22), 메인스위치(23), 스타터 제어장치(1)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36)에 일체로 설치한 부착좌면(37)에 스타터 제어장치(1)의 다리부(15a)의 나사(38)로 조여서 스타터 제어장치(1)를 장착하고 있다.
또, 브래킷(36)에 일체로 설치한 프랜지(39)에 의해 스타터(19)는 엔진에 부착되고, 엔진에 배터리(20)의 마이너스측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브래킷(36)도 배터리(20)의 마이너스측이 접속되어 있게 되고, 이 브래킷(36)에 장착된 모터부(22), 메인스위치(23), 스타터 제어장치(1)도 배터리(20)의 마이너스측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된다.
메인스위치(23)의 배터리단자(30)와 스타터 제어장치(1)의 B단자(7)는 리드와이어(30a)로 접속되어 있고, 스타터 제어장치(1)의 C단자(6)와 메인스위치(23)의 S단자(27)도 리드와이어(27a)로 접속되어 있다. 또, 스타터 제어장치(1)의 SW단자 (8)는 리드와이어(8a)로 연장되어 있다. 제어장치부 스타터(19a)에서 이 접속이완료되어 있고, 이 프랜지(39)를 엔진에 부착하여, 배터리케이블(34)를 배터리단자 (30)에 키스위치(21)의 시동단자(21b)를 SW단자(8)에 접속함으로써, 소정의 접속이 완료된다.
실시의 형태 2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선이 쉽고, 노이즈에 대해 유리할 뿐아니라, 배선의 추가가 없고, 소형이고, 장착성이 좋은 제어장치부 스타터(19a)를 얻을 수가 있다. 제어회로부(3)를 구비하지 않은 보조스위치(2)를 갖는 통상의 스타터(19)에서는 본 발명의 스타터 제어장치(1)에 교환함으로서, 용이하게 제어장치부 스타터(19a)가 구성할 수 있고, 스타터(19)의 표준화가 도모된다. 보조스위치(2)를 갖고 있지 않은 스타터에서도 스타터 제어장치(1)를 장착함으로서, 엔진측에 새로운 배선의 추가없이 쉽게 구성할 수가 있다. 스타터(19)와 스타터 제어장치(1)를 일체적으로 장착하였으므로, 탑재성이 좋고, 그 제어장치부 스타터(19a)에 의해 제어회로를 구비한 시스템을 배선의 추가없이 자기완결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스타터 제어장치에서는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를 소유하고, 이 보조스위치의 절연체로 형성된 캡에 제어회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캡에 배치된 단자와 상기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였으므로, 결선이 용이하고, 소형이고, 내진성이 우수하고, 보조스위치와 제어회로부의 일체화가 쉽게 구성되고, 값싼 스타터제어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스타터 제어장치에서는 보조스위치의 캡에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C단자를 설치하고, 이 C단자와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접속하였으므로, 배선이 간소하고, 성능이 좋고, 값싼 스타터 제어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스타터 제어장치에서는 보조스위치의 캡에 배터리와 접속된 B단자를 설치하고, 이 B단자와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접속하였으므로, 배선이 간단하고, 성능이 좋고, 값싼 스타터 제어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스타터 제어장치에서는 보조스위치의 캡은 도전체의 케이스에 도전체의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제어회로부의 기판을 상기 나사로 조여서, 상기 나사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제어회로부의 이스를 구성하였으므로, 배선이 간단하고, 값싼 스타터 제어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스타터 제어장치에서는 보조스위치의 코일에의 통전을 배터리로부터 키스위치의 시동단자를 경유해서 통전하였으므로, 배선이 간단하고, 값싼 스타터 제어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스타터 제어장치에서는 제어회로부는 타이머회로를 구비하고, 이 타이머회로에 의해 소정시간은 스타터의 재작동을 금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회로부의 전원의 ON시간을 제어하였으므로, 구성이 쉽고, 성능이 좋고, 여분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은 스타터 제어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제어장치부 스타터에서는 상기 스타터 제어장치를 스타터에 일체적으로 장착하였으므로, 구성이 쉽고, 장착성이 좋고, 제어회로를 구비한 시스템을 배선의 추가없이 자기완결로 얻을 수가 있다.

Claims (7)

  1.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를 소유하고, 이 보조스위치의 절연체로 형성된 캡에 제어회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캡에 배치된 단자와 상기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스위치의 캡에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1 단자를 설치하고, 이 제 1 단자와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스위치의 캡에 배터리와 접속된 제 2 단자를 설치하고, 이 제 2 단자와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스위치의 캡은 도전체의 케이스에 도전체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제어회로의 기판을 상기 나사로 함께 조여서, 상기 나사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에 제어회로부의 어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스위치의 코일에의 통전을 배터리로부터 키스위치의 시동단자를 경유해서 통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제어회로부는 타이머회로를 구비하고, 이 타이머회로에 의해 소정시간은 스타터의 재작동을 금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회로부의 전원의 ON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제어장치.
  7.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와 스타터 제어장치를 소유하고, 상기 스타터 제어스위치는 상기 스타터의 메인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를 소유하고, 이 보조스위치의 절연체로 형성된 캡에 제어회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캡에 배치된 단자와 상기 제어회로부를 접속용구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KR1020020083965A 2002-05-14 2002-12-26 스타터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부 스타터 KR200300888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8405 2002-05-14
JP2002138405A JP3988526B2 (ja) 2002-05-14 2002-05-14 スタータ制御装置および制御装置付スタ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843A true KR20030088843A (ko) 2003-11-20

Family

ID=2939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965A KR20030088843A (ko) 2002-05-14 2002-12-26 스타터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부 스타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79710B2 (ko)
JP (1) JP3988526B2 (ko)
KR (1) KR20030088843A (ko)
CN (1) CN1223758C (ko)
FR (1) FR2839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0840B1 (fr) * 2003-09-25 2007-08-31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electrique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contacteur hybride a relais statique integre dans le capot
DE102007015396A1 (de) * 2007-03-30 2008-10-02 Robert Bosch Gmbh Startermechanismus mit mehrstufigem Hubrelais
JP4922899B2 (ja) * 2007-11-07 2012-04-2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尿素水注入装置
JP5003520B2 (ja) * 2008-02-08 2012-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EP2233733B1 (en) * 2008-01-18 2015-02-11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increased mounting capability
JP2011085129A (ja) * 2009-09-15 2011-04-28 Denso Corp スタータ
JP5292266B2 (ja) * 2009-12-03 2013-09-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タータ
JP5165669B2 (ja) 2009-12-03 2013-03-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JP5504899B2 (ja) * 2010-01-12 2014-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継電器
JP5463946B2 (ja) 2010-02-18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CN103003562A (zh) * 2010-07-16 2013-03-2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发动机的启动装置以及搭载该启动装置的车辆
JP5572582B2 (ja) * 2011-04-26 2014-08-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タータ
DE102014007459A1 (de) * 2014-05-21 2015-11-26 Ellenberger & Poensgen Gmbh Leistungsrelais für ein Fahrzeug
CN107430961B (zh) * 2015-04-07 2019-03-08 三菱电机株式会社 起动器用电磁开关装置
DE102015214762A1 (de) * 2015-08-03 2017-02-09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7215271A1 (de) * 2017-08-31 2019-02-28 Seg Automotive Germany Gmbh Relais, insbesondere einer Startvorrichtung, mit einer weiteren elektrischen Bau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620A (en) * 1983-09-12 1984-12-25 Eaton Corporation Engine starter protective and control module and system
JPS627973A (ja) 1985-07-01 1987-01-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内燃機関のスタ−タ保護装置
JPH01147449A (ja) * 1987-12-03 1989-06-09 Konica Corp レーザー光源用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KR920006242B1 (ko) * 1988-12-22 1992-08-01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동축형 스타터
JP3169646B2 (ja) 1991-09-25 2001-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交差偏波干渉補償器
JPH078811A (ja) 1993-06-22 1995-01-13 Sanyo Electric Co Ltd 安全キャビネットの殺菌装置
DE19532484B4 (de) 1995-02-03 2005-08-25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WO1996023970A1 (de) * 1995-02-03 1996-08-08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FR2736100B1 (fr) 1995-06-27 1997-08-01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tacteur de demarreur comportant un circuit electronique de commande integre au contacteur, et demarreur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contacteur
US6116201A (en) * 1995-12-22 2000-09-12 Labken, Inc. In-solenoid chip for undertaking plural functions
US6028381A (en) * 1996-02-09 2000-02-22 Hitachi, Ltd. Starter equipped with current interruption mechanism
FR2751124B1 (fr) * 1996-07-10 1998-09-18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raccordement electrique du contacteur
FR2753302B1 (fr) 1996-09-06 1998-10-16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tacteur de demarreur comportant un circuit electronique de commande integre au contacteur, et demarreur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contacteur
US5747386A (en) * 1996-10-03 1998-05-05 Micron Technology, Inc. Rotary coupling
FR2762135B1 (fr) 1997-04-09 1999-05-14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tacteur de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JP2000087831A (ja) 1998-09-09 2000-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保護装置
JP2000087931A (ja) 1998-09-10 2000-03-28 Ricoh Co Ltd 管状構造体、キャップ及び現像ローラ
JP2002005868A (ja) * 2000-06-16 2002-01-09 Yamatake Corp 検出器
DE10046987A1 (de) 2000-09-22 2002-04-18 Bosch Gmbh Robert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US6283333B1 (en) * 2001-01-17 2001-09-04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Toggle-action dispensing closure with an actuation-prevention abutment and a recessed striker ri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59559A (zh) 2003-12-03
CN1223758C (zh) 2005-10-19
JP3988526B2 (ja) 2007-10-10
FR2839753A1 (fr) 2003-11-21
JP2003328908A (ja) 2003-11-19
US7579710B2 (en) 2009-08-25
FR2839753B1 (fr) 2009-12-25
US20030214766A1 (en)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8843A (ko) 스타터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부 스타터
US6148781A (en) Start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specially of a motor vehicle, with a redundancy circuit
US7834497B2 (en) Starter
US8779876B2 (en) Electromagnetic switch
US7501790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a starter device with a reversible disconnection switch
US6734589B2 (en) Electric motor
JP2010221787A (ja) 電気接続箱
JP2008031856A (ja) スタータ
CN109072850B (zh) 起动器用电磁开关装置
JP4618516B2 (ja) スタータ
US8368237B2 (en) Starter device
JPH10199737A (ja) 内燃機関の点火コイル装置
JP4159797B2 (ja) 電動モータ
US6150735A (en) Starter protector
JP4108920B2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のための電流測定モジュール
US20050184525A1 (en) Starter control apparatus
JP3750926B2 (ja) 始動用電動機装置
KR100600558B1 (ko) 서지전압 발생 방지용 다이오드를 구비한 마그네트 스위치
JPH03159528A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13155650A (ja) モータ駆動式絞り弁制御装置
JP2003139025A (ja) スタータの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7005999B2 (ja) 乗り物用充電装置
KR910000252Y1 (ko) 전자 스위치
JP2011142784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569458B1 (ko) 차량의 통합형 전장품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