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366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366A
KR20030088366A KR10-2003-0030227A KR20030030227A KR20030088366A KR 20030088366 A KR20030088366 A KR 20030088366A KR 20030030227 A KR20030030227 A KR 20030030227A KR 20030088366 A KR20030088366 A KR 20030088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presser foot
thread cutting
cam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884B1 (ko
Inventor
타츠야 오가와
타다요시 미나카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기에 있어서,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조립할 때의 노력을 대폭 저감시키는 동시에, 재봉기의 저가격화, 공간 절약 및 미관의 향상을 도모한다.
재봉기 베드(2), 재봉기 바디부(3) 및 재봉기 아암(4)으로 이루어지는 재봉기 헤드부(1)와, 실 절단 기구(10)와, 노루발 상승 기구(30)와, 이들 양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재봉기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단일 펄스모터(6)이며, 이 펄스모터(6)는 재봉기 바디부(3)의 후방 측벽(3a) 근방에 배치된다. 펄스모터(6)의 회전 구동력이 캠 부재, 실 절단 연결부재 및 노루발 상승 연결부재를 통해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로 전달되어 이들 양 기구가 구동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를 구비한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봉제 후에 실을 절단하기 위한 실 절단 기구와, 노루발을 상승시키는 노루발 상승 기구와, 이들 기구를 각각 구동하는 별개의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이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양 기구를 구동하는 재봉기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장치는, 실 절단 기구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와 노루발 상승 기구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와 같이 각각 별개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였기 때문에, 부품 수가 많아져 비용이 상승되는 동시에 재봉기가 대형화, 중량화됨에 따라 봉제공장의 주된 작업자인 여성이 작업하는 데 부담이 되었다.
또한 고정박기(bar-tacking) 재봉기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재봉기 헤드부의 폭이 비교적 좁은 재봉기의 내측에 이들 복수의 구동수단을 조립할 때에는, 재봉기 바디부나 재봉기 아암의 내부에 바늘을 상하로 움직이는 주축이나 각종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한편, 이들 복수의 구동수단을 재봉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할 경우, 배치 장소에 따라서는 재봉기 헤드부의 공간 절약이 곤란하였다. 또, 재봉기 바디부의외부에 복수의 구동수단을 배치하면, 배치장소에 따라서는 재봉기 헤드부의 형상이 찌그러져 그 미관이 손상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조립할 때의 수고를 현저히 저감시키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재봉기의 저가격화, 경량화, 공간 절약 및 미관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또한, 재봉기의 수리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의 재봉기 헤드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박기 재봉기를 재봉기 바디부의 후방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박기 재봉기에 구비되는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방에서 실 버림기구를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 절단 기구를 구성하는 고정 메스 부재 및 가동 메스 부재의 실 절단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박기 재봉기에 구비되는 캠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의 (b)은 도 6의 (a)의 캠 부재의 실 절단 캠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의 (c)은 도 6의 (a)의 캠 부재의 노루발 상승 캠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박기 재봉기의 실 절단·노루발 상승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박기 재봉기의 실 절단·노루발 상승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재봉기 헤드부 2 : 재봉기 베드
2a : 바늘판 2b : 프레임
3 : 재봉기 바디부 3a : 후방 측벽
3b∼3d : 프레임 4 : 재봉기 아암
5 : 메인 모터 6 : 펄스모터
6a : 주축 7 : 노루발
8 : 노루발 구동기구 8a : 맞닿음 핀
8b : 축 부재 8c : 노루발 구동 링크
10 : 실 절단 기구 11 : 실 절단 링크
11a : 끼움결합 핀 11b : 굴곡부
11c : 하단부 12 : 지지 핀
13 : 실 절단 연결봉 14 : 고정 메스 부재
14a : 고정 날 15 : 가동 메스 부재
16 : 부착판 17 : 나사
18 : 차광부재 18a : 차광판
19 : 포토 인터럽터 20 : 가동 메스 연결부재
21 : 나사 22 : 연결 핀
23 : 실 절단 레버 24 : 가동 메스 링크
25 : 고정 나사 30 : 노루발 상승 기구
31 : 노루발 상승 링크 31a : 상단부
31b : 굴곡부 31c : 하단부
32 : 노루발 구동 링크 33 : 연동 아암
34 : 축 부재 35 : 구동 아암
35a : 전단부 36 : 노루발 구동 레그
37 : 지지봉 38 : 핀
40 : 포토 인터럽터 41 : 차광부재
41a : 차광판 42 : 지점 핀
43 : 롤러 44 : 와인딩 스프링
50 : 실 버림기구 51 : 와이퍼 연결 링크
51a : 후단부 51b : 전단부
51c : 가로 구멍 52 : 와이퍼 L형 링크
52a : 걸림결합 핀 53 : 코일 스프링
54 : 스토퍼 핀 55 : 나사
56 : 와이퍼 연결판 57 : 지지판
58 : 와이퍼 58a : 일단부
58b : 실 버림부 59 : 지지판
60 : 캠 부재 61 : 실 절단 캠부
61a : 캠 홈 62 : 노루발 상승 캠부
62a : 캠 면 X1 : 원호부
X2 : 변곡부 Y1 : 원호부
Y2 : 타원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예컨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수평한 재봉기 베드(2), 상기 재봉기 베드 위에 세워 설치된 통형상 측벽으로 이루어진 재봉기 바디부(3), 및 상기 재봉기 바디부의 상단에 접하며 상기 재봉기 베드와 대향되도록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아암(4)으로 이루어진 재봉기 헤드부(1)와,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기구(10)와, 노루발을 상승시키는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 아암의 연장방향과 반대쪽인 상기 재봉기 바디부 측벽에 배치되어, 이들 양 기구를 구동하는 단일의 구동 모터(펄스모터 ; 6)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실 절단 기구에 대응된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캠(실 절단 캠부(61))과, 상기 노루발 상승 기구에 대응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 2 캠(노루발 상승 캠부(62))을 갖는 구동 캠 수단(캠 부재(60))과,
일단부가 상기 제 1 캠에 연결되어, 재봉기 베드 내부를 삽입 통과하며 타단부가 상기 실 절단 기구에 연결된 실 절단 연결기구(실 절단 링크(11) 및 실 절단 연결봉(13))와,
일단부가 상기 제 2 캠에 연결되어,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며 타단부가 상기 노루발 상승 기구에 연결된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노루발 상승 링크(31) 및 노루발 구동 링크(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를, 단일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재봉기와 같이 복수의 구동수단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봉기의 저가격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구동수단을 조립하는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재봉기 베드 내부 및 재봉기 아암 내부에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기만 하면 되므로, 재봉기의 소형화 및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재봉기 헤드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 및 구동 캠 수단은, 재봉기 바디부의 외측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실 절단 연결기구는, 제 1 캠에 연결되어 제 1 캠의 회전에 따라 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실 절단 링크(11)와, 상기 실 절단 링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재봉기 베드 선단쪽에서 타단이 상기 실 절단 기구에 연결된 실 절단 연결부재(실 절단 연결봉(13))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는, 제 2 캠에 연결되어 제 2 캠의 회전에 따라 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노루발 상승 링크(31)와, 상기 노루발 상승 링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재봉기 아암 선단쪽에서 타단이 상기 노루발 상승 기구에 연결된 노루발 구동링크(32)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부품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에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수리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계된 재봉기의 일례로서 본봉(本縫) 지그재그 스티치 등을 형성하는 고정박기(bar-tacking) 재봉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봉제 패턴에 따라 봉제 바늘과 보빈이 협동하여 봉제하며, 봉제 후에는 봉제 패턴 중에 포함되는 실 절단 지령이나 노루발 상승 지령에 따라 소정의 타이밍으로 실 절단·노루발 상승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의 재봉기 헤드부(1)의 개략 측면도이다. 재봉기 헤드부(1)는 재봉기 베드(2)와, 재봉기 바디부(3)와, 재봉기 아암(4)을 구비한다.
재봉기 베드(2)는, 봉제작업 시에 천을 올려놓기 위한 대략 수평한 바늘판(2a)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빈이나, 후술되는 실 절단 기구(10)를 구성하는 실 절단 연결봉(13) 등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재봉기 바디부(3)는, 재봉기 베드(2) 위에 세워 설치된 통형상 측벽으로 구성되며, 재봉기 베드(2)의 후방(도 1의 지면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재봉기 바디부(3) 뒤쪽(후술되는 재봉기 아암(4)의 연장방향과 반대쪽)의 외측 측벽(3a) 상부에는, 아암 연장방향으로 회전 축선을 가지고 봉제 바늘을 구동하기 위한 메인 모터(5)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메인 모터(5)의 하방에는, 아암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축선을 가지며, 후술되는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구동하는 펄스모터(구동수단;6)가 부착되어 있다. 이 펄스모터(6)의 구동축에는, 실 절단 캠부(60a)와 노루발 캠부(60b)를 갖는 캠 부재(60)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외측은 도시되지 않은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재봉기 아암(4)은, 상기 재봉기 바디부(3)의 상단에 접하며 재봉기 베드(2)와 대향되도록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으로서, 그 내부에는 메인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을 봉제 바늘에 전달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주축이나, 이 주축의 회전운동을 봉제 바늘의 연직 방향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캠 기구 등이 배치되어 있다.
재봉기 아암(4)의 하방에는, 봉제작업 중에 재봉기 베드(2)의 바늘판(2a)위에 배치된 천을 누르기 위한 노루발(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노루발(7)은, 노루발 구동기구(8)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봉기아암(4)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구성하는 노루발 구동링크(32) 등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후술되는 실 절단 기구(10)의 실 절단 연결봉(실 절단 연결부재;13)과, 후술되는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노루발 구동링크(32)와, 이들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구동하는 펄스모터(6)의 위치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재봉기 베드(2), 재봉기 바디부(3) 및 재봉기 아암(4)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를 재봉기 바디부(3)의 후방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는, 재봉기 베드(2)의 바늘판(2a)위에 놓인 천으로부터 바늘판(2a) 하방의 보빈으로 이어지는 밑실을, 봉제 작업이 종료된 직후에 절단하기 위한 실 절단 기구(10)와, 봉제 작업의 전후에 노루발(7)을 상승시키는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구비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이들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실 버림 기구(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전방(화살표 Ⅳ 방향)에서 실 버림 기구(50)를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실 절단 기구(10)를 구성하는 고정 메스 부재(14)와 가동 메스 부재(15)의 실 절단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은, (후술되는) 캠 부재(60)의 사시도이고, 도 6의 (b)은 캠 부재(60)의 실 절단 캠부(6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의 (c)은 캠 부재(60)의 노루발 캠부(6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우선, 실 절단 기구(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실 절단 기구(10)는 실 절단 링크(11), 실 절단 연결봉(13), 고정 메스 부재(14), 가동 메스 부재(15) 등으로 구성된다.
실 절단 연결기구로서의 실 절단 링크(11)는, 도중에 근소하게 굴곡된 가늘고 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 절단 링크(11)의 상단부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되는 캠 부재(60)의 실 절단 캠부(61)의 캠 홈(61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 핀(11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실 절단 링크(11)는, 굴곡부(11b)에서 재봉기 바디부(3)의 후방 측벽(3a)에 설치된 프레임(3b)에 지지 핀(12)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도 2 참조).
실 절단 링크(11)의 하단부(11c)는, 실 절단 연결봉(13)의 후단부와 함께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판(16)에 대하여 나사(17)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16)의 단부에는 차광판(18a)을 갖는 차광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차광부재(18)의 근방에는 포토 인터럽터(19)가, 재봉기 베드(2)의 후방 측벽에 설치된 프레임(2b)에 고정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포토 인터럽터(19)는, 실 절단 기구(10)의 원점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포토 인터럽터(19)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간에 차광판(18a)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일 때, 원점위치에 있다는 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실 절단 연결기구로서의 실 절단 연결봉(13)은, 조금씩 상방을 향하도록 소정 부분에서 굴곡되어 있는 가늘고 긴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선단부(13a)는 바늘판(2a)의 하방에 까지 도달해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13a)에는 나사(21)를 통해 가동 메스 연결부재(20)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가동 메스 연결부재(20) 위에 실 절단 레버(23)가 고정되어 있다. 가동 메스 연결부재(20)와 실 절단 레버(23)에는, 바늘판(2a)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핀(22)이 삽입 통과되고, 가동 메스 연결부재(20)와 실 절단 레버(23)는 연결 핀(22)을 중심으로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 절단 레버(23)의 선단에는 가동 메스 링크(24)의 일단부(24a)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가동 메스 링크(24)의 타단부(25b)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가동 메스 부재(25)의 중앙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가동 메스 부재(15)의 단부(15a)는, 고정 나사(25)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 나사(25)는 바늘판(2a)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메스 부재(15)의 선단에는, 절단 동작 시에 밑실을 절단하지 않고 버리는 실 버림부(15b)와, 실 버림부(15b)에 의해 버려진 실을 잡는 것으로서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실 캡쳐(15c)와, 실을 절단하기 위한 가동 날(15d)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메스 부재(15)의 근방에는, 바늘판(2a)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고정 메스 부재(14)가 설치되고, 고정 메스 부재(14)의 선단에는 가동 날(15d)과의 사이에서 밑실을 핀칭하여 이것을 절단하는 고정 날(14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 절단 기구(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을 요하는 실 절단 기구(10)는, 봉제 중에는 도 5(a)의 상태이며, 봉제가 종료되면 후술되는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동작 전에, 캠 부재(60)에 의해 실 절단 링크(11)가 지지 핀(12)을 중심으로 도 3의 반 시계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하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 절단 연결봉(13)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나사(21)를 통해 가동 메스 연결부재(20)가 가압됨에 따라, 연결 나사(22)를 중심으로 가동 메스 연결부재(20) 및 실 절단 레버(23)가 회전한다.
이러한 실 절단 레버(23)의 동작에 의해, 그 선단에 접속된 가동 메스 링크(24)가 후방으로 가압되고, 가동 메스 부재(15)는 고정 나사(2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동작에 의해 실 버림부(15b)가 (도시되지 않은) 윗실과 밑실을 구분하여, 절단해야 할 윗실과 밑실만 실 캡쳐(15c)와 고정 날(14a)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실 절단 링크(11)가 지지 핀(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하단부가 후방으로 복귀하면, 실 절단 기구(10)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역 동작한다. 즉, 가동 메스 부재(15)는, 도 5(b)의 상태에서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회전동작하고, 이 때 실 캡쳐(15c)에 의해 윗실 및 밑실을 잡아 회동함으로써, 고정 날(14a)에 윗실과 밑실이 접근하여 도 5(c)와 같이 가동 날(15d)과 고정 날(14a)이 합치하여 실이 절단된다. 가동 메스 부재(15)는 그대로 역회전을 계속하여 도 5(a)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어서,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루발 상승 기구(30)는 노루발 상승 링크(31), 노루발 구동링크(32), 노루발 구동 아암(35), 노루발 구동 레그(36) 등으로 구성된다.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로서의 노루발 상승 링크(31)는, 굴곡부(31b)에서 재봉기 바디부(3)의 후방 측벽(3a)에 설치된 프레임(3c)에, 지점 핀(4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도 2 참조). 노루발 상승 링크(31)의 하단부(31c)에는 롤러(43, 도 7 참조)가 고정되고, 이 롤러(43)는 후술되는 캠 부재(60)의 노루발 캠부(62)의 캠 면(62a, 도 6의 (a), (c) 참조)에 맞닿아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노루발 상승 링크(31)에는 이면 쪽에 돌출된 작은 핀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작은 핀에는 와인딩 스프링(44)이 걸려 있으며, 노루발 상승 링크(31)는 이 와인딩 스프링(44)에 의해 롤러(43)가 노루발 캠부(62)의 캠 면(62a)에 맞닿도록 항상 가압되어 있다. 노루발 상승 링크(31)의 상단부(31a)에는, 노루발 구동 링크(32)의 일단부(32a)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로서의 노루발 구동 링크(32)는, 길고 곧은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타단부(32b)는 연동 아암(33)의 하단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노루발 구동링크(32)의 일단부(32a) 부근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굽은 차광판(41a)을 갖는 차광부재(41)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그 차광부재(41)의 근방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 인터럽터(40)가, 재봉기 아암(4)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포토 인터럽터(40)는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원점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포토 인터럽터(40)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에 차광판(41a)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일 때, 원점위치에 있다는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제어회로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연동 아암(33)은, 그 상단부에 있어서 재봉기 아암(4)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축 부재(34)에 대하여 클램핑 고정되어 있으며, 더욱이 축 부재(34)에 대하여, 연동 아암(33)의 이면 쪽에서 가로로 길게 형성된 노루발 구동 아암(35)이 클램핑 고정되어 축 부재(3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 아암(33)이 축 부재(3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면, 노루발 구동 아암(35)도 연동 아암(33)의 요동에 연동하여 축 부재(3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노루발 구동 아암(35)의 전단부(35a)에는, 상하로 긴 노루발 구동 레그(36)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노루발 구동 레그(36)는, 수평방향의 단면이 대략 コ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측 엣지부(36a)는 하강했을 때 노루발(7)을 구동하는 노루발 구동기구(8)의 맞닿음 핀(8a)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노루발 구동 레그(36)의 도중에는, 가로로 긴 지지봉(37)의 일단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지지봉(37)의 타단부는 재봉기 아암(4) 내부의 프레임에 핀(38)을 통해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며, 노루발 구동 레그(36)가 하강할 때의 방향은 지지봉(37)에 의해 규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노루발 구동 레그(36)와, 그 하방에 위치하는 노루발 구동기구(8)의 맞닿음 핀(8a) 간에는, 소정 사이즈의 간격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노루발 구동 레그(36)는 하강하기 시작한 다음 상기 간격만큼 지연되어 노루발 구동기구(8)의 맞닿음 핀(8a)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 노루발 구동기구(8)는, 맞닿음 핀(8a)에 연결되어 축 부재(8b)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노루발 구동 링크(8c)를 갖는다.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노루발 구동 레그(36)가 하강하여 맞닿음 핀(8a)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노루발 구동 링크(8c)가 축 부재(8b)를 중심으로 도 3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노루발 구동 링크(8c)의 맞닿음 핀(8a)과 반대되는 쪽의 단부에는 노루발(7)이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노루발 구동 링크(8c)의 회동동작에 의해 노루발(7)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 박기 재봉기의 노루발 상승 기구(30)에는, 실 절단 기구(10)에 의해 윗실이 절단된 후이면서 노루발(7)이 상승하기 전에, 봉제 바늘로부터 천으로 이어지는 윗실을 버리고, 봉제 바늘쪽의 실 끝을 천 위로 끌어내는 실 버림 기구(50)가 연결되어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실 버림기구(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실 버림 기구(50)는, 와이퍼 연결 링크(51), 와이퍼 L형 링크(52), 와이퍼 연결판(56), 와이퍼(58) 등으로 구성된다. 실 버림기구(50)의 와이퍼 연결링크(51)의 후단부(51a)는,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연동 아암(33)의 도중에 접속된다. 와이퍼 연결 링크(51)의 전단부(51b)에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가로 구멍(51c)이 형성되어 있다. 전단부(51b)의 부근에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굴곡부분에서 부착 나사(55)를 통해 재봉기 아암(4)내부의 프레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와이퍼 L형 링크(52)가 설치되며, 그 상단에 고정된 걸림결합 핀(52a)은 와이퍼 연결 링크(51)의 가로 구멍(51c)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와이퍼 연결링크(51)의 이면 쪽에는, 재봉기 아암(4) 내부의 프레임에 일단부가 걸린 코일 스프링(53)이 부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3)의 타단부는 걸림결합 핀(52a)에 걸리고, 이로써 와이퍼 L형 링크(52)는 항상 도 3의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단, 와이퍼 L형 링크(52)의 근방에는 스토퍼 핀(54)이 재봉기 아암(4)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돌출되어 있고, 와이퍼 L형 링크(52)가 코일 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도, 스토퍼 핀(54)에 맞닿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코일 스프링(53)의 (도 3에 도시된) 후방으로의 가압력은, 노루발 상승 기구(30)에 대항하며 와이퍼 L형 링크(52)를 와이퍼 연결 링크(51)와 함께 후방으로 끌 정도로 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노루발 상승 기구(30)가 작동하여, 와이퍼 연결 링크(51)가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만, 코일 스프링(53)은 걸림결합 핀(52a)을 통해 와이퍼 L형 링크(52)를 후방으로 끌어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퍼 L형 링크(52)의 앞쪽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와이퍼 연결판(56)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와이퍼 연결판(56)의 하단에는 후방으로 연이어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와이퍼 연결판(56)의 근방에는, 재봉기 아암(4)속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판(57)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57)에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형으로 형성된 와이퍼(58)가 그 굴곡부분에서 부착 나사(59)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도 4 참조).
와이퍼(58)의 일단부(58a)는, 연장 돌출부(56a)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와이퍼(58)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실 버림부(58b)가설치되고, 이 실 버림부(58b)에 의해 윗실을 버리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다음으로, 노루발 상승 기구(30) 및 실 버림 기구(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노루발 상승 기구(30) 및 실 버림 기구(50)는, 윗실 및 밑실의 절단 후에, 노루발 상승링크(31)가 도 3의 반 시계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면, 노루발 구동 링크(32)가 후방으로 이끌린다. 이 동작에 의해, 연동 아암(33)이 축 부재(34)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요동함으로써, 노루발 구동 아암(35)도 축 부재(3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노루발 구동 아암(35)의 회동에 따라 노루발 구동 레그(36)가 지지봉(37)에 의해 규제되면서 하강한다.
한편, 연동 아암(33)의 후방으로의 요동에 따라, 와이퍼 연결 링크(51)가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가로구멍(51c)속의 걸림결합 핀(52a)도 코일 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와이퍼 L형 링크(52)는 부착 나사(55)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와이퍼 연결판(56)이 상승하고, 이 상승으로 인해 와이퍼(58)의 일단부(58a)가 상승하며 와이퍼(58)는 부착 나사(59)를 중심으로 도 3의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실 버림부(58b)에 의해 윗실을 버린다.
또한, 와이퍼 L형 링크(52)는 스토퍼 핀(54)에 맞닿았을 때 회전을 정지하며, 와이퍼 연결 링크(51)가 그 이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 것은, 걸림결합 핀(52a)이 가로 구멍(51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와이퍼 L형 링크(52)의 동작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루발 구동 레그(36)와 노루발 구동기구(8)의 맞닿음핀(8a)과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함으로써, 노루발 구동 레그(36)가 하강하기 시작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지연되어 윗실을 버린 후에, 하강한 노루발 구동 레그(36)가 노루발 구동기구(8)의 맞닿음 핀(8a)을 밀어내려, 노루발(7)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노루발(7)을 내릴 때에는, 노루발 상승 링크(31)가 도 3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노루발 구동 레그(36)가 상승하면, 노루발(7)은 자체 중량에 의해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동 아암(33)이 원래대로 복귀함에 따라, 와이퍼 연결 링크(51)가 전방으로 복귀하여 실 버림 기구(50) 전체는 도 3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 절단 기구(10)에서는 실 절단 링크(11)가 기점이 되고, 노루발 상승 기구(30)에서는 노루발 상승 링크(31)가 기점이 되어 동작을 수행한다. 실 절단 링크(11) 및 노루발 상승 링크(31)는, 펄스모터(6)의 구동력이 캠 부재(60)를 통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달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수단인 펄스모터(6)는, 재봉기 바디부(3)의 후방 측벽(3a)에 설치된 프레임(3d)에 고정되어 있다(도 2 참조). 펄스모터(6)의 출력축(6a)은 프레임(3d)으로부터 돌출되며, 이 출력축(6a)에 후술되는 캠 부재(60)의 중앙부가 고정되어 있다. 캠 부재(60)는 펄스모터(6)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펄스모터(6)는 소정의 제어회로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각 동작은,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펄스모터(6)의 회전방향과 동작중인 펄스 수를 카운트하면서 캠 부재(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구동 캠 수단인 캠 부재(60)는, 도 3 및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의 정면에서 볼 때 외형이 일부 직선부분을 포함하는 대략 원형의 박스체인 실 절단 캠부(61)와, 그 정면 쪽에 일체로 설치된 노루발 상승 캠부(62)로 구성된다.
제 1 캠으로서의 실 절단 캠부(61)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면 쪽에 대략 하트형의 캠 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실 절단 링크(11)의 끼움결합 핀(11a)은, 상기 캠 홈(61a)에 끼움 결합되어 그 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즉, 상기 캠 홈(61a)을 형성하는 각 면이 본 발명의 소정의 슬라이딩부가 된다.
도 6의 (b)에 캠 홈(61a)의 형상을 도시하였다. P1∼P7은, 1서클 중 포인트가 되는 각도위치를 편의상 나타낸 것이다. 캠 홈(61a)은, P2에서 P3을 거쳐 P7까지 는 회전 중심(C1)에 대한 거리가 동일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P1을 중심으로 P2에서 P7까지는, P1을 향해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P2에서 P3을 거쳐 P7까지를 원호부(X1), P1을 중심으로 P2 에서 P7까지를 변곡부(X2)로 한다.
상기 끼움결합 핀(11a)은, 도 6의 (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캠 홈(61a)의 내부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령 펄스모터(6)가 소정방향(정방향으로 함)으로 회전함으로써, 끼움결합 핀(11a)이 원호부(X1)인 P2에서 P3을 거쳐 P7까지 이동할 때에는, 끼움결합 핀(11a)과 회전중심(C1)의 거리는 변하지 않고 실 절단 링크(11)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끼움결합 핀(11a)이 P7에서 P1로 이동할 때에는 서서히 회전중심(C1)에 접근해 간다. 이로써 실 절단 링크(11)는 도 1에서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메스 부재(15)가 고정날(14a)을 넘어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끼움결합 핀(11a)이 P1에서 P2로 이동할 때에는 서서히 회전중심(C1)에서 멀어지고 실 절단 링크(11)는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가동 메스 부재(15)는 윗실 및 밑실을 잡으면서 고정날(14a)과의 사이에서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한다. 펄스모터(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끼움결합 핀(11a)이 P2에서 P1을 거쳐 P7을 향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제 2 캠으로서의 노루발 상승 캠부(62)는, 실 절단 캠부(61)의 정면쪽에 일체로 고정되며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오뚝이형으로 형성되고, 그 캠면(62a)에 노루발 상승 링크(31)의 롤러(43)가 맞닿아 있다. 도 6의 (c)의 Q1 내지 Q7는, 1서클 중의 포인트가 되는 각도 위치를 편의상 나타낸 것이다. 캠면(62a)은 Q6에서 Q1을 거쳐 Q3까지는 회전중심(C1)에 대한 거리가 동일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Q3에서 Q4, 및 Q6에서 Q5까지는, 각각 Q4 및 Q5를 향해 회전중심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Q4에서 Q5까지는, 회전중심(C1)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Q6에서 Q1을 거쳐 Q3까지를 원호부(Y1), Q3에서 Q4, Q5를 포함하여 Q6까지를 타원부(Y2)라 부르도록 한다.
상기 롤러(43)는, 도 6의 (c)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부인 캠면(62a)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예컨대 펄스모터(6)가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Q6에서 Q1을 거쳐 Q3까지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롤러(43)와 회전중심(C1)의 거리는 변하지 않고 노루발 상승 링크(31)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롤러(43)가 Q3에서 Q4까지 이동할 때에는 서서히 회전중심(C1)으로부터 멀어져 간다. 이로써 노루발 상승 링크(31)는 도 3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노루발 구동 링크(3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노루발(7)이 상승하게 된다. 역방향으로 펄스모터(6)가 회전하여, 롤러(43)가 Q4에서 Q3까지 복귀하면 서서히 회전중심(C1)으로 접근하며, 노루발 상승 링크(31)는 도 3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노루발 구동 링크(32)가 전방으로 복귀하여 노루발(7)은 하강하게 된다. Q6-Q5 간에서도 마찬가지로서, Q5를 향할 때 롤러(43)를 통해 노루발 구동 링크(31)는 도 3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Q6을 향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노루발 상승 캠부(62)에 있어서 Q4-Q5간이 원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노루발(7)의 경우, 기본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는 적으며, 예컨대 하강시킨 후에 봉제하고 상승시키는 흐름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롤러(43)가 Q4 혹은 Q5에 도달함으로써 노루발(7)을 상승시켰을 때 펄스모터(6)가 정지하여도, 그에 대한 캠 부재(60)의 회전 정지에는 기계적인 오차가 발생하여, Q4 혹은 Q5를 근소하게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있다. Q4-Q5 간을 원호로 형성해 둠으로써, 정지가 지연되어 Q4 혹은 Q5를 다시 넘어 회전하여도 하강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 절단 캠부(61) 및 노루발 상승 캠부(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을 절단하고 이어서 노루발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고려하여 서로의 각도 관계와, 끼움결합 핀(11a)과 롤러(43) 각각의 맞닿음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P1-P7 사이, P1-P2 사이, Q1-Q7 사이, Q1-Q2 사이의 각도는 모두 동일하며(각도 m1로 한다), 끼움결합 핀(11a)이 P7에서 P2를 향할 때, 정확히 롤러(43)도 Q7에서 Q2를 향하게 되어 있다. 즉, 실 절단 동작 중에는 노루발 상승 기구(30)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 롤러(23)가 Q3에서 Q4를 향하는 노루발 상승 동작 중에, 끼움결합 핀(11a)이 P3-P4 사이를 이동하고 실 절단 기구(10)는 작동하지 않는다. 롤러(43)가 Q5-Q6 사이를 이동하여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작동시키고 있는 동안에도, 끼움결합 핀(11a)은 P5-P6 사이를 이동하는 중이고 실 절단 기구(10)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롤러(43)가 Q4-Q5 사이에 위치할 때, 끼움결합 핀(11a)은 P4-P5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끼움결합 핀(11a)이 P2-P3 사이에 있고 롤러(43)가 Q2-Q3 사이에 있을 때, 및 끼움결합 핀(11a)이 P6-P7 사이에 있고 롤러(43)가 Q6-Q7 사이에 있을 때에는, 실 절단 기구(10)와 노루발 상승 기구(30) 모두 동작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캠 부재(60)를 중심으로 하는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의 동작에 대해 도 7 및 도 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캠 부재(60)를 중심으로 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상태(Ⅰ)에서 실 절단 동작을 개시한다. 즉, 끼움결합 핀(11a)은 실 절단 캠부(61)의 캠 홈(61a)의 원호부(X1)에 위치하고, 롤러(43)는 노루발 상승 캠부(62)의 캠면(62a) 원호부(Y1)에 맞닿아 있다.
이 상태(Ⅰ)에서, 캠 부재(60)는 펄스모터(6)가 정방향(도 7 및 도 8에 나타낸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3 및 도 7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끼움결합 핀(11a)은 원호부(X1)를, 롤러(43)는 원호부(Y1)를 그대로 상대적으로 이동해 가는데, 머지않아 끼움결합 핀(11a)이 원호부(X1)와 변곡부(X2)의 경계 위치(도 6의 (b)의 P7)로 이동한 상태(Ⅱ)가 된다.
여기서 끼움결합 핀(11a)은 변곡부(X2) 내부를 이동하기 시작하여 실 절단 기구(10)가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끼움결합 핀(11a)이 변곡부(X2)의 중앙부(도 6의 (b)의 P1)에 도달한 상태(Ⅲ, 도 7의 (도 8의 (조)가 되면, 가동 메스 부재(15)는 상술한 도 5의 (b)의 가장 이동한 상태가 된다. 또, 상태(Ⅱ) 및 상태(Ⅲ) 모두, 롤러(43)는 원호부(Y1)를 이동하는 중이며 노루발 상승 기구(30)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어서, 끼움결합 핀(11a)은 변곡부(X2) 내부를 P1에서 P2로 진행하고 이 과정에서 가동 메스 부재(15)는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동작하며, 그 동작 도중에 윗실 및 밑실을 잡아 고정 날(14)과 합치하여 실을 절단한다. 그리고 끼움결합 핀(11a)은 변곡부(X2)의 종점위치(P2)에 도달하여 도 8의 (a)의 상태(Ⅳ)가 된다. 이 때, 실 절단 기구(10)의 동작은 종료된다. 더욱이, 상기 방향으로 캠 부재(60)는 회전하며, 끼움결합 핀(11a)은 도 6의 (b)의 P2-P3 사이, 롤러(43)는 도 5의 (c)의 Q2-Q3 사이를 이동하고 이 때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8의 (b)와 같이 롤러(43)가 캠면(62a)의 타원부(Y2, 도 6의 (c)의 위치(Q3))에 도달하고(상태(Ⅴ)), 여기부터 노루발 상승 링크(31)가 도 3 및 도 8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8의 (도 8의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43)가 Q4-Q5 사이에 도달하여 상태(Ⅵ)가 되어 노루발(7)의 상승 동작은 종료하고, 여기서 펄스모터(6)를 정지시킨다. 또, 상태(Ⅴ) 및 상태(Ⅵ) 모두, 끼움결합 핀(11a)은 원호부(X1)를 따라 이동하므로 실 절단 기구(10)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 캠 부재(60)는 펄스모터(6)의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실 절단 캠부(61) 및 노루발 상승 캠부(62) 모두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동작 패턴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에서는, 실 절단 기구(10)와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단일 펄스모터(6)로 구성하는 동시에, 펄스모터(6)의 회전 구동력을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에 대응된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캠 부재(60)를 구비하며, 펄스모터(6)와 실 절단 기구(10)가 재봉기 베드(2)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실 절단 연결기구(실 절단 링크(11) 및 실 절단 연결봉(13))에 의해 연결되고, 펄스모터(6)와 노루발 상승 기구(30)가 재봉기 아암(4)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노루발 상승링크(31) 및 노루발 구동링크(32))에 의해 연결되며, 펄스모터(6)의 회전 구동력이 실 절단 연결기구 및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를 통해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로전달되어 이들 양 기구가 구동되므로,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를 단일 펄스모터(6)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재봉기와 같이 복수의 구동수단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봉기의 저가격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구동수단을 조립하는 작업을 훨씬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에서는, 단일 구동모터인 펄스모터(6)가, 재봉기 바디부(3)의 재봉기 아암(4)의 연장방향과 반대되는 쪽의 측벽(3a)에 배치되고, 펄스모터(6)의 구동력을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로 전달하는 각각의 연결부재가 재봉기 베드(2) 내부 및 재봉기 아암(4) 내부로 삽입 통과되어 구동력이 양 기구에 전달되므로, 재봉기 베드(2) 내부 및 재봉기 아암(4) 내부에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여, 재봉기의 소형화 및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재봉기 헤드부(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고정박기 재봉기에서는, 캠 부재(60)가, 재봉기 베드(2)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실 절단 연결기구(실 절단 링크(11) 및 실 절단 연결봉(13))와, 재봉기 아암(4)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노루발 상승 링크(31) 및 노루발 구동링크(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펄스모터(6)의 회전 구동력을 이들 캠 부재(60), 실 절단 연결기구 및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를 통해 실 절단 기구(10) 및 노루발 상승 기구(30)로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실 절단 기구와 노루발 상승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단일 구동모터에 의해 구성하는 동시에,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에 대응된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구동 캠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모터와 실 절단 기구가 재봉기 베드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실 절단 연결기구에 의해 연결되며, 구동 모터와 노루발 상승 기구가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실 절단 연결기구 및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를 통해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로 전달되어 이들 양 기구가 구동되므로,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를 단일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재봉기와 같이 복수의 구동수단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봉기의 저가격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구동수단을 조립하는 작업을 훨씬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일 구동모터가, 재봉기 바디부의 재봉기 아암의 연장방향과 반대가 되는 쪽의 측벽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로 전달하는 각각의 연결부재가 재봉기 베드 내부 및 재봉기 아암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구동력이 양 기구로 전달되므로, 재봉기 베드 내부 및 재봉기 아암 내부에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여, 재봉기의 소형화 및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재봉기 헤드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 캠 수단은, 재봉기 베드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실 절단 연결기구와,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는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구동 캠 수단, 실 절단 연결기구 및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를 통해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실 절단 기구 및 노루발 상승 기구로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Claims (2)

  1. 거의 수평한 재봉기 베드, 상기 재봉기 베드 위에 세워 설치된 통형상 측벽으로 이루어진 재봉기 바디부, 및 상기 재봉기 바디부의 상단에 접하며 상기 재봉기 베드와 대향되도록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아암으로 이루어진 재봉기 헤드부와,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기구와,
    노루발을 상승시키는 노루발 상승 기구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 아암의 연장방향과 반대쪽인 상기 재봉기 바디부 측벽에 배치되어 이들 양 기구를 구동하는 단일의 구동 모터와,
    상기 재봉기 아암의 연장방향과 반대쪽인 상기 재봉기 바디부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실 절단 기구에 대응된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캠과,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노루발 상승 기구에 대응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제 2 캠을 갖는 구동 캠 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제 1 캠에 연결되고, 재봉기 베드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타단부가 상기 실 절단 기구에 연결된 실 절단 연결기구와,
    일단부가 상기 제 2 캠에 연결되고,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타단부가 상기 노루발 상승 기구에 연결된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상기 구동 모터 및 구동 캠 수단은 재봉기 바디부의 외측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실 절단 연결기구는, 제 1 캠에 연결되어 제 1 캠의 회전에 따라 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실 절단 링크와, 상기 실 절단 링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재봉기 베드 선단쪽에서 타단이 상기 실 절단 기구에 연결된 실 절단 연결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노루발 상승 연결기구는, 제 2 캠에 연결되어 제 2 캠의 회전에 따라 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노루발 상승 링크와, 상기 노루발 상승 링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재봉기 아암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재봉기 아암 선단쪽에서 타단이 상기 노루발 상승 기구에 연결된 노루발 구동링크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30030227A 2002-05-13 2003-05-13 재봉기 KR101020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7177 2002-05-13
JP2002137177A JP3939588B2 (ja) 2002-05-13 2002-05-13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366A true KR20030088366A (ko) 2003-11-19
KR101020884B1 KR101020884B1 (ko) 2011-03-09

Family

ID=2954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227A KR101020884B1 (ko) 2002-05-13 2003-05-13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39588B2 (ko)
KR (1) KR101020884B1 (ko)
CN (1) CN1003968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2179B2 (ja) * 2004-03-29 2010-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2005278856A (ja) * 2004-03-29 2005-10-13 Brother Ind Ltd ミシン
JP5216407B2 (ja) * 2008-04-30 2013-06-19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送り出し腕型ミシン
JP2011092523A (ja) * 2009-10-30 2011-05-12 Juki Corp ミシン
CN103320974B (zh) * 2012-03-20 2015-03-18 贺欣机械厂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压脚与切线驱动装置
CN104358042B (zh) * 2014-12-12 2016-08-24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花样缝纫机的剪线机构
CN104562457B (zh) * 2014-12-19 2017-07-14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后置式压脚抬压装置
CN109440312B (zh) * 2019-01-10 2020-09-29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上剪线和抬压脚装置的控制方法
CN112391745B (zh) * 2019-08-17 2022-09-09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抬压脚和剪线驱动结构及其控制方法
CN110424106B (zh) * 2019-09-06 2021-05-28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抬压脚及倒缝驱动结构
CN110846818A (zh) * 2019-10-14 2020-02-28 安徽艾丽格斯服饰有限公司 一种服饰缝合辅助机构
CN112430912A (zh) * 2020-11-13 2021-03-02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钉扣机及其抬压剪线机构
CN112430920A (zh) * 2020-11-20 2021-03-02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钉扣机及其抬压剪线机构
CN112962230A (zh) * 2021-01-29 2021-06-15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抬压剪线机构、控制方法、缝纫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950B2 (ja) * 1978-05-17 1985-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布押え足昇降用操作装置を備えたミシンにおける縫糸切断装置
CN2151163Y (zh) * 1993-04-10 1993-12-29 李培梁 小型电动缝纫机
JP3798051B2 (ja) * 1995-09-14 2006-07-1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自動糸切り装置
JPH11156073A (ja) * 1997-11-26 1999-06-15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0317178A (ja) * 1999-05-07 2000-11-21 Juki Corp 糸切り駆動装置
JP3906085B2 (ja) 2002-01-28 2007-04-18 Juki株式会社 ミシン及び自動縫い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39588B2 (ja) 2007-07-04
CN1458326A (zh) 2003-11-26
JP2003326037A (ja) 2003-11-18
KR101020884B1 (ko) 2011-03-09
CN100396839C (zh)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884B1 (ko) 재봉기
KR101364556B1 (ko)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전환 구조
JP4095337B2 (ja) ミシン
JP4335248B2 (ja) ミシン
JP3906085B2 (ja) ミシン及び自動縫いミシン
EP2034074B1 (en) Thread cutt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H03149082A (ja) 縫製ミシン用の駆動装置
KR101184462B1 (ko) 재봉틀
US6145457A (en) Sewing machine having needle bar oscillating mechanism, needle bar interrupting mechanism and thread tension releasing mechanism
JP4418812B2 (ja) ミシン
US4352333A (en) Sewing machine having thread cutting device
US4893573A (en) Overlock sewing machine
JP2001321589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2003326038A (ja) ミシン
JP3798051B2 (ja) ミシンの自動糸切り装置
CN215561065U (zh) 一种无摆动座的缝纫机
US5051678A (en) Drive device for a reciprocating part
CN215887456U (zh) 一种缝纫机
US4185573A (en) Sewing machine
CN115369571A (zh) 一种无摆动座的缝纫机
JPH0752698Y2 (ja) ボタン孔かがり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JPS5920227Y2 (ja) 安全縫ミシンの針受け装置
KR19990088526A (ko) 재봉기용실절단장치
CN113463284A (zh) 一种缝纫机的送布牙驱动机构及送布牙定位方法
JP2800591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