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994A - W/o/w형 유화 화장료 - Google Patents

W/o/w형 유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994A
KR20030082994A KR10-2003-7012063A KR20037012063A KR20030082994A KR 20030082994 A KR20030082994 A KR 20030082994A KR 20037012063 A KR20037012063 A KR 20037012063A KR 20030082994 A KR20030082994 A KR 20030082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type emulsion
oil
emuls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무라타다시
다카스에미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3008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9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O형 에멀젼을 외수상 중에 분산시켜 얻어지는 W/O/W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상기 W/O형 에멀젼은 HLB 7 이하의 유화제와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외수상이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W/O/W형 유화 화장료{COSMETIC W/O/W EMULSION PREPARATION}
종래, 유화 화장료로서 O/W형, W/O형 유화 화장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멀티 타입 에멀젼인 W/O/W형 유화 화장료는 O/W형, W/O형의 유화 화장료의 각각에는 없는 사용감 부여가 가능하고, 예컨대, 피부에의 도포시에 전상(轉相; phase inversion)과 같은 청량한 사용 감촉(refreshingness)을 제공하도록 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에 도포할 때에 전상감과 같은 청량한 사용 감촉을 갖는 것은 W/O/W형 제제의 계(系)가 불안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과 사용 감촉이 양호한 W/O/W형 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안정적인 W/O/W형 복합 에멀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2-95433호 공보에는 SPG 막을 이용하여, 내상(內相) W/O형 미세 에멀젼 및 W/O/W형 복합 에멀젼을 조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9-127646호공보 및 동 소60-193529호 공보에는 특정한 벤토나이트나 금속 비누를 이용하여 W/O 에멀젼을 조제한 후,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 모노염이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O/W형 복합 에멀젼을 조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11-33391호 공보에는 W/O형 에멀젼을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이용하여 외수상(外水相)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W/O/W형 복합 에멀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W/O/W형 제제 중 어느 것도, 모두 사용성과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함께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에 이르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W/O/W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는, 피부에의 도포 감촉, 친화력, 촉촉함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양호한 W/O/W형의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여, 피부에의 도포시에 전상감과 같은 청량한 사용 감촉, 매끄러움, 촉촉한 느낌을 지니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양호한 W/O/W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내수상(內水相)에 전해질을 배합하여, 특정한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화, 조제한 W/O형 에멀젼을,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하는 외수상 중에 분산시켜 W/O/W형 복합 에멀젼을 조제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외수상 중에 분산된 W/O형 에멀젼을 포함하는 W/O/W형 유화 화장료로서, 상기 W/O형 에멀젼은 HLB 7 이하인 유화제와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외수상은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W/O/W형 유화 화장료를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HLB 7 이하의 유화제가, 다가 알콜의 폴리히드록시시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W/O/W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질이, 아미노산, L-아스코르빈산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W/O/W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술한다.
W/O/W형 유화 화장료는 외수상 중에 W/O형 에멀젼을 분산시킨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내상을 이루는 W/O형 에멀젼에 있어서, 최내상인 수상 중에 전해질을 포함한다. 전해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미노산, L-아스코르빈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와 같은 유도체로서는 염,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일반적인 식품 첨가물, 국방(局方)(일본약국방) 의약품으로서 알려져 있는 아미노산 또는 그 염 중에서 적합하게 선택된다. 예컨대, L-알라닌, β-알라닌, L-아르기닌염산염, L-아스파라긴산1수화물, L-아스파라긴산, L-키톨루린, L-글루타민산, L-글루타민산염산염, L-글루타민, 글리신, 트리메틸글리신, L-히스티딘, L-히스티딘염산염1수화물, L-하이드록시프롤린, L-이소루신, L-루신, L-리신, L-리신염산염, L-오르니틴염산염, L-프롤린, L-페닐알라닌,L-세린, L-트레오닌 , L-트립토판, L-티로신, L-발린, L-도파 및 L-α아미노부티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신, L-세린, L-알라닌, L-프롤린, 트리메틸글리신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상기 아미노산의 금속염으로서는 1가 금속염, 즉 나트륨, 칼륨, 리튬의 염, 2가 금속염인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L-아스파라긴산나트륨1수화물, L-아스파라긴산칼륨2수화물, L-글루타민산나트륨1수화물, L-글루타민산칼륨1수화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L-아스코르빈산은 일반적으로 비타민 C라 불리며, 그 유도체로서는, L-아스코르빈산모노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빈산모노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빈산모노올레이트 등의 L-아스코르빈산모노알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모노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2-황산에스테르 등의 L-아스코르빈산모노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디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빈산디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빈산디올레이트 등의 L-아스코르빈산디알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트리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빈산트리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빈산트리올레이트 등의 L-아스코르빈산트리알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트리인산에스테르 등의 L-아스코르빈산트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2-글루코시드 등의 L-아스코르빈산글루코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2-황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2-글루코시드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전해질은 상기 아미노산, L-아스코르빈산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전해질의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전량 중에 0.0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3 중량%이다. 이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사용감의 향상이 나타나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유상에 포함되는 유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蠟),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등이 이용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컨대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살구씨유, 밀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잇꽃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시나기리유(Chinese wood oil), 일본참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컨대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馬脂),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蠟)로서는, 예컨대 밀랍, 칸델리아 왁스, 면 왁스,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고래 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초산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린산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세락 왁스, POE 라놀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컨대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베헨(베헤닌)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운데실산, 토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컨대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예컨대 미리스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틸산옥틸도데실, 팔미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틸산미리스틸, 올레인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젖산세틸, 젖산미리스틸, 초산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론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탄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 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콜, 아세트글리세라이드,팔미틴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틴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틸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틴산디이소프로필, 호박산2-에틸헥실,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쇄형 폴리실록산이나,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폴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유분은 1종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내수상과 유상을 HLB 7 이하의 유화제로 유화하여 W/O형 에멀젼을 형성한다. HLB가 7을 넘는 것이라면 친수성이 높고, 안정적인 W/O형 에멀젼을 만들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HLB는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천상식(川上式)에 의해 산출된다.
HLB=7+11.7ㆍlog(MW/MO)
다만, 식에서, MW는 친수기부의 분자량을 나타내고, MO는 친유성기부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HLB 7 이하의 유화제로서는, 예컨대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5) 경화 피마자유, POE(7.5) 경화 피마자유, POE(10) 경화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디메티콘코폴리올,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디메티콘코폴리올 크로스폴리머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화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다가 알콜의 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에스테르, 폴리히드록시스테아릴폴리글리세린이나, 폴리옥시에틸렌화쇄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화쇄를 포함하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가 알콜의 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에스테르인 폴리히드록시스테아릴알킬렌화글리콜(예컨대,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인 「아라셀 P135」; ICI사 제조), 폴리히드록시스테아릴폴리글리세린(「DEHYMULUS PGPH」; 헨켈사 제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인 디메티콘코폴리올(「실리콘 SC 9450」; 신에츠 가가쿠고교(주) 제조), 폴리옥시에틸렌화쇄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화쇄를 포함하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KSG21」; 신에츠 가가쿠고교(주) 제조)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HLB 7 이하의 유화제의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전량 중에 0.01∼10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0.1∼7 중량%이다. 이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사용감의 향상은 보이지 않으며, 한편,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W/O/W형 유화물의 형성이 불안정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W/O/W형 유화 화장료는 외수상 중에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유화제 및 증점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분자량 50만∼300만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예컨대 「CARBOPOL 1342」, 「PEMULEN TR-1」, 「PEMULEN TR-2」(이상, 모두 B.F. Goodrich사 제조)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전량 중에 0.01∼2 중량%이 바람직하다. 이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안정성이 나빠지고, 한편,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불쾌감(grating feeling), 찡그림(twisting)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W/O/W형 유화 화장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수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임의 첨가 성분을 배합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첨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말티톨 등의 보습제;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퀸스 시드, 카라기난, 펙틴, 만난, 커들란, 콘드로이친황산, 전분, 갈락탄, 델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히알론산, 히알론산나트륨, 트라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친, 크산탄검, 무코이친황산, 히드록시에틸구아검, 카르복시메틸구아검,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카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산,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키틴, 한천 등의 증점제;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피틴 등의 산화방지제; 안식향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파라옥시안식향산알킬에스테르, 헥산클로로펜 등의 항균제;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이하 「PABA」라고 약기),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메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2-에틸헥실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3-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릴-1-메틸프로필〕-3,4,5-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3-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릴-3-메틸프로필〕-3,4,5-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3-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릴프로필〕-3,4,5-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3-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릴부틸〕-3,4,5-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부틸〕-3,4,5-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부틸〕-3,4,5-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1-메틸프로필〕-3,4-디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실리콘계 계피산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캄파, 3-벤질리덴-d,l-캄파, 우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딘,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등의 자외선 흡수제; 아실살코신산(예컨대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글루타티온,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젖산 등의 유기산;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6염산염, 비타민 B6트리팔미테이트, 비타민 B6디옥타노에이트, 비타민 B2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2, 비타민 B15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D류, 비타민 H, 판토텐산, 판테틴,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벤질 등의 비타민류; γ-오리자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염), 글리시레틴산 및그 유도체,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트라넥삼산산 유도체로서는 트라넥삼산 이량체(예컨대, 염산트랜스-4-(트랜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등), 트라넥삼산과 히드로퀴논의 에스테르체(예컨대, 트랜스-4-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4'-히드록시페닐에스테르, 등), 트라넥삼산과 겐티신산의 에스테르체(예컨대, 2-(트랜스-4-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 및 그의 염 등), 트라넥삼산의 아미드체(예컨대, 트랜스-4-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메틸아미드 및 그 염, 트랜스-4-(P-메톡시빈조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트랜스-4-구아니디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및 그 염 등〕, 히노키티올, 비사보롤, 유칼립톤, 티몰, 이노시톨, 사이코사포닌, 인삼 사포닌, 수세미 사포닌, 무환자나무 사포닌 등의 사포닌류,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트라넥삼산, 알부틴, 세파란틴, 태반 추출물 등의 각종 약제; 참소루쟁이, 고삼, 개연꽃, 오렌지, 세이지, 톱풀, 맬로우, 시베리아뱀잠자리, 타임, 당귀, 등피, 자작나무, 쇠뜨기, 수세미, 마로니에, 범의귀, 아르니카, 백합, 쑥, 작약, 알로에, 치자나무, 화백나무 등의 식물 추출물; 색소; 다공질 및/또는 흡수성 분말(예컨대, 옥수수나 감자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스타치류, 무수규산, 탈크, 카올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알긴산칼슘 등의 분말); 모노라우린산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트리올인산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폴리옥사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세틸렌소르비탈,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글리콜디에테르, 라우로일디에탄올아마이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마이드, 말티톨히드록시지방산에테르,알킬화다당, 알킬글루코시드, 슈가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염화벤잘코늄라우릴아민옥사이드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팔미틴산나트륨, 라우린산나트륨, 라우릴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알킬황산트리에탄올아민에테르, 로트유, 리니아 도데실벤젠황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아실메틸타우린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중화제; 방부제; 향료;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W/O/W형 유화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퍼서(disperser) 등의 유화기를 이용하여 교반 혼합하여 제조되는 W/O형 에멀젼을 조제하여, 이것과,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하는 외수상을 혼합·유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배합량은 중량%이다.
우선 실시예에 앞서서,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채용한 시험 방법, 평가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사용감 관능 시험 평가
남녀 각 30명(합계 60명)의 패널에게,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은 각 시료를 실제로 사용하게 하여, 전상감, 청량감, 매끄러움, 촉촉함에 관하여, 각각 하기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전상감의 평가 기준
++ : 피부에의 도포시 전상을 느낀 패널이 30명 이상
+ : 피부에의 도포시 전상을 느낀 패널이 10∼29명
± : 피부에의 도포시 전상을 느낀 패널이 5∼9명
- : 피부에의 도포시 전상을 느낀 패널이 4명 이하
청량감의 평가 기준
++ : 피부가 청량감을 느낀 패널이 30명 이상
+ : 피부가 청량감을 느낀 패널이 10∼29명
± : 피부가 청량감을 느낀 패널이 5∼9명
- : 피부가 청량감을 느낀 패널이 4명 이하
피부의 매끄러움 평가 기준
++ : 피부의 매끄러움을 느낀 패널이 30명 이상
+ : 피부의 매끄러움을 느낀 패널이 10∼29명
± : 피부의 매끄러움을 느낀 패널이 5∼9명
- : 피부의 매끄러움을 느낀 패널이 4명 이하
피부의 촉촉함 평가 기준
++ : 피부의 촉촉한 감을 느낀 패널이 30명 이상
+ : 피부의 촉촉한 감을 느낀 패널이 10∼29명
± : 피부의 촉촉한 감을 느낀 패널이 5∼9명
- : 피부의 촉촉한 감을 느낀 패널이 4명 이하
안정성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은 각 시료를, 각각 50 ml의 샘플관(유리병)에 충전하여, 실온, 50℃에서, 2주간 방치한 후, 육안 및 현미경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전혀 분리되고 있지 않고, 유화 입자를 안정화함
+ : 분리되고 있지 않지만, 유화 입자가 일부 붕괴됨
± : 분리되고 있지 않지만, 유화 입자가 붕괴됨
- : 분리되고 있고, 유화 입자도 붕괴됨
실시예 1∼7
하기 표 I 및 II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시료를 조제하였다.
제법
성분 (12)(일부)에 성분 (7), (8)을 용해한 뒤, (9), (10)을 가하여, 완전 용해하여, 외수상 파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유상 (4), (5)에 (1)을 첨가하여, 60℃에서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여기에, (12)(나머지의 일부)에 (6)을 가하여 수용액으로 한 것을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켜, W/O 에멀젼 파트를 얻었다. 이 W/O 에멀젼 파트를, 최초로 조제한 외수상 파트에 더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여기에 또한 (12)(잔부)에 (11)을 용해한 것으로 중화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평가
이들 시료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서 사용감, 안정성에 관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유화 타입에 관해서도 육안 및 현미경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I 및 II에 나타낸다.
표 I 및 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7은 모두 사용감이 우수한 동시에, 안정성이 우수한 W/O/W 타입의 유화물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9
하기 표 III 및 IV에 나타낸 조성으로 시료를 조제하였다.
제법
비교예 1
성분 (12)(일부)에 (7), (8)을 용해한 뒤, (9), (10)을 가하여, 완전 용해하여, 수상 파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유상 (4), (5)에, (12)(나머지의 일부)를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이것을, 맨 처음에 조제한 외수상 파트에 가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여기에 또한 (12)(잔부)에 (11)을 용해한 것으로 중화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비교예 2∼8
성분 (12)(일부)에 (7), (8)〔비교예 4에서는 (8)만〕을 용해한 뒤, (9), (10)을 가하여, 완전 용해하여, 수상 파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유상 (4), (5)에 (1)∼(3) 중 어느 것을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여기에, (12)(나머지의 일부)에 (6)을 가하여 〔비교예 2, 3, 5, 7에서는 (6)을 가하지 않고〕 수용액으로 한 것을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이것을, 맨 처음에 조제한 수상 파트에 가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여기에 또한 (12)(잔부)에 (11)을 용해한 것으로 중화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비교예 9
성분 (12)(일부)에 (8)을 용해한 뒤, (2), (9), (10)을 가하여, 완전 용해하여, 수상 파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유상 (4), (5)에 (1)을 첨가하여, 60℃에서균일 용해하였다. 여기에, (12)(나머지의 일부)에 (6)을 가하여 수용액으로 한 것을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이것을, 맨 처음에 조제한 수상 파트에 가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여기에 또한 (12)(잔부)에 (11)을 용해한 것으로 중화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평가
이들 시료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서 사용감, 안정성에 관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유화 타입에 관해서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III 및 IV에 나타낸다.
표 III 및 IV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3, 비교예 5∼8의 것은 W/O/W 타입의 유화물을 얻을 수 없었다. 또, 비교예 4 및 9는 W/O/W 타입의 유화물을 얻을 수 있었지만, 안정성이 매우 부족하여, W/O/W 유화 타입을 유지할 수 없었다. 또한, 모두 사용감이 만족스럽지 못했다.
실시예 8: 보습 크림
배합 성분 중량%
(1) 글리세린5.0
(2)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3.0
(상품명「아라셀 P135」; HLB 약 5.5)
(3) 디메틸폴리실록산5.0
(4) 스쿠알란10.0
(5)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5.0
(6)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1
(상품명 「PEMULEN TR-1」)
(7)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5
(8) 파라벤적량
(9) L-글루타민산나트륨1.0
(10) 세린0.5
(11) 아르기닌염산염0.5
(12) 수산화칼륨적량
(13) 이온 교환수나머지
제법
성분 (13)(일부)에 (6), (7)을 용해한 뒤, (1), (8)을 가하여, 완전 용해하여, 외수상 파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유상 (3)∼(5)에 (2)를 첨가하여, 60℃에서 균일 용해한 것에, (13)(나머지의 일부)에 (9)∼(11)을 가하여 수용액으로 한 것을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켜, W/O 에멀젼 파트를 얻었다. 이 W/O 에멀젼 파트를, 맨 처음에 조제한 외수상 파트에 더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또한 (13)(잔부)에 (12)를 용해한 것으로 중화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실시예 9: 유액
배합 성분 중량%
(1) 글리세린5.0
(2)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0.1
(상품명 「아라셀 P135」; HLB 약 5.5)
(3) 환상 실리콘3.0
(4)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2.0
(5)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1.0
(6)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1
(상품명「PEMULEN TR-1」)
(7) 켈트롤0.1
(8) 파라벤적량
(9) L-글루타민산나트륨0.5
(10) 피로카르복실산나트륨적량
(11) 알부틴적량
(12) 트리에탄올아민적량
(13) EDTA 적량
(14) 이온 교환수나머지
제법
성분 (14)(일부)에 (6), (7)을 용해한 뒤, (1), (8), (13)을 가하여, 완전 용해하여, 외수상 파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유상 (3)∼(5)에 (2)를 첨가하여, 60℃에서 균일 용해한 것에, (14)(다른 일부)에 (9)∼(11)을 가하여 수용액으로 한 것을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켜, W/O 에멀젼 파트를 얻었다. 이 W/O 에멀젼 파트를,맨 처음에 조제한 외수상 파트에 더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또한 (14)(잔부)에 (12)를 용해한 것으로 중화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실시예 10: 선스크린
배합 성분 중량%
(1) 글리세린5.0
(2)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1.0
(상품명 「아라셀 P135」; HLB 약 5.5)
(3) 디메티콘코폴리올1.0
(4) 환상 실리콘10.0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8.0
(6)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3.0
(7)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2
(상품명 「PEMULEN TR-1」)
(8) 카르복시비닐 폴리머0.3
(9) 파라벤적량
(10) L-글루타민산나트륨1.0
(11) 트리메틸글리신0.5
(12) 아스코르빈산인산마그네슘적량
(13) 수산화칼륨적량
(14) EDTA 적량
(15) 이온 교환수나머지
제법
성분 (15)(일부)에 (7), (8)을 용해한 뒤, (1), (9), (14)를 가하여, 완전 용해하여, 외수상 파트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유상 (4)∼(6)에 (2), (3)을 첨가하여, 60℃에서 균일 용해한 것에, (15)(나머지의 일부)에 (10)∼(12)를 가하여 수용액으로 한 것을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켜, W/O 에멀젼 파트를 얻었다. 이 W/O 에멀젼 파트를, 맨 처음에 조제한 외수상 파트에 더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또한 (15)(잔부)에 (13)을 용해한 것으로 중화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상기 실시예 8∼10은 모두 사용감,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의 도포시에 전상감과 같은 청량한 사용 감촉, 매끄러움, 촉촉한 감을 지니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양호한 W/O/W형의 유화 화장료가 제공된다.

Claims (6)

  1. 외수상 중에 분산된 W/O형 에멀젼을 포함하는 W/O/W형 유화 화장료로서, 상기 W/O형 에멀젼은 HLB 7 이하의 유화제와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외수상은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W/O/W형 유화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HLB 7 이하의 유화제는 다가 알콜의 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에스테르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인 W/O/W형 유화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해질은 아미노산, L-아스코르빈산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인 W/O/W형 유화 화장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질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해 0.01∼5 중량%인 것인 W/O/W형 유화 화장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해 0.01∼10 중량%인 것인 W/O/W형 유화 화장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해 0.01∼2 중량%인 것인 W/O/W형 유화 화장료.
KR10-2003-7012063A 2001-03-16 2002-03-11 W/o/w형 유화 화장료 KR200300829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6884 2001-03-16
JP2001076884A JP4601031B2 (ja) 2001-03-16 2001-03-16 W/o/w型乳化化粧料
PCT/JP2002/002259 WO2002074260A1 (fr) 2001-03-16 2002-03-11 Preparation cosmetique en emulsion eau-huile-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994A true KR20030082994A (ko) 2003-10-23

Family

ID=1893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063A KR20030082994A (ko) 2001-03-16 2002-03-11 W/o/w형 유화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37019A1 (ko)
EP (1) EP1369101A4 (ko)
JP (1) JP4601031B2 (ko)
KR (1) KR20030082994A (ko)
WO (1) WO2002074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017B2 (ja) * 2001-12-11 2006-04-12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粉末含有エマルション
FR2860717B1 (fr) * 2003-10-13 2006-02-03 Ethypharm Sa Compositions de particules lipidiques solides monodisperses
US7670388B2 (en) * 2005-10-14 2010-03-02 Kao Corporation Fiber-treating composition
WO2007116999A1 (ja) 2006-04-12 2007-10-18 Kao Corporation W/o/w型乳化組成物
JP5026729B2 (ja) * 2006-04-12 2012-09-19 花王株式会社 W/o/w型乳化組成物
JP5026764B2 (ja) * 2006-10-18 2012-09-19 花王株式会社 W/o/w型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WO2008050173A1 (en) * 2006-10-26 2008-05-02 Chanel Parfums Beaute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tranexamic acid ester
JP5046756B2 (ja) 2007-06-27 2012-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分散組成物及びスキンケア用化粧料並びに分散組成物の製造方法
JP5706223B2 (ja) * 2011-04-21 2015-04-22 株式会社ファンケル W/o/w型乳化組成物
WO2013129482A1 (ja) 2012-02-28 2013-09-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経時安定性を有するw/o/w型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50465B2 (ja) * 2014-04-21 2017-12-2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19044680A1 (ja) * 2017-08-30 2019-03-07 住友精化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含有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56307B1 (ko) 2018-01-26 2019-12-16 한국과학기술원 상전이법에 의해 제조된 이중 에멀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93490A1 (en) * 2018-11-08 2021-12-23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in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JP7398917B2 (ja) * 2019-10-04 2023-12-15 株式会社 資生堂 W/o/w型乳化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0326A (ja) * 1982-10-29 1984-05-09 Kobayashi Kooc:Kk W/o/w型エマルジヨンの製造方法
JPS60193529A (ja) * 1984-03-15 1985-10-02 Kobayashi Kooc:Kk W/o/w型エマルジヨンの製造方法
JPH0676315B2 (ja) * 1985-10-18 1994-09-28 明治乳業株式会社 注射用w/o/w型複合エマルジヨン及びその製造法
FR2693466B1 (fr) * 1992-07-09 1994-09-16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sous forme d'émulsion triple eau/huile de silicone/eau gélifiée.
FR2693733B1 (fr) * 1992-07-17 1994-09-16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sous forme d'émulsion triple eau/huile/eau gélifiée.
FR2702391B1 (fr) * 1993-03-11 1995-04-28 Roussel Uclaf Nouvelles émulsions multiples, leur préparation, leur application à la préparation de compositions cosmétiques et ces compositions cosmétiques.
DE4343833A1 (de) * 1993-12-22 1995-06-29 Beiersdorf Ag W/O/W-Emulsionen
DE4420516C2 (de) * 1994-06-13 1998-10-22 Henkel Kgaa Polyglycerinpolyhydroxystearate
JP3752711B2 (ja) * 1995-11-02 2006-03-08 日本油脂株式会社 水中油中水型エマルシヨンの調製方法
FR2742354B1 (fr) * 1995-12-15 1998-01-23 Oreal Emulsion e/h/e stable contenant un actif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sensible a l'eau
DE19719297A1 (de) * 1997-05-07 1998-11-12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multipler W/O/W-Emulsionen
GB9711786D0 (en) * 1997-06-07 1997-08-06 Ici Plc Surfactant compositions
JP3789027B2 (ja) * 1997-07-17 2006-06-21 株式会社資生堂 W/o/w型複合エマルジョン
FR2768337B1 (fr) * 1997-09-16 1999-10-15 Oreal Emulsions triples du type e/h/e contenant un systeme photoprotecteur capable de filtrer les rayons uv; leurs utilisations en cosmetique
FR2769224B1 (fr) * 1997-10-03 2000-01-28 Oreal Emulsion e/h/e stable et son utilisation comme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US5935589A (en) * 1997-10-17 1999-08-10 Chesebrough-Pond's Usa Co. Stable cosmetic compositions with different pH emulsions
DE19802205A1 (de) * 1998-01-22 1999-07-29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rhöhte Elektrolytkonzentrationen
EP1002569A3 (de) * 1998-11-19 2000-09-06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Zubereitungen vom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enthaltend kationische Polymere
BR9915963B1 (pt) * 1998-12-05 2012-07-24 emulsço àleo em Água cosmÉtica ou para o cuidado pessoal na forma de leite ou creme, emulsço de mistura seca, mistura seca, e, uso de uma combinaÇço de polissacarÍdeo, de um polissacarÍdeo de xantano e de um polissacarÍdeo de poliglucomanano.
JP3874325B2 (ja) * 1999-01-11 2007-01-31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US5948855A (en) * 1999-01-12 1999-09-07 Dow Corning Corporation Water-in-oil-in water emulsion
JP3530079B2 (ja) * 1999-07-15 2004-05-24 三菱化学フーズ株式会社 W/o/w型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68322B1 (en) * 1999-10-22 2001-07-3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Dual chamber cleansing system, comprising multiple emulsion
US6290943B1 (en) * 1999-10-22 2001-09-1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table multiple emulsion composition
US6777450B1 (en) * 2000-05-26 2004-08-17 Color Access, Inc. Water-thin emulsions with low emulsifier levels
EP1372573B1 (en) * 2001-03-21 2009-10-07 Madash LLC Thermally reversible water in oil in water emul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7019A1 (en) 2004-07-15
JP4601031B2 (ja) 2010-12-22
JP2002275029A (ja) 2002-09-25
EP1369101A1 (en) 2003-12-10
WO2002074260A1 (fr) 2002-09-26
EP1369101A4 (en)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9264A1 (en) Ripple-phase-containing composition, a-gel formation composition, external skin care composition using 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gel composition using a-gel formation composition
KR20030082994A (ko) W/o/w형 유화 화장료
JP5305574B2 (ja) 皮膚外用剤
JP2011195510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組成物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404631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乳化化粧料
JP2019156849A (ja) W/o/w型乳化組成物
JP200629076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H04182413A (ja) 皮膚外用剤
JPH09301846A (ja) 水性増粘ゲル状組成物および液状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1195511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組成物
JP6608622B2 (ja) 乳化組成物
JP6679224B2 (ja) W/o/w型乳化組成物
JP6622086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4073389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6418626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398917B2 (ja) W/o/w型乳化組成物
JP3811919B2 (ja) 多層型化粧料
JP3914464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6630067B2 (ja) W/o/w型乳化組成物
CN115135296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JP2000178124A (ja) ボディー化粧料
JP6487207B2 (ja) W/o/w型乳化組成物
JP4275872B2 (ja) 用時混合型皮膚外用組成物
JP3811918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