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047A -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 - Google Patents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047A
KR20030077047A KR10-2003-7011552A KR20037011552A KR20030077047A KR 20030077047 A KR20030077047 A KR 20030077047A KR 20037011552 A KR20037011552 A KR 20037011552A KR 20030077047 A KR20030077047 A KR 20030077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uter frame
diffuser
vertic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688B1 (ko
Inventor
나나 마트르 라메쉬
Original Assignee
나나 마트르 라메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나 마트르 라메쉬 filed Critical 나나 마트르 라메쉬
Publication of KR2003007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센터코어(30), 적어도 하나의 중간 코어(29)와 외부프레임(28)으로 구성된 중앙 냉난방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디퓨져(27)를 제공한다. 센터코어(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외부와 하부로 향하여 중심점에서 시작되어 하단 외부의 거의 수평인 플랜지에서 끝나는 경사면(35),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마주보는 경사면의 뒷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스트립(36), 각 수직 스트립에 장치된 최소 한 쌍의 이격된 구멍(25)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코어(29)는 상단의 수직 이음고리(31), 하단의 거의 수평인 플랜지(17)에서 끝나는 외부와 하부로 향한 경사면(16), 상기 이음고리의 두 마주보는 수직면(34)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구멍(25)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28)은 상단의 수직 이음고리(7), 외부와 하부로 향한 거의 수평인 플랜지(10)에서 끝나는 경사면(9), 상기 이음고리(7)의 마주보는 두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구멍, 상기 중간코어와 상기 외부프레임에 상기 센터코어를 붙이기 위해서 상기 구멍을 통과하는 적어도 한 쌍의 막대(19)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A new diffuser in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중앙냉난방 시스템에서, 하나의 소스에서 원하는 온도로 조절된 공기는 덕트의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장소로 급기되고, 이러한 덕트의 배출구에는 디퓨저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용이하게 스스로 지지될 수 있고, 빌딩 천장의 코너나 자동차 등에 설치하기 적절하도록 횡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급기 덕트의 배출구에 사용되는 디퓨져의 모양 역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급기덕트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디퓨져는 방의 천정이나 냉난방이 필요한 그 외의 장소에 노출되어 분사하므로 디퓨져는 설치되는 공간의 인테리어 장식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디퓨져는 주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이음고리(collar)를 가지는 외부프레임, 덕트의 횡단면을 따라, 상기 이음고리로부터 사면에서 아래로 분사하는 외부 경사면, 그리고 수평을 이루는 플랜지, 위로 구부러진 외부 프리 에지(free edge), 덕트를 통해서 들어오는 기류가 탈출하는 것을 힘으로 방지하고 모든 면으로 급기하는 센터코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이음고리로를 가진 센터코어와 개개의 중간코어들 사이에 장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간코어, 그리고, 모든 사면에서 상기 이음고리에서부터 아래로 분사하고 거의 수평인 플랜지에서 끝나는 외부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코어와 중간코어는 이음고리를 지나는 최소한 한 쌍의 막대 또는 파이프(이하 파이프로 통칭한다)에 의하여 서로 평행한 경사면을 유지하는 이격(spaced-apart) 방식으로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외부 프레임의 이음고리에 결합되며, 경사 스프링에 의해 위치를 유지한다.
외부프레임은 차례로 급기 덕트의 배출구에 차례로 결합된다.
디퓨져는 냉난방되는 방 또는 공간의 크기나 부피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센터코어의 사이즈는 모든 디퓨져와 동일하지만 중간코어의 수는 외부프레임의 사이즈에 따라 변한다.
코어와 종래 디퓨져의 외부프레임은 네 코너 부분을 이용하여 함께 조립되는 네 사이드 섹션으로 만들어진다. 각 사이드 섹션은 상단의 수직부분, 중간의 하방 경사부, 그리고 하단의 수평플랜지로 구성된다. 각 코어 섹션의 경사부와 외부 프레임의 수평 플랜지는 조립 시 코너 부분을 조절하기 위하여 뒷면에 홈 부가 형성된다. 외부프레임의 각 사이드 섹션의 수평 플렌지는 외부의 바깥둘레에서 위와 밖으로 구부러진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디퓨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디퓨져(1)는 외부프레임(2),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간코어(3)와 센터코어(4)로 구성된다. 외부프레임(2)은 사면 섹션(5)의 어셈블리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네 코너 섹션(6)의 도움을 받아, 상단의 각(8)을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진 수직면(7), 그리고 하단의 외부로의 경사면(9), 거의 수평의 플랜지(10), 도면번호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해진 힘에 의해 위로 구부러진 외부 프리 에지(free edge)로 구성된다. 홈(12)은 어셈블리에서 코너 섹션(6)을 수용하기 위해 플랜지(10)의 위쪽과 뒤 표면에 형성된다. 그 4사면 섹션들(5)은 코너 섹션(6)의 도움으로 함께 결합되었고, 다양한 많은 피스를 같이 지지하기 위하여 (13)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주름이 잡힌다.
디퓨져가 붙여지는 덕트의 사이즈에 따라 외부 프레임의 상단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이음고리로부터 어셈블리 위의 상부 수직면이 부착된다.
중간코어(3)도 4면 섹션(14)으로 이루어지며, 네 코너 섹션(6)의 도움으로 결합된다. 각 면 섹션(14)은 수직면(15), 외부 및 외부로의 경사면 (16)과 거의 수평인 플랜지(17)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16)은 어셈블리에서 코너 섹션(6)을 조절하기 위한 상단의 뒷면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어 있다. 그 4면 섹션(14)은 여러 조각들을 서로 함께 지지하기 위해서 도면번호 (13)에 의해서 보여진 것과 같이 주름진 네 코너 섹션(6)의 도움으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섹션(14)의 위쪽의 수직면들(15)은 중간코어(3)의 상단에서 둘러싸인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이음고리를 형성한다. 한 쌍의 구멍(18)은 센터코어(4), 중간코어(3) 그리고 외부프레임(2)을 같이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막대들(19)를 지나서 통과하기 위해 두 반대 수직면들(15)에 형성된다.
센터코어(4)도 네 코너섹션(6)의 도움으로 서로 결합된 4면 섹션(20)으로 이루어진다. 각 옆면 섹션(20)은 수직면(21), 중심점에서 플랜지(23)까지 연장되어 있는 외부와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면(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셈블리에서 코너 섹션(6)을 조정하기 위한 경사면은 뒷면에 홈이 형성된다. 그 4 면 섹션(20)은 센터코어(6)까지 주름져 있고, 상단에 둘러싸인 이음고리를 가지고 있는, 네 코너 섹션(6)의 도움으로 서로 결합되어있다. 두 플레이트(24)는 단단히 고정된다. 마주보는 두 수직면들(21)에, 두 쌍의 마주보는 구멍(25)은 중심코어(9)와 중간코어(3), 센터코어와 외부프레임(2)을 지지하기 위한 막대 또는 파이프(19)의 쌍을 통해 그곳을 통과하기 위해 제공된다.
종래에는 여러 섹션들의 조립 후에 중간코어(3)와 센터코어(4)의 코너에서 틈(26)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홈(12)과 코너 섹션(6)은, 코어의 뒷 면에 있는 공기의 흐름을 되튕긴다. 그리고 모든 방향에서 고르고 적절한 급기를 방해한다. 어셈블리에서 각 코어의 사이드 섹션의 수직면에 의해 둘러싸인 이음고리는 도 2의 화살표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공기의 흐름을 되 튕긴다. 그것은 코너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종래의 디퓨져에 의해서는 모든 방향에서 급기가 적절하고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종래 디퓨져의 이러한 문제점과 함께 재료, 노동공정, 제작 시간이 증가하여 더 높은 제작비용을 발생시키고, 외관도 좋지 않고 먼지가 축적되기 쉽고, 코어 뒷면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디퓨져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퓨져가 덕트에 결합되어 냉난방된 공기가 덕트를 통해서 들어올 때, 공기가 코너 부분과 같은 모든 부분에 골고루 확산되지 않고, 홈 부분과 코어의 뒷표면의 융기는 공기의 통로로 와서 공기 통로 안에서 고르고 적절한 급기를 방해하며, 모든 방향에서 고르고 적절한 급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센터코어와 중간코어에의 둘러쌓인 이음고리는 공기를 되 튕기고 그로 인해 디퓨져의 코너 부분을 통하는 공기의 흐름이 줄어든다.
둘째, 디퓨져는 몇 개의 조각으로 제조되고 다양한 부품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조 과정도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제작 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노동력에 의존하게 된다.
셋째, 조립 시 코어의 코너 부분의 두 사이드 섹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넷째, 코어의 코너 부분의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코어의 사이드 섹션 제작 시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다섯째, 뒷면에 형성된 홈 부와 코너 섹션은 코어의 조립을 위해 쓰였기 때문에,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디퓨져의 무게가 증가된다.
여섯째, 각 코어의 사이드 섹션과 외부 프레임은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립을 위한 크림프(crimp) 고정 후, 용접된다. 상기 코어는 연결 스트립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 코어의 이음고리에 용접된다. 이러한 용접과 크림프 작업은 생산 시간을 증가시키고 그로인한 비용을 증가시키며 과외의 장비가 요구된다.
일곱째, 상기 홈 부분과 코너 섹션 또는 코어 뒷 표면의 융기와 용접부분 때문에, 먼지가 그 속에 축적되고, 이를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여덟째, 먼지는 코어 앞 표면의 코너 섹션의 틈에도 쌓이는데, 이는 디퓨져를 더러워 보이게 하고 설치 공간의 인테리어 외관을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중앙냉난방 시스템의 새로운 디퓨져와 디퓨져에 결합된 부품들 즉 플라워(flower) 또는 센터코어, 코어 어셈블리, 외부프레임 등과 그 제조방법에 관련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디퓨져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2 는 공기 흐름의 방향과 장애물에 의한 공기 흐름 변화에 수반하는 도 1의 섹션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종래 디퓨져의 코어와 외부프레임의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쓰였던 코너 피스의 평면도, 도 4 내지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플랜과 정면도이고, 도 6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일체형 센터코어의 플랜, 정면도와 엔드뷰(end-view)를 각각 나타내고,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일체형 중간코어의 플랜, 정면도와 엔드뷰를 각각 나타내며, 도 12 및 13은 종래 디퓨져 어셈블리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일체형 외부프레임의 플랜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 어셈블리의 부분 투시도를 나타내며,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를 통한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디퓨져 어셈블리의 섹션 정면도를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도 16 내지 20 은 외부프레임의 평평한 플랜지의 증가와 표준과 같은 외부 사이즈의 유지에 의한 디퓨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위에 상기와 같은 종래 디퓨져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이고, 중앙 냉난방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디퓨져를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중앙 냉난방 시스템을 위한 각 센트럴 코어와 중간코어, 또는 외부프레임이 일체형으로 생산되어지고 코어와 외부프레임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 양쪽이 모두 불필요한 돌출이나 홈 없이 매끈하게 형성하되도록 한다.
또한, 그리고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모든 방향에서 골고루 급기되는 공기의 흐름에도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한다. 코어는 일체형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구석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용접이나 접합 크림프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디퓨져의 생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의 뒷면의 이음고리에 둘러싸여진 코너를 제거하여 디퓨져의 모든 코너로부터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곳에 새 디퓨져를 설치하여 모든 방향으로 적절히 급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 앞뒤 표면과 외부프레임의 양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 먼지가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지 제거가 용이하고, 코너에 틈이 없으므로 먼지 축적도 감소하여 항상 깨끗하고 깔끔하게 보이며, 원하는 색깔로 코팅할 수 있는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도 가볍고 생산이 쉬우며 저장과 수송이 용이한 디퓨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제공되는 디퓨져에 의하면 일체형 구조인 센터코어, 중간코어, 외부프레임을 각각 생산, 저장, 운송할 수 있고 아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종래의 디퓨져에서 개별 부품 또는 대체용 부품으로 쓰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중앙냉난방 시스템의 디퓨져는 일체형 센터코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코어, 및 외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코어는 내외부 표면이 매끈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외부와 하방을 향하도록 중심점에서 시작되어 하단의 외부 플랜지에서 끝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마주보는 수직면에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코어는, 내외부 표면이 매끈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수직 이음고리, 외부와 하부로 향한 경사면, 하단의 외부 플렌지, 최소한 한 쌍 이상의 마주보는 구멍이 형성되는 이음고리 반대편의 다수의 수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은, 내부와 외부 표면이 매끄럽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층진 수직 이음고리, 외부와 하부로 향한 경사면, 하단의 외부 플랜지, 위로 구부러진 플랜지의 외부 프리 에지,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구멍이 형성된 상기 수직 이음고리의 마주보는 두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코어의 상기 수직 이음고리는 명확한 슬롯을 형성하기 위해 네 코너가 모두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형 센터 코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코어, 및 외부 프레임은 상기 센터 고어와 상기 중간 코어를 차례로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구멍을 통과하는 막대 또는 파이프가 장치된 적어도 한쌍의 스프링에 의해 함께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앙 냉난방 장치의 디퓨져 제조방법은, a) 판금 압축에 의한 형판(型板)으로 센터코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커팅과 벤딩 작업을 수행한 후, 내부와 외부 표면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단계; b) 판금 압축에 의한 적절한 형판(型板)으로 상기 중간 코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커팅, 벤딩, 피어싱 작업을 수행한 후, 내부와 외부 표면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단계; c) 판금 압축에 의한 적절한 형판(型板)으로 상기 외부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커팅, 드로잉, 벤딩, 피어싱 작업을 수행한 후, 내부와 외부 표면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센터코어의 뒷면의 수직표면에 형성되는 수직 스트립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중간코어의 수직 이음고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적어도 한 쌍의 막대 또는 파이프를 통과시켜 그들의 경사면을 서로 평행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중간코어에 상기 센터코어를 붙이는 단계; e) 상기 구멍과 같은 형상의 상기 막대 또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d) 단계의 조립을 상기 외부프레임에 붙이고, 상기 구멍을 통과한 상기 막대 또는 파이프의 끝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의 수직 이음고리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코어 조립을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막대나 파이프의 일단은 스프링 편향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센터코어, 중간코어 및 외부프레임을 따로 혹은 같이 페인팅, 플레이팅, 파우더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4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27)는 외부프레임(28),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간코어(29) 그리고 일체형 센터코어(30)로 구성된다. 외부프레임(28)의제작은 종래의 디퓨져(1)의 외부프레임(2)의 많은 피스와 부품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을 절약하게 된다.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을 절약하는 외부프레임(28)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외부프레임(2)과 비슷하다.
디퓨져(27)의 중간 코어(29)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홈(12)은 경사면 위에서는 조합, 장착되지 않는다. 더욱이 코너 섹션(6)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이음고리(29) 중 수직 이음고리(31)는 둘러싸인 이음고리가 아니다. 즉 수직 이음고리(31)의 네 코너는 설치되지 않는다, 즉, 도 9 내지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네 코너에 명확한 슬롯(32, 33)이 형성된다. 두 마주보는 수직면(34)은 두 쌍의 마주보는 구멍(25)에 중간 코어를 붙이기 위한 막대 한 쌍(19)을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장착된다. 각 코어, 플라워 또는 외부프레임을 위한 조립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그러므로재료, 노동력, 그리고 시간이 절약된다. 더욱이 둘러싸인 이음고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수직 이음고리의 네 코너는 슬롯(32, 33)들과 함께 깨끗하고 평평한 일체형 코어의 경사면의 뒷면에 형성된 홈과 코너 섹션으로 인해 공기의 되 튕김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종래 디퓨져(1)의 코어들(3)과와 달리 어떤 장애도 없이 슬롯들(32, 33)을 통한 코너에서의 깨끗한 공기 흐름이 제공된다.
디퓨져(27)의 센터코어(30)는 필수적으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심점에서 시작되어 하부에서 거의 수평인 플랜지로 끝나는 외부를 향해 형성된 경사면(35)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경사면(35)의 뒷면에는 홈(12)이 없고 코너 섹션(6)이 요구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35) 상단에 설치된 수직면이 없으므로 이를 둘러싸는 이음고리가 필요 없어 둘러싸인 이음고리도 필요 없게 된다. 중간코어(29)와 외부프레임(28)에 센터코어(30)를 붙이기 위해서는 이격된 한 쌍의 막대 또는 파이프(19)를 통과해서 거기를 지나가기 위해 마주보게 형성된 구멍(25)을 가진 한 쌍의 수직 스트립(36)은 필수적으로 경사면(35)에 형성된다. 지지 리브(37)도 설치된다.
센터코어에서는 홈(12)과 코너 섹션(6)이 없고 수직 이음고리가 생략된다. 더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틈이 생기지 않고, 코너에서 공기가 거부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15에서 화살표로 명확히 나타난 것처럼 모든 방향에서의 고르고 적절한 급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퓨져의 제조방법과 그 여러 부품은 다음과 같다.
1. 센터코어(30)는 매끈한 내부와 외부를 가진 적절한 형판의 쉬트 메탈 프레스(sheet metal press: 판금 압착) 공정에 의해 중심점(apex)에서 시작되고 수평의 플랜지에서 끝나며 외부와 하부를 향하도록 제작된 경사면(35)으로 구성된다. 이격된 마주보는 한 쌍의 구멍(25)을 가진 수직 스트립들(36)은 필수적으로 경사면(35)의 상단 뒷면에 형성되어 있고 지지 리브(37)도 설치된다. 도면번호 (30)과 같이 생산된 일체형 센터 코어는 어떤 홈도 없고 위와 같이 생산된 코너 섹션은 각각 저장 및 운송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의 어셈블리나 종래 디퓨져의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상단의 수직 이음고리(31), 외부와 하부로 향한 경사면과 하단의 플랜지로 구성된 중간 코어(29)는 내외 표면이 매끈한 형판의 쉬트 메탈 프레스(sheetmetal press; 판금 압착)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수직이음고리(31)의 네 코너들은 명확한 슬롯(32,33)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되고 두 마주보는 수직면(34)은 마주보는 한 쌍의 구멍(25)에 장치된다. 어떤 홈이나 이와 같이 만들어진 코너 섹션이 없는 일체형 중간코어(29)는 각각 저장 및 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의 조립 또는 종래 디퓨져의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3. 층진 수직 이음고리와, 외부와 하부로 향한 경사면과, 위로 굽은 외부 프리 에지 코너가 있는 플랜지로 구성된 외부프레임(28)은 내부와 외부의 매끈한 표면을 가진 쉬트 메탈 프레스(sheet metal press; 판금압착)로 형성된다. 수직 이음고리의 두 마주보는 면은 최소 한 쌍의 구멍에 설치된다. 홈이나 코너 섹션도 없이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일체형 외부 프레임은 각각 저장되고 및 운송될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의 조립 또는 종래 디퓨져의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4. 센터코어(30), 중간코어(29)와 외부프레임(28)은 원하는 색깔로 페인팅되고, 플레이트되고, 파우더 코팅된다.
5.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의 조립을 위해서는 경사면은 서로에게 평행으로 유지되고 수직 스트립스(36)와과 수직이음고리(31)의 수직면(34)에 형성된 구멍(25)을 통해서 한 쌍의 막대/파이프를 지나는 센터코어(30)와 중간코어가 먼저 조립되고, 외부프레임(28)은 이제 외부프레임의 수직이음고리의 구멍을 통해 막대/파이프의 일단이 통과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막대/파이프 중 일단은 한 끝은 외부프레임에서 상기 코어들을 쉽게 떼어내기 위하여 스프링 편향된다.
이러한 디퓨져는 적은 수의 부품을 요하므로, 디퓨져의 무게가 감소되어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개개 코어들의 조립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제작 시 크리핑(crimping) 장비 또는 용접장비가 필요 없게 된다. 홈과 코너섹션과 둘러싼 이음고리가 없기 때문에, 공기 흐름에 장애물이 없어진다. 또한 이러한 디퓨져는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코너에 틈이 없기 때문에 먼지가 축적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깨끗하게 제공하고, 동시에 매끈한 내부표면으로 인해 먼지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는 적절한 형판의 쉬트메탈프레스(sheet metal press; 판금압착) 공정에 의해 만들어지며, 공간의 인테리어에 따라 다양한 색깔로 파우더 코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페인팅된 표면은 외부표면에 먼지가 앉아서 외관이 더러워 지는 것을 방지한다.
6. 평평한 플랜지는 커지지만 외부사이즈는 코어 및 센터코어와 함께 표준 사이즈를 유지하는 외부프레임에 의해 표준 외부 사이즈를 유지하고, 안쪽의 중간 코어의 수에 따라 변하는 공기 통로로서 폴스 실링을 위한 표준사이즈를 제공하는 디퓨져를 공급한다.
도안과 함께 언급된 상기 상세설명은 주요 주제에서 벗어남이 없는 제한은 가능하 기 때문에 기술에서 숙련된 범위를 한정하기 보다는 단지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주어졌다. 그것은 예술에서 숙련된 사람에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이다. 또한 덧붙인 청구항들과 본 발명의 한계와 범위 내에 떨어지는 것이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센터 코어는 홈이 생성되지 않고, 코너 섹션은 각각 저장 및 운송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 어셈블리나 종래 디퓨져의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간코어(29) 및 외부 프레임 또한 각각 저장 및 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의 조립 또는 종래 디퓨져의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는 적은 수의 부품을 요하므로, 디퓨져의 무게가 감소되어 비용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개개 코어들의 조립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제작 시 크리핑(crimping) 장비 또는 용접장비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홈과 코너섹션과 둘러싼 이음고리가 없기 때문에, 공기 흐름에 장애물이 없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디퓨져는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코너에 틈이 없기 때문에 먼지가 축적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깨끗하게 제공하고, 동시에 매끈한 내부표면으로 인해 먼지를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6)

  1. 일체형 센터 코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간 코어와 외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중앙 냉난방 장치에 사용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센터코어는, 내외부 표면이 매끈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점에서 시작되어 하단의 외부 플랜지에서 끝나며 외부와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및 마주보는 수직면에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코어는, 내외부 표면이 매끈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수직 이음고리, 외부와 하부로 향한 경사면, 하단의 외부 플렌지, 최소한 한 쌍 이상의 마주보는 구멍이 형성되는 이음고리 반대편의 다수의 수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은, 내외부 표면이 매끄럽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층진 수직 이음고리, 외부와 하부로 향한 경사면, 하단의 외부 플랜지, 위로 구부러진 플랜지의 외부 프리 에지,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구멍이 형성된 상기 수직 이음고리의 마주보는 두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장치의 디퓨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코어의 상기 수직 이음고리는 명확한 슬롯을 형성하기 위해 네 코너가 모두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장치의 디퓨져.
  3. 센터 코어, 중간 코어 및 외부 프레임으로 구성된 중앙 냉난방장치의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센터 코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코어, 및 외부 프레임은 상기 센터 고어와 상기 중간 코어를 차례로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구멍을 통과하는 막대 또는 파이프가 장치된 적어도 한쌍의 스프링에 의해 함께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장치의 디퓨져.
  4. 도 4 내지 도 15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해 묘사된 일체형 센터코어, 중간코어, 및 외부프레임으로 구성된 중앙 냉난방 장치의 디퓨져.
  5. 센터코어, 중간코어, 및 외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중앙 냉난방 장치의 디퓨져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판금 압착에 의한 형판(型板)으로 센터코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커팅과 벤딩 작업을 수행한 후, 내부와 외부 표면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단계;
    b) 판금 압착에 의한 적절한 형판(型板)으로 상기 중간 코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커팅, 벤딩, 피어싱 작업을 수행한 후, 내부와 외부 표면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단계;
    c) 판금 압착에 의한 적절한 형판(型板)으로 상기 외부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커팅, 드로잉, 벤딩, 피어싱 작업을 수행한 후, 내부와 외부 표면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센터코어의 뒷면의 수직표면에 형성되는 수직 스트립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중간코어의 수직 이음고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적어도 한 쌍의 막대 또는 파이프를 통과시켜 그들의 경사면을 서로 평행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중간코어에 상기 센터코어를 붙이는 단계;
    e) 상기 구멍과 같은 형상의 상기 막대 또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d) 단계의 조립을 상기 외부프레임에 붙이고, 상기 구멍을 통과한 상기 막대 또는 파이프의 끝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의 수직 이음고리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코어 조립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막대나 파이프의 일단은 스프링 편향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센터코어, 중간코어 및 외부프레임을 따로 혹은 같이 페인팅, 플레이팅, 파우더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냉난방 장치의 제조방법.
  6. 상기 완성된 상세한 설명에 묘사된 바와 같은 중앙 냉난방 장치의 디퓨저 제조 방법.
KR1020037011552A 2001-03-02 2002-02-28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 KR100664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19/MUM/2001 2001-03-02
IN219MU2001 2001-03-02
PCT/IN2002/000033 WO2002070963A1 (en) 2001-03-02 2002-02-28 A new diffuser in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047A true KR20030077047A (ko) 2003-09-29
KR100664688B1 KR100664688B1 (ko) 2007-01-03

Family

ID=1109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552A KR100664688B1 (ko) 2001-03-02 2002-02-28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7070497B2 (ko)
EP (1) EP1364171B1 (ko)
JP (1) JP4017524B2 (ko)
KR (1) KR100664688B1 (ko)
CN (1) CN1238666C (ko)
AP (1) AP1743A (ko)
AT (1) ATE339660T1 (ko)
AU (1) AU2002246304B2 (ko)
BR (1) BRPI0207869B1 (ko)
CA (1) CA2439595C (ko)
CY (1) CY1105830T1 (ko)
CZ (1) CZ303985B6 (ko)
DE (1) DE60214677T2 (ko)
EA (1) EA005542B1 (ko)
ES (1) ES2272685T3 (ko)
HR (1) HRP20030704B1 (ko)
IL (2) IL157683A0 (ko)
NO (1) NO321672B1 (ko)
NZ (1) NZ527704A (ko)
PL (1) PL204625B1 (ko)
TN (1) TNSN03059A1 (ko)
UA (1) UA82643C2 (ko)
WO (1) WO2002070963A1 (ko)
ZA (1) ZA2003066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31753A1 (it) * 2003-09-12 2005-03-13 Tecnoelettra S R L Diffusore regolabile per impianti di condizionamento dell'aria.
KR20080081759A (ko) * 2007-03-06 200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989578B1 (ko) 2008-06-02 2010-10-25 김영조 배기루프
KR101011019B1 (ko) * 2008-07-16 2011-01-26 이덕규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제작방법
KR200459317Y1 (ko) 2010-01-18 2012-03-22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풍향 변환이 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CN102588307A (zh) * 2011-01-06 2012-07-18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带照明顶棚埋入式换气扇
CN102155780B (zh) * 2011-04-26 2013-02-27 梁浩鉴 一种风口
KR20130058117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리스 필터
CN104180490A (zh) * 2013-05-27 2014-1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分流机构
CN104807079B (zh) * 2014-08-29 2018-04-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
US10251313B2 (en) * 2016-03-21 2019-04-02 Raymond & Lae Engineering, Inc. Air-grate floor panel sub-plenum retrofit add on multi-directional plume
US10968827B2 (en) * 2016-09-28 2021-04-06 Pratt & Whitney Canada Corp. Anti-icing apparatus for a nose cone of a gas turbine engine
CN106288291A (zh) * 2016-10-08 2017-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面板组件和包括该面板组件的天井式空调
CN212132769U (zh) * 2019-12-31 2020-12-11 特灵国际有限公司 设有挡风板的hvacr系统
CN112856621A (zh) * 2020-12-30 2021-05-28 昆山升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慧楼宇管理系统
RU207241U1 (ru) * 2021-06-29 2021-10-19 Майкл Робертович Мирошкин Линейный щелевой диффузор с малярным узло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1733A (en) * 1945-08-08 1950-11-28 Anemostat Corp America Air outlet device
US2928331A (en) * 1956-10-30 1960-03-15 Titus Mfg Corp Ceiling diffuser mounting
US4714009A (en) * 1986-08-04 1987-12-22 Philips Industries Inc. Ceiling air diffuser
JP3015826U (ja) * 1995-01-20 1995-09-12 株式会社第一工芸 ペアリング
US5658196A (en) * 1995-11-09 1997-08-19 Marjorie L. Trigg Insulated air diffuser
WO1998033022A1 (en) * 1997-01-28 1998-07-30 Hart & Cooley, Inc. Air diffuser apparatus with ratchet mechanism
JPH11132543A (ja) * 1997-10-27 1999-05-21 Kuken Kogyo Kk 吹出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300875A1 (ru) 2003-12-25
BRPI0207869B1 (pt) 2016-04-12
DE60214677D1 (de) 2006-10-26
CY1105830T1 (el) 2011-02-02
CN1494647A (zh) 2004-05-05
AP1743A (en) 2007-05-25
ATE339660T1 (de) 2006-10-15
PL204625B1 (pl) 2010-01-29
JP2004522127A (ja) 2004-07-22
EA005542B1 (ru) 2005-04-28
CZ303985B6 (cs) 2013-07-31
HRP20030704A2 (en) 2005-02-28
IL157683A0 (en) 2004-03-28
US7070497B2 (en) 2006-07-04
EP1364171A1 (en) 2003-11-26
UA82643C2 (uk) 2008-05-12
KR100664688B1 (ko) 2007-01-03
WO2002070963A1 (en) 2002-09-12
NO321672B1 (no) 2006-06-19
BR0207869A (pt) 2004-12-07
PL364026A1 (en) 2004-11-29
TNSN03059A1 (en) 2005-04-08
AU2002246304B2 (en) 2005-11-24
NZ527704A (en) 2005-06-24
HRP20030704A8 (en) 2011-02-28
DE60214677T2 (de) 2007-09-20
IL157683A (en) 2007-03-08
ES2272685T3 (es) 2007-05-01
AP2003002871A0 (en) 2003-09-30
HRP20030704B1 (en) 2011-03-31
CA2439595C (en) 2008-01-22
CZ20032666A3 (cs) 2005-02-16
CA2439595A1 (en) 2002-09-12
ZA200306671B (en) 2004-05-06
CN1238666C (zh) 2006-01-25
EP1364171B1 (en) 2006-09-13
NO20033877L (no) 2003-11-03
US20050260945A1 (en) 2005-11-24
NO20033877D0 (no) 2003-09-02
JP4017524B2 (ja)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688B1 (ko)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
US6766832B2 (en) Transitional telescoping plenum apparatus
AU2002246304A1 (en) A new diffuser in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80187919A1 (en) Insulated register box
JPH08110080A (ja) コーナーレス差し込み式フランジシステム
US3440947A (en) Combination diffuser and false ceiling suspension systems
WO2019124200A1 (ja) 室外機、空気調和機、ファンガード、及びファンガード製造方法
US3964071A (en) Radar antenna having a screen supported by shaped slats
KR101047962B1 (ko) 복합 레이스웨이 엘보 및 그 제조방법
JP7021894B2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取付け枠
CN218442122U (zh) 一种免焊接底盘及面板灯
CN207471780U (zh) 一种空调的风口装置
EP0362957B1 (en) Ventilator grid
JPS587228Y2 (ja) 通気グリル装置
JPH0710197Y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
JP2003222382A (ja) 分割組立て式角型ダンパーケーシング
JPH0518598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の天井パネル
JP2002310493A (ja) 制気口取付構造
JP2019019463A (ja) 建築用ルーバー材及びルーバー
JPH10115434A (ja) 空気調和機
JP2007085133A (ja) 円形窓の額縁
JP2004076990A (ja) 空気調和機の外郭構造、および空気調和機の外郭構造に用いる柱状構成材
JP2005308337A (ja) コンロ用天板
KR20160013415A (ko) 필터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JPH07217981A (ja) 多角形組合せ断面を有する板材組合せ式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