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578B1 - 배기루프 - Google Patents

배기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578B1
KR100989578B1 KR1020080051837A KR20080051837A KR100989578B1 KR 100989578 B1 KR100989578 B1 KR 100989578B1 KR 1020080051837 A KR1020080051837 A KR 1020080051837A KR 20080051837 A KR20080051837 A KR 20080051837A KR 100989578 B1 KR100989578 B1 KR 100989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main body
coupling
frame
dis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631A (ko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102008005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5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루프는, 하부는 부하저항기의 저항을 공냉식으로 냉각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인입부(100);와, 횡단면이 4각형 이상인 통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인입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측면의 상단에서부터 하측으로 다수개의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지플랜지(220)가 하부배수통공(221)이 구비된 상태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되되, 상기 지지플랜지(22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결합홈(210)에 끼워지는 결합봉(310)이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부(100)로 유입된 유체를 대기로 배출하는 배출공(320)이 다수개의 분할편(330)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유체배출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측면 중 상기 결합봉(310)이 형성되지 않은 2개의 측면에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 배수공(340)이 3단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1단과 3단의 배수공(341, 343)은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2단의 배수공(342)은 인접한 상기 1단과 3단 배수공(341, 343)의 무게중심점과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루프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에 유체배출유닛을 설치하여 부하저항기(각종저항기)의 저항을 냉각한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부하저항기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하저항기, 수직형 배기방식, 수평형 배기방식

Description

배기루프{An exhaust roof}
본 발명은 배기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에 유체배출유닛을 설치하여 부하저항기(각종저항기)의 저항을 냉각한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부하저항기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배기루프에 관한 것이다.
부하저항기는 발전기, 비상발전기 등의 부하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으로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저항으로 사용하여 열로 소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열의 배출을 어떻게 하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었다.
상기와 같은 열의 배출, 즉, 배기방식에는 수직형과 수평형의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수직형 배기방식은 바람을 상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며, 수평형 배기방식은 바람을 좌 또는 우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기방식은 배기루프를 통해 대기로 배출한다.
따라서, 수평형 배기루프는 공간이 협소하거나 배출되는 열이 지나가는 보행인의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곳에서의 설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수직형 배기루프는 부하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배출하는데 강우 또는 강수시 빗물의 유입을 막아 수분으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해야 하나 종래의 배기루프는 그러하지 못하였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1997-0034138호(고안의 명칭: 제조공장의 루프 배기구조)에는, 원형의 벤틸레이터(20, 20')로 구성되며, 그의 상단에는 외기가 직접적으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원활한 배기를 유도하는 가이드베인(20a, 20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베인(20a, 20a')에는 외부분진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노즐(22, 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조공장의 루프 배기구조는, 강우시 상측으로부터 들어오는 빗물을 막을 수 없는 구조로 제작되어 고전압으로 구동되는 부하저항기의 저항이 수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유체배출유닛을 설치하여 부하저항기(각종저항기)의 저항을 냉각한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부하저항기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배기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기루프는, 하부는 부하저항기의 저항을 공냉식으로 냉각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인입부(100);와, 횡단면이 4각형 이상인 통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인입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측면의 상단에서부터 하측으로 다수개의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지플랜지(220)가 하부배수통공(221)이 구비된 상태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되되, 상기 지지플랜지(22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결합홈(210)에 끼워지는 결합봉(310)이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부(100)로 유입된 유체를 대기로 배출하는 배출공(320)이 다수개의 분할편(330)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유체배출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측면 중 상기 결합봉(310)이 형성되지 않은 2개의 측면에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 배수공(340)이 3단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1단과 3단의 배수공(341, 343)은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2단의 배수공(342)은 인접한 상기 1단과 3단 배수공(341, 343)의 무게중심점과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0)는 상부본체(201)와 하부본체(202)로 분할형성되되, 상 기 상부본체(201)의 하단과 하부본체(202)의 상단에는 각각 결합플랜지(20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랜지(203)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0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편(330)은 상부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5~45도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양끝단이 상기 배수공(341, 342, 343)에 끼워지는 브이(V)프레임(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공(341, 342, 343) 중 1단의 배수공(341)에 끼워지는 브이프레임(400)은, 상기 분할편(330)의 하단과 제1결합부재(350)를 매개로 고정되며, 2단의 배수공(342)에 끼워지는 브이프레임(400)은 상기 2단 배수공(342)에 고정되고, 3단의 배수공(343)에 끼워지는 브이프레임(400)은 상기 1단의 브이프레임(341) 과 제2결합부재(360)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공(340)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공(340')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체배출유닛(300) 상부의 모서리를 감싼 채로 하단이 상기 결합봉(310)에 의해 지지되는 마감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유체배출유닛을 설치하여 부하저항기(각종저항기)의 저항을 냉각한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부하저항기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분해사시도가 도시 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는 인입부(100), 본체(200), 유체배출유닛(300)이 포함되며, 상부본체(201), 하부본체(202), 결합플랜지(203), 체결공(204), 결합홈(210), 지지플랜지(220), 하부배수통공(221), 결합봉(310), 배출공(320), 분할편(330), 배수공(340), 제1결합부재(350), 제2결합부재(360), 브이프레임(400), 마감부재(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입부(100)는 발전소에 설치되는 부하저항기의 저항을 공랭식으로 냉각한 유체, 즉,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에 설치되며, 하단으로부터 기체가 유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입부(100)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인입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본체(200)의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인입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횡단면이 4각형 이상인 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4각형인 4각통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200)는 상부본체(201)와 하부본체(202)로 분할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분할형성되는 상부본체(201)의 하단과 하부본체(202)의 상단에는 각각 결합플랜지(203)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결합플랜지(203)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04)이 형성되 어 있는데, 이러한 체결공(204)에는 예컨대,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상부본체(201)와 하부본체(202)는 서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본체(201)의 측면에는, 상단에서부터 하측으로 다수개의 결합홈(2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홈(210)에는 후술할 유체배출유닛(300)의 결합봉(310)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202)의 하단, 즉, 상기 인입부(100)의 상부와 직접 맞닿는 부분에는 내측방향으로 지지플랜지(220)가 다수개의 하부배수통공(221)이 구비된 상태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플랜지(220)는 후술할 유체배출유닛(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은 상기 본체(20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봉(310)이 상기 상부본체(201)에 형성된 결합홈(210)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유체배출유닛(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본체(202)의 지지플랜지(22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인입부(10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상태의 유체가 유체배출유닛(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공(320)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출공(32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할편(330)에 의해 분할형성되며, 상기 분할편(330)의 상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소정각도(5~45도) 절곡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편(330)의 상부가 절곡형성되면, 예컨대, 강우시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빗물이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내부로 직접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빗물의 대부분은 상기 분할편(330)의 외벽을 따라 유체배출유닛(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측면 중 결합봉(3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2면에는 배수공(340)이 3단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수공(34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이프레임(400)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배수공(340)이 형성된 2면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일측면의 1단 배수공(341)과 타측면의 1단 배수공(341')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공(340)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시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2개의 배수공 중 낮은 높이를 갖는 배수공 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공(320)의 하단에는 브이프레임(400)이 위치하는데, 상기와 같은 브이프레임(4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프레임(400)은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3단으로 형성되는 배수공(340)과 양끝단이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4a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340) 중 1단 배수공(341)에는 1단 브이프레임(401), 2단 배수공(342)에는 2단 브이프레임(402), 3단 배수공(343)에는 3단 브이프레임(403)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1단 브이프레임(401)은 제1결합부재(350)를 매개로 상기 배출공(3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3단 브이프레임(403)은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과 수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2결합부재(360)를 매개로 고정된다.
또한, 2단 브이프레임(402)은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과 인접한 또 다른 1단 브이프레임(401') 사이의 하부와 상기 3단브이프레임(403)과 인접한 또 다른 3단 브이프레임(403') 사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2단 브이프레임(402)에는 상기 배출공(32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중 1단 브이프레임(401)으로 유입되지 못한 빗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3단 브이프레임(403)은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의 외주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입부(100)에는 빗물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1,2,3단의 브이프레임(401, 402, 403)이 끼워지는 1,2,3단의 배수공(341, 342, 343)은 도 4a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1,2,3단의 배수공(341, 342, 343)의 무게중심을 서로 잇는 가상선을 그리면, 가상선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500)가 설치되는데, 상기와 같은 마감부재(500)는 상기 유체배출유닛(300) 상부의 모서리를 감싸며, 하단은 상기 결합봉(310)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는 흐름과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시 빗물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공기가 배출되는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인입부(100)의 하측으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면, 상기 인입부(100)와 연통되는 본체(200)의 내부로 기체가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200)의 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발전소에 설치되는 부하저항기의 저항을 냉각한 비교적 고온 상태의 기체이므로 이러한 기체는 대기 중의 기체보다 고온이므로 상승하려는 습성이 있다.
즉, 상기 본체(200)의 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②,③의 3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유동되는 기체 중 ②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기체는 인입부(100)와 본체(200)를 거쳐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으로 유입되는데, 상기와 같이 유입된 기체는 배출공(320)으로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동되는 기체 중 ①, ③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기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내벽과 유체배출유닛(3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강우시 빗물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강우시 유체배출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흐름을 도 4b와 도 5를 참조하여 설 명한다.
강우시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상측으로 빗물이 떨어지면, 이러한 빗물은 배출공(320)인 ④와 상기 본체(200)의 내벽과 유체배출유닛(300)의 사이의 공간인 ⑤와 ⑥으로 유입되는데, 상기 본체(200)의 내벽과 유체배출유닛(3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바로 본체(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배수통공(221)을 매개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출공(320)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일부는 상기 배출공(320)으로 직접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부가 소정각도(5~45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분할편(330)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배출공(320)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320)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중력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인데, 상기 배출공(320)으로 빗물의 유입시, 분할편(330)의 경사면을 따라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분할편(330)과의 충격으로 빗물에 저장되어 있는 운동에너지가 소멸되지만 상기 배출공(320)으로 직접 유입되는 빗물은 운동에너지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320)으로 직접 유입되는 빗물은 1단 배수공(341)에 설치되어 있는 1단 브이프레임(401)의 골부분으로 유입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에너지가 저장되어 있는 빗물은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의 골부분에 수직하게 부딪치게 된다.
즉, 상기 배출공(320)으로 직접 유입되는 빗물의 대부분은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의 골부분과 부딪침과 동시에 운동에너지가 소멸되면서 1단 브이프레 임(401)에 유입되지만 일부는 외부로 튀어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1단 브이프레임(401)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빗물은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이 소멸된 상태로 2단 브이프레임(402)으로 유입되며, 상기 2단 브이프레임(402)으로 유입된 빗물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을 거치면서 대부분 소멸되므로 상기 2단 브이프레임(402)과 부딪치는 빗물의 튐 현상은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보다 훨씬 적게 된다.
또한,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의 하부에 제2결합부재(360)를 매개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3단 브이프레임(403)에는, 상기 2단 브이프레임(402)에서 튀는 빗물의 일부와 상기 1단 브이프레임(401)의 외벽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유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입부(100)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2단 브이프레임(402)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기 1단과 3단 브이프레임(401, 403) 사이의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1단과 3단 브이프레임(401, 403)와 이웃한 또 다른 1단과 3단 브이프레임(401', 403')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배출공(32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1,2,3단 브이프레임(401, 402, 403)으로 인해 인입부(1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브이프레임(400)의 양 끝단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데, 상기와 같이 브이프레임(400)의 양 끝단의 높이가 서로 다른 이유는, 상술한 배수공(340)이 서로 다른 높이로 타공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브이프레임(400)의 양 끝단 중 낮은 높이를 갖는 일측으로 빗물이 흐르게되어 하부배수통공(221)으로 배출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루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인입부
200-본체 201-상부본체
202-하부본체 203-결합플랜지
204-체결공 210-결합홈
220-지지플랜지 221-하부배수통공
300-유체배출유닛 310-결합봉
320-배출공 330-분할편
340-배수공 350-제1결합부재
360-제2결합부재
400-브이(V)프레임
500-마감부재

Claims (8)

  1. 하부는 부하저항기의 저항을 공냉식으로 냉각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인입부(100);와
    횡단면이 4각형 이상인 통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인입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측면의 상단에서부터 하측으로 다수개의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지플랜지(220)가 하부배수통공(221)이 구비된 상태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되되, 상기 지지플랜지(22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며, 상기 결합홈(210)에 끼워지는 결합봉(310)이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부(100)로 유입된 유체를 대기로 배출하는 배출공(320)이 다수개의 분할편(330)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유체배출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측면 중 상기 결합봉(310)이 형성되지 않은 2개의 측면에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 배수공(340)이 3단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1단과 3단의 배수공(341, 343)은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2단의 배수공(342)은 인접한 상기 1단과 3단 배수공(341, 343)의 무게중심점과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상부본체(201)와 하부본체(202)로 분할형성되되, 상기 상부본체(201)의 하단과 하부본체(202)의 상단에는 각각 결합플랜지(20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랜지(203)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0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330)은 상부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5~45도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루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양끝단이 상기 배수공(341, 342, 343)에 끼워지는 브이(V)프레임(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341, 342, 343) 중 1단의 배수공(341)에 끼워지는 브이프레임(400)은, 상기 분할편(330)의 하단과 제1결합부재(350)를 매개로 고정되며, 2단의 배수공(342)에 끼워지는 브이프레임(400)은 상기 2단 배수공(342)에 고정되고, 3단의 배수공(343)에 끼워지는 브이프레임(400)은 상기 1단의 브이프레임(341)과 제2결합부재(360)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루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공(340)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공(340')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루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유닛(3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체배출유닛(300) 상부의 모서리를 감싼 채로 하단이 상기 결합봉(310)에 의해 지지되는 마감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루프.
KR1020080051837A 2008-06-02 2008-06-02 배기루프 KR100989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37A KR100989578B1 (ko) 2008-06-02 2008-06-02 배기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37A KR100989578B1 (ko) 2008-06-02 2008-06-02 배기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631A KR20090125631A (ko) 2009-12-07
KR100989578B1 true KR100989578B1 (ko) 2010-10-25

Family

ID=4168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837A KR100989578B1 (ko) 2008-06-02 2008-06-02 배기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4265U1 (ru) * 2016-12-06 2017-10-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м Электро" (ООО "Пром Электро")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секций воздуховод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295A (en) 1993-08-23 1994-05-17 Young James E Subterranean transformer enclosure vent
JPH11217887A (ja) 1998-01-30 1999-08-10 Shintou Kk 小屋裏換気部材および小屋裏換気構造
KR200260258Y1 (ko) 2001-09-21 2002-01-10 이창덕 공조용 에어배출구
KR100664688B1 (ko) 2001-03-02 2007-01-03 나나 마트르 라메쉬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295A (en) 1993-08-23 1994-05-17 Young James E Subterranean transformer enclosure vent
JPH11217887A (ja) 1998-01-30 1999-08-10 Shintou Kk 小屋裏換気部材および小屋裏換気構造
KR100664688B1 (ko) 2001-03-02 2007-01-03 나나 마트르 라메쉬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퓨져
KR200260258Y1 (ko) 2001-09-21 2002-01-10 이창덕 공조용 에어배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631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9514T3 (es)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con conducción de aire refrigerante perfeccionada
KR100989578B1 (ko) 배기루프
KR20210104524A (ko) 자연배기가 가능한 옥외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CN110601017B (zh) 一种基于伯努利原理的散热优良的配电柜
JP2010001732A (ja) 通気見切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KR200392434Y1 (ko) 에어컨 실외기 보호커버
ES2301738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conduccion de la corriente de aire dentro de un condensador refrigerado por aire.
KR101338648B1 (ko) 대향류형 냉각탑
CN112546736B (zh) 空气过滤装置及空气循环设备
JP2001254492A (ja) 建物換気装置構造
CN102297610A (zh) 一种防飞射物砸落的长收口型鼓风式机械通风冷却塔
CN208970272U (zh) 一种高功率低功耗变压器外壳
CN110880705A (zh) 散热顶盖、变电站箱体及箱式变电站
CN217694143U (zh) 模块化数据中心间接蒸发冷却系统
CN216014999U (zh) 一种散热型变压器室
CN114865483B (zh) 一种变电箱
JP2003153404A (ja) 受配電設備
CN214536263U (zh) 一种双层风帽
CN213546902U (zh) 一种散热型电气设备安装箱
RU212565U1 (ru) Зонт крышной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CN215723709U (zh) 一种置物架及空调外机
CN209620374U (zh) 通风排烟天窗的支撑结构
KR20120002774U (ko) 에어컨 실외기용 공기 배출 커버
CN210838569U (zh) 一种方便维护的综合配电箱
CN208001100U (zh) 一种泄压散热的高压补偿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