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172A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172A
KR20030063172A KR10-2003-0003180A KR20030003180A KR20030063172A KR 20030063172 A KR20030063172 A KR 20030063172A KR 20030003180 A KR20030003180 A KR 20030003180A KR 20030063172 A KR20030063172 A KR 20030063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ceiving space
engaging
eject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861B1 (ko
Inventor
사사키쇼이치
후지와라다케시
시오타고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06K13/085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a notch in the card and a complementary locking means in the card reading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이젝트 플레이트는 압동부와 계합부와 스프링부를 갖고, 하트캠에 의해 2개의 위치로 전환가능하다. 카드와 커넥터의 전기적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이젝트 플레이트가 제 2의 위치로 되며, 그 계합부가 카드에 설치된 절결부에 걸어맞춤하고, 해당 걸어맞춤의 해제는 가이드벽에 의해 저지되어, 카드에 강한 발취력이 가해져도 빠질 수 없다(풀록). 인장스프링에 의해 이젝트 플레이트가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로 이행한 때, 압동부에 의해 카드가 압출된다. 이 제 1의 위치에도 계합부는 카드의 절결부에 걸어맞춤하고 있지만, 그 걸어맞춤의 해제는 벽부에 의해 허용되어, 스프링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카드를 발취할 수 있다(하프록).

Description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 등의 카드의 접속에 사용되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그와 같은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삽입된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기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성데이터나,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소형의 메모리카드가 널리 사용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드를 사용하는 기기측의 커넥터에는, 삽입되어 접속된 카드를 용이한 조작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젝트기구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젝트기구를 사용하여 카드를 배출시키는 경우, 카드가 커넥터로부터 강한 힘으로 튀어나오면,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카드를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이젝트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카드를 적절히 발탈(拔脫)시키어, 전극부와 커넥터의 입출력단자의 전기적 접속은 해제시키면서도, 카드삽입구로부터 카드를 완전히는 발탈시키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록기구(이른바 하프록(half lock)기구)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하프록에 있어서는, 카드는 카드삽입구에 적절한 지지력을 갖고 지지되며, 이 상태에서 카드를 발탈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도, 그 힘이 작은 때에는 카드는 빠지는 일이 없다. 결국, 하프록 상태에서는 카드 삽입구측이 아래로 되도록 역으로서도, 혹은 통상의 사용에 수반하여 진동이 가해져도, 카드가 자연적으로 빠지는 일은 없다. 한편, 카드를 손으로 잡고 빼내는 바와 같은 강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카드는 용이하게 취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135192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 2001-185286호 공보는, 하트캠(heart cam)기구를 사용한 푸시푸시식(push-push type)의 카드 커넥터로 전술한 하프록 기구를 설치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반면에, 카드를 접속하여 전극부와 커넥터의 입출력단자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게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카드를 손으로 잡고 빼내는 바와 같은 강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에 저항할 수 있는 지지력으로서 카드의 발탈을 저지하는 록기구(이른바 풀록(full lock)기구)를 설치해 두면, 사용자의 과오에 의한 카드의 빠짐을 방지하므로, 메모리카드의 기억내용의 소거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점에서, 전술한 일본국 특개평 11-135192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2001-18528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어느 것이나, 단지 하프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을 뿐으로, 상기의 풀록의 형태를 취할 수는 없다.
한편, 하프록 기구와 풀록 기구의 양쪽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은, 일본국 특개평 11-1499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풀록 기구와 하프록 기구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부품점수나 장치의 소형화 면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카드를 발탈하는 때에는, 풀록을 해제하는 조작을 일단 행하고 나서 카드를 빼내지 않으면 안되어, 번잡한 조작을 사용자에게 강요하는 것이었다.
또한, 풀록기구에 의한 풀록상태는, 사용자가 무리하게 카드를 빼내고자하는 힘에 대항하는 것이기 때문에, 카드를 접속한 상태에서 강고히 록하여, 상당히 강한 힘이 가해져도 카드의 발탈을 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또, 풀록기구에는, 그와 같은 강력한 힘이 몇번이나 추가되는 바와 같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손실되지 내구성도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와 이에 삽입되는 카드에 대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하트캠 구조를 나타낸 측면요부 확대도.
도 5는, 이젝트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계합부의 퇴피를 허용 및 저지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이젝트 플레이트가 "제 1의 위치"에 있는 때를, 도 5b는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커넥터에 카드가 (a), (b)로 삽입되어 가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계속하여 카드가 압입되며, 하프록(c), 풀록(d)의 상태가 취해지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e)의 카드접속상태(풀록)으로부터 (f)의 하프록의 상태로 이행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계속하여 카드가 (g), (h)로 빼내지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 2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가 (a), (b), (c), (d)로 삽입되는 모양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제 3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가 (a), (b), (c), (d)로 삽입되는 모양을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12는,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록상태에서의 카드의 잘못된 빠짐을 방지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드 커넥터 2. 카드
3. 하우징 5. 카드의 면형상 전극부
6. 개구 9. 입출력단자
16. 이젝트 플레이트(이젝트부재) 16a. 압동부
16c. 계합부 16d. 스프링부
17. 인장스프링(가세수단) 24 가이드벽(가이드부)
26. 카드의 절결부 31. 카드 수용공간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구로부터 카드를 삽입시키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그 카드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카드의 삽탈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고 되며, 또한, 그 위치를, "제 1의 위치"와, 그 "제 1의 위치" 보다 상기 개구로부터 먼측에 있는 "제 2의 위치"로, 하트캠 기구에 의해 전환되는 이젝트부재와, 그 이젝트부재를 카드발탈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상기 이젝트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함 가능하게 된, 압동부(押動部)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가 상기 압동부에 접촉하고 있는 때에, 카드 수용공간으로 돌출하여 그 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에 걸어맞춤하는, 계합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절결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한 스프링부와, 상기 이젝트부재가 "제 1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허용하고, 이젝트부재가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1) 카드가 완전히 삽입되어 이젝트부재가 "제 2의 위치"에 놓여지고, 전극부가 입출력단자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이젝트부재의 계합부가 카드의 절결부에 인입되며, 또한, 그 걸어맞춤의 해제가 가이부에 의해 저지되어, 강한 힘이 가해져도 카드가 빠지지 않는 풀록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기기측에 진동이 부여되어도 전기적 접속의 안정은 확보되며, 또한, 사용자에 의한 잘못된 카드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2) 이젝트조작이 되어, 이젝트부재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을 얻어 그 위치가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로 이동하는 때에, 그 이젝트부재의 압동부가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하여 카드를 발탈방향으로 압출하는 것에서, 상술한 (1)의 카드의 완전삽입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계합부가 스프링부의 작용에 의해 카드의 절결부에 인입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카드는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기세좋게 튀어나가는 일이 없이, 이젝트부재의 "제 1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로 유지된다.
(3) 이젝트부재가 "제 1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하프록 상태로 되어, 하우징 앞측이 아래로 되도록 기기를 역으로 하거나, 통상의 사용에 의해 생기는 정도의 진동에 의해서는, 카드는 커넥터로부터 발탈되지는 않는다. 한편, 계합부와 절결부의 걸어맞춤 해제는 가이드부에 의해 허용되고 있는 것에서, 사용자에 의한 카드의 빼냄 등, 카드에 스프링부의 가세력을 상회하는 정도의 발취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스프링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계합부와 절결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카드를 용이하게 빼낼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계합부와 상기 스프링부가, 이젝트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부품점수의 삭감·제조비용/공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이젝트부재가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이젝트부재가 저렴하고 또한 적은 공수로 구성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구로부터 카드를 삽입시키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그 카드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카드의 삽탈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며, 또한, 그 위치를, "제 1의 위치"와, 그 제 1의 위치" 보다 상기 개구로부터 먼측에 있는 "제 2의 위치"로, 전환되는 이젝트부재와, 그 이젝트부재를 카드 발탈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상기 이젝트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가능하게 된, 압동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가 상기 압동부에 접촉하고 있는 때에, 카드 수용공간으로 돌출하여 그 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에 걸어맞춤하는, 계합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절결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한 스프링부와, 상기 이젝트부재가 "제 1의 위치"인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허용하고, 이젝트부재가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이젝트부재는, 적어도 그 계합부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또한, 그 계합부는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카드를 커넥터에 접속한 풀록상태에 있어서 카드가 무리한 힘으로 잘못하여 빼내어져도, 계합부가 소성변형 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젝트부재의 내구성에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은, 개구로부터 카드를 삽입시키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그 카드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카드의 삽탈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며, 또한, 그 위치를, "제 1의 위치"와, 그 "제 1의 위치" 보다 상기 개구로부터 먼측에 있는 "제 2의 위치"로, 전환되는 이젝트부재와, 그 이젝트부재를 카드발탈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상기 이젝트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가능하게 된, 압동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가 상기 압동부에 접촉하고 있는 때에, 카드 수용공간으로 돌출하여 그 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에 걸어맞춤하는, 계합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절결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한 스프링부와, 상기 이젝트부재가 "제 1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허용하고, 이젝트부재가 "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커넥터에 카드가 접속되어 이젝트부재가 " 제 2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때에 그 카드에 발취력이 가해진 경우에, 카드의 상기 절결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의 돌출량을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부에는, "제 2의 위치"에 있는 이젝트부재의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의 돌출량을 감소시킨 때에, 그 이젝트부재의 "제 1의 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할 수 있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카드를 커넥터에 접속한 풀록상태에서 카드를 무리하게 빼내고자 한 경우에,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의 돌출량을 감소시키고, 이 때에 규젝부가 이젝트부재의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카드의 잘못된 빼냄이 확실히 저지되어 카드의 기억내용 소거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젝트부재의 계합부가 소성변형하여 찌부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이젝트부재의 내구성에 우수하다.
(실시예)
다음에,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드 커넥터(1)는, 카드(2)를 수용하는 하우징(3)과, 하우징(3)의 내부에 조립된 이젝트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2)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 스틱이다. 이 카드(2)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하면에는, 10개의 면형상 전극부(5)가 병설되어 있다.
커넥터(1)의 확대도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에는 개구(6)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카드(2)의 수용공간(31)을 형성하고 있다. 이 하우징(3)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하측 절반부(7)와, 그 상면을 덮는 금속제의 상측절반부(8)를 갖고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하우징(3)의 내부공간의 도시의 편리를 위해, 본래는 실선으로 나타내야 할 상측 절반부(8)를 쇄선으로 투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측 절반부(7)는 상기 개구(6)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오목형으로 되도록 형성되며, 카드(2)를 그 개구(6)로부터 삽입할 때에는, 그 하면 및 양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측 절반부(7)의 안측에는 입출력단자(9)가 설치되며, 이 입출력단자(9)는, 가늘고 긴 띠형상의 도전성 판스프링을 절곡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 입출력단자(9)는 카드(2)의 상기 면형상 전극부(5)에 대응하여 10개 설치되며, 카드(2)를 하우징(3)의 안까지 완전히 삽입시킨 때에는, 입출력단자(9)가 면형상 전극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젝트기구(4)를, 커넥터(1)의 확대도인 도 2나 평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이젝트기구(4)는, 카드(2)의 삽입방향 단부를 압동가능한 이젝트 플레이트(16)(이젝트부재)와, 이젝트 플레이트(16)를 카드(2) 발취방향으로 가세하는 인장스프링(가세수단)(17)과, 이젝트 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는 로드(18)와, 로드(18)의 타단이 걸어맞춤하는 하트캠(19)과, 로드(18)의 하트캠(19) 걸어맞춤측의 단부를 압압하는 판스프링(20)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이젝트 플레이트(16), 인장스프링(17), 로드(18), 하트캠(19), 판스프링(20)은, 하우징(3)의 하측 절반부(7)의 일측 측부(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6)로 향하여 우측의 측부)에 형성한, 연장부(21)에 설치되어 있다.
이젝트 플레이트(16)는, 두께가 같은 금속제의 가늘고 긴 판상부재의 일단을, 카드 수용공간(31)측에 돌출하도록 수직으로 절곡하여, 압동부(16a)를 구성하고 있다. 이 압동부(16a)은, 후술하는 이젝트 조작시에, 카드(2)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되어 그 카드(2)를 발탈방향으로 압동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3)의 하측 절반부(7)에 있어서는 가늘고 긴 가이드벽(24)이, 그 길이방향을 가이드 삽탈방향에 연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 가이드벽(24)과 작은 간격(이젝트 플레이트(16)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그 가이드벽(24)에 따르도록 얇은 지지벽(25)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벽(24)과 지지벽(25) 사이에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중도부를 끼워넣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그 이젝트 플레이트(16)는 가이드벽(24)과 지지벽(25) 사이에서 끼워지지되면서, 카드 삽탈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중도부에 있어서는 그 위 가장자리에, 수평부분과 수직부분이 연속하는 "L"자 형상의 연결부(16b)를, 횡방향으로 돌설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결부(16b)는 가이드벽(24)을 상측으로부터 우회하도록 형성되고, 그 수직부분에, 상기 인장스프링(17)이나 로드(18)를 계지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인장스프링(17)은, 그 일단을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연결부(16b)에 계지하고, 타단을 하우징(3)의 연장부(21)에 설치한 계지벽(23)에 계지하여, 이젝트 플레이트(16)를 카드 발탈방향으로 상시 가세한다. 또, 이젝트 플레이트(16)의 후술하는 "제 1의 위치"는, 그 이젝트 플레이트(16)에 형성된 상기압동부(16a)가 상기 지지벽(25)의 단부에 도 3과 같이 접촉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로드(18)는, 횡방향으로 절곡된 일단이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연결부(16b)에 계지하고,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절곡된 타단이, 이하에 설명하는 하트캠(19)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 하트캠(19)은 측면 요부확대도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점(19a), 제 2 굴곡점(19b), 제 2의 점(19c), 제 2 굴곡점(19d)이 대략 하트형으로 연속하는 홈으로서, 연장부(21)의 하우징 안측의 측벽에 각설(刻設)되어 있다. 이 캠홈의 저부에는 적절한 단차나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도시생략), 또한, 그 로드(18)의 선단은, 그 홈을 덮도록 설치된 상기 판스프링(20)에 의해, 홈에 인입방향으로 횡방향으로 가세되어, 캠홈의 저부에 접촉한다.
이 구성에서, 이젝트 플레이트(16)가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제1의 위치"라 한다)에 있는 때에는, 그 이젝트 플레이트(16)에 연결되는 로드(18)의 선단은, 제 1의 점(19a)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인장스프링(1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카드삽입방향으로 눌러지면, 이젝트 플레이트(16)에 연결되는 로드(18)의 선단은 도 4의 화살표 A와 같이 이동하여, 제 1의 점(19a)으로부터 제 1굴곡점(19b)에 이른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압동력이 해제되면, 로드(18)의 선단은 도 4의 화살표 B와 같이 이동하고, 제 2의 점(19c)에 이르러 계지된다. 이 결과, 이젝트플레이트(16)는, 도 3의 "제 1의 위치"보다 하우징(3) 안측의 위치(전술한 "제1의 위치"보다 개구(6)로부터 먼측의 위치. 이하, "제 2의 위치"라 한다)에서 정지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이 "제 2의 위치"에 있는 이젝트 플레이트(16)를 더욱 카드 삽입방향으로 압동하면, 이젝트 플레이트(16)에 연결되는 로드(18)의 선단은 제 2의 점(19c)로부터 화살표 C와 같이 제 2의 굴곡점(19d)에 이르고, 이 상태에서 압동을 해제하는 것으로, 로드(18)의 선단은 캠홈을 화살표 D와 같이 이동하여, 인장스프링(17)의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전술한 "제 1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트캠(19)은, 그 캠에 로드(18)를 통하여 연결되는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위치를, 제 1의 점(19a)에 대응하는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점(19c)에 대응하는 "제 2의 위치"로, 전환되어 지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트캠(19)을 이용한 푸시푸시식의 커넥터로 한 것에 의해, 일단 접속된 카드를 발탈하는 때에는, (1) 개구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있는 상태의 카드의 단부를 손가락으로 눌러 그 카드를 하우징 안측으로 향하여 약간 밀어넣고, 그 후에, (2) 배출되어 온 카드를 그 손가락으로 잡아 빼내는 바와 같은, 합리적인 방법을 채택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이젝트 버튼을 갖는 구성의 커넥터(예를 들면, 특허 제 3065310호 공보에 기재된 커넥터)에서의 경우에 비해, 대단히 간편하다. 즉, 이젝트 버튼식의 커넥터에서는, 접속되어 있는 카드를 빼내는 때에는, (1) 개구의 옆에 통상배설되어 있는 이젝트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조작(카드 이젝트조작)을 행하고 나서, (2) 카드의 단부를 잡고 빼내는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손가락을 이젝트 버튼과 카드의 상호 약간 떨어진 2개소에 위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푸시버튼식의 커넥터에서는, 카드 이젝트조작을 카드의 단부를 약간 손가락으로 밀어넣는 것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후에 카드 단부를 잡는 동작으로 신속히 이행할 수 있어, 손가락의 적은 움직임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스마트한 카드 발탈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술한 푸시푸시식의 커넥터에서는, 이젝트버튼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이젝트버튼 조립을 위한 공간도 불필요하므로, 공간절약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젝트버튼식의 커넥터에서는, 이 이젝트버튼의 존재에 의해, 커넥터 탑재기기측이 설계상의 제약을 받는 것으로 된다. 또한, 역으로, 사용자의 카드 발탈조작시 등의 간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넥터 탑재기기에 있어서의 이젝트버튼의 배치를 우선시키면, 커넥터의 설계상의 자유도가 그만큼 감소하고, 그와 같은 이젝트 버튼의 배치의 요청을 충족시키고자 하면 특별한 부품의 추가가 필요하게 되거나 커넥터의 점유면적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푸시푸시식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도 없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카드발탈방향 단부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카드 수용공간(31)으로 측방으로부터 돌입하는 계합부(16c)를 구성하고 있다. 이 계합부(16c)는 카드(2)의 일측 측면에 설치된절결부(도 1의 부호 26)에 걸어맞춤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카드(2)를 커넥터(1)로 삽입하여 그 삽입방향 단부가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압동부(16a)에 접촉한 때에, 상기 절결부(26)내에 계합부(16c)가 입입하도록, 그 위치관계가 정해져 있다.
또,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도부로부터 계합부(16c)로 향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탄성변형 가능한 스프링부(16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일측 측면에 면하여 형성된 상기 가이드벽(24)(가이드부)는 도 5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의 개구(6)측에 근접함에 따라 단차형상으로 깍여져, 이젝트 플레이트(16)와의 사이에 퇴피공간(S)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상기 "제 1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그 계합부(16c)나 스프링부(16d)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피공간(S)에 면하고 있으며, 이 때에는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16d)가 탄성변형하는 것에서, 계합부(16c)가 카드 수용공간(31)으로부터 측방으로 퇴피가능하다.
반면에,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상기 "제 2의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는, 그 계합부(16c)나 스프링부(16d)는 개구(6)로부터 떨어져 있는 결과,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벽(24)에 접촉하므로, 스프링부(16d)의 탄성변형의 여지는 없어, 계합부(16c)는 카드 수용공간(31)으로부터 퇴피할 수 없다.
또, 이 계합부(16c)의 형상은, 도 5a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개구(6)에 근접할수록 약간 예리한 각도로 카드 수용공간(31)으로 돌입시켜(a의 부분), 돌입량을 최대로 한 후, 약간 완만한 각도로 돌입량을 감소시켜 가는(b의 부분)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카드(2)를 삽입하는 때에는 b의 부분의 작용으로 계합부(16c)가 용이하게 퇴피하여 원활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16c)가 카드(2)의 절결부(26)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때에 그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카드(2)를 발탈하는 때에는, a의 부분의 작용에 의해 계합부(16c)의 퇴피를 위해 약간 큰 발취력이 필요하게 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카드(2)를 커넥터(1)에 접속하는 때의 모양을, 도 6a, 6b, 도 7c, 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는, 카드(2)가 전부 삽입되어 있지 않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때에는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위치는 개구(6)에 가까운측의 "제 1의 위치"로 되며, 이젝트 플레이트(16)의 계합부(16c)는, 카드 수용공간(3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6b에는, 카드(2)의 일부가 개구(6)로부터 카드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때 카드(2)의 측 가장자리는, 카드 수용공간(31)을 향하여 돌출하는 계합부(16c)에 대하여 맞접하지만,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의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부(16c)는 도 5a의 쇄선과 같이 퇴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계합부(16c)는 스프링부(16d)가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카드(2)의 측 가장자리에 의해 측방으로 밀리는 바와 같이 카드 수용공간(31)으로부터 퇴피하여, 카드(2)의 삽입의 방해로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2)의 삽입방향 단부가, "제 1의 위치"에 있는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압동부(16a)에 맞접하면, 그와 동시에 상기 계합부(16c)의 위치에 상기 카드(2)의 절결부(26)가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부(16d)의 복원력에 의해 계합부(16c)는 카드 수용공간(31)으로 재차 돌출하여, 절결부(26)에 대하여 걸어맞춤한다.
이 도 7c의 상태가 하프록상태이다. 즉, 도 7c의 상태에 있어서는 계합부(16c)와 절결부(26)가 걸어맞춤하고 있는 것에서, 개구(6)가 밑으로 되도록 커넥터(1)를 향하게 하거나, 혹은 카드(2)에 통상의 기기의 사용에 의해 생기는 정도의 진동이 가해져도, 카드(2)가 발탈하는 일은 없다. 한편,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제 1의 위치"로 되고, 계합부(16c)와 절결부(26)의 걸어맞춤은 스프링부(16d)의 탄성변형에 의해 해제할 수 있는 것에서, 스프링부(16d)의 스프링력을 상회하는 발취력을 카드(2)에 작용시키면, 카드(2)를 용이하게 발취할 수 있다.
도 7c의 상태에서 더욱 카드(2)가 압입되면, 카드(2)의 삽입방향 단부가,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압동부(16a)를 하우징(3)의 안측으로 밀어넣고, 이젝트 플레이트(16) 전체가 개구(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이 때, 이젝트 플레이트(16)의 계합부(16c)와 카드(2)의 절결부(26)의 걸어맞춤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압입되는 때, 그 이젝트 플레이트(16)에 연결된 로드(18)의 선단은, 하트캠(19)의 캠홈내를 제 1의 점(19a)으로부터 제 4의 화살표 A와 같이 이동하여 제 1굴곡점(19b)에 이르고, 카드(2)의 압입력을 해제함에 수반하여, 도 4의 화살표 B와 같이 이동하여 제 2의 점(19c)에 이르러 걸어고정된다.
이 결과,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2)의 면형상 전극부(5)가 입출력단자(9)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제 2의 위치"에서 전술한 하트캠(19)에 의해 지지된다. 이렇게 카드(2)의 접속이 완료된다.
그리고, 이 도 7d의 상태가 풀록상태이다. 즉, 도 7d의 상태에 있어서는 계합부(16c)와 카드(2)의 절결부(26)가 걸어맞춤하고 있으며, 또한,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제 2의 위치"에 있는 것에서, 계합부(16c)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가이드벽(24)에 의해 저지되고 있기 때문에, 절결부(26)와의 해당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다.
결국, 도 7d와 같이 카드(2)의 면형상 전극부(5)와 입출력단자(9)의 전기적 접속이 된 상태에서는, 계합부(16c)와 절결부(26)가 강고히(해제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결과, 카드의 과오에 의한 발취가 방지되며, 메모리카드의 기억내용의 해소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이젝트부재(16)가 하트캠기구(19)에 의해 "제 2의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것, (2) 이젝트부재(16)의 계합부(16c)와 카드(2)의 절결부(26)가 걸어맞춤하고, 해당 걸어맞춤의 해제가 가이드벽(24)에 의해 저지되고 있는 것에 의해, 풀록상태가 달성된다.
이것은 환언하면, 카드(2)의 풀록의 역활을, 이젝트부재(16)의 위치 전환을 위해 하트캠기구(19)에 겸하게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해당 구성은, 플록을 위한 부재를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점수의 증가의 문제점이 생기지않는 점에서 우수한 것이다.
다음에, 카드(2)를 커넥터(1)로부터 취출할 때의 모양을, 도 8e, 8f, 도 9g, 9h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e는 도 7d와 동일한 도면이며, 카드(2)의 면형상 전극부(5)가 입출력단자(9)에 접속되며, 풀록으로 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접속상태를 해제하는데에는, 사용자는 카드(2)를 약간의 스트로크만으로 압입하면 된다. 그러면,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카드(2)에 눌리고, 이젝트 플레이트(16)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18)의 선단이, 도 4의 제 2의 점(19c)으로부터 화살표 C에 따라 제 2굴곡점(19d)에 이른다. 그리고, 사용자의 카드(2)의 압입력의 해제에 수반하여,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인장스프링(17)의 인장력을 받아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로 이동한다(이 때, 로드(18)의 선단은 제 2의 굴곡점(19d)으로부터 화살표 D와 같이 제 1의 점(19a)으로 이동한다). 카드(2)는, 그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압동부(16a)에 의해 카드발탈방향으로 압출되며, 면형상 전극부(5)와 입출력단자(9)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한다. 이 상태가 도 8f이다.
또,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인장스프링(17)에 의해 인장되어 도 8e의 "제 2의 위치"로부터 도 8f의 제 1의 위치로 이동하고, 카드(2)가 압동부(16a)에 의해 눌려 이동하는 때에도, 이젝트 플레이트(16)의 계합부(16c)와 카드(2)의 절결부(26)의 걸어맞춤은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제 1의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하여 정지한 때에도, 카드(2)가 관성력에 의해 이젝트 플레이트(16)로부터 벗어나 개구(6)로부터 발탈하여 튀어나가는 것은 방지된다.
그리고, 이 도 8f의 상태가 하프록상태이다. 즉, 계합부(16c)와 절결부(26)가 걸어맞춤하고 있는 것에서, 개구(6)가 밑으로 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를 향하여도, 혹은 카드(2)에 통상의 기기의 사용에 의해 생기는 정도의 진동이 가해져도, 카드(2)가 발탈되는 일은 없다. 한편,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제 1의 위치"로 되며, 이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합부(16c)와 절결부(26)의 걸어맞춤은 스프링부(16d)의 탄성변형에 의해 해제할 수 있는 것에서, 스프링부(16d)의 스프링력을 상회는 발취력을 카드(2)에 작용시키면, 순서대로 도 8f, 도 9g, 도 9h와 같이 카드(2)를 용이하게 빼낼수가 있다.
이상에 제 1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제 2, 제 3의 실시형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부재의 소재로서는 금속소재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이젝트 플레이트(16)의 계합부(16c)의 위치는, 카드(2)의 절결부(26)의 위치가 변동함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가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카드 커넥터(11)이며, 하우징(3)의 일측의 벽면(가이드부)(24)에 따라, 이젝트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젝트부재(16)는 제 1실시형태와 달리 합성수지제(예를 들면, PBT, 6T나이론 등)로 이루어지며, 압동부(16a)와, 계합부(16c)와, 탄성변형할 수 있는 스프링부(16d)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측벽(24)은 단차상으로 삭입되어, 계합부(16c)를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퇴피시키기 위한 퇴피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젝트부재(16)에는, 상기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트캠기구나 인장스프링을 연결하고 있다. 이 결과, 이젝트부재(16)를, 하우징(3)의 개구(6)에 가까운측의 "제 1의 위치", 및, 개구(6)로부터 먼측의 "제 2의 위치"에, 전환하여 유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에 카드가 삽입되어 가는 모양이, 차례대로 도 10a, 10b, 10c, 10d로 나타난다. 이 때에 이젝트부재(16)가 이루는 작용은, 제 1실시형태와 같다. 도 10c의 상태가, 이젝트부재(16)가 "제 1의 위치"에 있어서 절결부(26)와 계합부(16c)가 걸어맞춤하고 있지만, 그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하프록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카드를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발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d의 상태가 카드와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이 때 이젝트부재(16)는 "제 2의 위치"로 되어, 측벽(24)에 의해 계합부(16c)가 퇴피할 수 없어 절결부(26)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는 풀록상태로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 3의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 2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하우징(3)의 바닥부(가이드부)(24)에 이젝트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젝트부재(16)의 계합부(16c)는, 카드 수용공간(31)에 대하여(측방으로부터는 아닌) 하방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카드의 바닥부측에 설치된 절결부(26)에 걸어맞춤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닥부(24)는 그 일부가 개구되고, 계합부(16)를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퇴피시키기 위한 퇴피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에 카드가 삽입되어 가는 모습이, 차례대로 도 11a, 11b, 11c, 11d에 나타나 있다. 이 때에 이젝트부재(16)가 이루는 작용은,제 1, 제 2실시형태와 완전히 같다. 11c의 상태가, 이젝트부재(16)가 "제 1의 위치"에 있어서 절결부(26)와 계합부(16c)가 걸어맞춤된 하프록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카드를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발취할 수가 있다. 도 11d의 상태가 카드와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이 때 이젝트부재(16)는 "제 2의 위치"로 되어, 계합부(16c)가 퇴피할 수 없어 절결부(26)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없는 풀록상태로 된다.
또, 제 2,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젝트부재(16)를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하는 것에서, 전술한 제 1실시형태에 비하여, 내구성의 면에서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즉, 제 1실시형태와 같이, 이젝트부재(16)의 계합부(16)를 금속제의 절곡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도 7(d)의 풀록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카드(2)를 무리하게 인장한 경우, 그 인장에 저항하여 계합부(16c)의 근원 부분이 강한 굴곡작용을 받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계합부(16c)가 소성변형하여 카드(2)가 빠지고 말 염려가 있다. 혹은, 카드(2)가 발취되지는 않는다 하여도, 계합부(16c)가 소성변형하여 찌부러지면, 카드 수용공간으로의 계합부(16c)의 돌입량이 감소하여, 도 7c의 하프록 상태에서의 카드(2)의 지지력이 저하되게 된다.
한편, 제 2,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젝트부재(16)의 계합부(16c)가 팽창된 두꺼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1d의 풀록 상태에 있어서 카드(2)에 무리한 인발력이 가해져도, 계합부(16c)의 근원부분이 극단적인 굴곡작용을 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그와 같은 무리한 인발력이 가해져도 그에 지지않는 강한힘을 갖고 카드를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젝트부재(16)가 용이하게 소성변형하는 일도 저지되는 것에서, 부품의 장수명화가 도모되어 장기간의 사용에도 견딜수 있다.
또, 상술한 효과는, 이젝트부재(16) 중 계합부(16c)의 부분만을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하고, 그밖의 부분(스프링부(16d)나 압동부(16a) 등)을 금속판재로 구성하여도, 같은 모양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또, 계합부를 두꺼운형상으로 형성하면, 하트캠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식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도, 상술한 이젝트부재의 내구성 향상의 효과는 같은 모양으로 발휘된다.
또, 전술한 제 1실시형태와 같이 이젝트부재(16)를 박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이드벽(24)의 형상을 도 12와 같이 하는 것에서, 풀록상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무리한 인장에 확실히 저항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할수가 있다.
즉, 이 도 12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젝트 플레이트(16)가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에, 그 계합부(16c)와 가이드벽(24) 사이에는 소량의 간격 g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그 계합부(16c)의 단부(16e)에 근접한 위치에, 가이드벽(24)에 규제부인 돌기(24a)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돌기(24)의 돌출량은 소량으로 하여, 통상의 카드의 착탈에 의해 이젝트부재(16)가 "제 1의 위치"와 제 2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때에는, 돌기(24a)와 계합부 단부(16e)가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2에는, 카드(2)가 삽입되고 전술한 풀록으로 된 상태가 나타나며, 이 때, 이젝트 플레이트(16)는 "제 2의 위치"에 하트캠 기구(1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화살표와 같이 카드(2)에 무리한 인장력이 잘못하여 가재진 경우에는, 절결부(26)의 내벽부분에 의해 계합부(16c)가 카드 발취방향으로 눌려, 계합부(16c)의 근원의 굴곡점의 부분(16f)이 탄성변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계합부(16c)는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하여,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소량 퇴피하여 그 돌출량을 감소시키고, 그 단부(16e)가 가이드벽(24)에 접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더욱 카드(2)가 인발되려고 하면, 계합부의 단부(16e)가 돌기(24a)의 측부에 맞접하여,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제 1의 위치"로의 이동을(전술한 하트캠기구(19)와 함께) 저지한다. 이 결과, 카드(2)의 잘못된 인발이 강고히 방지됨과 동시에, 계합부(16c)의 소성변형도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가이드벽에 규제부나 간격을 설치한 형상으로 하면, 하트캠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식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도, 상술한 이젝트부재의 계합부의 찌부러짐 방지, 및 카드의 무리한 인발의 대항력 향상의 효과는 마찬가지로 달성된다.
제 2,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젝트부재(16)를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트캠(19)의 캠홈을, 하우징(3)측에서가 아닌 이젝트부재(16)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전술한 로드(18)는, 그 일단을 하우징(3)측에 추지지하여 타단을 요동자유롭게한 후에, 그 타단이, 이젝트부재(16)에 설치된 캠홈에 삽입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로드(18) 전체가 변위하는 구성은 아니고, 캠홈에 들어있는 로드(18)의 상기 타단측만이 하트캠홈의 형성영역의 폭만큼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에서, 판스프링(20)에 의해 그 로드(18)의 타단을 캠홈으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가세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명확히 행할 수가 있고, 하트캠 기구(19)의 작용을 보다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가 있다.
이상 3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었지만, 이젝트 플레이트(16)의 압동부(16a)와 계합부(16c)나 스프링부(16d)를 일체 형성하지 않고, 별개체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관계없다. 예를 들면, 이젝트 플레이트 대신에,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하는 부분이 이미 알려진 슬라이더 등(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195546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 3083778호 공보에 개시된다)과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카드의 절결부에 걸어맞춤시키는 부분은 금속판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도록 하여도 된다.
또, 카드 배출을 위한 탄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은 인장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식의 스프링이라도 된다.
또한, 이젝트부재(16)의 압동부(16a)는, 상술한 제 2,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합성수지를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압동부(16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드(2)의 단부에 맞접하여 압동할 수 있는 것이면, 3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푸시푸시식의 간이한 조작성을해치는 일 없이, 경우에 따라 하프록·풀록의 2형태를 취하여 카드의 자연적인 발취, 튀어나옴이나 잘못된 인장발취를 저지할 수 있고, 그를 위한 구성도 간소하여 부품점수의 저감 및 컴팩트화에 적합하다.

Claims (5)

  1. 개구로부터 카드를 삽입시키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카드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카드의 삽탈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위치가, "제 1의 위치"와, 그 "제 1의 위치" 보다 상기 개구로부터 먼측에 있는 "제 2의 위치"로, 하트캠 기구에 의해 전환되는 이젝트부재와,
    상기 이젝트부재를 카드발취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상기 이젝트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압동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가 상기 압동부에 접촉하고 있는 때에, 카드 수용공간으로 돌출하여 그 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에 걸어맞춤하는, 계합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절결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이젝트부재가 "제 1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허용하고, 이젝트부재가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는 카드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와 상기 스프링부가, 이젝트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부재가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4. 개구로부터 카드를 삽입시키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카드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카드의 삽탈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위치가, "제 1의 위치"와, 그 제 1의 위치" 보다 상기 개구로부터 먼측에 있는 "제 2의 위치"로, 전환되는 이젝트부재와,
    상기 이젝트부재를 카드 발취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상기 이젝트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압동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가 상기 압동부에 접촉하고 있는 때에, 카드 수용공간으로 돌출하여 그 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에 걸어맞춤하는, 계합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절결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이젝트부재가 "제 1의 위치"인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허용하고, 이젝트부재가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이젝트부재는, 적어도 그 계합부가 합성수지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계합부는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5. 개구로부터 카드를 삽입시키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카드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카드의 삽탈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위치가, "제 1의 위치"와, 그 "제 1의 위치" 보다 상기 개구로부터 먼측에 있는 "제 2의 위치"로, 전환되는 이젝트부재와,
    상기 이젝트부재를 카드 발취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상기 이젝트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에 맞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압동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 단부가 상기 압동부에 접촉하고 있는 때에, 카드 수용공간으로 돌출하여 그 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에 걸어맞춤하는, 계합부와,
    상기 이젝트부재에 설치되며,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절결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이젝트부재가 "제 1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허용하고, 이젝트부재가 " 제 2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계합부의 카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퇴피를 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커넥터에 카드가 접속되어 이젝트부재가 " 제 2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때에 그 카드에 발취력이 가해진 경우에, 카드의 상기 절결부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의 돌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가이드부에는, "제 2의 위치"에 있는 이젝트부재의 상기 계합부가 카드 수용공간으로의 돌출량을 감소시킨 때에, 그 이젝트부재의 "제 1의 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할 수 있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030003180A 2002-01-18 2003-01-17 카드 커넥터 KR100962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9554 2002-01-18
JP2002009554A JP3861121B2 (ja) 2002-01-18 2002-01-18 カード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72A true KR20030063172A (ko) 2003-07-28
KR100962861B1 KR100962861B1 (ko) 2010-06-10

Family

ID=1919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180A KR100962861B1 (ko) 2002-01-18 2003-01-17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773280B2 (ko)
JP (1) JP3861121B2 (ko)
KR (1) KR100962861B1 (ko)
CN (1) CN100492779C (ko)
TW (1) TW57598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24B1 (ko) * 2008-08-12 2008-12-10 김동준 카드리더기 소켓의 아이씨카드 취출장치
KR200465571Y1 (ko) * 2012-07-16 2013-02-2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카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2040A1 (en) * 2001-06-29 2004-12-02 Junichi Miyazawa Card connector with locking device
US6981885B2 (en) * 2001-12-11 2006-01-03 Molex Incorporated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JP3861121B2 (ja) 2002-01-18 2006-1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573766U (en) * 2003-06-24 2004-01-21 Benq Corp A cushion for absorbing the shock during withdrawing a card
AR049674A1 (es) * 2003-08-08 2006-08-30 Seiko Epson Corp Recipiente contenedor de liquido a suministrar a un aparato de consumo de dicho liquido
WO2005034295A1 (ja) * 2003-10-06 2005-04-14 Nintendo Co.,Ltd. カードコネクタ
JP3946717B2 (ja) * 2004-07-29 2007-07-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ラッチ装置
JP2006190612A (ja) * 2005-01-07 2006-07-20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ードコネクタ
TW200627724A (en) * 2005-01-24 2006-08-01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Metallic sliding slot structur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TWM275588U (en) * 2005-03-16 2005-09-11 Ta-Yu Chen Ejection device
JP2006309967A (ja) 2005-04-26 2006-11-09 Advanex Inc スライダーユニット及びカードコネクタ
TWI284628B (en) * 2005-07-01 2007-08-01 Ind Tech Res Inst Method of fabricating a microconnector and shape of a terminal of the microconnector
US7175452B1 (en) * 2005-09-23 2007-02-13 Itw Tech.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US7097512B1 (en) * 2005-11-07 2006-08-29 Chip Hope Co., Ltd. Mini memory card adapter
TWM303525U (en) * 2006-04-24 2006-1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335909B2 (ja) * 2006-12-27 2009-09-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US7357655B1 (en) * 2006-12-28 2008-04-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226051B1 (ja) 2007-11-30 2009-0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72718B2 (ja) 2007-11-30 2011-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997914B2 (en) * 2008-06-11 2011-08-16 Google Inc. Push-to-insert, push-to-eject and pull-to-extract card connector
KR20100030126A (ko) * 2008-09-09 201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1714723B (zh) * 2008-09-30 2013-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D794642S1 (en) * 2009-01-07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USD795261S1 (en) * 2009-01-07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USD794641S1 (en) * 2009-01-07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USD794643S1 (en) * 2009-01-07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USD795262S1 (en) * 2009-01-07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USD794034S1 (en) * 2009-01-07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USD794644S1 (en) * 2009-01-07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CN101834364B (zh) * 2009-03-13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半导体芯片切换结构
TWM370233U (en) * 2009-05-12 2009-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01440518U (zh) * 2009-06-18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8469280B2 (en) 2009-10-22 2013-06-25 Intellipaper, Llc Programming devices and programming methods
US8523071B2 (en) 2009-10-22 2013-09-03 Intellipaper, Llc Electronic assemblies and methods of forming electronic assemblies
US8469271B2 (en) 2009-10-22 2013-06-25 Intellipaper, Llc Electronic storage devices, programming method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s
TWM388754U (en) * 2010-03-01 2010-09-1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WO2011127183A2 (en) 2010-04-07 2011-10-13 Intellipaper , Llc Memomy programming methods and memory programming devices
JP5176246B2 (ja) * 2010-04-27 2013-04-03 Smk株式会社 戻り防止機構付プッシュプッシュ式コネクタ
US9024486B2 (en) * 2010-08-20 2015-05-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daptable automation control module with integrated power bus distributor
USD666201S1 (en) * 2011-11-23 2012-08-28 Digital Hard Copy Digital storage medium
CN103579540A (zh) * 2012-08-06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盖体锁持装置及应用该盖体锁持装置的电子装置
CN103022807B (zh) * 2012-12-12 2015-05-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弹式端口固定装置
JP5852056B2 (ja) * 2013-06-28 2016-02-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US10032094B2 (en) * 2014-12-16 2018-07-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ata card guide to improve user experience
US10763907B2 (en) 2016-04-21 2020-09-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rd holder apparatus for installing phone card
US11229271B2 (en) 2016-08-09 2022-01-25 Koninklijke Philips N.V. Locking mechanism with push- and pull-to-release function and device comprising such locking mechanism
AU2017434549B2 (en) * 2017-09-28 2022-01-06 Oxford Nanopore Technologies Plc Kit of first and second parts adapted for connection to each oth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284Y2 (ja) 1987-05-15 1994-11-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装着装置
DE3924044A1 (de) 1989-07-21 1991-01-24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hinterschneidung in einem bohrloch
US5811927A (en) 1996-06-21 1998-09-22 Motorola, Inc. Method for affixing spacers within a flat panel display
JP3083778B2 (ja) 1997-03-10 2000-09-0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H1126084A (ja) * 1997-06-30 1999-01-29 Amp Japan Ltd カードコネクタ
TW369224U (en) * 1997-10-27 1999-09-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3248068B2 (ja) 1997-10-27 2002-01-21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265375B2 (ja) 1997-11-17 2002-03-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07194B2 (ja) 1999-03-11 2003-05-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プッシュ式カードコネクタ
JP3065310B1 (ja) * 1999-03-19 2000-07-17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ドの接続機構におけるロックアンドロック解除機構
JP3403130B2 (ja) 1999-10-15 2003-05-06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318360B2 (ja) * 1999-12-27 2009-08-19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338415B2 (ja) * 1999-12-28 2002-10-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29267B2 (ja) * 2000-04-12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365989B2 (ja) 2000-05-16 2009-11-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1351735A (ja) * 2000-06-08 2001-12-21 Hirose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TW468872U (en) * 2000-06-17 2001-1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O2002007269A2 (en) * 2000-06-29 2002-01-24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JP4714964B2 (ja) 2000-06-30 2011-07-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3429266B2 (ja) 2000-10-19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532849B2 (ja) 2000-11-22 2004-05-31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の接触及び解除機構
JP2002313485A (ja) 2001-04-17 2002-10-25 Kel Corp カード用コネクタ
US6572392B2 (en) * 2001-06-19 2003-06-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Push-push type card connector comprising a cam mechanism using a generally heart-shaped cam groove
US6478592B1 (en) * 2001-10-29 2002-11-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rd ejecting mechanism for CF card connector
JP3861121B2 (ja) 2002-01-18 2006-1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555250U (en) * 2002-07-18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FR2852448B1 (fr) * 2003-03-10 2006-01-20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pour une carte a circuit(s) integre(s) comportant un chariot porte-carte integre
TWI280704B (en) * 2004-06-18 2007-05-0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24B1 (ko) * 2008-08-12 2008-12-10 김동준 카드리더기 소켓의 아이씨카드 취출장치
KR200465571Y1 (ko) * 2012-07-16 2013-02-2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17738A (ja) 2003-07-31
TW575981B (en) 2004-02-11
US6773280B2 (en) 2004-08-10
JP3861121B2 (ja) 2006-12-20
CN1433112A (zh) 2003-07-30
KR100962861B1 (ko) 2010-06-10
TW200302605A (en) 2003-08-01
USRE40899E1 (en) 2009-09-01
CN100492779C (zh) 2009-05-27
US20030139077A1 (en) 200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861B1 (ko) 카드 커넥터
US7575452B2 (en) Slider unit and card connector
EP1355260B1 (en) Card connector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 card to mounting position
JP4006408B2 (ja) カード用複合コネクタ
CN1934579B (zh) 存储卡连接器
JP3431608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0414847B1 (ko) 배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KR20010111452A (ko) 카드용 커넥터
JP2007234472A (ja) カードコネクタ
US6934159B2 (en) Card connector
KR20080031797A (ko) 카드 커넥터
JP4365989B2 (ja)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US6890198B2 (en) Card connector device having detecting switch for detecting mounting of card
US792711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O2005093910A1 (ja) スライダーユニット及びカードコネクタ
US20050282440A1 (en) Card connector
JP422686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7287438A (ja) カードコネクタ
TWI250695B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over-running protection
US8303321B1 (en) Card connector anti-misinserting a micro SD card
US20110212636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stop member for preventing card from flying off during ejecting
KR100566625B1 (ko) 카드커넥터
JP3965282B2 (ja)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コネクタ
JP2006294636A (ja) カードコネクタ
JP6015473B2 (ja) 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