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707A - 반사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 Google Patents

반사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707A
KR20030045707A KR1020030024086A KR20030024086A KR20030045707A KR 20030045707 A KR20030045707 A KR 20030045707A KR 1020030024086 A KR1020030024086 A KR 1020030024086A KR 20030024086 A KR20030024086 A KR 20030024086A KR 20030045707 A KR20030045707 A KR 2003004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etroreflective plat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668B1 (ko
Inventor
미노우라기요시
우에끼순
도미까와마사히꼬
사꼬데이유
오까모또마사유끼
미쯔이세이이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Abstract

반사형 표시 장치는,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상태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각 기판 사이에 협지된 스위칭층과, 상기 스위칭층으로부터 입사광을 상기 입사광과 평행하게 되도록 반사하여 출사하는 재귀성 반사판을 갖는다. 상기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를 0㎜보다 크고, 5㎜ 이하로 설정한다. 상기 재귀성 반사판은 코너 큐브 어레이이며, 각 최소 단위 구조의 경계선 상에 광 흡수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백 표시의 명도를 높게, 또한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RETRO-REFLECTOR USED FOR REFLECTIV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이 불필요하고, 백 표시의 명도가 높으며, 또한, 콘트라스트비가 높은, 보기 쉬운 다색 표시 가능한 반사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박형, 경량 등의 특징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로서, 액정 표시 장치가 수많이 이용되고 있다. 컬러 액정 표시 장치로서, 특히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배부(背部) 측에 광원을 이용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투과형액정 표시 장치는 각종 분야에 용도를 확대시켜 이용되고 있다.
상기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다른 표시 방식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자연광이나 주위광)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여 표시에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을 백 라이트의 대체로 하기 때문에 백 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백 라이트용 전력이 삭감 가능하며, 또한, 백 라이트의 스페이스나 중량을 절약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즉, 표시 장치 전체로서 소비 전력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소형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경량 박형을 목적으로 하는 기기에 적합하다. 또한, 기기의 크기 또는 중량을 동일하게 하도록 제작하면, 대형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동작 시간의 비약적인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면의 콘트라스트 특성의 면으로부터도, 다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우위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CRT 등의 발광형 표시 장치에서는 대낮의 옥외에서 대폭적인 콘트라스트비의 저하가 보여진다. 또한, 저 반사 처리가 실시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직사 일광 아래 등의 주위광이 표시광에 비교하여 매우 강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대폭적인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회피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주위 광량에 비례한 표시광이 얻어지으므로, 상기한 이유에 의한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어, 따라서, 휴대 정보 단말 기기나 디지털 카메라, 휴대 비디오 카메라 등의 옥외에서의 사용 시에는,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유망한 응용 분야를 지니면서, 현재까지 충분한 실용성을 갖는 반사형 컬러 액정 표시 장치는 얻을 수 없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반사형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충분한 콘트라스트비나 반사율, 풀컬러화, 고정밀 표시나 동화상으로의 대응 등의 성능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이하,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 편광판을 두 장 혹은 한 장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선광성(旋光性)을 제어하여 표시를 행하는 트위스티드 네마틱 모드(이하, 「TN 모드」라고 함),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복굴절을 제어하여 표시를 행하는 복굴절 모드(이하, 「ECB 모드」라고 함), 또는, TN 모드와 ECB 모드를 조합한 믹스 모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편광판을 생략한 방식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방식에서는, 염료를 액정에 첨가한 게스트 호스트형 액정 소자가 개발되어 왔지만, 이색성 염료를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부족하고, 또한, 염료의 2색성 비가 낮기 때문에, 높은 콘트라스트비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콘트라스트의 부족은 컬러 필터를 이용하는 컬러 표시에 있어서는, 색 순도를 대폭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부족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색 순도가 높은 컬러 필터와 조합할 필요가 있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색 순도가 높은 컬러 필터를 이용한 경우, 그 때문에 명도가 저하하여 편광판을 생략함으로써, 상기 방식의 고명도(高明度)라고 하는 이점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편광판이나 염료를 이용하지 않고 고명도, 고콘트라스트 표시의 기대를 할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또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방식의 액정 표시 소자의 개발이 이루어져 있다. 이들 방식은, 액정층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액정층이 광학적으로 투과 상태와 산란 상태 사이에서, 혹은 투과 상태와 반사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방식은 편광판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식은 색의 관점으로부터 평가를 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TN 모드나 ECB 모드와 비교하여 파장 의존성이 작은 것, 또한, 편광판 자체의 흡수프로파일, 즉, 편광판이 청색의 광을 흡수하고, 상기 편광판을 통과한 광이 황색 빛을 띤다고 하는 문제점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양호한 백 표시가 실현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방식의 일례가, 특개평3-186816호 공보(공개일 1991년 8월 14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의 액정 표시 장치는 흑색 기판 상에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배치하고, 전압 무인가 시에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이 산란 상태로 되어,백탁(白濁)함에 따른 백 표시를 제공하며, 전압 인가 시에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이 투과 상태로 되어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흑색 기판이 보여 흑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흑백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USP3,905,682호 공보(발행일 1975년 9월 16일)에는, 광 산란형 액정을 이용한 광 변조층과 재귀성 반사판으로 구성되는 액정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특개소54-105998호 공보(공개일 1979년 8월 20일)에는, 광산란형 액정 혹은 게스트호스트 액정을 이용한 광 변조층과 루버와 재귀성 반사체로 구성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USP5,182,663호 공보(발행일 1993년 1월 26일)에는 광산란형 액정을 이용한 광 변조층과 코너 큐브 어레이로 구성되는 액정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개평3-186816호 공보에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백 표시에 있어서, 고분자 분산형 액정으로부터 후방으로 산란되는 광밖에 백 표시에 관여하지 않고, 전방에 산란되는 광은 전부 흑색 기판에 흡수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광의 이용 효율은 현저히 저하된다.
USP3,905,682호 공보에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흑 표시 시에는 액정층이 투과 상태 시에 실현된다. 재귀성 반사에 의한 흑 표시의 표시 품위는, 재귀성에 의존하며,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사이즈가 강하게 영향을 주지만, 이 특허에 있어서는, 흑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메카니즘이나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사이즈에 대해서도 기재가 없다.
또한, 그 특허에서 개시되어 있는 재귀성 반사판의 실시 형태는 코너 큐브 어레이 및 미소구(微少球) 어레이를 이용한 재귀성 반사판이지만, 어느 것이나 재귀성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충분한 흑 표시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충분한 재귀성을 갖는 재귀성 반사판의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표시면 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 흑 표시의 품위가 열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특개소54-105998호 공보에 개시된 반사 형식 액정 표시 장치는, 재귀성 반사판의 전면, 관찰자측에, 흡수 부위를 설치한 루버를 배치하고, 관찰자 위치로부터 그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광선은 루버에 의해 재귀성 반사판이 덮여 숨겨져 있기 때문에, 입사광은 전부 루버의 흡수 부위에서 흡수되어 양호한 흑 표시를 실현하며, 광원 위치로부터 그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광선은 루버를 통과하여 직접 재귀성 반사판에 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공보에서도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사이즈나 흑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메카니즘이 기재되어 있지 않고, 또한, 흑 표시에 대해서는 상기 USP3,905,682호 공보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만, 루버에 설치된 흡수 부위가 차지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백 표시의 밝기를 손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각 구성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와 컬러 필터의 피치와의 관계에 대하여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컬러 필터를 구비한 구성의 경우,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입사광과 출사광이 상호 다른 컬러 필터를 통과하는 결과,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된다.
또한, 상기한 각 문제는,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반사형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백 표시의 명도가 높고, 또한, 콘트라스트비가 높은, 보기 쉬운 다색 표시 가능한 반사형 표시 장치이며,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반사형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제1 및 제2 형태에서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각 형태에서 이용한 재귀성 반사판에 입사하는 광의 광선의 경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2a는 관찰자의 눈의 근방으로부터의 입사광이 재귀성 반사판을 구성하는 코너 큐브로 반사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b는 도 2a 에 있어서, 상기 코너 큐브로의 입사광의 범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c는 재귀성 반사판으로서 미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상기 미소구로의 입사광의 범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각 형태에서 이용한 코너 큐브 어레이의 최소 단위 구조(코너 큐브)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사시도, 도 3의 (b)는 도 3 의 (a)에 도시한 법선 방향 ①로부터의 평면도, 도 3의 (c)는 도 3의 (a)에 도시한 측면 방향 ②로부터의 측면도, 도 3의 (d)는 도 3의 (a)에 도시한 정면 방향 ③으로부터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5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비교예 2로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각 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반사율에 관한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f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코너 큐브의 형상을 한 오목부를 구비한 재귀성 반사판의 각 제작 프로세스를 각각 나타내는 각 개략 단면도.
도 8a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너 큐브 형상을 구비한 샘플 A의 제작 시에 이용한 포토마스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b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너 큐브 형상을 구비한 샘플 C의 제작 시에 이용한 포토마스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각 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측정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10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와 흑 표시 시의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상기 관찰자의 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비교를 위해 재귀성 반사판의 정점이나 근처에 대응하는, 차광부를 생략하였을 때의 재귀성 반사판의 설명도이며, 도 12a는 사시도, 도 12b는 평면도.
도 13은 상기 재귀성 반사판의 정점이나 근처에 대응하여 차광부를 설치하였을 때의 설명도이며, 도 13a는 사시도, 도 13b는 평면도.
도 14는 비교를 위해, 재귀성 반사판의 정점이나 근처에 대응하는, 차광부를 생략하였을 때의 재귀성 반사판의 설명도이며, 도 14a는 사시도, 도 14b는 평면도.
도 15는 재귀성 반사판의 정점이나 근처에 대응하여 차광부를 설치하였을 때의 상기 재귀성 반사판의 설명도이며, 도 15a는 사시도, 도 15b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17은 비교를 위한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18은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예이며,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에 비드가 이용된 구성의 구조 단면도.
도 19는 비교를 위한 다른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20은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변형예이며, 재귀성 반사판보다도 입사측에 렌즈 시트가 설치된 구성의 구조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구성도.
도 22는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조 단면도.
도 23은 비교를 위한, 또 다른 종래의 반사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24는 상기 제3 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 흡수층으로서 컬러 필터층이 이용된 구성의 구조 단면도.
도 25는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흑 표시의 반사율의 극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사형 표시 장치의 구조 단면도.
도 27a 내지 도 27e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성 반사판의 각 제조 프로세스를 각각 나타내는 각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설명〉
1 : 액정층
2, 3 : 각 수평배향막
4, 5 : 각 전극
6 : 입사측 기판
7 : 반사측 기판
8 : 재귀성 반사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표시 장치는,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제1 상태와 입사광의 진행 상태가 변하는 제2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칭층과, 스위칭층에서의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지니고, 스위칭층이 제1 상태일 때, 반사 수단은 관측자의 검은자위의 상이 반사되어, 관측자가 상기 검은자위의 상을 인식함으로써 흑 표시를 실현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반사형 표시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상태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층과, 반사 수단으로서의 재귀성 반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0㎜보다 크고,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반사형 표시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상태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층과, 반사 수단으로서의 재귀성 반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관찰자에 있어서의 검은자위(각막)의 직경의 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설정함으로써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영향에 의한 흑 표시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구성에서는 백 표시의 명도를 높게, 또한,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반사형 표시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상태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층과, 각 화소에 대응하여 형성된 각 컬러 필터부와, 반사 수단으로서의 재귀성 반사판을 구비하고, 그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그 컬러 필터부의 피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그 컬러 필터부의 피치 이하에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컬러 필터부를 통과하여 재귀성 반사판에 입사한 광은 재귀성 반사판에 의한 반사에 의해 다시 동일 컬러 필터부를 통과하여 출사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서는, 입사광과 출사광이 상호 다른 컬러 필터부를 통과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없고,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컬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재귀성 반사판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사광과 평행하게 되도록 출사광을 반사하는 재귀성 반사부가, 상호 인접하여 복수 설치되고, 각 재귀성 반사부의 경계부에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광 흡수면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성을 반사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 상기 반사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흑 표시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반사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 표시의 명도를 크게, 또한,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란, 예를 들면, 코너 큐브 어레이 타입의 재귀성 반사판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코너 큐브(최소 단위 구조)의 대응하는 위치 사이(예를 들면, 코너 큐브 어레이의 정점과 정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말하며, 비드(미소구) 어레이 타입의 재귀성 반사판의 경우에는, 인접하는 비드의 대응하는 위치 사이(예를 들면, 비드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또한, 「컬러 필터부의 피치」란, 예를 들면, R(적), G(녹), B(청)의 각 컬러 필터부가 임의의 배열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각 인접하는 컬러 필터부의 대응하는 위치 사이(예를 들면, 각 컬러 필터부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기재한 것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각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각 형태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반사형 표시 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층(스위칭층: 1)이 입사측 기판(6)과, 그것에 대향하는 측의 반사측 기판(7)에 따라 협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사측 기판(6)은 각각, 투명한 (광 투과성을 갖는) 유리판이나 고분자 필름 등의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반사측 기판(7)은 유리판이나 고분자 필름 등의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상기 반사측 기판(7) 상에는, 재귀성 반사판(반사 수단: 8)이 그 반사광을 입사측 기판(6)을 향해 출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재귀성 반사판(8)은 관측자의 검은자위의 상이 반사되어, 관측자의 검은자위의 상을 인식함으로써 흑 표시를 실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재귀성 반사판(8)으로서는, 입사측 기판(6) 측으로부터 상기 재귀성 반사판(8)에 대하여 입사한 입사광을 반사하여 반사광으로서 출사할 때, 상기 입사광과 대략 평행(대략 역평행)이 되도록 반사광을 반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실시의 각 형태에서 이용한 재귀성 반사판(8)은 아크릴 수지를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성형하고, 반사면에 은을 2000Å 증착시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의 첨가에 의해 흑색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입사측 기판(6)과 반사측 기판(7)은 각각 액정층(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각 전극(4, 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전극(4, 5)은 각 화소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각 전극(4, 5)은 액정층(1)의 각 화소에 대하여 표시 화상에 따른 각 전압을 각각 인가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4, 5)으로의 전압 인가 수단으로서, 능동 소자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전압 인가 수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어떠한 전압 인가 수단을 이용하여도 본 발명이 영향 받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각 전극(4, 5)에 있어서의 액정층(1)에의 대향 면상에는, 각 수평 배향막(2, 3)이 액정층(1)과 접촉하도록 도포되어 있다. 상기 각 수평 배향막(2, 3)에 의해서, 액정층(1)이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수평 배향 상태를 실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의 각 형태의 경우, 수평 배향막을 이용하였지만, 배향막의 종류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의 각 형태에서는, 액정층(1)에는 광산란형 액정의 일례로서,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이용하였다. 그 고분자 분산형 액정은 저분자 액정 조성물과, 중합하지 않은 프리 폴리머를 균일하게 용해시킨 혼합물(프리 폴리머 액정 혼합물)을 기판 사이에 배치하여 프리 폴리머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상세하게는, 자외선으로 경화하는 액정성의 프리 폴리머와, 액정 조성물(Merck & Co.,Inc 제조-상품명 TL213, Δn= 0.238)을, 20:80의 중량비로써 혼합시킨 혼합물에, 또한, 소량의 중합 개시제(Chibageigy사 제조-상품명 Irgacure 651)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제조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가열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부재에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설명하는, 어느 하나의 스위칭층을 액정층(1)에 이용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스위칭층으로서는 입사광을, 그 진행 방향을 유지하여 통과시키는 (입사광이 굴절하여 통과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투과 상태(제1 상태)와, 입사광의 진행 방향을 바꾸는, 즉, 적어도 산란 작용을 갖는 상태(제2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광산란형 액정으로서, 네마틱-콜레스테릭 상전이형 액정, 홀로그래픽 기능이나 회절 기능을 갖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액정 겔 등을 들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모드는 액정의 도메인 사이즈나 나선축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투과 상태와, 산란성이 부여된 반사 상태에서 스위칭하도록 된다. 홀로그래픽 기능을 갖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의 경우, 예를 들면, 프리폴리머 액정 혼합물에 산란광을 조사하여 고분자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가 있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기능을 갖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의 모드는 투과 상태와, 산란성이 부여된 반사 상태에서 스위칭하도록 된다.
여기서, 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의 원리를 설명한다. 우선, 백 표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압 인가 시, 액정층(1)의 각 액정 분자(1a)가 전계의 방향으로 향하고, 고분자의 액정기(1b)는 방향을 바꾸지 않기 때문에, 양자간에서 굴절율이 비정합을 일으켜 액정층(1)은 산란 상태로 되어 있다. 산란 상태의 액정층(1)에 입사광이 입사하면, 액정층(1)을 투과하는 직진광 및 전방 산란된 광은 재귀성 반사판(8)으로 반사된 후, 다시 산란 상태의 액정층(1)을 통함으로써 산란 작용을 받으므로, 후방 산란된 광만이 아니라, 많은 광이 관찰 방향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효율이 나쁜 후방 산란뿐만 아니라, 액정층(1)을 투과하는 직진광 및 전방 산란된 광을 이용함으로써, 매우 명도가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액정 분자(1a)는 고분자의 액정기(1b)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흑 표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압 무인가 시, 액정층(1)의각 액정 분자(1a)가 고분자의 액정기(1b)와 동일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액정층(1)은 투과 상태로 되어 있다. 표시를 관찰하고 있는 관찰자의 눈에 입사해 오는 광원을 찾아 가면, 기판(6)이나 액정층(1) 등에 의해 굴절 작용을 받아 재귀성 반사판(8)에 의해 재귀되고, 마찬가지로 기판(6)이나 액정층(1) 등에 의해 굴절 작용을 받아 최종적으로 관찰자의 눈의 근방에 도달된다.
즉, 관찰자의 눈의 근방에서의 입사광(10) 만이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출사광(11)으로 된다. 여기서, 상기 관찰자의 눈의 근방에서의 영역이, 광원이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좁은 영역이면, 눈썹이나 흰자위 등은 간접 광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검은자위보다도 좁은 영역이면 흑 표시가 실현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다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복수 제작하여, 흑 표시를 눈으로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코너 큐브 어레이, 혹은 미소구 어레이, 혹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재귀성 반사판이며, 또한, 그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0.5㎜, 5㎜, 10㎜, 25㎜의 12 종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각각 제작하였다.
결과는, 코너 큐브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재귀성 반사판, 미소구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재귀성 반사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재귀성 반사판 모두, 피치가 0.5㎜, 5㎜의 것이 양호한 흑 상태를 실현하였다. 피치가 10㎜, 25㎜의 것은, 재귀성 반사판에 흰자위(강막 부분)가 반사되어 흑 표시가 지나치게 밝게 되는결과로 되었다.
이 결과에 관하여, 도 2에 의해 고찰을 행한다. 관찰자가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중심 부근을 관찰하고 있을 때는, 관찰되는 광의 광원의 위치는 관찰자의 눈의 매우 근방으로 된다. 즉, 이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자의 눈의 매우 근방으로부터 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광(10)이 재귀성 반사판으로 반사되어, 관찰자는 출사광(11)을 관찰하게 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자가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상단 부근을 관찰하고 있을 때는, 관찰되는 광의 광원의 위치는 관찰자의 눈의 하측으로 된다. 즉, 이 경우에는, 관찰자의 눈의 하측으로부터 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광(12)이 재귀성 반사판에 반사되고, 그 반사광인 출사광(13)을 관찰자는 관찰하게 된다. 이 때,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크면, 그 크기에 따라 하측의 흰자위를 관찰하게 된다.
또한, 관찰자가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하단 부근을 관찰하고 있을 때는, 관찰되는 광의 광원의 위치는 관찰자의 눈의 상측으로 된다. 즉, 이 경우에는, 관찰자의 눈의 상측으로부터 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광(14)이 재귀성 반사판에 반사되고, 그 반사광인 출사광(15)을 관찰자는 관찰하게 된다. 이 때,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가 크면, 그 크기에 따라서 상측의 흰자위를 관찰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에 투영하는 상은,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 16의 2배의 길이 17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상으로 된다. 즉, 양호한 흑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 16의 2배의 길이 17로 이루어지는 면 내의 상을 검은자위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검은자위의 크기(직경)을 1O㎜ 정도[Yasumasa Okuzawa 지음, "눈의 사전(Encyclopedia of the eye)", Higashiyama Shobo]라고 생각하면,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 16은 5㎜ 이하여만 된다고 생각된다. 이 고찰은 본 실시 형태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상에 의해, 재귀성 반사판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 16은 5㎜ 이하여만 된다는 것을 알았다.
또, 도 2c에는,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에 비드(미소구)를 이용한 구성이 도시되지만,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구성에 있어서도, 관찰자와 재귀성 반사판(8)으로부터의 반사광과의 관계는, 도 2b에 도시되는 코너 큐브 어레이 형상의 재귀성 반사판(8)을 이용한 구성와 마찬가지이다.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에 비드(미소구)를 이용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자 등은, 새롭게,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상기 측정 시스템에서는 수광기(23), 측정대(34) 및 투광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정대(34)는 그 상면인 측정면(34a)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광부(36)는 상기 측정면(34a)을 반구형으로 덮고, 투광부(36)로부터의 투광이 반구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같은 휘도로, 상기 반구의 중심 위치에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구의 반경은 8㎝로 하고 있다.
상기 수광기(23)는 그 수광극 각이 바뀌도록 되어 있다. 수광극 각이란, 상기 반구의 중심 위치로부터, 측정면(34a)의 법선 방향과, 수광기(23)가 설치된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며, 도 6에서는 θ로 표시되어 있다. 수광기(23)에서 수광하는 범위의 직경은 1㎝이다.
이러한 측정면(34a)의 반구의 중심 위치에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31)가, 최소 단위 구조(31)의 법선 방향을 측정면(34a)의 법선 방향과 맞추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법선 방향이란 최소 단위 구조(31)의 각 정점을 연결하는 가상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수광기(23)는 수광하는 광로 방향이, 상기 반구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측정면(34a)의 법선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광기(23)의 시각 30은 피 측정물인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31)를 정확하게 커버하도록 미세 조절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이 때, 동일 위치에 완전 확산 반사판을 배치했을 때의 완전 확산 반사판의 반사율을 100%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용한 최소 단위 구조(31)의 피치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 각각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한 결과에 의해 양호한 흑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최소 단위 구조(31)의 피치 16은 5㎜ 이하여만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여기서, 검은 자위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따르면, 검은 자위의 범위 내에는 동공 및 홍채가 존재한다. 홍채의 색(반사광)은 인종에 따라 달라, 동양인 등은 흑색으로 되어 있으며, 서양인 등은 착색되어 있다. 동공은 투명하기 때문에 동공의 색(반사광)은 망막 등의 내부 기관의 색(반사광)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동공은, 실질적으로는 흑색을 나타낸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즉, 동공은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는 조리개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관찰자가 디스플레이를 관찰하고 있는 한(광원을 관찰하지 않는 한), 망막 등의 내부 기관의 반사는 작아, 따라서, 동공은 흑색을 나타낸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이상에 의해, 홍채의 색도 포함시켜 상기와 마찬가지의 의론을 행하면,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는 동공의 크기 (직경) 2㎜ 정도[Yasumasa Okuzawa 지음, "눈의 사전(Encyclopedia of the eye)" 중 의문·질문의 란 Higashiyama Shobo]의 반 이하, 즉 1㎜ 이하인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코너 큐브 어레이로 구성되는 재귀성 반사판(8)을 이용하여, 또한, 상기 재귀성 반사판(8)을 생략하여 제작한 각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반사율 및 콘트라스트의 측정을 행하였다. 상기 각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로서, 이하의 5 종류가 상이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각각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제1 장치는 재귀성 반사판(8)을 구성하는 코너 큐브 어레이에 대하여, 도 3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코너 큐브 어레이의 최소 단위 구조를 구성하는 면의 일부[예를 들면 각 최소 단위 구조의 경계선인 능선(8c) 상]에, 판형의 광 흡수면부(18)가 제작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9: 도 1에 도시한 구조)이다. 이것을 샘플 A라 칭한다. 구체적인 제작 방법은 후술한다. 상기 광 흡수면부(18)를 갖는 반사형액정 표시 장치(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흑 표시의 품위를 향상시켜, 콘트라스트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장치는 도 4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샘플 A의 표면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볼록 렌즈 기능) 렌즈 시트(20)를 배치하여 제작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21)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사측 기판(6)의 전면에 렌즈 시트(20)를 배치하였지만, 재귀성 반사판(8)의 바로 윗쪽에 배치하여도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이것을 샘플 B라 칭한다.
제3 장치는 재귀성 반사판(8)을 구성하는 코너 큐브 어레이에 대하여, 도 3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코너 큐브 어레이의 최소 단위 구조를 구성하는 면의 일부에, 판형의 광 흡수면부(18)가 설치되고, 또한, 정점이나 근처에의 입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부위가 정점이나 근처에 설치된 코너 큐브 어레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9)이다. 이것을 샘플 C라 칭한다. 구체적인 제작 방법은 후술한다. .
상기 광 흡수면부(18)나, 정점이나 근처 등의 엣지부로의 입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부위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흑 표시의 품위를 더욱 향상시켜, 콘트라스트가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광 흡수 부위를 설치한 예를 들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광부를 설치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제4 장치는, 재귀성 반사판(8)을 구성하는 코너 큐브 어레이에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즉, 코너 큐브 어레이의 최소 단위 구조(코너 큐브)를 구성하는 면 중, 도 3에 기재하는 반사면(19) 이외의 면[경계선인 능선(8c) 상에 상기 법선 방향에 가상적으로 형성되는 면]은 전부 광투과면으로서 제작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9)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지만, 비교예 1에서 샘플 R1이라 칭한다.
제5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재귀성 반사판(8)을 대신하여 흡수층(32)을 배치시킨 것으로, 그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 이것을 비교예 2에서 샘플 R2라 칭한다.
여기서, 샘플 A 및 샘플 C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8)의 제조 공정의 일례로서 리프트 오프법의 개략을 도 7에 도시한다. 우선, 흑색 수지를 금형으로 프레스 성형하고, 코너 큐브의 형상을 한 오목부(25)를 성형 수지판(25a)에 제작한다 〔도 7a 참조〕.
코너 큐브의 형상이란, 성형 수지판(25a)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입방체의 한 코너가 매립되도록 하여 형성되는 형상이다. 이 때, 상기 입방체의 중심과 한 코너를 연결하는 가상 선이 성형 수지판(25a)의 표면의 법선 방향에 따라, 즉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성형 수지판(25a)에서는, 코너 큐브의 형상을 한 오목부(25)가, 다수, 상호 인접하여 밀(密)하게 병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호 인접하는 각 오목부(25)는, 이들 사이에 경계선이 되는 능선(8c)을 구비하고, 또한, 각 정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25)가 다수의 오목부(25)의 각 정점을 가상 평면(25b) 상이 되도록 병설함으로써, 반사면(19)을 형성하기 전의 코너 큐브 어레이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 수지판(25a)에는 상기 능선(8c) 상에 수직 설치하는, 상술한 광 흡수면부(18)가 판형으로, 상호 인접하는 오목부(25) 사이를 차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 흡수면부(18)는 그 선단이, 상기 각 정점을 연결하는 가상 평면(25b)에 대하여 동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스크린 인쇄법으로 레지스트(26)를 성형 수지판(25a)의 성형면 상에 도포한다. 레지스트 재료는 예를 들면 OFPR-800(Tokyo Ohka Kogyo Co., Ltd 제조)를 두께 4㎛로 성막한다〔도 7b 참조〕.
다음에, 레지스트(26)를 100°로 3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레지스트(26) 상에 포토마스크(27)를 배치하여 노광을 행한다. 샘플 A 및 샘플 C의 노광 공정에 있어서, 각각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포토마스크(27a, 27b)를 이용한다 〔도 7c 참조〕.
각 포토마스크(27a, 27b)의 형상은 병설된 코너 큐브의 형상을 한 오목부(25)의 경계선이 되는 각 능선(8c) 상에 광 흡수면부(18)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포토마스크(27b)의 형상은 각 오목부(25)의 정점이나 변(谷底線)이 되는 엣지부에 대한 광 흡수 부위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포토마스크(27)에 도 8a의 패턴으로 나타낸는 포토마스크(27a)를 이용한 경우에는, 코너 큐브 형상의 최소 단위 구조를 구성하는 면의 일부에, 광 흡수면부(18)에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포토마스크(27)에 도 8b의 패턴으로 나타내는 포토마스크(27b)를 이용한 경우에는, 또한 코너 큐브 형상의 최소 단위 구조의 정점과 변과 대한 광 흡수 부위가 배치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점이나 변에서의 난반사(반사 또는 산란하는 현상)를 막아, 콘트라스트가 높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9, 21)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레지스트(26)를 현상하고, 상기 성형 수지판(25a)의 성형면 상에, 상기 성형 수지판(25a)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은을 증착에 의해 2000Å의 박막을 반사면(19)으로서 형성한다. 현상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NMD-32.38%(Tokyo Ohka Kogyo Co., Ltd 제조)를 이용한다 〔도 7d 참조〕.
다음에, 잔존 레지스트(26)를 제거하여 〔도 7e 참조〕, 마지막으로, 상기 성형 수지판(25a)의 오목부(25)를, 투명 수지(29)에 의해 평탄화한다 〔도 7f 참조〕. 이 때, 투명 수지(29)는 그 표면이 각 광 흡수면부(18)의 선단이나 각 정점을 연결하는 가상 평면(25b)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프트 오프법에 대하여 개시하였지만,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전면에 증착하여,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패터닝하는 통상의 방법에서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 등은 확인하고 있다. 또한, 재귀성 반사판(8)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반사측 기판(7)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상의 5종류의 샘플 측정 방법을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반구의 전체로부터 조사된 광을, 측정면(34a)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8° 경사진 방향에 설치한 수광기(23)에 의해 수광하였다. 이 때, 수광기(23)가 정반사 성분을 수광하지 않도록, 차광판(24)을 설치하였다.
반사율 및 콘트라스트의 측정 결과를 이하에 기입한다.
샘플 A : 반사율 135%, 콘트라스트 -18
샘플 B : 반사율 140%, 콘트라스트 -40
샘플 C : 반사율 132%, 콘트라스트 -21
샘플 R1(비교예 1) : 반사율 145%, 콘트라스트 -3
샘플 R2(비교예 2) : 반사율 15%, 콘트라스트 -17
상기에 나타낸, 샘플 A, B 및 C의 결과와 샘플 R1(비교예 1)의 결과와의 비교에 의해,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를 구성하는 면의 일부에 광 흡수면부(18)를 설치하는 수단, 재귀성 반사판(8)보다도 관찰자측에 렌즈 시트(20)를 배치하는 수단 및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코너 큐브)의 정점이나 변으로의 입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부위나, 정점이나 변에서 난반사하는 광을 차광하는 차광부라고 하는 수단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각각 대폭 향상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상기 각 수단은 어떻게 조합하여도,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샘플 A, B 및 C의 결과와 샘플 R2(비교예 2)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샘플 A, B, C의 재귀성 반사판(8)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9, 21)의 쪽이, 샘플 R2의 흡수층(32)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22)보다 반사율에 대폭적인 향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터치 패널을 부가하는 경우에도 표시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입력 장치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광 흡수 부위를 대신하여 차광부를 설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코너 큐브)의 정상점(8b)이나 변(8a) 등의 엣지로부터의 광을 흡수하거나 차광하기도 하는 수단을 생략한 경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코너 큐브)의 정점(8b)이나 변(8a) 등의 엣지로부터의 난반사광(8d) 및 상기 난반사광(8d)이 이와 대향하는 반사면(19)에서 반사한 반사광(8e)이 희게 보여, 흑 표시를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코너 큐브)의 정점(8b)이나 변(8a)에서의 난반사광을 차광하는 차광부(28)가 재귀성 반사판(8)의 바로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광부(28)는 정점(8b)이나 변(8a)을 상측으로부터 덮어 가도록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블랙 매트릭스(48BM)와 동일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광부(28)에 의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점(8b)이나 변(8a)으로부터의 난반사광(8d)을 차광할 수 있으며, 또한, 정점(8b)이나 변(8a)으로의 입사광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반사광(8e)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흑 표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부(28)를,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에 대하여 이격한 후술하는 컬러 필터층(48) 상에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이러한 차광부(28)는 재귀성 반사판(8)의 위이기는하지만 바로 윗쪽이 아닌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이 때는, 상기 차광부(28)는 후술하는 블랙 매트릭스(48BM)와 동시에, 또한 동일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흑 표시를 개선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의 실시의 제1 및 제2 형태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형 표시 장치로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의 액정 패널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21)로부터, 렌즈 시트(20)를 생략하고, 전극(4)과 입사측 기판(6) 사이에 컬러 필터층(48)을 형성한 것이다.
컬러 필터층(48), 다색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컬러 필터층(48)에는, R(적)·G(녹) B(청) 3색의 각 컬러 필터(48R·48G·48B)가 임의의 배열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에서는, 각 컬러 필터(48R·48G·48B)에 대응하여 각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컬러 필터(48R·48G·48B)의 상호 인접하는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48BM)가 설치되어 있다. 각 컬러 필터(48R·48G·48B) 및 블랙 매트릭스(48BM)은, 후술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복수의 화소를 통과하는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부로서의 역할을 완수한다.
상기 재귀성 반사판(8)인 코너 큐브 어레이는 입사광을 재귀 반사하여, 입사광 방향으로 반사한다고 하는 특성을 갖고 있지만, 광선을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 위치에 병진 이동한다고 하는 특성도 갖고 있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광(10)에 대한 출사광(반사광: 11)은 중심축(43)의 거의 대칭 위치로 되어 있다.
본 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에서는,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즉, 오목부(25)]의 피치가,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오목부(25)의 피치란, 상호 인접하는 각 오목부(25)의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면, 코너 큐브 형상을 한 오목부(25)의 정점과 정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도 2b,도 7f 및 도 8a에는, 피치 16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란, 각 인접하는 컬러 필터(48R·48 G·48B)의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면, 컬러 필터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도 16에는 피치 58로서 도시되어 있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에서는 재귀성 반사판(8)의 코너 큐브 형상을 한 오목부(25)의 피치 16과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58dl 상기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하여 재귀성 반사판(8)에 입사한 광은 재귀성 반사판(8)에 의한 반사에 의해, 다시 동일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하여 출사한다. 따라서, 입사광과 출사광이 상호 다른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회피되어,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의 표시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의 제1 및 제2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의 코너 큐브 형상을 한 오목부(25)의 피치 16이,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58 이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5)의 피치 16은 25㎛ 피치인 한편,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58은 100㎛ 피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48B)를 투과한 입사광(10)에 대한 출사광(반사광: 11)은 다시 동일 컬러 필터(48B)를 투과한다. 즉,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에서는, 임의의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하여 재귀성 반사판(8)에 입사한 광은 재귀성 반사판(8)에 의한 반사에 의해, 다시 동일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하여 출사한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와의 비교를 위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38)의 코너 큐브 어레이의 피치가,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보다 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2)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재귀성 반사판(38)의 코너 큐브 어레이의 피치는 120㎛ 피치인 한편,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는 100㎛ 피치로 되어 있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2)에서는 컬러 필터(48G)를 투과한 입사광(39)에 대한 출사광(반사광: 40)은 컬러 필터(48R)를 투과하고, 입사광(39)과 출사광(40)이 상호 다른 각 컬러 필터(48G·48R)를 통과하게 된다. 그 때문에,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가 발생된다.
한편, 본 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의 오목부(25)의 피치 16이,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58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입사광과 출사광이 상호 다른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없어,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치 16과 피치 58과의 비는 1 이하이면 좋지만, 1/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1/4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는 1/(2n)(n은 자연 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화소에 대응하는 각 최소 단위 구조가, 복수, 하나의 컬러 필터에 정확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에서는, 재귀성 반사판(8)에, 코너 큐브 어레이를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비드(미소구: 44)를 상호 인접시켜 일층형으로 밀하게 병설하도록 구비한 구성(어레이)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5)로 하여도 좋다. 비드(미소구: 44)를 이용한 재귀성 반사판(8)의 경우에는, 각 인접하는 비드(44)의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면, 각 비드(44)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를, 최소 단위 구조의 피치 51이라고 한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5)에서는, 각 비드(44)가 재귀성 반사판(8)의 최소 단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재귀성 반사판(8)의 비드(44)의 피치 51이,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58 이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드(44)의 피치 51은 25㎛ 피치인 한편,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58은 100㎛ 피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컬러 필터(48B)를 투과한 입사광(10)에 대한 출사광(반사광: 11)은 동일 컬러 필터(48B)를 다시 투과한다. 즉,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5)에서는, 임의의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하여 재귀성 반사판(8)에 입사한 광은, 재귀성 반사판(8)에 의한 반사에 의해 동일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하여 다시 출사한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5)와의 비교를 위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의 비드(53)의 피치가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보다 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7)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재귀성 반사판의 비드(53)의 피치는 120㎛ 피치인 한편,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는 100㎛ 피치로 되어 있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7)에서는, 예를 들면 컬러 필터(48G)를 투과한 입사광(54)에 대한 출사광(반사광: 55)은, 컬러 필터(48R)를 투과하고, 입사광(54)과 출사광(55)이 상호 다른 컬러 필터(48G·48R)를 통과하게 된다. 그 때문에,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가 발생된다.
한편, 본 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5)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의 비드(44)의 피치 51이 컬러 필터(48R·48G·48B)의 피치 58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입사광(10)과 출사광(11)이 상호 다른 컬러 필터(48R·48G·48B)를 통과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없어, 혼색에 의한 휘도 및 색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귀성 반사판(8)에는 상기 코너 큐브 어레이, 비드 어레이의 이외에,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재귀성 반사판(8)의 반사재에는, 입사광을 재귀 반사하여 입사광 방향으로 반사한다고 하는 특성을 지니고, 광선을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병진 이동한다고 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면, 어느쪽의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성 반사판(8)보다도 입사측에, 상술한 렌즈 시트(20)와 마찬가지인 렌즈 시트(52)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재귀성 반사판(8)의 재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백 표시의 명도가 높으며, 또한, 콘트라스트가 높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20에 도시되는 구성에서는 입사측 기판(6)의 표면(전면)에 렌즈 시트(52)가 설치되어 있지만, 재귀성 반사판(8)의 바로 윗쪽에 렌즈 시트(52)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2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의 실시의 제1 내지 제3 형태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4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1)는, 입사측 기판(6)에 복수의 루버(광 흡수부: 6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와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제4 실시형태에서는,루버(60)로서, 라이트 컨트롤 필름(Sumitoto 3M Ltd. 제조)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각 루버(60)는 입사측 기판(6)의 두께 방향[즉 입사측 기판(6)의 표면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대하여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1)의 표시면의 크기와 사용 용도에 의해 결정되는 시야각의 범위 내의 광을 통과시키지만, 상이한 복수의 화소를 통과하는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부이며, 상기 시야각 내 이외의 소정 범위가 광을 차광하도록 한 차광 부재이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부(48)의 블랙 매트릭스(48BM)를 루버형으로 형성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a)여도 좋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9)에서는, 백 표시 즉 산란 상태에 있는 화소에 입사한 광의 일부가, 또는, 흑 표시 즉 투과 상태에 있는 화소에 입사한 광의 일부가, 미광(68)으로서 다른 화소로 입사되는 경우도 있다. 다른 화소로부터 도광되는 미광(68)이, 흑 표시 즉 투과 상태에 있는 화소로 입사되면, 상기 화소의 위치의 재귀성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되고, 액정 패널 밖으로 출사한다. 이것은 흑 상태의 반사율을 올리게 되어, 흑 표시를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된다.
한편,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1)에서는, 상기 루버(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다른 화소로부터 도광되는 미광(59)을, 루버(60)에 의해 흡수할 수가 있다. 도 21에서는, 미광(59)이 흡수되어 다른 화소에침입하지 않은 것을,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본 제4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1)에서는, 다른 화소로부터 도광되는 미광(59)을, 루버(60)에 의해 흡수할 수가 있으므로, 표시면 법선으로부터 경사진 관찰 방향에 의한 흑 상태의 반사도의 증가가 억제되어, 양호한 흑 표시를 실현할 수가 있다. 이 효과는, 특히, 재귀성 반사판(8)에 코너 큐브 어레이를 이용한 경우에 현저하다.
상기한 효과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층(48)이 광 흡수부로서의 역할을 완수하는 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의 구성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다른 화소로부터 도광되는 미광(62)은 블랙 매트릭스(48BM)에 의해 흡수되며, 또한, 복수의 컬러 필터(48R·48G·48B)를 투과함으로써도 실질적으로 십분 감쇠되어 양호한 흑 표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광 흡수부로서도 기능하는 컬러 필터(48R·48G·48B)를 배치했을 때의 효과를 확인하는 이하와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로부터 컬러 필터(48R·48G·48B)를 생략한 이외에는 똑같이 제작한 반사형 표시 장치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확산광 입사 시의 흑 표시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완전 확산 반사판의 반사율을 100%로 하고 있다. 결과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컬러 필터(48R·48G·48B)를 배치함으로써, 배치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표시면 법선으로부터 경사진 (경사진 시야각) 관찰 방향에 있어서도 흑 표시의 반사율은 저감되어 있어, 흑 표시의 품위가 향상되는 것을 알았다.
이상과 같이, 루버(60)나 컬러 필터층(48) 등의 광 흡수부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관찰 방향에 의한, 흑 표시의 반사율의 증가를 억제하여, 양호한 흑 표시를 실현할 수가 있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전기의 실시의 제1 내지 제4 형태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5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7)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인 액정 패널의 측면[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7)의 측면]이, 광 흡수 부재(64)로 덮여 있는 점에서,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와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41)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67)는 광 흡수 부재(6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부광(65)이 액정 패널 내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장치 내부를 도광하여 액정 패널의 측면에 도달한 미광(66)이 산란하는 등의 영향에 의한 흑 표시의 악화를 방지하여, 양호한 흑 표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광 흡수 부재(64)는 액정 패널 4변 [즉 각 기판(6, 7)에서 형성된 패널형부의 측면] 전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 흡수 부재(64)의 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베젤, 루버(60) 또는 블랙 매트릭스(48BM)과 동일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기 등의 저 굴절율층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와 광 흡수 부재(64) 사이에 존재하지 않도록, 광 흡수부재(6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7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의 제1 내지 제5 형태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6 실시형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 2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의 광 흡수면부(18)와 마찬가지인 기능을 갖는 광 흡수면부(78)를 구비한 재귀성 반사판(88)이 재귀성 반사판(8)을 대신하여 이용되고 있다. 상기 광 흡수면부(78)는 광 조사에 의해 착색하는 감광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그 이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의 제1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여도 좋다.
그런데, 금형 프레스에 의해 성형되는, 판형의 광 흡수면부(18)에서는, 그 높이와 두께의 비(어스펙트비)는 최대라도 10이었다. 이것은, 어스펙트비를 10을 넘은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더라도, 주위에 수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 불량으로 되기 때문이다. 즉, 어스펙트비가 10을 넘는 광 흡수면부를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감광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 흡수면부(78)에서는, 감광에 의해 미세화가 가능하며 막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 또한, 성형 시, 광 흡수면부(78)가 되는 부분의 주위(두께 방향의 양단측)에 수지가 존재하며 서포트하기위해서, 어스펙트비가 10을 넘고, 보다 바람직한 값인 30을 넘어도 제조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광 흡수면부(78)의 두께를 얇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광 흡수면부(78)를 구비한 재귀성 반사판(88)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재귀성 반사판(88)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백 표시의 표시 품질도더욱 개선할 수가 있다.
이러한 재귀성 반사판(88)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흑색의 수지를 금형으로 프레스 성형하고, 코너 큐브의 형상을 구비한 오목부(72)를, 복수, 상호 인접하여 갖는 성형 수지판(75)을 제작한다〔도 27a 참조〕. 다음에, 성형 수지판(75)의 기판 법선 방향으로부터 오목부(72)의 표면에 은을 두께 2000Å으로 증착하여 금속 박막(73)을 반사면으로서 형성한다〔도 27b 참조〕. 계속해서, 감광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74)로 평탄화한다〔도 27c 참조〕.
상기한 감광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74)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바인더), 2,2'-비스(o-크로르페닐)-4,4', 5,5'-테트라페닐-3,3'-비스이미다졸(감광성 할로겐), 로이코 크리스탈 바이올렛(leuco crystal violet) (발색제), 1,6-피렌퀴논(광환원제)으로 이루어지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토마스크(27a)를 이용하여, 가시광(400nm∼500nm)으로 노광을 행하고 〔도 27d 참조〕, 다음에, 상기 포토마스크(27a)를 제거한 후, 자외광으로 전면 노광하여 발색 정착시켜, 광 흡수면부(78)를 구비한 재귀성 반사판(88)을 얻는다 〔도 27d 참조〕. 상기 광 흡수면부(78)는 상호 인접하는 각 오목부(72)의 경계선[능선(8c)]의 금속 박막(73) 상에 수직 설치하게 된다.
도 27에 도시한 재귀성 반사판(88)의 제조 공정이, 도 7에 도시한 재귀성 반사판(8)의 제조 공정과 다른 것은, 금형으로 프레스 성형된 코너 큐브 어레이에 있어서, 벽형 구조[광 흡수면부(18)로 됨]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이다. 즉, 도 7a에서는, 벽형 구조[광 흡수면부(18)]가 존재하지만, 도 27a에서는, 벽형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벽의 두께가 벽의 높이에 비하여 얇은 미세 구조(어스펙트비가 높은 구조)는 수지 성형이 어렵고, 또한 그 금형의 제작도 곤란하다. 따라서, 실제로는 벽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개구율의 저하라는 결점으로 이어진다.
본 제6 실시형태에서는, 광 흡수면부(18)을 대신하는 광 흡수면부(78)를, 광 조사에 의해 착색하는 감광 재료로부터 제작함으로써 상기 결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제1 내지 제6 형태에서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반사형 표시 장치로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반사형 표시 장치(예를 들면, 투과 상태와 산란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평면형 표시 장치)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 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으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야 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귀성 반사판을 코너 큐브 어레이로 하고, 각 최소 단위구조의 경계면상에 광흡수면부를 구비함으로써 백표시의 명도를 높게 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 역시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입사광과 평행하게 되도록 출사광을 반사하는 재귀성 반사부가, 상호 인접하여 복수 설치되고,
    상기 재귀성 반사부 각각의 경계부에,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재귀성 반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면부는, 상기 각 재귀성 반사부에 대하여 수직 설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재귀성 반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성 반사부는 코너 큐브 어레이이며, 상기 광 흡수면부의 선단부는, 상기 각 재귀성 반사부의 각 정점을 연결하는 가상 평면에 대하여 동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재귀성 반사판.
KR10-2003-0024086A 2000-03-31 2003-04-16 반사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KR100402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96075 2000-03-31
JP2000096075 2000-03-31
JPJP-P-2000-00227760 2000-07-27
JP2000227760 2000-07-27
JP2001090908A JP3957986B2 (ja) 2000-03-31 2001-03-27 反射型表示装置
JPJP-P-2001-00090908 2001-03-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197A Division KR100404060B1 (ko) 2000-03-31 2001-03-31 반사형 표시 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707A true KR20030045707A (ko) 2003-06-11
KR100402668B1 KR100402668B1 (ko) 2003-10-22

Family

ID=273429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197A KR100404060B1 (ko) 2000-03-31 2001-03-31 반사형 표시 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KR10-2003-0024086A KR100402668B1 (ko) 2000-03-31 2003-04-16 반사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197A KR100404060B1 (ko) 2000-03-31 2001-03-31 반사형 표시 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657766B2 (ko)
JP (1) JP3957986B2 (ko)
KR (2) KR100404060B1 (ko)
TW (2) TWI3120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3703B2 (en) 2008-08-26 2012-06-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at directs reflected light to improve visi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986B2 (ja) * 2000-03-31 2007-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
JP4053260B2 (ja) * 2000-10-18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
JP3847593B2 (ja) * 2001-02-20 2006-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ナーキューブアレイなどの光学素子及びそれを備える反射型表示装置
KR100490816B1 (ko) * 2001-06-15 2005-05-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코너 큐브 어레이, 마이크로 큐브 어레이의 제조방법 및 반사형 표시 장치
JP3818906B2 (ja) * 2001-12-13 2006-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イクロコーナーキューブアレイ、その作製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3776039B2 (ja) 2001-12-26 2006-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ナーキューブアレイを有する表示装置
JP3933497B2 (ja) * 2002-03-01 2007-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086164A (ja) * 2002-06-27 2004-03-18 Sharp Corp コーナーキューブアレイ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7301587B2 (en) * 2003-02-28 2007-11-27 Nec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JP4494110B2 (ja) * 2003-07-29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
JP4229805B2 (ja) * 2003-10-27 2009-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
JP4152861B2 (ja) * 2003-10-27 2008-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ナーキューブリフレ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型表示装置
US7551247B2 (en) * 2004-06-09 2009-06-23 Sharp Kabushiki Kaisha Reflection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pixel electrodes having predetermined dimensions and relationships to each other as to gap width therebetween on both short and long sides and pitch of cubic corner cubes
JP4205063B2 (ja) * 2005-01-14 2009-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再帰性反射板,表示装置および再帰性反射板の製造方法
JP4139393B2 (ja) * 2005-02-01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
JP4139395B2 (ja) * 2005-02-17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
JP4020919B2 (ja) * 2005-03-04 2007-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273243A1 (en) * 2005-06-06 2008-11-06 Nir Karasikov Device, System and Method of Retro-Modulating Safety Signs
US20070146590A1 (en) * 2005-12-28 2007-06-28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Systems for displaying images involving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s
US7450799B2 (en) * 2006-01-24 2008-11-11 Uni-Pixel Displays, Inc. Corner-cube retroreflectors for displays
US7486854B2 (en) 2006-01-24 2009-02-03 Uni-Pixel Displays, Inc. Optical microstructures for light extraction and control
US7440052B2 (en) * 2006-02-13 2008-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device with light attenuation and gain
WO2007111137A1 (ja) * 2006-03-29 2007-10-04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US7952661B2 (en) * 2006-08-31 2011-05-31 Sharp Kabushiki Kaisha Reflection type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735575B2 (ja) * 2007-03-16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681044B (zh) * 2007-05-18 2011-10-26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KR101352906B1 (ko) * 2007-07-13 2014-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9080214A (ja) * 2007-09-25 2009-04-1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DE102007054037A1 (de) * 2007-09-28 2009-04-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Leuchte und Anzeigevorrichtung
DE102007063382B4 (de) * 2007-12-20 2013-12-24 Seereal Technologies S.A. Steuerbarer Lichtmodulator
JP5495445B2 (ja) 2010-05-12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センターレス指針式表示装置
JP5961060B2 (ja) * 2012-07-18 2016-08-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6049388B2 (ja) * 2012-10-16 2016-12-2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光学素子の製造方法
FR3005158B1 (fr) * 2013-04-26 2015-11-20 Thales Sa Systeme optique de mesure d'orientation et de position a source ponctuelle et coins de cube a face d'entree polychrome
CN103226269B (zh) * 2013-04-28 2015-07-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显示装置及电子器件
GB2530725A (en) * 2014-09-24 2016-04-06 Folium Optics Ltd Active Retroreflector
JP6795154B2 (ja) * 2016-07-20 2020-12-02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干渉計
US11640019B2 (en) 2016-11-22 2023-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ectrally selective retroreflective system
KR102489033B1 (ko) 2017-09-21 202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14074B2 (en) 2018-03-12 2022-04-26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Light disc microscopy for fluorescence microscopes
WO2019178093A1 (en) * 2018-03-12 2019-09-19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irror image microscopy for increased collection
US20210311381A1 (en) * 2018-09-13 2021-10-07 Mirraviz, Inc. Brightness and uniformity-enhanced projector screen
CN109597155B (zh) * 2018-10-23 2020-10-02 同济大学 一种方形下凹阶梯回复反射器及其阵列
US11402719B2 (en) 2018-12-11 2022-08-02 E Ink Corporation Retroreflective electro-optic displays
TWI721635B (zh) * 2019-11-07 2021-03-11 凌巨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之結構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8795A (en) * 1973-04-16 1975-11-11 Beatrice Foods Co Elgin Molded Retro-reflector construction
US3905682A (en) 1974-06-14 1975-09-16 Rca Corp Liquid crystal devices of improved contrast
JPS54105998A (en) 1978-02-07 1979-08-20 Nec Corp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DE3344478A1 (de) * 1983-12-08 1985-06-20 Erwin Sick Gmbh Optik-Elektronik, 7808 Waldkirch Retroreflektor
US4930870A (en) * 1987-07-27 1990-06-05 Itw New Zealand Limited Retro-reflectors
JPH03186816A (ja) 1989-12-18 1991-08-14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素子
US5182663A (en) 1991-08-30 1993-01-26 Raychem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mproved retroreflector
JP3186816B2 (ja) 1992-01-28 2001-07-11 帝国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バルブシート用焼結合金
US5200851A (en) * 1992-02-13 1993-04-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frared reflecting cube-cornered sheeting
JPH0836179A (ja) * 1994-07-26 1996-02-0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08129170A (ja) * 1994-11-01 1996-05-21 Toyobo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949803A (ja) * 1995-05-31 1997-02-18 Omron Corp 物体観測装置および方法
WO1998023996A1 (en) * 1996-11-28 1998-06-04 Philips Electronics N.V. Reflective flat-panel display device
JPH117008A (ja) * 1997-06-16 1999-01-12 Seiko Epson Corp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H1124049A (ja) * 1997-06-30 1999-01-29 Seiko Instr Inc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6584B2 (ja) * 1997-08-25 2001-10-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95687A (ja) * 1997-09-20 1999-04-0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00019490A (ja) * 1998-06-29 2000-01-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型高分子分散型液晶表示装置
JP3957986B2 (ja) * 2000-03-31 2007-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
TW594218B (en) * 2000-07-03 2004-06-21 Alps Electric Co Ltd Reflector an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053260B2 (ja) * 2000-10-18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
US6353489B1 (en) * 2000-11-23 2002-03-05 Digilens, Inc. Optical retro-reflec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3703B2 (en) 2008-08-26 2012-06-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at directs reflected light to improve visi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2770A (en) 2007-09-01
US6844956B2 (en) 2005-01-18
KR100404060B1 (ko) 2003-11-03
KR100402668B1 (ko) 2003-10-22
US6657766B2 (en) 2003-12-02
US20040085611A1 (en) 2004-05-06
TWI312092B (en) 2009-07-11
JP3957986B2 (ja) 2007-08-15
TWI294977B (ko) 2008-03-21
JP2002107519A (ja) 2002-04-10
KR20010095214A (ko) 2001-11-03
US20010040717A1 (en) 200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668B1 (ko) 반사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재귀성 반사판
US20090213298A1 (en) Optical modulating dispal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apparatus mounting the optical modulating display device thereon
JP2002350853A (ja) 液晶表示素子
JPH1097199A (ja) 拡散導光板、バックライト光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0221497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H0915575A (ja) 可変焦点レンズ素子および光導波路
US6400437B1 (en) Light semitransmitt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10040659A1 (en)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976773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用観察者側電極板
JP2000241809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06820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0330106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用電極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112663B2 (ja) 液晶表示装置
JP4159668B2 (ja) 液晶表示パネル
JPH09211496A (ja) 反射型ゲストホスト液晶表示装置
JP2005043923A (ja) 反射型表示装置
JP2002090723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08166604A (ja) 反射型液晶表示素子
JPH11202302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072195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465695B2 (ja) 半透過型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2002341331A (ja) 半透過型カ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背面側電極基板
JPH06110076A (ja) 液晶表示装置
JP2002014342A (ja) フロントライト型液晶表示装置
JP4365498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