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542A -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542A
KR20030040542A KR10-2003-7005335A KR20037005335A KR20030040542A KR 20030040542 A KR20030040542 A KR 20030040542A KR 20037005335 A KR20037005335 A KR 20037005335A KR 20030040542 A KR20030040542 A KR 2003004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r
worker
rid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631B1 (ko
Inventor
니시다다카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차카(2)의 카상부(2a)에 설치되는 접이식의 손잡이(3, 4)에 손잡이(3, 4)를 접은 상태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을 제한하는 억지부재(7)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접이식 손잡이(3, 4)를 조립한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의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CAGE AND ELEVATOR}
종래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을 실시하기 위한 접이식의 손잡이를 카상부에 구비한 승차카가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2000-143125호 공보에는 승강로내에 권양기 등의 장치를 설치한 소위 기계실리스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차카의 카상부에 접이식의 손잡이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의 손잡이는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제일 높은 위치에 달렸을 때의 카상부와 승강로 천정부와의 거리를 가능한한 작게 해서 성격스페이스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통상운전시에는 손잡이는 승차카의 카상부에 접어서 수납되어 있다.
이에 대해, 작업원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을 할 때는 손잡이는 승차카의 카상부에 기립하도록 조립된다.
또, 보통 조립된 손잡이의 카상부로부터의 높이는 700 ~ 1100mm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립된 손잡이내에서 권양기 제어반 등의 승강로내 기기나 가이드 장치등의 카상기기의 보수ㆍ점검을 불편없이 실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작업자의 전락방지를 위해 카와 승강로벽과의 극간을 작게 하는 조치가 필요하였다. 또, 카와 승강로벽과의 극간을 작게 할 수 없을 때는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기 위해 철판 등의 칸막이를 승강로 전높이에 걸쳐 카 주위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의 카 주위의 극간은 예를들면 300mm 미만이다.
또,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접이식의 손잡이의 조립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제2의 문제가 있었다. 즉, 접이식의 손잡이는 예를들면 카상부의 양측부에 기립하는 측부손잡이와 카상부의 배면부에 기립하는 후부손잡이에 다수의 손잡이로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부손잡이, 후부손잡이 등으로 분할된 손잡이는 각각 독립적으로는 기립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이들 모두가 계합하지 않으면 손잡이의 기립이 완료되지 않는 것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의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쉽게 실현하는 동시에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좋은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승차카의 카상부에 설치되는 접이식의 손잡이에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을 제한하는 억지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접이식 손잡이를 조립한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의 억지부재를 승차장으로부터 카상부에서의 작업자의 승차를 제한하는 승차억지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접이식 손잡이를 조립한 후 카상부에 올라가서 소정의 작업을 실시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의 승차억제부재를 접은쪽 손잡이의 승차장측의 영역에 둘러친 선상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의 보수점검시에는 반드시 측부손잡이를 조립한 후 카상부에 올라가서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의 억지부재를 카상부에서의 배면측에의 작업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억지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접이식 손잡이의 조립을 완성시킨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의 이동억제부재를 한쪽의 측부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부손잡이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쪽의 측부손잡이에 타단이 지지된 선상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후부손잡이의 조립을 완성시킨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의 이동억지부재를 배면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후부손잡이의 한쪽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쪽의 측부손잡이에 타단이 지지된 선상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후부손잡이의 조립을 완성시킨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승차카의 카상부에 설치되는 접이식의 손잡이에서의 측부손잡이에 접는 방향으로의 측부손잡이의 넘어짐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을 할 때에 측부손잡이를 카상부에 독립해서 기립유지시킬 수가 있고,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의 스토퍼부재를 측부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측부손잡이의 부착대에 계합가능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을 할 때에 측부손잡이를 카상부에 독립해서 기립유지시킬 수가 있고,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의 손잡이에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을 제한하는 억지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점검시의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를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 등의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용이하게 실현시키는 동시에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해, 특히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접이식의 손잡이를 카상부에 구비한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제1의 승차카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차카에서 스토퍼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승차카에서 스토퍼부재의 설치과정을 표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3b는 도 2의 승차카에서 스토퍼부재의 설치완료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의 승차카에서 측부손잡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도 5는 도 1의 승차카에서 손잡이의 조립을 완료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제2의 승차카의 개략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승차카에서 손잡이의 조립을 완료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또, 각 도면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쳐 그 중복설명은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도 1 ~ 도 5에서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관한 승차카의 구성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의 승차카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이다. 즉, 도 1은 승차카에서의 카상부만을 부분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이고, 카상부에서의 접이식 손잡이가 접혀진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1은 승차카를 보존하는 카틀, 2는 사람을 카내에 실고서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승차카, 2a는 보수점검시에 작업자가 승차장측에서 승차가능한 승차카(2)의 카상부, 2b는 승차장(또는 도어)측에 상당하는 승차카(2)의 정면부, 2c는 승차카(2)의 측부, 2d는 정면부(2b)와 대향하는 승차카(2)의 배면부, 3은 지면좌측의 측부 2c에 기립하는 측부손잡이, 4는 지면우측의 측부 2c에 기립하는 측부손잡이(6a),(6b)는 측부손잡이(3),(4)를 기립시킬 때에 접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넘어짐 방지판), 7은 승차억지부재로서의 선상부재, 9는 승차카(2)의 카상부(2a)에 고정설치된 부착대, 11은 부착재(9)에 설치된 축부를 표시한다. 또, 동도면에서 카상부(2a)에서의 배면부(2d) 근방에 기립되는 후부손잡이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측부손잡이(3),(4)는 카상부(2a)에서의 양측부(2c) 근방에 각각 고정설치된 부착대(9)에 예를들면 핀부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작업을 요하지 않을 때, 즉 엘리베이터 장치의 통상운전시에는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측부손잡이(3),(4) 및 후부손잡이는 카상부(2a)를 덮도록 접어서 수납되어 있다.
또, 측부손잡이(3),(4)에서 정면부(2d)측의 개구영역(프레임에 둘러쌓인 영역이다)에는 그 개구영역을 다수의 소영역으로 구획하도록 선상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즉, 접혀진 측부손잡이(3),(4)의 승차장측의 영역에 지그재그상태로 억지부재로서의 선상부재가 둘러쳐져 있다. 그리고, 선상부재(7)에 의해 구획된 소영역은 작업자의 발판을 봉쇄하듯이 예를들면, 사람이 발과 동등한 크기로 하고 있다.
또, 이 선상부재는 예를들면 끈, 밧줄, 와이어, 체인 등의 하중에 대해 이완팽창이 자유로운 부재이고, 작업자가 이를 발판으로 하기 힘든 부재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표시한 승차카에 있어서, 측부손잡이(3),(4)에는 측부손잡이(3),(4)를 접은 상태에서의 승차장으로부터의 작업자의 승차를 제한하는 선상부재(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측부손잡이(3),(4)를 접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2, 도 3a, 도 3b에서 측부손잡이(3),(4)를 접은 상태에서 기립시킬 때까지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한 측부손잡이(3),(4)를 수납한 상태에서 스토퍼부재를 회동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그 스토퍼부재의 회동을 표시하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3b는 그 스토퍼부재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또, 도 3a, 도 3b에서 좌측의 측부손잡이(3)에 관한 스토퍼부재를 도시하고, 우측의 측부손잡이(4)에 관한 스토퍼부재에 대해서는 간단하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 도 3a, 도 3b에서 6a, 6b는 측부손잡이(3),(4)를 기립시켰을 때 접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 9는 측부손잡이(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착대, 11은 부착대(9)에 설치된 축부, 16은 스토퍼부재(6a)에 설치된 凹부, 17은 측부손잡이(3)에 대한 스토퍼부재(6a)의 회동중심부, 18은 부착대(9)에 대한 측부손잡이(3)의 회동중심부를 표시한다.
여기서, 측부손잡이(3)의 회동중심부(18)는 예를들면 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스토퍼부재(6a)의 회동중심부(17)는 예를들면 스포터부재(6a)를 지지하는 축부를 갖는 첩나사와 이에 감합하는 첩넛으로 구성되고, 측부손잡이(3)의 기립이 완료된 후에 첩나사에 의한 체결이 된다. 또, 부착대(9)의 축부(11)는 예를들면 선단부분에 나사부를 갖는 축부본체와 그 나사부에 감합하는 첩넛에 의해 구성되고, 스토퍼부재(6a)의 凹부(16)가 축부(11)에 계합한 후 첩넛에 의한 체결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승차카에 있어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을 할 때에는 우선 승차카(2)의 카상부(2a)가 소정층의 승차장 위치와 거의 같은높이가 되도록 승차카(2)를 이동한다. 그후, 작업자는 카상부(2a)에 승차하기 전에 승차장으로부터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측부손잡이(3),(4)를 기립시키면서 동시에 스토퍼부재(6a),(6b)를 회동시켜서 측부손잡이(3),(4)의 조립을 한다.
상세하게는 우선 도 3에 표시된 바와같이 측부손잡이(3)를 도면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일으키면서 스토퍼부재(6a)를 파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그후, 도 3b에 표시한 바와같이 측부손잡이(3)가 상부 (2a)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기립하는데 연동해서 스토퍼부재(6a)의 凹부(16)를 부착대(9)의 축부(11)에 계합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표시하는 승차카는 측부손잡이(3),(4)를 기립시킬 때에 스토퍼부재(6a),(6b)를 부착대(9)에 계합시킴으로서 측부손잡이(3),(4)가 독립해서 기립상태를 보존해서 접는 방향으로의 넘어짐이 방지되므로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다음, 도 4, 도 5에서 또 후부손잡이를 기립시키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스토퍼부재(6a),(6b)의 계합에 의해 측부손잡이(3),(4)의 기립이 완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후부손잡이의 기립에 의해 손잡이의 조립이 모두 완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4, 도 5에서 5는 카상부(2a)에서의 배면부(2d) 근방에 기립하는 후부손잡이, 8은 이동억지부재로서의 선상부재, 10은 후부손잡이(5)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쪽의 측부손잡이(3)에 설치된 힌지부, 12는 후부손잡이(5)와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가 계합했을 때에 쌍방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표시한다.
여기서, 후부손잡이(5)는 한쪽의 측부손잡이(3)에 힌지부(10)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 수납시에는 측부손잡이(3)와 겹치도록 카상부(2a)상에 접쳐진다.
또, 후부손잡이(5) 및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는 후부손잡이(5)가 회동해서 배면부(2d)에 기립했을 때에 쌍방이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에서의 계합부분에는 축부와 계합하는 凹부(4b)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후부손잡이(5)에 계합부분에는 凹부(4b)와 계합하는 축부를 갖는 체결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체결부재(12)는 첩넛을 또 가지고 있고, 측부손잡이(4)와 후부손잡이(5)와의 계합이 완료한 후에 쌍방을 체결한다.
또, 선상부재(8)는 후부손잡이(5)에서의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와 계합하는 부분근방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 측부손잡이(4)에서의 후부손잡이(5)와 계합하는 부분근방에 타단이 지지되어 있다. 즉, 접은 상태의 후부손잡이(5)의 정면부(2b)측에 선상부재(8)의 일단이 지지된다. 그리고,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의 배면부 (2d)측에 선상부재(8)의 타단이 지지되어 있다. 또, 선상부재(8)는 예를들면 노끈, 밧줄, 와이어, 체인 등의 후부손잡이(5)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 인장수축이 자유로운 부재이고, 후부손잡이(5)의 회동전에 작업자의 배면부(2d)측에의 이동을 억지하는 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승차카에서 도 4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부손잡이(5)를 배면부(2d)에 기립시키기 전의 상태에서는 선상부재(8)는 카상부(2a)영역을 대략 대각선상으로 차단하도록 장착된다. 이로써, 양측부(2c)에 측부손잡이(3),(4)를 기립시킨 작업자가 승차장에서 카상부(2a)에 승차했을 때에 후부손잡이(5)를 조립하지 않고, 카상부(2a)의 배면부(2d) 방향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그후, 작업자는 도 5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부손잡이(5)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후부손잡이와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를 계합시킨다. 이때, 선상부재 (8)는 후부손잡이(5)와 측부손잡이(4)와의 계합부 근방에서 흘러내린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후부손잡이(5)의 기립에 의해 접는식 손잡이의 모든 조립이 완료하는 것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표시한 승차카는 측부손잡이 (3),(4)를 기립시켰을 때 힌지(10)에서 한쪽의 측부손잡이(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부손잡이(5)와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에 선상부재(8)가 이완신장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 후부손잡이(5)를 접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표시한 승차카에서 작업자가 보수ㆍ점검을 마치고, 접이식 손잡이를 수납하는 순서는 상술한 도 1 ~ 도 5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가 된다.
또,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표시하는 승차카는 도시는 생략하나, 견인로프의 일단측에 현가되어 있다. 그리고, 견인로프의 타단측에는 카운터 웨이트가 현가되고, 견인로프를 건 권양기의 구동에 의해 승차카와 카운터 웨이트가 건물에 설치된 승강로내를 상반하는 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도 6, 도 7에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승차카의 구성,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의 승차카의 개략사시도이고, 측부손잡이 (3),(4)를 기립시킨 후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7은 후부손잡이(5)를 기립시켜서 손잡이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이다.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의 승차카에서는 후부손잡이(5)가 카상부(2a)에서의 배면부(2d) 근방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기 제1의 실시의 형태와 상위한다. 즉, 상기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후부손잡이(5)가 한쪽의 측부손잡이(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었으나,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후부손잡이(5)는 측부손잡이(5)와는 독립해서 배면부(2d)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도 6, 도 7에서 (3),(4)는 양측부(2c)에 각각 독립해서 기립하는 측부손잡이, 5는 배면부(2d)에 독립해서 기립하는 후부손잡이(8a),(8b)는 이동억지부재로서의 선상부재, 12는 후부손잡이(5)를 기립시켜서 측부손잡이(3),(4)에 계합시킨 후 쌍방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20은 카상부(2a)에 고정설치된 지지판을 표시한다. 여기서, 후부손잡이(5)는 ㄷ자형상으로 구부려 가공된 지지판(20)에 내접하는 동시에 지지판(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핀부에 의해 지지판(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한편의 선상부재(8a)는 후부손잡이(5)에서의 한쪽의 측부손잡이(3)쪽의 상단근방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에서의 후부손잡이(5)와 계합하는 부분의 상단근방에 타단이 지지되어 있다. 즉, 접은 상태의 후부손잡이(5)의정면부(2b)측으로 지면좌측의 측부(2c)측에 선상부재(8a)의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의 배면부(2d)측에 선상부재(8a)의 타단이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선상부재(8b)는 후부손잡이(5)에서의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측의 상단근방에 일단이 지지되고, 한쪽의 측부손잡이(3)에서의 후부손잡이 (5)와 계합하는 부분의 상단근방에 타단이 지지되어 있다.
또, 선상부재(8a),(8b)는 예를들면 노끈, 밧줄, 와이어, 체인 등의 후부손잡이(5)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 신축자재로운 부재이고, 후부손잡이(5)의 기립전에서 작업자의 배면부(2d)쪽으로의 이동을 억지하는 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승차카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개시할 때에 손잡이를 수납한 상태에서 측부손잡이(3),(4)를 양측부(2c)에 각각 기립시킬 때까지의 순서는 상기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다. 그리고, 도 6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부손잡이(5)를 배면부(2d)에 기립시키기 전의 상태에서는 선상부재(8a),(8b)가 카상부(2a)의 소정 영역을 t자상으로 차단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양측부(2c)에 측부손잡이(3),(4)를 기립시킨 작업자가 승차장에서 카상부(2a)에 승차했을 때에 후부손잡이(5)를 조립하지 않고, 카상부(2a)의 배면부(2d) 방향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그후, 작업자는 도 7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부손잡이(5)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후부손잡이(5)와 양단의 측부손잡이(3),(4)를 계합시킨다. 이때, 선상부재(8a),(8b)는 각각 후부손잡이(5)에 근접해서 흘러내린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후부손잡이(5)의 기립에 의해 접이식 손잡이의 모든 조립이 완료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 표시하는 승차카는 상기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측부손잡이(3),(4)에는 측부손잡이(3),(4)를 접은 상태에서의 승차장으로부터의 작업자의 승차를 제한하는 선상부재(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측부손잡이(3),(4)를 접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측부손잡이(3),(4)를 기립시켰을 때에 한쪽의 측부손잡이(3)와 후부손잡이(5)에는 선상부재(8b)가 다른쪽의 측부손잡이(4)와 후부손잡이(5)에는 선상부재 (8a)가 각각 신축자재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 후부손잡이(5)를 접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동억지부재로서 2개의 선상부재(8a),(8b)를 설치하였으나, 이 2개의 선상부재(8a),(8b)중 어느 한쪽의 선상부재만의 설치라도 이동억지부재로는 충분히 기능한다.
또, 본 발명이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각 실시의 형태중에서 시사한 것 이외에도 각 실시의 형태는 적의 변경되어질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 상기 구성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호적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카상부에 설치되는 접이식의 손잡이에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을 제한하는 억지부재를 구비한 것이다.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접이식 손잡이를 조립한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용이하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한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억지부재를 승차장에서 카상부에의 작업자의 승차를 제한하는 승차억지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접이식 손잡이를 조립한 후 카상부에 승차하여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주변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할 때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한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승차억지부재를 접은쪽 손잡이의 승차장측의 영역에 둘러친 선상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축부손잡이를 조립한 후 카상부로 승차해서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략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한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억지부재를 카상부에서의 배면부측에의 작업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억지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점검시에는 반드시 접이식 손잡이의 조립을 완성시킨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한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이동억지부재를 한쪽의 측부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부손잡이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쪽의 측부손잡이에 타단이 지지된 선상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후부손잡이의 조립을 완성시킨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용이하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한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이동억지부재를 배면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후부손잡이의 한쪽에 일단이 지지되고, 다른쪽의 측부손잡이에 다른쪽이 지지된 선상부재로 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는 반드시 후부손잡이의조립을 완성시켜서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되고, 카 주위의 극간을 작게 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도 쉽게 작업자의 전락방지가 가능한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카상부에 설치된 접이식의 손잡이의 측부손잡이에 접는 방향으로의 측부손잡이의 넘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을 할 때에 측부손잡이를 카상부에 독립해서 보존시킬 수가 있고,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스토퍼부재를 측부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측부손잡이의 부착대에 계합가능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을 할 때에 측부손잡이를 카상부에 독립해서 기립보존시킬 수가 있고,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항상되는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승차카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한 측부손잡이를 갖는 접이식 손잡이에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을 제한하는 억지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의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승차카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술한 개량된 승차카를 장치내에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의 작업시의 안전확보를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의 조립작업성이 향상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 작업자가 승차장측에서 승차가능한 카상부에 접이식의 손잡이를 구비한 승차카로서, 상기 접이식의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의 상기 카상부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작업을 제한하는 억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손잡이는 상기 승차장측을 정면부로 한 상기 카상부의 배면부에 기립하는 후부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억지부재는 상기 후부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의, 상기 카상부에서의, 상기 배면부에의, 상기 작업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억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카.
  3.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ㆍ점검시에 작업자가 승차장측에서 승차가능한 카상부에 접이식의 손잡이를 구비한 승차카로서, 상기 접이식의 손잡이는 상기 승차장측을 정면부로 한 상기 카상부의 양측부에 각각 기립하는 측부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손잡이는 상기 측부손잡이를 기립시켰을 때에 접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카.
KR10-2003-7005335A 2001-08-28 2001-08-28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13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7366 WO2003020629A1 (fr) 2001-08-28 2001-08-28 Cabine et monte-char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542A true KR20030040542A (ko) 2003-05-22
KR100513631B1 KR100513631B1 (ko) 2005-09-09

Family

ID=1173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335A KR100513631B1 (ko) 2001-08-28 2001-08-28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22185B1 (ko)
JP (1) JP5217073B2 (ko)
KR (1) KR100513631B1 (ko)
CN (3) CN1243660C (ko)
WO (1) WO20030206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4884A (zh) * 2020-08-13 2022-02-22 奥的斯电梯公司 顶部扩展部及其操作方法、电梯轿厢组件和电梯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0022B1 (en) 1998-05-19 2007-07-03 Mypoints.Com Inc. Demographic information gathering and incentive award system and method
EP1386876B1 (en) * 2001-04-17 2014-05-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age and elevator
CN101119920B (zh) * 2005-02-18 2013-05-08 奥蒂斯电梯公司 可用一同时致动所有侧边的手柄折叠的电梯轿厢顶部扶栏
RU2376234C2 (ru) * 2005-07-25 2009-12-20 Павел Владимирович Корчагин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JP4797563B2 (ja) * 2005-10-20 2011-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DE102006023920A1 (de) * 2006-05-19 2007-11-22 TÜV Rheinland Industrie Service GmbH Fahrkorb für eine Aufzugsanlage
CN101066733B (zh) * 2006-12-13 2010-09-29 上海永大电梯设备有限公司 折叠式检修平台
JP2008285266A (ja) * 2007-05-16 2008-11-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用安全装置
FI20106044A (fi) * 2010-10-11 2012-04-12 Kone Corp Hissi
JP5863242B2 (ja) * 2011-01-05 2016-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
WO2016162984A1 (ja) * 2015-04-08 2016-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9715544B (zh) * 2016-09-23 2020-12-2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09843774B (zh) * 2016-10-27 2020-12-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上扶手装置
ES2944539T3 (es) * 2016-11-15 2023-06-22 Inventio Ag Cabina de ascensor
EP3560877A1 (en) 2018-04-27 2019-10-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frame
CN108557602A (zh) * 2018-06-27 2018-09-21 通力电梯有限公司 用于电梯的安全防护装置和包括该安全防护装置的电梯
KR102205714B1 (ko) * 2020-08-10 2021-01-21 아세아시멘트(주) 절첩기능을 갖는 사이로장치용 핸드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사이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8038B (en) * 1984-04-27 1986-10-29 Afd Engineering Lift car top barrier
JPS63197261U (ko) * 1987-06-08 1988-12-19
JPH0649577Y2 (ja) * 1987-11-27 1994-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H01281281A (ja) * 1988-05-06 1989-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さく
JPH02291377A (ja) * 1989-04-28 1990-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H07102Y2 (ja) * 1990-04-06 1995-01-11 知己 大岩 傾動棚
JPH04292386A (ja) * 1991-03-20 1992-10-16 Toshiba Corp 油圧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柵
JPH07224567A (ja) * 1994-02-10 1995-08-22 Ykk Architect Prod Kk 障子開閉アーム装置
EP0922663B1 (de) * 1997-11-08 2000-06-28 Thyssen Aufzugswerke GmbH Aufzug, insbesondere Treibscheibenaufzug
JP4245209B2 (ja) 1998-09-03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4884A (zh) * 2020-08-13 2022-02-22 奥的斯电梯公司 顶部扩展部及其操作方法、电梯轿厢组件和电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20629A1 (ja) 2004-12-16
CN1471492A (zh) 2004-01-28
CN1243660C (zh) 2006-03-01
WO2003020629A1 (fr) 2003-03-13
KR100513631B1 (ko) 2005-09-09
EP1422185A4 (en) 2010-06-23
EP1422185A1 (en) 2004-05-26
JP5217073B2 (ja) 2013-06-19
CN1736841A (zh) 2006-02-22
CN100345744C (zh) 2007-10-31
EP1422185B1 (en) 2015-10-21
CN100345745C (zh) 2007-10-31
CN1733587A (zh)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631B1 (ko) 승차카 및 엘리베이터 장치
US20070181384A1 (en)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n Elevator Car to an Elevator Car and to an Elevator Shaft as well as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KR100499660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JP2011126628A (ja) エレベータ点検台
CA2307424C (en) Equipment for carrying out operations in a lift shaft
JPH0597357A (ja)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KR20030051900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03135A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JP2888394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床
JP479756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7224532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056392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足場装置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WO2019155605A1 (ja) エレベーター用作業台及びエレベーター
JP5097781B2 (ja) 乗客コンベア用ステップバンドガード
JP41181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0167611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固定装置
WO200310413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12843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作業安全装置
JPWO200202248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710685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装置
JP2004244188A (ja) エレベータかご
JP484974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保守・点検方法
RU22688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работ в шахте лифта
JPH06247660A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用作業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