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35A - 레그 작업용 플랫폼 - Google Patents

레그 작업용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35A
KR20180003135A KR1020160082581A KR20160082581A KR20180003135A KR 20180003135 A KR20180003135 A KR 20180003135A KR 1020160082581 A KR1020160082581 A KR 1020160082581A KR 20160082581 A KR20160082581 A KR 20160082581A KR 20180003135 A KR20180003135 A KR 2018000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bracket
leg
moving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615B1 (ko
Inventor
정구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6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9/00
    • B63B9/06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레그 작업용 플랫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그 작업용 플랫폼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 복수의 지지바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지지바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는 레그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에 있어서, 지지바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지지바 및 랙 기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절곡부가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 작업수단, 고정 작업수단의 절곡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고, 지지바의 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제 1 브라켓 및 일측이 제 1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지지바의 타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그 작업용 플랫폼 {PLATFORM FOR LEG WORK}
본 발명은 레그 작업용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그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상기 지지바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바 및 연결바는 일 예로 데크에 설치된 다음, 용접 작업, 도장 작업, 블라스팅 작업 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러한 작업들을 위해서는 족장의 설치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지지바 및 연결바는 그 구조 상 족장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 예로 파이프 족장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파이프 족장의 물량 및 작업 소요 시간이 과다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이프 족장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파이프 족장이 설치되고 있는 구역에 아래로는 작업자의 접근이 불가하기 때문에, 공정 지연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파이프 족장의 설치 및 해체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능률이 저하되고, 고소 작업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며,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우려도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5-0008720호 (2015.01.2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구역에서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상기 지지바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는 레그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 및 상기 랙 기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절곡부가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 작업수단, 상기 고정 작업수단의 상기 절곡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제 1 브라켓 및 일측이 상기 제 1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작업수단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작업수단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 작업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작업수단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작업수단은,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작업 공간이 마련된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에 연결되는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 상기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와인더 및 상기 와인더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바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을 상호 체결시키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핀은, 상기 랙 기어의 기어홈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작업수단은,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맨홀, 상기 맨홀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맨홀 커버, 상기 맨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작업수단에서 상기 이동 작업수단으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사다리 및 상기 고정 작업수단을 상기 레그에 고정시키기 위해, 크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 작업수단을 들어올리기 위한 고정 작업수단용 케이블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팅용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구역에서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작업용 플랫폼이 설치된 레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이동 작업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고정 작업수단이 레그에 고정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제 2 브라켓이 제 1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되어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제 2 브라켓이 제 1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되어 닫힘에 따라 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이 상호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작업용 플랫폼이 설치된 레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이동 작업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2), 복수의 지지바(2)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4) 및 지지바(2)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랙 기어(6)를 포함하는 레그(8)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이 복수의 지지바(2)에 모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의 개수는 실제 작업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레그(8)에 대한 작업이란 도장 작업, 용접 작업 등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족장이 레그(8)에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레그(8)는 그 구조 상 족장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 예로 파이프 족장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파이프 족장의 물량 및 작업 소요 시간이 과도해질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족장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파이프 족장이 설치되고 있는 구역에 아래로는 작업자의 접근이 불가하기 때문에, 공정 지연이 발생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8)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이 제안된다. 구체적으로, 레그(8)에 대하여 작업이 필요한 경우,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을 지지바(2)에 고정시켜 레그(8)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을 지지바(2)로부터 철거시킨다.
이를 위해,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은 지지바(2)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작업수단(100), 고정 작업수단(100)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200), 일측이 제 1 브라켓(200)과 힌지 결합되는 제 2 브라켓(300) 및 고정 작업수단(100)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고정 작업수단(100)에 연결되고, 고정 작업수단(100)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 작업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작업수단(100)은 지지바(2)에 선택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작업자를 도달하게 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작업수단(100)은 지지 플레이트(110),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10)에 관통 형성되는 맨홀(120), 맨홀(120)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맨홀 커버(120), 맨홀(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사다리(140) 및 고정 작업수단(100)을 레그(8)에 고정시키기 위해, 크레인(C)에 연결되어 고정 작업수단(100)을 들어올리기 위한 고정 작업수단용 케이블(50)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팅용 러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탑승한 작업자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10)의 네 측면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 난간(112)이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이 더욱 담보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10)에는 지지바(2) 및 랙 기어(6)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절곡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작업수단(100)은 절곡부(105)에 지지바(2) 및 랙 기어(6)가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105)의 외측에는 사람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맨홀(1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맨홀(120)은 작업자가 외부에서 고정 작업수단(100)으로 진입하거나, 고정 작업수단(100)에서 이동 작업수단(400)으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맨홀(120)은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평상시에는 맨홀 커버(1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맨홀(120)의 일측에는 사다리(140)가 제공되어 맨홀(120)을 통과한 작업자는 사다리(140)를 통해 안전하게 하강하여 이동 작업수단(4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작업수단(100)이 지지바(2)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제 1 브라켓(200) 및 제 2 브라켓(300)이 복수의 지지바(2)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호 체결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 1 및 제 2 브라켓(200, 300)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 1 브라켓(200)은 제 2 브라켓(300)과 함께 고정 작업수단(100)이 지지바(2)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브라켓(200)은 고정 작업수단(100)의 절곡부(105)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제 2 브라켓(300)은 힌지부(250)를 매개로 제 1 브라켓(20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바(2)에 고정 작업수단(100)이 고정된 경우, 제 1 브라켓(200)은 지지바(2)의 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으며, 제 2 브라켓(300)은 지지바(2)의 타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그 다음,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이 결합핀(240)에 의해 체결되고, 볼트(330) 및 너트(340)에 의해 추가적으로 체결되고, 볼트(330) 및 너트(340)에 의해 추가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핀(240)은 랙 기어(6)의 기어치(7)와 기어치(7) 사이에 형성되는 기어홈(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핀(240)이 랙 기어(6)의 기어홈(7’)에 삽입되어 지지됨에 따라,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은 상호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정 작업수단(100)은 보다 견고하게 지지바(2)에 고정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이 체결됨에 있어서 결합핀(240)과 볼트(330) 및 너트(340)가 모두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이 체결되기 위해 다양한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 1 브라켓(200)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2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210)에는 이동 작업수단(4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210)에 연결된 이동 작업수단(400)은 고정 작업수단(100)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레그(8)에 대한 상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작업수단(400)은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작업 공간이 마련된 본체(410), 일단이 본체(4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210)에 연결되는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420),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420)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와인더(430) 및 와인더(43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0)는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420)이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지지부(2)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여 작업자가 작업 구역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420)의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은 와인더(430) 및 구동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구동부가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420)이 감겨져 있는 와인더(430)에 동력을 제공하면, 와인더(430)는 회전되면서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420)을 감거나 풀어주기 때문에, 본체(410)는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고정 작업수단이 레그에 고정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제 2 브라켓이 제 1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되어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레그 작업용 플랫폼의 제 2 브라켓이 제 1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되어 닫힘에 따라 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이 상호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크레인(C)에 연결된 고정 작업수단용 케이블(50)을 리프팅용 러그(150)에 연결하여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을 들어올린다.
크레인(C)에 의해 들어올려진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의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 사이에 복수의 지지바(2)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도록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의 위치는 지지 플레이트(110)의 절곡부(105)에 레그(8)의 지지바(2) 및 랙 기어(6)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의 위치가 설정되면, 제 1 브라켓(200)에 대하여 제 2 브라켓(300)을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바(2)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이 접촉된다.
그리고, 접촉된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을 상호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이 지지바(2)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면, 작업자는 결합핀(240)을 이용하여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을 서로 체결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결합핀(240)으로 체결된 영역의 외측을 볼트(330) 및 너트(340)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체결시킨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이 체결되기 위해, 핀 결합 방식 또는 볼트 체결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고정 작업수단(100)은 지지바(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고정 작업수단(100)에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지지바(2)에 고정된 고정 작업수단(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 작업수단(400)에 탑승하여 작업 구역을 옮기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을 체결시키는 결합핀(240), 볼트(330) 및 너트(340)를 제거한 후, 제 2 브라켓(300)을 제 1 브라켓(200)으로부터 회동시켜 제 1 브라켓(200)과 제 2 브라켓(300)의 접촉을 해제한다. 그리고, 크레인(C)에 연결된 고정 작업수단용 케이블(50)을 다시 리프팅용 러그(150)에 연결시킨 다음,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을 지지부(2)로부터 철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이 설계됨으로써, 작업 안정성이 종래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족장을 설치하여 레그(8)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철거가 가능한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을 이용하여 레그(8)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공정 비용이 종래보다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은 제 1 브라켓(200)과 힌지 결합되는 제 2 브라켓(30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지지바(2)에 대하여 고정 또는 분리됨으로써, 공정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레그 작업용 플랫폼(10)의 이동 작업수단(400)에 작업자가 탑승한 다음, 이동 작업수단(400)을 승하강시켜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능률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2: 지지바 4: 연결바
6: 랙 기어 7: 기어치
7’: 기어홈 8: 레그
10: 레그 작업용 플랫폼 50: 고정 작업수단용 케이블
105: 절곡부 110: 지지 플레이트
112: 안전 난간 120: 맨홀
130: 맨홀 커버 140: 사다리
150: 리프팅용 러그 200: 제 1 브라켓
210: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 240: 결합핀
250: 힌지부 300: 제 2 브라켓
330: 볼트 340: 너트
400: 이동 작업수단 410: 본체
420: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 430: 와인더

Claims (6)

  1.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상기 지지바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는 레그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 및 상기 랙 기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절곡부가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 작업수단;
    상기 고정 작업수단의 상기 절곡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제 1 브라켓; 및
    일측이 상기 제 1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작업수단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작업수단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 작업수단을 더 포함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작업수단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작업수단은,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작업 공간이 마련된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작업수단 설치용 브라켓에 연결되는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
    상기 이동 작업수단용 케이블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와인더; 및
    상기 와인더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을 상호 체결시키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핀은,
    상기 랙 기어의 기어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작업수단은,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맨홀;
    상기 맨홀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맨홀 커버;
    상기 맨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작업수단에서 상기 이동 작업수단으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사다리; 및
    상기 고정 작업수단을 상기 레그에 고정시키기 위해, 크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 작업수단을 들어올리기 위한 고정 작업수단용 케이블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팅용 러그를 더 포함하는 레그 작업용 플랫폼.
KR1020160082581A 2016-06-30 2016-06-30 레그 작업용 플랫폼 KR101825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581A KR101825615B1 (ko) 2016-06-30 2016-06-30 레그 작업용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581A KR101825615B1 (ko) 2016-06-30 2016-06-30 레그 작업용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35A true KR20180003135A (ko) 2018-01-09
KR101825615B1 KR101825615B1 (ko) 2018-02-05

Family

ID=6100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581A KR101825615B1 (ko) 2016-06-30 2016-06-30 레그 작업용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6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544A (zh) * 2019-10-14 2019-12-20 云南建投安装股份有限公司 一种钢柱安全操作平台
CN112208726A (zh) * 2020-10-23 2021-01-12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卡接型船舶地台架
CN112459447A (zh) * 2020-11-09 2021-03-09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提升装置的附着式升降脚手架
CN115071911A (zh) * 2022-06-17 2022-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多用途框架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52B1 (ko) * 2005-09-15 2007-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의 코너 작업용 곤도라
KR101577933B1 (ko) * 2015-08-31 2015-12-16 박종춘 선체용 로딩 암 구조체의 정비 보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544A (zh) * 2019-10-14 2019-12-20 云南建投安装股份有限公司 一种钢柱安全操作平台
CN112208726A (zh) * 2020-10-23 2021-01-12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卡接型船舶地台架
CN112459447A (zh) * 2020-11-09 2021-03-09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提升装置的附着式升降脚手架
CN115071911A (zh) * 2022-06-17 2022-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多用途框架平台
CN115071911B (zh) * 2022-06-17 2023-11-2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多用途框架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615B1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15B1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CA2593286A1 (en) Clamp for a construction apparatus
US11092139B2 (en) Rotor blade replacement system
KR20140002751A (ko) 풍력발전용 터빈 타워의 외측 표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20070181384A1 (en)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n Elevator Car to an Elevator Car and to an Elevator Shaft as well as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US20150152653A1 (en) Platform
US20090020363A1 (en) Scaffolding fall protection system
KR101948724B1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US20220220744A1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JP5752184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JP2017022826A (ja) 電気機器の高所取付装置
US7942243B1 (en) Intermediate cable fairlead
JPH09151053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CN114822890A (zh) 核电站设备闸门安装方法
JP5935165B2 (ja) マンホール用梯子
JP2010180557A (ja) 昇塔防止装置
JP5506043B2 (ja) 落下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落下防止方法
JP3191634U (ja) 塗料飛散防護装置
CN205134977U (zh) 一种生命绳
JP2000053351A (ja) エレベータ乗場開口部の養生装置
KR200201613Y1 (ko)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JP5444150B2 (ja) 養生ネット付き先行手摺装置
JP2007176643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KR200271547Y1 (ko) 고소작업장치
KR100258816B1 (ko)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