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547Y1 -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547Y1
KR200271547Y1 KR2020010035559U KR20010035559U KR200271547Y1 KR 200271547 Y1 KR200271547 Y1 KR 200271547Y1 KR 2020010035559 U KR2020010035559 U KR 2020010035559U KR 20010035559 U KR20010035559 U KR 20010035559U KR 200271547 Y1 KR200271547 Y1 KR 200271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erial work
cable fixing
column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열
Original Assignee
(주)케이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35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547Y1/ko

Link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이 포함된 건축구조물에서 이웃한 두 기둥에 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을 설치하고, 이들 케이블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다수의 발판지지지용 케이블을 긴장 연결시켜 놓고, 발판지지용 케이블에 지지판재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통로를 제공한다. 작업자는 케이블 고정프레임에 추가로 설치된 보조케이블에 안전로프를 걸어 지지판재를 이용하여 작업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안전 작업을 보장받을 수 있고, 고소작업장치의 간단한 조립 및 해체로 공사비용 및 공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장치{High place working device}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작업자가 고공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을 받치고 있는 기둥 사이에서 작업자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고소작업에서는 높은 부위측 시설물을 개보수하기 위해 고소작업대가 마련되어야 한다.
종래, 일례로 인장구조물에서의 고소작업을 위한 한 방법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에는 기중기(10)가 이용되고, 기중기(10)는 작업대(12)를 지상에서 필요한 높이만큼 고공으로 들어올린다. 작업대(12)는 상방으로 개방된 박스형으로 바닥은 합판 또는 복합소재로 구성된다.
작업대(12)는 기중기(10)에 매달려 공간구조물측 구조용 케이블(16)로 이동되고, 구조용 케이블(16)에 도달된 작업대(12)는 클램프(14)로 케이블(16)측에 걸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작업대(12)에 탑승하여 안전로프를 케이블(16)에 걸고 해당 시설물의 보수작업을 수행한다.
이같이 고소작업에 기중기가 사용될 경우 문제는 이미 설치된 공간구조물내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경기장이 막구조물인 경우 출입구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어 기중기가 출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는 공간구조물과 같이 기중기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는 건축공사장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비계(널판지와 파이프 그리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높게 쌓아 올린것)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계 사용은 공간구조물의 규모가 비교적 클 경우 비계 설치면적이 전체적으로 넓어져 공사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비계를 설치하는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투하되고, 작업 능률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간구조물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둥을 이용하여 기중기가 없이도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어느 한 개소의 제1기둥(21)과 다른 한 개소의 선택된 제2기둥(22)과의 사이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21)과 상기 제2기둥(22)에는 설치 높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분할 조립되는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을 각기 고정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1,32)에는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긴장되어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을 고정하고, 복수의 상기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상면에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 면적을 갖는 지지판재(42)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돔형 구조물에서의 고소작업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3은 도 2에서 고소작업장치의 세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소작업장치에서 판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판재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판재의 설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2 : 기둥
30,31 : 고정프레임
32,33 : 분할프레임
34,35 : 조임밴드
37 : 클램프
40 : 발판지지용 케이블
42 : 지지판재
44 : 보조케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지붕막을 갖는 공간구조물에서 고소작업장치가 적용된 개략도이다. 즉, 제1기둥(21)과 제2기둥(22)의 사이에 고소작업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제1기둥(21)과 제2기둥(22)의 사이에는 제3기둥(23)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기둥(21, 22,23)은 각각의 구조용 케이블(24,25,26)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지붕막(17)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구조용 케이블(24,15,16)은 적게는 수톤에서 많게는 수십톤까지 인장력이 가해져 있고, 이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한 충분한 구조적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조용 케이블(24,25,26)은 최초에 설정된 인장력이 느슨해지거나 구조적으로 약해지면 교체 및 연결 보수를 필요로 한다. 또한 구조용 케이블(24,25, 26)은 피복 청소작업, 그리스(grease) 누유방지를 위한 테핑(tapping)작업 등의 보수작업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작업 이외에 공간구조물에 설치된 지붕막의 청소 및 실리콘 처리작업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예를 들어, 보수구간이 제1기둥(21)과 제2기둥(22)의 사이에 이루어진다면, 먼저 각 기둥(21,22)에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은 서로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므로 어느 하나의 케이블 고정프레임(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은 작업자의 높낮이를 고려하여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분할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할되어 대칭형을 이루는 한쌍의 분할프레임(32,33)과, 한쌍의 분할프레임(32,33)을 해당 기둥(22)측에 고정하여 회전과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체결볼트(38)와 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39)로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할프레임(32,33)은 반원형으로 상,하부 조임밴드(34,35)와, 상기 상부 조임밴드(34)에서 해당 기둥(2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하부 조임밴드(35)와 보강리브(29)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플레이트(36)와, 후술할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을 각기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평플레이트(36)에 구비된 복수의 U클램프(3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은 도 3과 같이 조립 설치된다. 즉, 분할프레임(32,33)을 서로 해당 기둥(21)측에 맏붙여 상,하부 조임밴드(34,35)의양단을 여러개소에서 체결볼트(38)와 너트(39)의 체결력으로 확고히 고정한다.
그런 다음 서로 멀리 떨어진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측에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을 설치한다.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의 수평플레이트(36)에 U클램프(37)를 지나면서 고정된다. 이때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은 서로 수평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도록 장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장력유지 및 조절은 일례로, 구조물의 고정부위에 고정시킨 주지의 체인블록에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끝단을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은 한번에 수명의 작업자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갖는다.
상기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상면에는 도 4,5와 같이 작업자의 이동발판을 제공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지지판재(42)가 설치된다. 판재(42)는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기 어려운 강성을 갖는 합판이나 기타 복합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판재(42)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작업화가 쉽게 미끌리지 못하도록 주지의 미끄럼방지용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지지판재(42)는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과 예로, 철선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판재(42)에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이 지나가는 선상에 천공구멍을 양측으로 뚫고 여기에 일정길이의 철선을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외경을 감싸서 판재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에는 작업자가 안전로프를 걸 수 있도록 보조케이블(4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 31)의 수평플레이트(36)의 양단 상면에 지지브래킷(51)을 입설시키고, 상기 지지브래킷(51)에 보조케이블(44)을 걸어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보조케이블(44)을 잡아당기는 힘은 케이블 시공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체인블록이 채택될 수 있다. 즉, 체인블록을 구조물의 고정부위에 고정하고 보조케이블(44)의 끝단을 잡아당기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기둥(21,22) 사이에 설치되는 고소작업장치는, 해당 기둥(21, 22)에 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을 먼저 설치한다.
이때 어느 한쪽의 케이블 고정프레임(30)을 설치하는 방법은, 분할프레임 (32,33)을 해당 제1기둥(21)측에 맞대어 상,하부 조임밴드(34,35)가 제1기둥(21)을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다음, 도 3과 같이 준비된 체결볼트(38)를 상,하부 조임밴드(34,35)에 삽입하여 너트(39)에 나사결합시켜서 케이블 고정프레임(30)이 해당 기둥(22)에서 회전하거나 이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이때 해당 기둥(22)측에 설치된 케이블 고정프레임(31)은 마주하는 기둥(21)측을 정면으로 바로 마주보고 있도록 고정한다.
그 다음,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일단을 일측 고정프레임(30)의 수평플레이트(36)에 U클램프(37)로 고정하고, 복수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타단을 같은 방법으로 타측 고정프레임(31)의 수평플레이트(36)에 U클램프(37)로 각기 고정한다.
이때 복수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에는 동일한 인장력이 걸려있도록 인장력을 조절하여 서로 수평적으로 나란하게 정열되도록 한다.
그 다음, 보조케이블(40)을 양측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측에 팽팽하게 연결한 후 복수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상면에 적당한 크기의 지지판재(42)를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고정 설치한다.
이같이 하여 지지판재(42)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보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통로가 확보되어 안전로프를 보조케이블(44)에 걸고 필요한 보수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고소작업이 완료되면 상기의 반대로 고소작업장치를 해체하고 다음 보수장소로 이동하고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소작업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비계를 이용한 고소장치에 비해, 설치 및 해체시간이 단축되어 전체적인 보수 공사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장비가 간단하여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종래와 같이 기중기가 진입할 수 없는 공간구조물에서의 고소작업에 유용하다.

Claims (3)

  1. 어느 한 개소의 제1기둥(21)과 다른 한 개소의 선택된 제2기둥(22)과의 사이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21)과 상기 제2기둥(22)에는 설치 높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분할 조립되는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을 각기 고정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1,32)에는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긴장되어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을 고정하고, 복수의 상기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의 상면에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 면적을 갖는 지지판재(42)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은,
    분할 조립 가능하고, 대칭형을 이루는 한쌍의 분할프레임(32,33)이고,
    상기 분할프레임(32,33)은, 반원형인 상,하부 조임밴드(34,35)와; 상기 상부조임밴드(34)에서 해당 기둥(21 또는 22)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하부 조임밴드(35)와 연결되어 있는 수평플레이트(36)와; 상기 수평플레이트(36)에 복수의 상기 발판지지용 케이블(4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U클램프(37)와; 상기 상,하부 조임밴즈(34,35)를 해당 기둥(21 또는 2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프레임(30,31)에는 작업자의 안전로프를 걸 수 있는 보조케이블(44)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KR2020010035559U 2001-11-19 2001-11-19 고소작업장치 KR200271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59U KR200271547Y1 (ko) 2001-11-19 2001-11-19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59U KR200271547Y1 (ko) 2001-11-19 2001-11-19 고소작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047A Division KR100454121B1 (ko) 2001-11-19 2001-11-19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547Y1 true KR200271547Y1 (ko) 2002-04-10

Family

ID=7311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559U KR200271547Y1 (ko) 2001-11-19 2001-11-19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5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KR101547824B1 (ko) 플랫폼 지지방식의 노내비계와 인양시스템
CN110593544A (zh) 一种钢柱安全操作平台
JP4716948B2 (ja) 安全ロープ張設用支持金具
GB2511847A (en) Suspended platform system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JP5589183B2 (ja) 円筒状構築物の足場装置及びその移動方法
KR101266282B1 (ko) 노내 와이어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0454121B1 (ko) 고소작업장치
KR200271547Y1 (ko) 고소작업장치
JP5773469B1 (ja) 吊足場
US6267201B1 (en) Work platform for roof construction work
CN117005664A (zh) 一种电动平移式吊篮
JP2004360214A (ja) 足場/養生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476659B1 (ko) 안전작업대 조립체의 시공방법
JP5680367B2 (ja) 揚重装置
CN212532065U (zh) 一种可不同高差场地使用的门式起重机
CN110284700B (zh) 应用于双曲面空间结构的操作平台及施工方法
KR101757279B1 (ko)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설비를 구축하는 시스템
KR20130065941A (ko)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KR20020054259A (ko) 교량 점검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57282B1 (ko) 하중이 증가할수록 와이어 로프의 외측을 조일 수 있는 와이어 조임쇠를 포함하는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시스템의 상부 하중 지지 구조
JPH1088786A (ja) 柱状構造物用足場
JP7209413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構築方法、解体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滑車支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