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816B1 -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816B1
KR100258816B1 KR1019980011865A KR19980011865A KR100258816B1 KR 100258816 B1 KR100258816 B1 KR 100258816B1 KR 1019980011865 A KR1019980011865 A KR 1019980011865A KR 19980011865 A KR19980011865 A KR 19980011865A KR 100258816 B1 KR100258816 B1 KR 10025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mney
rise
plant
uni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330A (ko
Inventor
김종근
김창희
전신용
Original Assignee
김윤규
현대건설주식회사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규, 현대건설주식회사,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filed Critical 김윤규
Priority to KR101998001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8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8Chimney stacks, e.g. free-standing, or similar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Abstract

본발명은 고층굴뚝 설치작업을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사방에 세워져서 전체를 지탱하여 주는 버팀기둥(110)들로서 이루어지는 지지틀(100)과, 상기 지지틀(100)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지며 굴뚝유니트(2)를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위치로 양중하는 호이스트(210)들을 가지는 작업대(200)와,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내측에 각기 수직방향으로 길게 착설되는 이송로드(300)들과, 상기 이송로드(300)들을 타고 상기 지지틀(100)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굴뚝유니트(2)를 상승 이동시켜주는 이송리프트(400)로서 구성된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상기 영구기초(5)를 지면에 설치할 때에, 그 영구기초(5)를 기준으로하여 사방의 지면에 와이어(8)를 감거나 풀어낼 수 있는 복수의 와이어윈치(7)들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윈치(7)에 권취된 와이어(8)들을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로서 최초로 상승이동되는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의 상단에 연결시켜서, 시공중에는 굴뚝유니트(2)들을 안전하게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공이 완료된 고층굴뚝(3)을 견실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굴뚝의 시공방법이다.

Description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본발명은 공장이나 발전소 등에 시설되는 고층굴뚝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굴뚝유니트를 상호 하부에서 연결시켜서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서, 고층굴뚝 설치작업을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발전소와 같은 대단위 산업시설물은 운용시에 발생된 다량의 배기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고층굴뚝을 시설하게 되는 바, 그 중의 하나는 강관으로 제작된 굴뚝유니트를 소요 높이로서 적층시켜서 시공된 고층굴뚝이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고층굴뚝을 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형크레인을 사용하여 굴뚝유니트를 지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층시켜서 시공하였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층굴뚝을 설치하기 위한 해당 구역에 대형크레인을 이동시켜서 준비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의 지면에 기초바닥을 설치한 후에, 대형크레인으로서 미리 준비된 최하부의 굴뚝유니트를 양중하여서 기초바닥에 설치하며, 대형크레인으로 다른 굴뚝유니트를 양중하여서 최하부의 굴뚝유니트로부터 적층시키고 연결 조립하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최상부의 굴뚝유니트까지 순차적으로 설치하여서 고층굴뚝을 시공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고층굴뚝을 시공함에 있어, 대형크레인 이외에 굴뚝유니트를 달리 적층시키기 위한 수단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최하부의 굴뚝유니트 상부에 다른 굴뚝유니트를 반복적으로 적층시키면서 설치하는 작업공정이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서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대형크레인으로 굴뚝유니트를 연결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고소작업의 어려움이 수반되는 작업여건으로 인하여 시공상의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즉, 첫째 지면으로부터 굴뚝유니트가 적층됨에 따라 그 굴뚝유니트가 적층된 높이와 비례하여 고소작업의 위험부담이 증가되어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작업자가 고소작업으로 인한 위험부담과 어려움을 감수하고 설치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열악한 작업여건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켜서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고층굴뚝의 설치작업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굴뚝유니트의 중량에 비하여 불필요하게 큰 대형크레인을 장비로서 활용하는 만큼 공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경제적인 시공을 저해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발명은 최상부의 굴뚝유니트를 상승시키고 그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를 반복적으로 연결 조립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굴뚝유니트의 설치작업시 고소작업에 따른 위험부담을 배제시켜서 고층굴뚝 시공상의 안정성을 도모하여 주며, 둘째 굴뚝유니트의 설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여건을 개선하여서 고층굴뚝 시공에 따른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켜주며, 셋째 굴뚝유니트 설치시에 대형장비의 사용을 억제하여서 고층굴뚝 시공상의 경제성을 제고하여 주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고층굴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1은 본발명의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발명의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3는 본발명의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의 작용을 나타낸 것임
도4는 본발명의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의 요부발췌 사시도
도5는 도4의 일부절결 일측면도
도6a,6b,6c는 본발명 이송리프트의 작동상태를 개략도로서 예시한 것임
도7은 본발명의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8은 도7의 "A"부 확대단면도.
도9a, 9b, 9c, 9d, 9e는 본발명 고층굴뚝의 시공방법을 공정별로 예시한 것임
도10은 본발명 고층굴뚝의 시공방법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굴뚝유니트 3: 고층굴뚝 4: 철골구조물
5: 영구기초 7: 와이어윈치 8: 와이어
9: 고정지주 100: 지지틀 110: 버팀기둥
120: 보조기둥 200: 작업대 210: 호이스트
220: 받침부재 230: 바닥판 231: 중앙통로
240: 안전펜스 300: 이송로드 310: 금속환봉
320: 환형랙 330: 고정철물 400: 이송리프트
410: 행거 420: 홀더 430: 스트로크실린더
440: 상부 스텝실린더 450: 하부 스텝실린더 460: 슬라이드
본발명의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방에 세워져서 전체를 지탱하여 주는 버팀기둥(110)들로서 이루어지는 지지틀(100)과, 상기 지지틀(100)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지며 굴뚝유니트(2)를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위치로 양중하는 호이스트(210)들을 가지는 작업대(200)와,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내측에 각기 수직방향으로 길게 착설되는 이송로드(300)들과, 상기 이송로드(300)들을 타고 상기 지지틀(100)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굴뚝유니트(2)를 상승 이동시켜주는 이송리프트(400)로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층굴뚝(3)을 설치하기 위한 해당 구역에 설치하여서, 작업대(200)에 설치된 호이스트(210)와 이송리프트(400)를 작동시켜서 굴뚝유니트(2)를 작업대(200)를 통과시켜서 상승 이송시키고, 이송된 굴뚝유니트(2)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서 연결 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굴뚝유니트(2)를 적층하는 설치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여서 작업중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설치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층굴뚝 높이에 구애됨이 없이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서 소요 높이로서 적층시키면서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고층굴뚝의 높이에 맞추어서 불필요하게 큰 대형장비의 사용을 자재하여 공사비용을 절감시켜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틀(100)은 지면에 접지 고정시켜서 사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버팀기둥(110)들로 이루어져서 작업대(200)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버팀기둥(110)들로서 지지틀(100) 내측에서 상하동작되는 이송리프트(400)를 안내하여 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100)을 이루는 버팀기둥(110)들은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하도록 사각형강으로서 만들어지도록 하며, 그 버팀기둥(110)의 하단부에 접지판(111)을 착설하여서 지면에 접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각각의 외측 상부에, 접지판(121)을 통하여 지면에 고정되어서 상향경사지게 세워지는 보조기둥(120)들로서 지지시켜서, 상기 지지틀(100)이 작용되는 횡력이나 풍력에 대응하는 견고한 구조로서 전체를 유지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대(200)는 굴뚝유니트(2)를 작업위치로 양중할 수 있도록 일정위치에 한쌍의 호이스트(210)들을 설치하여서 되며, 이송리프트(400)로서 상승되는 굴뚝유니트(2)를 통과시켜서 그 굴뚝유니트(2)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2)를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대(200)는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 상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마름모꼴형으로 조립되는 받침부재(220)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판(230)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바닥판(230)의 중앙에 굴뚝유니트(2)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트여지는 중앙통로(231)를 형성하여서, 상기 이송리프트(400)에 의하여 상승되는 굴뚝유니트(2)의 상단부가 상기 작업대(200)의 중앙통로(231)를 통과하여서 상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승중인 굴뚝유니트(2)는, 그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2)를 위치시킬 수 있는 높이까지 도달되면 정지시키고, 상기 작업대(200)의 호이스트(210)들을 동작시켜서 다른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 이미 상승되어 있는 굴뚝유니트(2) 하부에 맞대어 연결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업대(200) 상에서는 상승된 굴뚝유니트(2)에 별도의 철골구조물(4)이나 부착물 등을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이스트(210)들은 상기 작업대(200)의 중앙통로(231)를 기준으로 양측의 일정위치에 형성된 개구부(232) 좌우로 길게 착설되는 고정부재(233)들의 상부에 설치하여서, 지면에 미리 준비된 굴뚝유니트(2)를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로 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대(200)에는 그 사방 둘레의 바닥판(230)을 따라 파이프(241)들을 종횡으로 교차되게 형성하여서 된 안전펜스(240)를 설치하여서, 상기 작업대(200) 상에서 작업중에 발생될 수 있는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배려함이 바람직하다.
이송로드(300)들은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내측에 수직으로 길게 세워져서, 그 이송로드(300)들을 타고 상기 이송리프트(400)가 상하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송로드(300)들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금속환봉(310) 외주면 둘레에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서 돌출 형성되는 환형랙(320)을 각기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드(300)들은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 내측의 상하부에 대향되게 부착 고정된 한쌍의 고정철물(330)에 고정너트로서 고정시켜서 각각 설치된다.
이송리프트(400)는 지지틀(100) 내측에서 이송로드(300)들을 타고 상하동작되면서 굴뚝유니트(2)를 상향 이동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송리프트(400)는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중앙에 굴뚝유니트(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근입통로(411)를 두고 사각형으로 형성된 행거(410) 사방에 중심부를 향하여 동시에 출몰가능하도록 수개의 홀더(420)를 각각 배설하고, 상기 홀더(420)와 일직선상의 행거(410) 외측에 상기 이송로드(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수직공(432)이 형성된 박스형의 케이싱(431) 내측 하부에 내설된 추진로드(433)를 가지는 스트로크실린더(430)들을 착설하고,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 상하부의 양측에 각각 상기 이송로드(300)를 향하여 진퇴되는 스토퍼(441,451)를 가지는 한쌍의 상,하부 스텝실린더(440,450)들을 설치하며,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 외측에 각기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을 감싸져서 상하동작을 안내하여주도록 착설되는 슬라이드(460)들로서 구성하여서 된다.
즉, 상기 이송리프트(400)는 상기 작업대(200)의 호이스트(210)로서 양중된 굴뚝유니트(2)가 행거(410) 중앙의 근입통로(411)에 끼워지면, 상기 행거(410) 사방에 배설되어서 출몰되는 홀더(420)들로서 굴뚝유니트(2) 외측의 연결철물(2a)을 통하여 굴뚝유니트(2)를 가조립하여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도6a와 같이 하부 스텝실린더(450)들의 스토퍼(451)는 상기 이송로드(300)의 환형랙(320)에 걸고, 상부 스텝실린더(440)들의 스토퍼(441)는 상기 이송로드(300)의 환형랙(320)으로부터 해지시킨 상태에서, 도6b와 같이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를 작동시키면 추진로드(433)가 신장되면서 스트로크실린더(430)가 상승 동작되고, 도6c와 같이 스트로크실린더(430)가 상승되면 다시 상부 스텝실린더(440)들의 스토퍼(441)를 상기 이송로드(300)의 환형랙(320)에 걸고 하부 스텝실린더(450)들의 스토퍼(451)는 상기 이송로드(300)의 환형랙(320)으로부터 해지시키고, 스트로크실린더(430)의 추진로드(433)를 수축시켜서 1행정의 상승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여서 상기 홀더(420)로서 가고정된 굴뚝유니트(2)를 상향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리프트(400)를 이루는 행거(410), 스트로크실린더(430), 슬라이드(460)들은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된 러그(410a,430a,460a)를 상호 맞물리고 체결볼트로 고정시켜서 상호 착탈가능하게 조립한다.
또, 상기 홀더(420)들은 상기 행거(410) 사방에 형성된 조립구멍(412)에 각기 내삽 고정된 홀더케이싱(421) 내측의 고정키(422)와 맞물려지도록 내설하되, 상기 홀더케이싱(421) 선단부 내측에 삽설되어 상기 행거(410) 저면에 착설된 유압모터(413)로서 회동되도록 내설된 회동링(423)과 나사결합시켜서, 상기 행거(410) 중앙의 근입통로(411) 내에 끼워지는 굴뚝유니트(2)를 향하여 출몰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420) 선단에는 굴뚝유니트(2)의 연결철물(2a)이 걸쳐져서 가조립될 수 있도록 나사공들이 형성된 걸침턱(420a)를 형성하여서 된다.
또, 상기 상부 스텝실린더(440)들은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의 상부에 각기 출입공(434a)을 형성하여서 된 양측의 브라켓(434)에 착설하고, 상기 하부 스텝실린더(450)들은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의 추진로드(433) 하단 양측에 결착되어 각기 출입공(435)을 형성하여서 된 박스형의 브라켓(435a) 양측에 착설시켜서, 상기 상,하부 스텝실린더(440,450)들의 스토퍼(441,451)들이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 상하부의 브라켓(434,435)의 출입공(434a,435a)을 통하여 출몰되면서 상기 이송로드(300)의 환형랙(320)에 걸어지거나 해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슬라이드(460)들은 그 사방의 내측에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과 맞대어져서 구름운동하는 다수의 구름로울러(461)들을 착설하여서, 상기 슬라이드(460)들이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를 따라서 상하로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7은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작업대(200) 직하부에 위치된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내측에 그 중심부를 향하도록 안내가이드(130)들을 각각 배설하여서, 상기 작업대(200)의 중앙통로(231)를 향하여 상승 이동중인 굴뚝유니트(2)를 안내하여서 좌우로 유동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안내가이드(130)들은 도8에서와 같이, 상기 버팀기둥(110)들의 내측의 브라켓(131)에 내설된 외부케이싱(132) 내의 고정키(133)와 맞물리도록 삽설되는 작동봉(134)의 선단에 로울러(135)를 착설하되,그 작동봉(134)은 상기 외부케이싱(132) 하부에 착설된 유압모터(136)로서 회동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싱(132) 선단 내측에 내삽된 회동링(137)과 나사결합시켜서 진퇴동작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안내가이드(130)들은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200)의 중앙통로(231)를 향하여 굴뚝유니트(2)가 상승 이동되면, 상기 외부케이싱(132) 내에서 출몰되는 작동봉(134)을 동작시켜서 그 작동봉(134) 선단의 로울러(135)로서 상승되는 굴뚝유니트(2)를 마찰저항없이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발명의 고층굴뚝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하여 시공된다.
도9a는 고층굴뚝(3)을 시공하기 위한 작업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해당 구역의 지면에 영구기초(5)를 설치하는 공정이다.
상기 영구기초(5)는 지면에 미리 매설된 앵커볼트(5b)와 일체가 되도록 기초콘크리트(5a)를 타설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5a) 상부에 링형상의 받침틀(5c)을 안치시키고 앵커볼트(5b)로서 고정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받침틀(5c)은 굴뚝유니트(2)의 관경을 감안하여서 그 굴뚝유니트(2)가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가지도록 함이 중요하다.
도9b는 영구기초(5)를 중심으로 하여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를 가설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굴뚝유니트(2)를 연결하는 작업중에 작용되는 수직하중이나 횡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 가설시에 그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 중앙부와 영구기초(5)의 중심이 일치되게 설치하여서,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를 통하여 수행되는 굴뚝유니트(2)의 연결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결 조립이 완료된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를 영구기초(5)에 정밀하게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9c는 가설된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를 운용하여서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로부터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까지 연결 조립하는 공정이다.
즉, 이는 굴뚝유니트(2) 상호간을 조립하는 공정으로서, 가설된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의 호이스트(210)로서 미리 준비된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서 이송리프트(400)에 안착시킨 후에, 이송리프트(400)를 동작시켜서 굴뚝유니트(2) 상부가 작업대(200)의 중앙통로(231)를 통과하도록 상승 이동시키고, 호이스트(210)로서 다음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서 최상부의 하단에 맞대어서 연결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까지 연결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9d와 같이 상기 굴뚝유니트(2) 외부에 철골구조물(4)이나 부속물을 일체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의 작업대(200)에 형성된 중앙통로(231)를 통과하여서 그 작업대(2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의 굴뚝유니트(2) 외부에 부속물이나 철골구조물(4)을 조립시키고, 상승된 굴뚝유니트(2)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서 연결 조립하는 작업을 병행하게 된다.
도9e는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를 영구기초(5)에 안착시켜서 고정하는 마지막 단계의 공정이다.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로서 최상부로부터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까지 연결 조립한 상태에서,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로서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를 영구기초(5)의 받침틀(5c)내에 안치시키고 용접 고정하여서 고층굴뚝(3)의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층굴뚝(3)의 시공이 완료되면, 곧바로 가설된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를 해체하고 주변을 정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10은 본발명의 고층굴뚝 시공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영구기초(5)를 지면에 설치할 때에, 그 영구기초(5)를 기준으로하여 사방의 지면에 와이어(8)를 감거나 풀어낼 수 있는 복수의 와이어윈치(7)들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윈치(7)에 권취된 와이어(8)들을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로서 최초로 상승이동되는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의 상단에 연결시켜서, 시공중에는 굴뚝유니트(2)들을 안전하게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공이 완료된 고층굴뚝(3)을 견실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로서 하부에 계속해서 다른 굴뚝유니트(2)들 연결 조립하면서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를 상승 이동시킬때에, 와이어윈치(7)를 작동시켜서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8)를 풀어주면서 상향 이동되게 하여, 시공중에 이미 연결 조립된 굴뚝유니트(2)들을 항시 와이어(8)로서 지지시켜서 보다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층굴뚝(3)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와이어윈치(7) 측에 감겨진 와이어(8)를 고정지주(9)를 통하여 지면에 영구적으로 접지 고정시켜서 시공된 고층굴뚝(3)을 견실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최상부의 굴뚝유니트를 상승시키고 그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를 반복적으로 연결 조립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층굴뚝의 시공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작업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주며, 대형장비의 사용을 배제하여서 경제적인 시공을 실현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1)

  1. 사방에 세워져서 전체를 지탱하여 주는 버팀기둥(110)들로서 이루어지는 지지틀(100)과, 상기 지지틀(100)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지며 굴뚝유니트(2)를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위치로 양중하는 호이스트(210)들을 가지는 작업대(200)와,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내측에 각기 수직방향으로 길게 착설되는 이송로드(300)들과, 상기 이송로드(300)들을 타고 상기 지지틀(100)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굴뚝유니트(2)를 상승 이동시켜주는 이송리프트(40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각각의 외측 상부에, 접지판(121)을 통하여 지면에 고정되어서 상향경사지게 세워지는 보조기둥(120)들로서 지지시켜서, 상기 지지틀(100)이 작용되는 횡력이나 풍력에 대응하는 견고한 구조로서 전체를 유지 지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00)에는 그 사방 둘레의 바닥판(230)을 따라 파이프(241)들을 종횡으로 교차되게 형성하여서 된 안전펜스(240)를 설치하여서, 상기 작업대(200) 상에서 작업중에 발생될 수 있는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리프트(400)는 중앙에 굴뚝유니트(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근입통로(411)를 두고 사각형으로 형성된 행거(410) 사방에 중심부를 향하여 동시에 출몰가능하도록 수개의 홀더(420)를 각각 배설하고, 상기 홀더(420)와 일직선상의 행거(410) 외측에 상기 이송로드(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수직공(432)이 형성된 박스형의 케이싱(431) 내측 하부에 내설된 추진로드(433)를 가지는 스트로크실린더(430)들을 착설하고,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 상하부의 양측에 각각 상기 이송로드(300)를 향하여 진퇴되는 스토퍼(441,451)를 가지는 한쌍의 상,하부 스텝실린더(440,450)들을 설치하며,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 외측에 각기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을 감싸져서 상하동작을 안내하여주도록 착설되는 슬라이드(460)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20)들은 상기 행거(410) 사방에 형성된 조립구멍(412)에 각기 내삽 고정된 홀더케이싱(421) 내측의 고정키(422)와 맞물려지도록 내설하되, 상기 홀더케이싱(421) 선단부 내측에 삽설되어 상기 행거(410) 저면에 착설된 유압모터(413)로서 회동되도록 내설된 회동링(423)과 나사결합시켜서, 상기 행거(410) 중앙의 근입통로(411) 내에 끼워지는 굴뚝유니트(2)를 향하여 출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텝실린더(440)들은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의 상부에 각기 출입공(434a)을 형성하여서 된 양측의 브라켓(434)에 착설하고, 상기 하부 스텝실린더(450)들은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들의 추진로드(433) 하단 양측에 결착되어 각기 출입공(435)을 형성하여서 된 박스형의 브라켓(435a) 양측에 착설시켜서, 상기 상,하부 스텝실린더(440,450)들의 스토퍼(441,451)들이 상기 스트로크실린더(430) 상하부의 브라켓(434,435)의 출입공(434a,435a)을 통하여 출몰되면서 상기 이송로드(300)의 환형랙(320)에 걸어지거나 해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460)들은 그 사방의 내측에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과 맞대어져서 구름운동하는 다수의 구름로울러(461)들을 착설하여서, 상기 슬라이드(460)들이 상기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를 따라서 상하로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200) 직하부에 위치된 지지틀(100)의 버팀기둥(110)들 내측에 그 중심부를 향하도록 안내가이드(130)들을 각각 배설하여서, 상기 작업대(200)의 중앙통로(231)를 향하여 상승 이동중인 굴뚝유니트(2)를 안내하여서 좌우로 유동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9. 고층굴뚝(3) 시공을 위하여 기 설정된 해당 구역내의 지면에 영구기초(5)를 설치하며, 상기 영구기초(5)를 중심으로 하여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를 가설하고,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로서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부터 상승 이동시키고 그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서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까지 조립한 후에, 최하부의 굴뚝유니트(2) 하단부를 상기 영구기초(5)에 안착시키고 고정하여서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유니트(2) 외부에 철골구조물(4)이나 부속물을 일체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의 작업대(200)에 형성된 중앙통로(231)를 통과하여서 그 작업대(2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의 굴뚝유니트(2) 외부에 부속물이나 철골구조물(4)을 조립시키고, 상승된 굴뚝유니트(2) 하부에 다른 굴뚝유니트(2)를 양중하여서 연결 조립하는 작업을 병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기초(5)를 지면에 설치할 때에, 그 영구기초(5)를 기준으로하여 사방의 지면에 와이어(8)를 감거나 풀어낼 수 있는 복수의 와이어윈치(7)들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윈치(7)에 권취된 와이어(8)들을 상기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1)로서 최초로 상승이동되는 최상부의 굴뚝유니트(2)의 상단에 연결시켜서, 시공중에는 굴뚝유니트(2)들을 안전하게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공이 완료된 고층굴뚝(3)을 견실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KR1019980011865A 1998-04-03 1998-04-03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KR10025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65A KR100258816B1 (ko) 1998-04-03 1998-04-03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65A KR100258816B1 (ko) 1998-04-03 1998-04-03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330A KR19990079330A (ko) 1999-11-05
KR100258816B1 true KR100258816B1 (ko) 2000-06-15

Family

ID=1953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865A KR100258816B1 (ko) 1998-04-03 1998-04-03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1544B (zh) * 2023-04-23 2023-07-11 青岛明珠钢结构有限公司 Fpso船的大型火炬塔的吊装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33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24584B2 (en) Working platform
US5159993A (en)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JP2000288111A (ja) 安全帯取付け装置
JP2010242429A (ja) 鉄塔の解体方法
JP5589183B2 (ja) 円筒状構築物の足場装置及びその移動方法
KR100258816B1 (ko)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CN111335172A (zh) 可移动式墩柱横梁预应力张拉挂架施工平台及施工方法
JP3122935U (ja) 鉄塔における足場及び養生ネットの昇降構造
US4205826A (en) Lifting and supporting apparatus for a tower crane
CN210561720U (zh) 一种墩柱养护修补操作平台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JP2010090633A (ja) 筒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組立式作業足場
JP3841242B2 (ja) エレベータパーキング用昇降作業台とこれを用いた工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3049300B2 (ja) 天井走行クレーンを有する建屋に於ける梁トラス建方方法
JP3069835B2 (ja) 内組足場構造
KR20010054821A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JP3688655B2 (ja) 塔状構造物の解体方法
CN219059723U (zh) 湿接缝连接模组
JP7213515B2 (ja) 塔上可動足場用構造、塔上可動足場および塔上作業方法
CN218621853U (zh) 一种高墩钢筋安装桁架结构
JPH1088786A (ja) 柱状構造物用足場
JP6953655B1 (ja) 足場を構成する一組の箱
CN212358002U (zh) 可移动式墩柱横梁预应力张拉挂架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