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985A - 차량용 분할 윈도우 쉐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분할 윈도우 쉐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985A
KR20030033985A KR1020020064779A KR20020064779A KR20030033985A KR 20030033985 A KR20030033985 A KR 20030033985A KR 1020020064779 A KR1020020064779 A KR 1020020064779A KR 20020064779 A KR20020064779 A KR 20020064779A KR 20030033985 A KR20030033985 A KR 2003003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hade
window
strip
strips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847B1 (ko
Inventor
짐머만게랄트
발터허버트
스파러헨닝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031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3398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3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2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screw rods or extensible rods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5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flexible actuat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draw bar for pulling only, e.g. cords, wir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69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of multiple blinds, e.g. more than one blind per window or per actuation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2Blinds with inclined or vertical orientation of the wind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량의 분할 윈도우를 위한 이중 윈도우 쉐이드 장치는 서로에 대해서 임의의 각도로 윈도우 상에 배열되는 두 개별 와인딩 샤프트를 수용한다. 각 와인딩 샤프트에 할당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은 공통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전기 모터는 와인딩 샤프트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의 자유 에지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분할 윈도우 쉐이드 장치{Divided window shade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차량의 차문 윈도우를 위한 윈도우 쉐이드 장치는 독일 특허 제 10 05 970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윈도우 쉐이드 장치는 윈도우 에이프런(window apron) 밑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한 에지가 부착되는 와인딩 샤프트(winding shaft)를 포함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이 감겨지지 않을 때 하부 윈도우 에이프런의 슬롯을 통해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이 연장되는 상태에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대향 에지는 풀 로드(pull rod) 상에 배열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탄성 구동부(spring drive)를 이용하여 와인딩 샤프트 상에서 감겨지고 충분히 버클-프루프(buckle-proof)가 되는 두 선형 추력 요소(thrust element)들을 이용하여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풀려진다.
추력 요소는 도어에 수용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전진한다. 이 추력 요소들은 그 외측에 스크류 나사부(screw thread)를 갖는 가요성의 샤프트형 요소들로 구성되는 소위 SUFLEX7에 의해서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샤프트들은 구동 모터의 출력 기어와 포지티브하게 결합하는 스크류형 랙(screw-shaped racks)들을 의미한다. 양 추력 요소들은 동시에 구동된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에서, 풀 로드는 한 측 또는 양 측 상의 가이드 레일에서 안내되고 추력 요소들은 버클-프루프 방식으로 안내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이동한다.
차량의 후방측 윈도우가 개방될 수 있다는 사실은 공지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윈도우들은 일반적으로 하강한 윈도우가 휠과 대응하는 도어의 리세스와 충돌하므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개방될 수 없다. 이것은 후방측 윈도우들이 대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부분과 가장 넓은 의미에서 삼각형을 가지는 부분으로 분할되는 이유이다. 삼각형 부분의 윈도우는 개방될 수 없지만, 직삼각형 부분의 윈도우는는 하강할 수 있다.
공지된 윈도우 쉐이드 장치에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양 윈도우 섹션들을 커버한다. 이러한 유형의 커버범위의 양 섹션들은 어떤 윈도우의 기하학적 형태를 요구한다.
이 공지된 구성은 매우 큰 뒷문의 극히 큰 측면 윈도우에 대해서만 조건적으로 적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의 내부는 최신식 차량 도어에서 실행되는 많은 기능들로 인하여 공간이 매우 부족하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큰 분할 윈도우에 대한 윈도우 쉐이드 장치를 계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분할 윈도우는 구동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성들에 따라 구현된 윈도우 쉐이드 장치로써 달성된다.
새로운 윈도우 쉐이드 장치는 개별적으로 윈도우 상에 설치된 두 개별 와인딩 샤프트를 수용한다. 개별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다른 길이 및/또는 와인딩 방향이 실현될 수 있도록, 각 와인딩 샤프트에 연결된다.
차문 내의 필요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양 와인딩 샤프트들에 대해서 공통 구동 유닛이 제공된다. 이 구동 유닛은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이 풀려지는 방향 또는 감겨지는 방향으로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을 모두 집합적으로 이동시킨다. 각각 대향 방향의 운동은 각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 또는 와인딩 샤프트에 특정한 구동 유닛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문에서, 용어 "집합적으로(collectively)"는 구동 유닛의 기계 부품들이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에 대해서 사용되는 기계적인 의미의 공통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을 작동시키는 공식(formulation)을 사용할 때, 이것은 샤프트를 회전식으로 세팅하기 위하여 와인딩 샤프트에 힘을 도입하는 해결방안 뿐 아니라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자유 단부에 힘이 도입되는 해결 방안을 참조한다. 후자의 경우에, 대응 선형 액추에이팅 요소를 구동시키는 공통 구동 모터가 제공된다. 상기 액추에이팅 요소들은 충분한 버클-프루프 또는 버클 프루프 방식으로 안내되는 케이블 풀 또는 선형 추력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선형 액추에이팅 요소들은 공통 전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된다.
만약,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을 풀기 위한 힘 즉, 와인딩 샤프트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세팅하는 힘이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자유 에지에 도입되면, 대향 방향의 회전을 위한 구동 유닛은 양호하게는 각 탄성 구동부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만약 양 와인딩 샤프트들이 공통 전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된다면, 필요한 공간이 동일하게 감소된다. 스프링 요소들에 연결되는 선형 액추에이팅 요소들은 이 경우에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을 풀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라서,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어는 와인딩 샤프트들중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기어의 출력 요소는 상기 방식에서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른 와인딩 샤프트의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자유 에지와 맞물린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개선 사항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물을 형성한다. 여기서, 실시예의 형태에서 기술되지 않은 특성들을 조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도 1은 차량의 우측 뒷문과 연관하여,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쉐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사면도.
도 2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윈도우 쉐이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대응 추력와 연관된 풀 로드를 위한 가이드의 확대 상세도.
도 4는 삼각형 윈도우 쉐이드 장치에 대해서 사용된 슬라이드용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와인딩 샤프트가 이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어에 결합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면도.
도 6은 양 와인딩 샤프트가 공통 전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문2: 내부 라이너
4: 스트립 5,6: 윈도우 섹션
14: 와인딩 샤프트(14)15: 탄성 구동부
18: 풀 로드(18)19: 구동 유닛
21: 구동 모터(21) 22: 톱니형 휠(22)
본 발명의 목적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리무진의 우측 뒷문(1)과 연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윈도우 쉐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은 승객 객실에 착석한 승객의 관점에서 도시한 것이다. 차문(1)은 본 발명의 핵심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내부 라이너(2)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분할된다.
차문(1)의 상부 영역은 윈도우 프레임(3)에 의해서 포위된 윈도우를 가지며중심 스트립(4)에 의해서 전방 윈도우 섹션(5)과 후방 윈도우 섹션(6)으로 분할된다.
후방 윈도우 섹션(6)은 하부 윈도우 에지(7)와, 굴곡된 후방 윈도우 에지(8)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직선 윈도우 에지에 의해서 한정되며 도면의 다른 부분들에 의해서 커버된다. 이것은 후방 윈도우 섹션(6)이 가장 넓은 의미에서 대략 삼각형 형태를 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방 윈도우 섹션(5)은 대개 직삭각형이며, 이 윈도우 섹션의 전방 및 후방은 각각 상부 윈도우 에지(12)에 의해서 한정된 상기 섹션의 상부와 함께, 윈도우 에지(9,11)에 의해서 각각 한정되고, 하부 윈도우 에지는 도면에서 커버된다. 상기 하부 윈도우 에지는 대략 하부 윈도우 에지(7)의 연장부를 따라서 연장된다.
하부 윈도우 에지(7)에 인접한, 차문 라이너(2)는 하부 윈도우 에지(7)의 밑에 있고 전방 윈도우 섹션(5)의 좌측에 도시된 윈도우 에이프런(apron;12)을 형성한다. 윈도우 프레임(3)은 본 발명의 특성을 더욱 잘 도시하기 위하여, 일부 위치에서 구획된 방식으로 도로잉된 내부 트림(trim;13)으로 커버된다.
와인딩 샤프트(14)는 전방 윈도우 섹션(5) 밑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와인딩 샤프트(14)의 축은 전방 윈도우 섹션(5)의 보이지 않는 하부 윈도우 에지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와인딩 샤프트(14)에 대한 베어링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더욱 양호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서 도 1에서는 생략되었다.
와인딩 샤프트(14)는 탄성 구동부로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회전방향으로 프리텐션(pretension)되며 부호 "15"로 표시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탄성 구동부(15)는 종래에는 관형의 와인딩 샤프트(14)에 배열되고 한 단부에서 와인딩 샤프트(14)에 연결된다. 탄성 구동부(15)의 다른 단부는 대략 와인딩 샤프트(14)에 대한 인접 베어링 블록에 고정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의 한 에지는 와인딩 샤프트(14)에 부착되고, 와인딩 샤프트(14)에 연결되지 않는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다른 자유 에지(17)는 관형 루프 안으로 성형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 상의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을 지나서 돌출하는 풀 로드(18)는 상기 루프를 통해서 연장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은 연장된 상태에서 윈도우 섹션(15)을 완전히 커버하는 방식으로 크기설정되도록 절삭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이 연장될 때, 내부 차문 라이너(2)의 생략된 섹션에 위치한 슬롯을 통해서 연장된다.
구동 유닛(drive unit;19)은 탄성 구동부(15)의 힘에 대항하여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을 와인딩 샤프트(14)으로부터 풀기 위해서 제공된다. 구동 유닛(19)은 톱니형 휠(22)이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출력 샤프트 상의 구동 모터(21)를 포함한다. 톱니형 휠(22)의 대향 측부들은 가요성의 추력 요소들로써 작용하는 두 SUFLEX 샤프트(23,24)와 맞물리고 대응하는 가이드 채널의 톱니형 휠(22)을 접선방향으로 지나서 연장된다. 가이드 튜브(25,26)는 구동 모터 하우징의 좌측 및 우측에 연결되고, 두 추력 요소(23,24)들은 상기 가이드 튜브에서버클-프루프 방식으로 윈도우 섹션(5)의 하부 윈도우 에지의 거의 밑으로 안내된다.
각 가이드 튜브(25,26)는 풀 로드(18)의 단부 부근에서 끝난다.
도 3은 추력 요소(23)의 디자인과 풀 로드(18)와의 협력관계 뿐아니라, 풀 로드(18)에 대한 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윈도우 에이프런(12) 밑에는, 가이드 튜브(26)가 측방향의 슬롯형 가이드 레일(27) 안으로 통과한다. 가이드 레일(27)은 본질적인 원통형 튜브의 형태를 가지며 전방 윈도우 섹션(5)을 대면하는 측부 상의 연속 종방향 슬롯(28)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27)의 클리어 폭(clear width)은 가이드 튜브(26)의 클리어 폭과 동일하다.
풀 로드(18)는 관형 형태이며 가이드 핀(31)을 갖는 가이드 요소(29)를 구비한다. 가이드 핀의 자유 단부는 가이드 레일(27) 내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용되는 큰 직경의 볼(32)을 유지하고 슬롯(28)을 통해서 이탈할 수 없다.
추력 요소(23)는 그 위에 배열된 와이어형 나선(wire-like helix;34)과 가요성 코어(33)로 구성된다. 나선(34)은 순환 스크류가 형성되는 코어(33)에 굳게 연결된다. 나선은 톱니로써 작용하고, 상기 나선에 의해서 추력 요소는 모든 측부 상의 스크류 타입의 나사부를 갖는 가요성 랙과 같이 작용한다.
톱니형 휠(22)은 나선(34)의 피치에 적합하게 된다. 이것은 추력 요소(23)의 나선(34)이 톱니형 휠(22)과 포지티브하게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이드 레일(27)은 윈도우 에지(9)에 대해서 후방으로 약간 오프셋되어서,전체 메카니즘은 내부 트림(13) 뒤에 가려지고 단지 풀 로드(18)는 내부 트림(13)의 슬롯(28)을 통해서 차문의 내부 안으로 연장된다.
후방 윈도우 에지(11)의 영역 즉, 중심 스트립(4)의 영역에서, 풀 로드(18)의 다른 단부는 전방 에지에 대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방식으로 안내된다.
다른 와인딩 샤프트(35)는 중심 스트립(4)의 트림 밑에 있는 두 베어링 블록(36,37)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의 한 에지는 와인딩 샤프트(35)에 부착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은 윈도우 섹션(6)의 형태에 따라서 크기설정되도록 절삭되고 필요할 때, 윈도우 섹션(6)을 커버하는 작용을 한다. 윈도우 섹션(6)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 삼각형이므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은 예리한 모서리(39)에서 끝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의 상기 예리한 모서리(39)는 안내되어서 구동된다. 두 와인딩 샤프트(14,35)는 서로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은 배열되어서 유사한 방식으로 탄성 구동부(15)에 고정되는 적당한 탄성 구동부를 이용하여 와인딩 샤프트(35) 상으로 감겨진다.
도 4는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을 연장시키도록 작용하는 장치의 일부분들을 도시한다.
슬라이드(42)가 자유로운 활주 방식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41)은 윈도우 에지(7) 밑에 있는 차문 내에 설치된다. 슬라이드(42)는 윈도우 에이프런(12)의 슬롯(44)을 통해서 차문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상향 돌출 아암(43)을 유지한다.이 아암(43)의 자유 단부는 리벳(45)으로써, 보강부(46)를 구비하는, 예를 들어,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의 모서리(39)에 연결된다.
SUFLEX 샤프트(48)의 형태의 다른 추력 요소(48)가 안내되는 가이드 튜브(47)는 가이드 레일(41) 밑에서 이 레일(4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가이드 튜브(47)는 상부에서 개방된 연속 종방향 슬롯(49)을 구비한다. 그 자유 단부 상에서 일체형 볼(52)을 유지하는 핀(51)은 상기 슬롯을 통해서 가이드 튜브 안으로 돌출한다.
볼(52)은 추력 요소(48)의 자유 단부와 포지티브하게 접촉한다.
베어링 블록(37) 밑에서, 가이드 튜브(47)는 공통 구동 모터(19)로 안내되는 비슬롯형 가이드 튜브(53) 안으로 관통한다.
도 3에 따른 확대된 단면의 하부 영역은 구동 모터의 출력 샤프트가 두 추력 요소(23,24)를 구동하기 위한 톱니형 휠(22)을 유지할 뿐 아니라, 추력 요소(48)를 구동하기 위한 다른 톱니형 휠(55)도 유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모든 추력 요소(23,24,48)들은 각 톱니형 휠(22,55)에 포지티브하게 연결되고 양 톱니형 휠(22,55)들은 서로 연결되어서, 추력 요소(23,24,48)들의 자유로운 회전 동작, 적극적인, 슬립-없는 동작이 보장된다. 이러한 운동들은 동시에 일어난다.
이중 윈도우 쉐이드 장치는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많은 작용을 한다:
비활동 상태에 있는, 윈도우 섹션(5,6)들은 커버되지 않는다. 두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은 각 와인딩 샤프트(14,35) 상에 감겨진다. 추력 요소(23,24,48)들은 두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도시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27,47)로부터 충분히 후퇴된다. 이 위치에서, 그 자유 에지(17,39)들은 와인딩 샤프트(14,35)들을 구비한 각 윈도우 에지들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승객이 윈도우 섹션(5,6)을 가리기 원할 때, 구동 모터(21)는 도시생략된 제어 스위치에 의해서 작동한다. 이것은 양 톱니형 휠(22,55)이 동일 속도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유발한다. 두 추력 요소(23,24)들은 직경방향의 대향 측부 상의 톱니형 휠(22)의 톱니와 결합하기 때문에, 추력 요소(23)는, 예를 들어, 좌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추력 요소(24)는 상기 도면에서 우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추력 요소(48)는 추력 요소(24)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톱니형 휠(22,55) 사이의 직경의 차이에 대응하게 다른 속도로 이동한다.
짧은 거리를 이동한 후에, 양 추력 요소(23,24)의 자유 단부들은 풀 로드(18)의 가이드 요소(29)와 접촉하여서 상기 풀 로드를 상부 윈도우 에지(12)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과정 동안,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은 탄성 구동부(15)의 힘에 대항하여 와인딩 샤프트(14)로부터 풀려진다.
추력 요소(48)는 두 추력 요소(23,24)와 동시에 이동한다. 추력 요소(48)의 자유 단부는 볼(52)과 접촉하여 이 볼을 윈도우 섹션(6)의 후방 에지(8)의 방향으로 추진시킨다. 이 운동은 슬라이드(52)로 전달되고 슬라이드로부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의 모서리(39)로 전달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은 그 내부에 제공된 탄성 구동부의 힘에 대항하여 와인딩 샤프트(35)로부터 풀려진다.
도 1에 따른 이중 윈도우 쉐이드 장치의 단부 위치는 도 2에 도시된다.
모든 부분들의 크기는 비록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의 자유 에지에 의해서 이동한 거리가, 예를 들어,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의 자유 에지(17)에 의해서 이동한 수직 거리 보다 크게 짧을지라도,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동시에 그 단부 위치들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서 적합하게 된다. 이동한 거리의 차이는 두 톱니형 휠(22,55)의 전달 비율을 그에 따라서 선택함으로써 대응하게 얻어질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는, 각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이 대응 와인딩 샤프트 상에 감겨질 때, 또는 추력 요소가 각 볼(22 또는 52)와 접촉하기 전에,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을 가장 짧은 거리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추력 요소가 대응하게 긴 아이들 거리(idle distance)에 대해서 최초로 이동할 수 있다.
후퇴를 위해서 구동 모터(21)는 대향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추력 요소(23,24,48)들은 각 가이드 튜브(27,47)들로부터 동시에 다시 후퇴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대응 와인딩 샤프트(14,35)에서 탄성 구동부의 텐션(tension)에 항상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은 팽팽하게 스트래칭상태로 되고 추력 요소(23,24,48)들의 후퇴 운동에 따라서 와인딩 샤프트(14,35) 상으로 감겨진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이 크게 짧아진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면, 모든 추력 요소(23,24,48)들이 동일 선형 속도로 이동하여도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은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 보다 더 빠른 후퇴 위치에 도달한다. 상기 위치에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이 그 단부 위치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구동 모터(21)가 스위치 오프될 때까지, 볼(52)에 느슨하게 접하는 추력 요소(48)는 볼(52)로부터 결합해제되고 각 가이드 튜브 안으로 대응하게 크게 후퇴한다.
그러나,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각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대략 같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전달 비율을 그에 따라서 선택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교란되지 않은 가능한 잔여 에러(residual error)는 "더빠른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을 위한 추력 요소(23,24,48)의 대응 아이들 거리의 형태로 보상될 수 있다. 추력 요소(23,24,48)들은 풀 로드(18) 및 슬라이드(42)와 적극적으로 협력하므로, 아이들 거리는 단지 한 방향으로만 실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연결은 텐션에 영향을 받을 수 없다. 추력 요소들은 그 후퇴 이동 동안 임의로 결합해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이 연장될 때 풀 로드(18) 또는 슬라이드(42)와 접촉하기 전에 임의의 아이들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추력 요소들의 사용되지 않은 단부들이 비틀려지거나 또는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 튜브들은 각 가이드 튜브(25,26,53)들에 대향하게 위치한 구동 모터(21)의 측부 상에 제공된다. 이것은 추력 요소(24)를 수용하는 저장 튜브(55)의 형태로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다.
톱니형 휠(22)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톱니형 휠(55) 보다 약 간 큰 직경을 가지므로, 추력 요소(24)는 추력 요소(48)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결과적으로, 추력 요소(24)의 단지 짧은 섹션은 추력 요소(48)의 우측에 제공된다. 도면은 전체적으로 추력 요소(24,48)를 도시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복잡해졌다.
도 5는 이중 윈도우 쉐이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들은 공통 구동 유닛으로 구동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제공된 상술한 요소들은 동일 부호로 지정된다. 상기 요소들은 상기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하게 기술하지는 않는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이 풀려지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구동 메카니즘(56)은 공통 구동 모터(19)에 의해서 구동되는 추력 요소(48)의 내부에 제공된다. 구동 메카니즘(56)은 그 위에 위치한 스핀들 너트(58)를 갖는 나사형 스핀들(57)을 포함한다. 스핀들 너트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 방식으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에 연결되는 아암(43)을 유지한다.
나사형 스핀들(57)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와인딩 샤프트(14)에 연결되고 하부 윈도우 에지(7)에 평행하게 상기 하부 윈도우 에지(7) 밑으로 연장된다. 설치 조건들에 따라서, 나사형 스핀들(57)은 와인딩 샤프트(14)에 굳게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유니버설 조인트가 나사형 스핀들(57)과 와인딩 샤프트(1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나사형 스핀들(57)은 양 단부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필요가 있다. 만약, 굳게 연결한다면, 자유 단부 상에서 나사형 스핀들(5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시된 장치의 기능은 하기에 기술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을 연장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19)는 두 추력 요소(23,24)가 동작에서 세팅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추력 요소들은 와인딩 샤프트(14)이 회전하게 세팅되도록 풀 로드(18)를 상향으로 가압한다. 와인딩 샤프트(14)의 회전은 스핀들 너트(58)가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선형으로 변위되도록, 나사형 스핀들(47)이 회전하도록 유발한다.
나사형 스핀들(57)의 전달 비율은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도 2에 따른 그 연장된 단부 위치들로 동시에 도달하도록 선택된다.
도 5에 따른 이중 윈도우 쉐이드 장치는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에 대해서 공통 구동 유닛을 구비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들은 이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을 동작에서 세팅하는 구동 유닛의 부분들이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들을 구동시키도록 사용되는 방식으로 구동 유닛에 의해서 구동된다.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을 위한 공통 구동 유닛은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자유 단부에 대한 전기 구동의 연결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6은 와인딩 샤프트들이 공통 구동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대해서 상술하고 도 6에 제공된 요소들은 동일 부호로 지정되며, 어떤 반복 설명을 하지 않는다.
구동 모터(61)는 자유로운 회전 운동없이 와인딩 샤프트(14)에 연결되는 출력 샤프트(62)를 수용하며, 이것은 탄성 구동부(15)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61)는 와인딩 샤프트(35)로부터 대향으로 위치한 단부 상에 배열된다.
구동 모터(61)에 대향하게 위치한 와인딩 샤프트(14)의 단부는 베벨 기어휠(64)이 설치되는 샤프트 연장부(63)를 유지한다. 베벨 기어 휠(64)은 회전 동작 자유롭게 와인딩 샤프트(35)에 연결된 베벨 기어 휠(65)과 맞물린다. 도 6에 도시된 상술한 슬라이드(42)는 코드 또는 케이블(66)의 형태의 선형 텐션 요소에 연결된다. 케이블(66)은 차문(1)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슬라이드(65)의 이동거리를 지나서 배열된 편향 풀리(67) 주위로 연장된다. 텐션 요소(66)의 다른 단부는 차문(1)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텐션 스프링(68)의 힘에 영향을 받는다.
케이블, 스프링 및 편향 풀리로 구성되는 유사 장치는 와인딩 샤프트(14)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양 단부 상의 풀 로드(18)를 프리텐션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하기와 같이 작동한다:
두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들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구동 모터(61)는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이 와인딩 샤프트(14)로부터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 모터가 회전되도록 전환된다. 이 회전 운동은 두 베벨 기어 휠(64,65)로 구성되는 각도 구동에 의해서 와인딩 샤프트(35)에 동시에 전달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38)의 자유 단부가 텐션 요소(66)와 텐션 스프링(68)에 의해서 프리텐션되고, 슬라이드(42)는 윈도우 섹션(6)의 후방 에지(8)를 향하여 이동한다.
풀 로드(18)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텐션 수단 및 텐션 스프링에 의해서 양 단부 상에서 프리텐션되고 텐션 스프링은 텐션 수단(66)과 텐션 스프링(68)에 대응한다.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은 와인딩 샤프트(14)는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을 방출시키는 정도까지 윈도우 섹션(5)의 전방에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에 대해서 공통 전기 구동부가 제공된다.
전기 모터(61)의 위치는 도 6에만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전기 모터(61)도 역시 당연히 적당한 설치 조건에서 와인딩 샤프트(14)와 베벨 기어 휠(64)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전기 모터(61)의 출력 샤프트는, 예를 들어, 다른 베벨 기어 휠에 의해서 베벨 기어 휠(64)와 맞물리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이전 설명들은 도시된 이중 윈도우 쉐이드 장치에서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을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단지 하나의 전기 구동부만이 사용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밝혔다. 단일 전기 모터를 사용하면, 차문 내의 필요한 공간에 대한 문제의 중요성 보다는 상기 가격 범위에서 차량의 비용 문제를 낮춘다. 구동 모터는 공간을 차지하고, 가능하게 제공된 유지 시스템(possibly-provided retention systems) 및 상해 보호 장치 즉, 에어백 시스템 등 뿐 아니라, 차문 브레이스, 윈도우 작동 메카니즘, 차문 잠금 메카니즘, 공기 출구 구멍 및 덕트와 다소간에 충돌한다. 이것은 구동부들의 수와 및 그에 따른 상기 구동부들에 의해서 점유된 공간이 감소되는 매우 양호한 이유이다.
차량의 분할 윈도우를 위한 이중 윈도우 쉐이드 장치는 윈도우 상에서 서로에 대해서 임의의 각도로 배열되는 두 분리된 와인딩 샤프트를 수용한다. 각 와인딩 샤프트에 배당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공통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전기 모터는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의 자유에지에 연결되거나 또는 와인딩 샤프트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Claims (25)

  1. 윈도우 에지(7)에 인접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한 에지가 부착된 제 1 와인딩 샤프트(14,35)와; 다른 윈도우 에지(7)에 인접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한 에지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와인딩 샤프트(14,35)와; 모든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과 기계적인 방식으로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들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간접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19,61)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상기 제 1 와인딩 샤프트(14,35)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 에지(17,39)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상기 제 2 와인딩 샤프트(14,35)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 에지(17,39)를 구비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구동 유닛(19)은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각 와인딩 샤프트(14,35)로부터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구동 유닛(19)은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각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에지(17,39)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구동 유닛(19)은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각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17,39)와 결합해제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서, 특히, 상기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후퇴하는 동안, 상기 연결은 상기 각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문제성이 있는 에지에 의해서 이동한 것 보다 크게 이동한 거리를 실현하도록, 결합해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대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와인딩 샤프트(14,35)를 회전식으로 세팅하거나 또는 프리텐션시키기 위하여, 탄성 구동부(15)가 상기 각 와인딩 샤프트(14,35)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17,39)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요성, 선형 액추에이팅 요소(22,23,48,66) 뿐 아니라,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17,39)와 맞물리는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선형 액추에이팅 요소(22,23,48,66)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9)은 한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팅 요소(22,23,48,66)들을 간접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9)은 각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팅 요소(22,23,48,66)들을 간접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액추에이팅 요소(22,23,48,66)들은 공통 구동 모터(19)에 의해서 슬립없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위한 액추에이팅 요소(22,23,48)는 버클 프루프 추력 요소(buckle-proof thrust element) 또는 버클 프루프 방식으로 안내되는 추력 요소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추력 요소의 자유 단부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17,39)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팅 요소(22,23,48)는 단지 한 방향으로만 각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와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양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위한 액추에이팅 요소(22,23,48)들은 버클 프루프 추력 요소 또는 버클 프루프 방식으로 안내되는 추력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9)은 출력 샤프트 상의 두 톱니형 휠(22,55)을 유지하며, 한 톱니형 휠은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추력 요소(22,23,48)와 맞물리고 다른 톱니형 휠(22,55)은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추력 요소(23,23,48)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두 톱니형 휠(22,55)은 다른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9)은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풀려지는 방향으로 양 와인딩 샤프트(14,35)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구동 유닛(61)은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들이 감기는 방향으로 양 와인딩 샤프트(14,35)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인딩 샤프트(16,38)를 위한 구동 유닛(61) 및/또는 제 2 와인딩 샤프트(16,38)를 위한 구동 유닛은 공통 전기 모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두 와인딩 샤프트(14,35)들은 각도 구동부(64,65)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두 와인딩 샤프트(14,35)들은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두 와인딩 샤프트(14,35)는 약 90 도의 각도에서 서로에 대해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립(4)에 의해서 분할되는 윈도우를 대상으로 하며, 한 와인딩 샤프트(14,35)가 한 윈도우 섹션(5,6)의 에지(7)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다른 와인딩 샤프트(14,35)가 다른 윈도우 섹션(5,6)의 에지(7)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21. 윈도우 에지(7)에 인접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한 에지가 부착된 제 1 와인딩 샤프트(14,35)와;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와인딩 샤프트(14,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유닛(15)과; 다른 윈도우 에지(7)에 인접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한 에지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와인딩 샤프트(14,35)와;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유닛(15)과;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대응 와인딩 샤프트(14,35)로부터 풀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17,39)와 협력하는 구동 유닛(19)과; 와인딩 샤프트(14,35)의 회전 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유닛(19)과 결합하는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위한 와인딩 샤프트(14,35)에 연결되는 구동 메카니즘(56)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상기 제 1 와인딩 샤프트(14,35)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 에지(17,39)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은 상기 제 2 와인딩 샤프트(14,35)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 에지(17,39)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는 다른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17,38)에 연결되는 출력 요소(58)를 수용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을 위한 구동 유닛(19)은 상기 제 1 윈도우 쉐이드 스트립(16,38)의 자유 에지(17,39)와 맞물리는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선형 액추에이팅 요소(22,24)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와인딩 샤프트(14,35)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와인딩 샤프트(14,35)는 약 90 도의 각도에서 서로에 대해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스트립(4)에 의해서 분할되는 윈도우를 대상으로 하며, 한 와인딩 샤프트(14,35)는 한 윈도우 섹션(5,6)의 에지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다른 와인딩 샤프트(14,35)는 다른 윈도우 섹션(5,6)의 에지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쉐이드 장치.
KR1020020064779A 2001-10-24 2002-10-23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KR100876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1872.2 2001-10-24
DE10151872A DE10151872B4 (de) 2001-10-24 2001-10-24 Geteiltes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85A true KR20030033985A (ko) 2003-05-01
KR100876847B1 KR100876847B1 (ko) 2008-12-31

Family

ID=770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779A KR100876847B1 (ko) 2001-10-24 2002-10-23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10518B2 (ko)
EP (2) EP1306251B1 (ko)
JP (2) JP2003182358A (ko)
KR (1) KR100876847B1 (ko)
DE (3) DE10151872B4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302B1 (ko) 2004-07-24 2007-06-04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사이드 윈도우 롤업 쉐이드용 장치
KR100854074B1 (ko) * 2007-02-28 2008-08-25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KR100969662B1 (ko) * 2008-04-22 2010-07-14 김도언 내용물 배출구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팩 및 포장팩용손잡이
KR101111988B1 (ko) * 2003-11-19 2012-02-1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윤곽 부분이 있는 사이드 윈도우 셰이드
KR20150034635A (ko) * 2013-09-26 2015-04-03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롤러 블라인드를 위한 장치
US20170297417A1 (en) * 2016-04-14 2017-10-19 Matthias Maier Shading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1514A1 (de) * 2003-07-11 2005-02-03 Arvinmeritor Gmbh Sonnenschutzbaugruppe für ein Fahrzeugdach
DE10334695A1 (de) * 2003-07-25 2005-02-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Rollo-Anordnung für ein Fenster eines Kraftfahrzeugs
DE10334721A1 (de) * 2003-07-30 2005-02-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onnenschutzeinrichtung
US7314079B2 (en) * 2003-09-09 2008-01-01 Asmo Co., Ltd. Sunshade system having blind sheet
DE102004020336C5 (de) * 2004-04-26 2008-09-18 Webasto Ag Fahrzeudach mit einer Rolloanordnung
DE102004020335A1 (de) * 2004-04-26 2005-11-17 Webasto Ag Rollosystem für ein Fahrzeugdach
DE102004030262B3 (de) * 2004-06-23 2006-04-27 Bos Gmbh & Co. Kg Rollo mit konischer Wickelwelle
DE102004049167A1 (de) * 2004-10-08 2006-04-20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DE102005023967B4 (de) * 2005-05-20 2007-04-19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längsverstellbarer Wickelwelle
JP4560442B2 (ja) * 2005-05-23 2010-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DE102005030707A1 (de) * 2005-06-29 2007-01-04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mit formschlüssigem Anschlag auf dem Betätigungsglied
FR2888168B1 (fr) * 2005-07-08 2010-12-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are-soleil motorise
US20070068638A1 (en) * 2005-09-28 2007-03-29 Puskarz Mitchell M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DE102005057248B4 (de) * 2005-11-29 2010-09-16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Flächenbündig um die Brüstung einer Seitenverkleidung eines Kraftfahrzeuges integriertes Sonnenschutzrollo
DE102006019455A1 (de) * 2006-04-26 2007-10-31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Fensterrollo, welches an der Innenseite eines Kraftfahrzeugfensters anzuordnen ist
US7401840B2 (en) * 2006-05-09 2008-07-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Window shade
JP4917356B2 (ja) * 2006-06-01 2012-04-18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ンシェード操作装置
JP4247751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4247752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4247753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US7493933B2 (en) * 2006-08-15 2009-02-24 Li Xinian Retractable window shade
DE102006040317A1 (de) * 2006-08-29 2008-03-20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DE102006047348A1 (de) * 2006-09-29 2008-04-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ntriebs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Abdeckelementes, Türbaugrupp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Antriebsvorrichtung
JP4748032B2 (ja) * 2006-11-07 2011-08-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バイザ
DE202007002959U1 (de) 2007-02-28 2007-04-19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Fahrzeugfensterrollo
DE102007011270A1 (de) * 2007-03-08 2008-07-03 Audi Ag Sonnenschutzsystem für Kraftfahrzeugseitenfenster
DE102007012281A1 (de) *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Automatisch betätigbares Seitenfensterrollo
DE102007012259A1 (de) * 2007-03-12 2008-09-18 Bos Gmbh & Co. Kg Sonnenschutz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07016154A1 (de) * 2007-03-21 2008-09-25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anscharniertem Zugstab und rechteckigem Tragstab
DE202007005160U1 (de) * 2007-04-03 2008-08-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ahrzeugrollo
DE202007015602U1 (de) * 2007-06-19 2008-02-07 Bos Gmbh & Co. Kg Elektrisches Seitenfensterrollo
DE102007054694A1 (de) * 2007-11-14 2009-05-20 Bos Gmbh & Co. Kg Rolloanordnung mit verminderter Reibung in den Antriebsgabeln
DE102008011505B4 (de) * 2008-02-22 2011-03-03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Fahrzeug
US7673925B2 (en) * 2008-07-11 2010-03-09 Macauto Industrial Co., Ltd. Drive motor assembly for a vehicle sunshade assembly
KR101080760B1 (ko) * 2009-08-26 2011-11-0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차양장치
JP5528790B2 (ja) * 2009-12-28 2014-06-2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5638288B2 (ja) * 2010-06-11 2014-12-10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5427732B2 (ja) * 2010-08-26 2014-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ラインド装置
JP5719585B2 (ja) * 2010-12-27 2015-05-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WO2012090784A1 (ja) * 2010-12-28 2012-07-0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DE102011007004B8 (de) * 2011-04-07 2013-01-10 Bos Gmbh & Co. Kg Rollobau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5634935B2 (ja) * 2011-04-07 2014-12-03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DE102011076892A1 (de) * 2011-06-01 2012-12-06 Bos Gmbh & Co. Kg Beschattungssystem und Rolloeinheit hierfür
JP5758782B2 (ja) * 2011-11-24 2015-08-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CN108064205A (zh) * 2015-06-22 2018-05-22 博斯股份有限两合公司 用于机动车辆的两部分式侧窗结构的遮挡装置
JP6629049B2 (ja) * 2015-11-18 2020-01-1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ード装置
CN105480059B (zh) * 2015-12-14 2017-09-15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用卷帘系统
JP6642269B2 (ja) * 2016-05-23 2020-02-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窓装置
DE102016111658B4 (de) * 2016-06-24 2022-07-21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0661638B2 (en) * 2016-06-24 2020-05-26 Macauto Industrial Co., Ltd Shade arrangement for vehicle
US11472269B1 (en) * 2017-08-29 2022-10-18 Larhonda Quinn Vehicle window screen
KR20220006886A (ko) * 2020-07-09 202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커튼 장치
EP4185161A1 (en) * 2020-07-21 2023-05-31 Dawn Tech Ltd An electric spiraling piston and systems devices apparatuses and methods utiliz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970B (de) 1953-08-10 1957-04-11 Norwich Pharma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Hydrazone der 5-Nitrofuran-Reihe
US3050075A (en) * 1960-07-05 1962-08-21 Kaplan Rose Retractable vehicle covering device
US4874026A (en) * 1988-04-04 1989-10-17 Dayer Worrall Vehicle window screen assembly
FR2646203B1 (fr) * 1989-04-19 1991-07-26 Farnier & Penin Store a enrouleur motorise
JP2822336B2 (ja) * 1990-09-28 1998-11-11 日本発条株式会社 シート状物巻取装置
US6047762A (en) * 1998-03-20 2000-04-11 Prince Corporation Shade control for a vehicle window
FR2786809B1 (fr) * 1998-12-03 2001-02-16 Webasto Systemes Carrosserie Dispositif d'entrainement d'au moins un rideau d'occultation du panneau coulissant d'un toit ouvrant pour automobile
DE29921860U1 (de) * 1999-12-13 2000-07-13 Hs Products Ag Systemtechnik U Fensterrollo für ein Dreiecksfenster eines Kraftfahrzeugs
DE29921859U1 (de) * 1999-12-13 2000-07-27 Hs Products Ag Systemtechnik U Seitenfensterrollo
DE10005970A1 (de) * 2000-02-09 2001-08-23 Bos Gmbh Seitenfensterrollo
DE10005951A1 (de) * 2000-02-09 2001-08-16 Bos Gmbh Heckfensterrollo
DE50000785D1 (de) * 2000-03-03 2003-01-02 Schwab Technik Gmbh Scheibenrollo-Vorrichtung für Fahrzeugscheiben
DE10020212B4 (de) * 2000-04-25 2004-02-19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chlitzabdeckung
DE10046553A1 (de) 2000-09-19 2002-04-04 Bos Gmbh Fensterrollo für gekrümmte oder nicht rechteckige Fahrzeugfenster
DE10057760B4 (de) * 2000-11-22 2004-08-12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Zentriereinrichtung für den Zugstab
DE10057762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rollo mit Ausgleich gegen Verzug
DE10066230B4 (de) * 2000-11-22 2006-06-22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variabler Abschattungswirkung
DE10057763C2 (de) * 2000-11-22 2002-10-24 Bos Gmbh Doppelrollo mit vereinfachtem Antrieb
DE10057759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scheibe mit daran befestigtem Fensterrollo
DE10101491C1 (de) * 2001-01-12 2002-05-08 Cts Fahrzeug Dachsysteme Gmbh Rollo für ein durchsichtiges Dachteil in einem Fahrzeugdach
KR100425005B1 (ko) * 2001-10-10 2004-03-30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차양장치
DE10228027B4 (de) * 2002-06-24 2006-04-13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klapperfreier Führu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988B1 (ko) * 2003-11-19 2012-02-1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윤곽 부분이 있는 사이드 윈도우 셰이드
KR100724302B1 (ko) 2004-07-24 2007-06-04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사이드 윈도우 롤업 쉐이드용 장치
KR100854074B1 (ko) * 2007-02-28 2008-08-25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KR100969662B1 (ko) * 2008-04-22 2010-07-14 김도언 내용물 배출구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팩 및 포장팩용손잡이
KR20150034635A (ko) * 2013-09-26 2015-04-03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롤러 블라인드를 위한 장치
US20170297417A1 (en) * 2016-04-14 2017-10-19 Matthias Maier Shading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10486504B2 (en) * 2016-04-14 2019-11-26 Bos Gmbh & Co. Kg Shading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847B1 (ko) 2008-12-31
US6910518B2 (en) 2005-06-28
JP2003182358A (ja) 2003-07-03
DE50205016D1 (de) 2005-12-29
JP2009073491A (ja) 2009-04-09
US20030094249A1 (en) 2003-05-22
EP1550570B1 (de) 2009-11-11
DE10151872A1 (de) 2003-05-15
EP1306251A1 (de) 2003-05-02
EP1306251B1 (de) 2005-11-23
EP1550570A3 (de) 2005-08-03
DE10151872B4 (de) 2007-10-04
DE50213997D1 (de) 2009-12-24
EP1550570A2 (de)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3985A (ko) 차량용 분할 윈도우 쉐이드 장치
US7537039B2 (en) Window blind driven by a window lifter
US6598929B2 (en) Windup window shade with a centering device for the traction rod
JP4713775B2 (ja) 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を格納した自動車及びルーフに格納できる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
US7828041B2 (en) Manually activated roll-up window shade
US20010022218A1 (en) Side window roll-up blind
US4402160A (en) Window winder device with flexible drive screw
US7347246B2 (en) Side window shade with contour part
KR101261249B1 (ko) 인출 프로필에 의해 완성된 슬릿 범위를 구비한 후방 차창롤러 블라인드
US5784833A (en) Silding window with motor-driven regulator
US20080216972A1 (en) Automatically actuable side window roller blind
US20010017194A1 (en) Rear window roll-up blind
US20070215299A1 (en) Roller Blind System
US20070023152A1 (en) Roller blind with smooth pusher elements
US20050263257A1 (en) Extraction profile with adjustable centering mechanism
CN107571724B (zh) 用于机动车的窗玻璃的遮蔽装置
US20080034667A1 (en) Manual window blind with automatic retraction
US20120193044A1 (en) Window shade device for vehicles
US20130292961A1 (en) Shade device
US20060219372A1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movable shaft
CN107980027B (zh) 用于机动车的窗玻璃的遮蔽装置
KR10263440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EP4019305A1 (en) Roof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sunshade assembly
CN115742693A (zh) 一种遮阳帘的驱动机构以及车用遮阳帘
CN102428243A (zh) 窗帘开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