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400B1 -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400B1
KR102634400B1 KR1020190004728A KR20190004728A KR102634400B1 KR 102634400 B1 KR102634400 B1 KR 102634400B1 KR 1020190004728 A KR1020190004728 A KR 1020190004728A KR 20190004728 A KR20190004728 A KR 20190004728A KR 102634400 B1 KR102634400 B1 KR 10263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eam
door
sub
main
variabl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126A (ko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시에는 길이가 줄어들고, 도어의 폐쇄시에는 신장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은,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로부터 출몰되는 서브임팩트빔과,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대하여 이동시켜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도어로부터 출몰시키는 길이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가 개방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개방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DOOR IMPACTBEAM HAVING VARIABLE LENGTH}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시에는 길이가 줄어들고, 도어의 폐쇄시에는 신장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일측에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측면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돌대응부재가 구비된다. 예컨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도어 임팩트빔이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측면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한다.
한편, 차량 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도어(110)와 리어 도어(120)의 개폐방향이 서로 반대로 스윙되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코치도어 또는 수평대향식 도어가 적용된 차량(100)이 있다.
이러한 차량 중에서는 도어 개방시 개방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차체에서 프런트 도어(110)와 리어 도어(120) 사에 B필라(센터 필라)를 삭제한 차량이 있다.
코치도어 또는 수평대향식 도어가 적용되면서, B필라가 없는 차량(100)은, 충돌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리어 도어(120)가 작은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리어 도어(120)의 사이즈가 작고, 충돌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리어 도어(120)의 내부에 상기 프런트 도어(110)의 충동대응부재(111)와 함께 충돌성능 확보를 위한 충돌대응부재(121)가 설치되므로, 도어글래스는 승강이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어 도어(12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2열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승하차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어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서 반드시 상기 프런트 도어(110)를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리어 도어(120)의 폐쇄시에는 상기 프런트 도어(110)가 개방되어 있어야 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2도어 차량의 도어 임팩트빔 유닛'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3-006367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도어 개방시에는 도어의 내부에 수납되고, 도어 폐쇄시에는 길이가 늘어나 상기 도어가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와 구속되도록 한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로부터 출몰되는 서브임팩트빔과,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대하여 이동시켜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도어로부터 출몰시키는 길이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가 개방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개방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길이가 늘어나면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되어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회전시켜 상기 서브임팩트빔이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나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서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동시에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마다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이동시키는 길이가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을 따라 배치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임팩트빔에 치합되는 서브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서브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기어는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서브임팩트빔에 각각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이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서브임팩트빔 중 어느 한 쪽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서브임팩트빔 중 나머지 한 쪽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임팩트빔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서브임팩트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메인임팩트빔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서브임팩트빔의 일측에 연결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일측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서브임팩트빔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프런트 도어에서 메인임팩트빔의 후단에 설치되는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방으로 인출되면 리어 도어에 결속되고, 상기 차량의 리어 도어에서 메인임팩트빔의 전단에 설치되는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리어 도어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프런트 도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런트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은 서로 다른 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결합된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되면 인접한 다른 도어에 설치된 메인임팩트빔의 단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런트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의 후단과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의 전단 중 어느 한 쪽에 서브임팩트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런트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은 동일 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은 센터필라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시에는 도어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길이가 줄어들고, 도어의 폐쇄시에는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와 결속되도록 길이가 늘어남으로써, 코치도어(수평대향식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도 리어 도어의 크기를 늘일 수 있다.
코치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리어 도어의 크기를 늘릴 수 있어, 도어 개방시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리어 도어의 크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도어글래스를 승강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리어 도어의 크기를 늘리더라도, 도어가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와 결속됨으로써, 측면 충돌에 대한 강도가 향상됨으로써, 측면 충돌시 탑승자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도어를 프런트 도어의 개방과 상관없이 개폐할 수 있어서, 후석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코치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코치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프런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가 설치된 차량에서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가 도어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가 설치된 차량에서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가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의 일부가 도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가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에서 메인임팩트빔과 서브 임팩트빔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11)(12)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11)(12)로부터 출몰되는 서브임팩트빔(22)(23)과,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임팩트빔(21)에 대하여 이동시켜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상기 도어(11)(12)로부터 출몰시키는 길이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도어(11)(12)가 폐쇄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상기 도어(11)(12)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11)(12)가 개방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개방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도어(11)(12)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메인임팩트빔(21)은 도어(11)(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11)(12)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서브임팩트빔(22)(23)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단부에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신축(伸縮)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양단에 각각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설치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단부에서 신축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도어(11)(12)의 폐쇄시에는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신장되어 인접한 다른 도어(11)(12) 또는 차체에 결속됨으로써, 측면 충돌성능이 강화되도록 하다. 또한, 상기 도어(11)(12)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도어(11)(12)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외측과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의 내측에 각각 나사산(21a)(23a)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나사결합하고, 길이가변수단을 통하여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9에는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메인임팩트빔(21)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를 구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1)(12)의 폐쇄시에는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도어(11)(12)의 개방시에는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상기 도어(11)(12)의 내부에 위치하여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도어(11)(12)가 개방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을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을 상기 도어(11)(12)로부터 출몰시킴으로써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를 신축시키는 길이가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양단에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각각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메인임팩트빔(21) 또는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회전하면서 상기 메인임팩트빔(21)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도 4, 도 8 참조).
예컨대,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구동모터(24)와, 상기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을 따라 배치되는 구동샤프트(26)와, 상기 구동샤프트(26)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에 각각 치합되는 제1서브기어(27)와 제2서브기어(28)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4)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샤프트(26)가 상기 서브기어(27)(28)를 회전시킨다.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의 외측에는 상기 서브기어(27)(28)에 치합되는 치형(23b)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브기어(27)(28)가 회전하면, 상기 서브기어(27)(28)가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회전시킨다.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구동샤프트(26)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회전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물론,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을 회전시켜도,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양단에 형성되는 나사산(21a)의 방향을 반대로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한 셋트의 길이가변수단으로도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 마다 상기 길이가변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가 압축된 상태(길이가 줄어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탑승자가 도어캐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와 같이, 상기 도어(11)(12)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상기 도어(11)(1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길이가변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구동모터(24)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기어(25)와 상기 구동샤프트(26)에 의해 상기 서브기어(27)(28)가 회전하면서, 상기 서브기어(27)(28)에 치합된 서브임팩트빔(22)(23)이 회전한다.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들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은 회전하여,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중심(길이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다(도 4 참조).
상기 도어(11)(12)의 개방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을 따라 이동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은 상기 도어(11)(12)의 내부에 위치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도어(11)(12)의 개방을 저지하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상기 도어(11)(12)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가 신장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1)(12)가 폐쇄되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신장된다.
상기 도어(11)(12)가 폐쇄되면, 상기 구동모터(24)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24) 및 상기 구동샤프트(26)도 회전한다. 상기 구동샤프트(2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서브기어(27)(28)가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방향을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압축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런트 도어(11)과 상기 차체를 관통하고,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어 도어(12)과 상기 차체를 관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신장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12)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도어(11)(12)에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에 결속된다.
상기 도어(11)(12)의 전후로 각각 상기 서브임팩트빔(22)(23)이 인출되어,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차량(1)의 측면 충돌 성능이 향상된다. 도 9에는 상기 프런트 도어(11)에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를 수용하는 수용부(11d)로부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와 리어 도어(12)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가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에서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은 상기 프런트 도어(11)의 후단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리어 도어(12)의 전단에 결속된다. 또한, 리어 도어(12)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에서 전방 서브임팩트빔(22)은 상기 리어 도어(12)의 전단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프런트 도어(11)의 후단에 결속된다.
특히, 상기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리어 도어(12)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21)은 각각 경사지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전단이 낮고,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설치된다.
다만,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이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차량의 디자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이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는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메인임팩트빔(21)의 단부로부터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와 리어 도어(12)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후방 서브임팩트빔(23)와 리어 도어(12)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전방 서브임팩트빔(22)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 상기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와 상기 리어 도어(12)에 설치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프런트 도어(11)의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에서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을 생략하고, 상기 리어 도어(12)의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에서 전방 서브임팩트빔(22)이 상기 리어 도어(12)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21)의 후단에 결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프런트 도어(11)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리어 도어(12)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21)은 경사지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전단이 낮고,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설치된다. 다만,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이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것은 일례로서, 차량의 디자인 등에 따라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이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11)(12)가 폐쇄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22)이 상기 프런트 도어(11)와 상기 리어 도어(12)를 모두 관통하는 상태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서브임팩트빔(22)이 상기 프런트 도어(11)의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리어 도어(12)의 메인임팩트빔(21)을 모두 수용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임팩트빔(21')과 메인임팩트빔(23')이 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단부에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11)(12)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상기 도어(11)(12)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도어(11)(12)가 페쇄되면,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임팩트빔(21')에 대하여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이 슬라이딩할 때, 상기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외측면에 가이드돌기(21b)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의 내측면에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돌기(21b)를 수용하는 가이드홈(23c)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브임팩트빔(2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면서,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구동모터(24'), 와이어(29a) 및 탄성부재를 길이가변수단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4')가 작동하면 상기 와이어(29a)가 상기 메인임팩트빔(23')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짧아지도록 하고(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도어의 개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한다(도어의 폐쇄시).
그 구체적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메인임팩트빔(21')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와이어(29a)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29a)가 구동모터(24')에 의해 권취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동모터(24')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축에 상기 와이어(29a)가 권취되는 풀리(도면부호 미부여)를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29a)는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의 일측에 각각 상기 와이어(29a)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풀리에 권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 사이, 상기 메인임팩트빔(21')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 사이에는 각각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임팩트빔(21')에 스토퍼(21c)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21c)와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3') 사이에 코일스프링(29b) 형태로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은 상기 메인임팩트빔(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임팩트빔(21')에 형성된 스토퍼(21c)와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 사이에도 코일스프링(29b) 형태의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감지되거나, 상기 도어에 대한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24')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24')가 작동하면, 상기 와이어(29a)가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도면부호 미부여)에 권취된다. 상기 와이어(29a)가 권취되면서,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은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임팩트빔(21')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구동모터(24')는 상기 와이어(29a)를 감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29a)가 상기 풀리로부터 풀릴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24')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29a)를 상기 풀리로부터 직접 풀어지도록 할 수 없으나, 상기 스프링(29b)은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이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전방 서브임팩트빔(22')과 상기 후방 서브임팩트빔(23')은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에 결속된다.
앞서 살펴본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20)는 코치도어 또는 수평대향식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프런트 도어(11)와 리어 도어(12)에 적용됨으로써, 측면 충돌성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리어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서, 상기 리어 도어(12)를 통하여 후석 승하차가 용이해진다.
1 : 차량 11 : 프런트도어
11a : 아우터패널 11b: 강화부재
11c : 인너패널 11d : 수용부
12 : 리어도어 20 :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21, 21' : 메인임팩트빔 21a : 나사산
21b : 가이드돌기 21c : 스토퍼
22, 22' : 전방 서브임팩트빔 23,23' : 후방 서브임팩트빔
23a : 나사산 23b : 치형
23c : 가이드홈 24, 24' : 구동모터
25 : 구동기어 26 : 구동샤프트
27 : 제1서브기어 28 : 제2서브기어
29a : 와이어 29b : 스프링
100 : 차량 110 : 프런트도어
111 : 충돌대응부재 120 : 리어도어
121 : 충돌대응부재

Claims (19)

  1.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로부터 출몰되는 서브임팩트빔과,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대하여 이동시켜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도어로부터 출몰시키는 길이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가 개방의 개방이 감지되거나 개방되면 상기 서브임팩트빔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을 따라 배치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임팩트빔에 치합되는 서브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길이가 늘어나면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되어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회전시켜 상기 서브임팩트빔이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나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서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동시에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임팩트빔마다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이동시키는 길이가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서브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기어는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서브임팩트빔에 각각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길이가변수단이 상기 서브임팩트빔을 상기 메인임팩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프런트 도어에서 메인임팩트빔의 후단에 설치되는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프런트 도어의 후방으로 인출되면 리어 도어에 결속되고,
    상기 차량의 리어 도어에서 메인임팩트빔의 전단에 설치되는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리어 도어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프런트 도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은 서로 다른 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임팩트빔에 결합된 서브임팩트빔은 상기 도어로부터 인출되면 인접한 다른 도어에 설치된 메인임팩트빔의 단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프런트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의 후단과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의 전단 중 어느 한 쪽에 서브임팩트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과 상기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임팩트빔은 동일 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센터필라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KR1020190004728A 2019-01-14 2019-01-14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KR10263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728A KR102634400B1 (ko) 2019-01-14 2019-01-14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728A KR102634400B1 (ko) 2019-01-14 2019-01-14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26A KR20200088126A (ko) 2020-07-22
KR102634400B1 true KR102634400B1 (ko) 2024-02-06

Family

ID=7189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728A KR102634400B1 (ko) 2019-01-14 2019-01-14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4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990B1 (ko) * 1995-11-28 1999-06-15 정몽규 사이드 임팩트시 도어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1509783B1 (ko) * 2009-08-12 2015-04-06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자동차의 도어 구조
KR101879574B1 (ko) * 2017-09-07 2018-07-19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측면 충돌 보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9450B1 (fr) * 1993-08-31 1995-11-24 Peugeot Renfort de porte pour véhicule automobile.
KR101338775B1 (ko) 2011-12-07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도어 차량의 도어 임팩트빔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990B1 (ko) * 1995-11-28 1999-06-15 정몽규 사이드 임팩트시 도어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1509783B1 (ko) * 2009-08-12 2015-04-06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자동차의 도어 구조
KR101879574B1 (ko) * 2017-09-07 2018-07-19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측면 충돌 보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26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847B1 (ko)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JP5050793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US5404926A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openings
US7559597B2 (en) Vehicle roof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US9346412B2 (en) Bicycle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JP4639072B2 (ja) 自動車用側部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2001239829A (ja) 側面窓ロールブラインド
JP2001241277A (ja) 後部窓ロールブラインド
KR20230001326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US3827713A (en) Passive seat belt assembly for automobile or the like
DE19841347A1 (de) Airbag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10263440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JP3958276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のステー
US8800635B2 (en) Lateral guide for shading roller blind, and shading roller blind for motor vehicles
EP1698516B1 (de) Zwangskopplungseinrichtung
KR20220163755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DE102006023370A1 (de) Rollo für Fenster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2022104512A (ja) ロアーゲートストッパー構造
US20230202271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KR101869086B1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US20230220719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5407339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EP1698517B1 (de) Laderaum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US4222587A (en) Driving device for a motor car seat belt
JP2018070087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