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074B1 -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074B1
KR100854074B1 KR1020070020505A KR20070020505A KR100854074B1 KR 100854074 B1 KR100854074 B1 KR 100854074B1 KR 1020070020505 A KR1020070020505 A KR 1020070020505A KR 20070020505 A KR20070020505 A KR 20070020505A KR 100854074 B1 KR100854074 B1 KR 10085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
coupled
tub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2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부는 차량의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와이어를 상기 래치유닛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케이블부재;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부재의 튜브를 고정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량의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튜브를 고정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방장치, 케이블부재, 본체, 연결부재

Description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Door opening apparatus for ca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도어의 사시도.
도 3 및 도 4은 종래의 도어 개방장치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6b 는 도 3의 도어 개방장치의 게이블부재를 회전부재에 결합하는 모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도어 개방장치의 본체와 회전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의 연결부재와 케이블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연결부재와 케이블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체와 연결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7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14 및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30... 개방장치 40.. 케이블부재
41... 와이어 42... 결합부재
43... 결합돌기 44.. 매개부재
45... 홈부 46... 튜브
50... 프레임 60... 본체
61... 돌출편 62... 결합구멍
70... 연결부재 71... 덮개면판
72... 제1측면판 73... 제2측면판
74... 가이드장공 75... 고정판
76... 위치고정부 77... 접촉부
78... 결합턱 80... 회전부재
81... 걸림부 82... 지지편
83... 걸림홈 84... 가압걸림부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쉽고 간편하게 도어 개방장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에는 이 도어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 데, 이러한 도어 개방장치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 체(B)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10)과, 도어내판(101) 고정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110)에 결합하여 도어(D)를 록킹시키는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120)과, 상기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120)과 연결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130)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은 종래의 도어 개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6b은 도 3의 도어 개방장치의 케이블부재를 회전부재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이러한 도어 개방장치(130)는 케이블부재(140)와, 프레임(150)과, 회전부재(16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부재(140)는 와이어(141), 튜브(143), 고정부재(1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141)는 그 일단부가 차량의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120)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결합부재(142)에 결합된다.
상기 튜브(143)는 상기 와이어(141)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와이어(141)를 상기 래치유닛(120)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44)는 상기 튜브(143)의 외측에 상기 튜브(143)와 고정되어 있으며, 튜브(143)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50)은 차량의 도어내판(101)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부재(140)의 튜브(143)를 고정지지한다. 상기 프레임(150)에는 튜브(143)가 끼워걸리는 고정 홈(151)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홈(151)은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143)가 상기 고정홈(151)들에 각각 끼워고정된다. 상기 고정홈(151)과 고정홈(151)사이에는 고정부재(144)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튜브(143)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회전부재(160)는 상기 프레임(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부재(160)가 상기 프레임(15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와이어(141)가 상기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결합부재(142)에 걸리는 걸림부(161)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161)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편(162)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편(162)들의 이격거리는 와이어(142)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를 가진다. 상기 지지편(162)들 중에서 일측에 마련된 지지편(162)에는 상기 결합부재(142)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걸림구멍(163)이 마련되고, 타측에 마련된 지지편(162)에는 상기 결합부재(142)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16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걸림부(161)에 결합부재(142)가 결합하면, 상기 걸림부(161)가 프레임(150)내에서 회전하여도 상기 결합부재(142)가 걸림부(161)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141)와 결합부재(142)를 회전부재(160)의 걸림부(161)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43)를 구부려서 결합부재(142)의 일측을 지지편(162)의 걸림구멍(163)에 끼운 후에, 결합부재(142)의 타측을 지지편(164)의 걸림홈(165)에 걸리게 한다. 이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41)를 한쌍의 지지편들(162, 164)사이로 삽입하면서, 상기 튜브(143)를 프레임(150)에 마련된 각각의 고정홈(151)에 끼운다. 이때, 상기 고정홈(151)사이에 고정부재(144)가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튜브(143)는 프레임(150)에 고정되고, 와이어(141)만이 회전부재(16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한편, 회전부재(16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160)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142)가 상기 걸림부(161)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141)는 록킹해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록킹용 래치유닛(120)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게 한다.
한편, 최근에 도어는, 프레임(150)과 회전부재(160)를 도어내판(101)에 미리 결합된 상태로 생산된 하나의 도어모듈과, 케이블부재(140)가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120)이 도어외판(100)에 결합된 상태로 생산되는 다른 하나의 도어모듈을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하나의 도어모듈과 다른 하나의 도어모듈을 조립공장에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도어의 구성이 모듈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케이블부재(140)를 상기 회전부재(160)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결합부재(142)를 지지편(162)의 걸림구멍(163)이나, 지지편(162)에 걸림홈(165)에 걸리게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 케이블부재(140)의 튜브(143)를 구부려야 하는 데, 케이블부재(140)는 일단이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1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케이블부재(140)를 구부릴 만한 충분한 길이를 확보 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튜브(143)를 구부리기 위해서는 도어외판(100)과 도어내판(101)사이에 충분한 작업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케이블부재(140)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어렵다.
특히, 최근에 생산되는 케이블부재(140)는 장착되는 도어내부에 마련된 다른 장치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길이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술한 작업을 위한 공간 확보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블부재를 프레임에 손쉽게 연결시켜, 조립을 편리하게 한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는 일단부는 차량의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와이어를 상기 래치유닛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케이블부재;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부재의 튜브를 고정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량의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튜브 를 고정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질 때의 상기 결합부재의 이동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그 가이드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상기 가이드장공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서 상기 케이블부재에는 상기 튜브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환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매개부재를 더 마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매개부재의 환형의 홈부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그 매개부재를 연결부재에 대해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그 회전부재가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와이어를 상기 록킹해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결합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가압걸림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도어 개방장치의 본체와 회전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연결부재와 케이블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연결부재와 케이블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체와 연결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도 7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실시예와 종래기술과의 차이점은 종래기술에서는 프레임(50)이 케이블부재(40)를 고정지지하면서, 회전부재(8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50)을 본체(60)와, 연결부재(70)로 분리하였다. 이때, 상기 본체(60)는 회전부재(80)를 지지하는 것이며, 연결부재(70)는 케이블부재(40)를 고정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방장치(30) 이외의 구성은 상기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도어 개방장치에 관해서만 상세히 기술하겠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30)는 케이블부재(40), 프레임(50), 회전부재(8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부재(40)는 와이어(41)와, 튜브(46) 및 매개부재(44)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41)는 그 일단부가 차량의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120)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결합부재(42)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42)에는 그 양단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돌기(43)가 마련된다.
상기 튜브(46)는 상기 와이어(41)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와이어(41)를 상기 래치유닛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매개부재(44)는 상기 튜브(46)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환형의 홈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개부재(4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주면이 상기 튜브(46)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50)은 본체(60)와, 연결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60)는 상기 차량의 도어내판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8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본체(60)에서 연결부재(70)가 결합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내부로 돌출된 돌출편(61)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연결부재(70)의 결합턱(78)을 수용하는 결합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70)는 튜브(46)를 고정지지한다.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덮개면판(71)과, 상기 덮개면판(71)의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제1측면판(72)과, 상기 제1측면판(72)과 마주보도록 마련된 제2측면판(73)과, 상기 제1측면판(72) 및 제2측면판(73)과 결합되어 있으며 덮개면판(71)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고정판(75)이 마련된다.
상기 덮개면판(71)에는 상기 돌출편(61)의 하단에 접촉하는 접촉부(77)와, 상기 고정판(75)에는 상기 본체(60)의 결합구멍(62)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끼워걸리는 결합턱(78)이 마련된다.
상기 제1측면판(72)과 제2측면판(73)에는 케이블부재(40)의 결합부재(42)가 회전부재(80)의 걸림부(81)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42)가 회전부재(8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된 가이드장공(74)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75)에는 상기 매개부재(44)의 환형의 홈부(45)에 끼워져 들어감 으로써 그 매개부재(44)를 연결부재(70)에 대해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76)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위치고정부(76)는 상기 홈부(45)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회전부재(80)는 상기 본체(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와이어(41)가 상기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결합부재(42)에 걸리는 걸림부(81)를 마련한다. 상기 걸림부(81)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지지편(82)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82)은 그 측면들이 와이어(41)의 외경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82)에는 그 상부에 결합부재(42)를 수용하는 걸림홈(8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82)에는 상기 케이블부재(40)를 고정지지하고 있는 본체(60)가 상기 본체(60)에 결합될 때, 상기 케이블부재(40)의 결합부재(42)가 상기 지지편(82)의 걸림홈(83)에 안착되어 걸릴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30)는 다음과 같이 작용 효과를 가진다.
먼저, 케이블부재(40)에서 결합부재(42)의 결합돌기(43)를 연결부재(70)의 가이드장공(74)에 끼워넣는다. 이후, 튜브(46)의 외주에 마련된 매개부재(44)의 홈부(45)를 상기 연결부재(70)의 위치고정부(76)에 끼워 상기 튜브(46)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케이블부재(40)를 연결부재(70)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연결부재(70)를 접촉부(77)를 상기 본체(60)의 돌출편(61)의 하단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본체(60)의 결 합구멍(62)에 연결부재(70)의 결합턱(78)을 끼워넣어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42)는 상기 연결부재(70)가 상기 본체(6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81)에 자연적으로 걸리게 되어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3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도어 개방장치(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8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80)와 함께 결합부재(42)가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와이어(41)는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와이어(41)가 이와 같이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41)의 일단에 마련된 록킹용 래치유닛이 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30)에 의하면, 케이블부재(40)가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에 미리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80)를 결합하고 있는 본체(60)가 미리 도어내판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도어 개방장치(30)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도어외판(100)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부재(140)를 끌어당겨 도어외판(100)에 설치된 회전부재(160)의 걸림구멍(163)에 끼워넣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복잡하고, 도어내판(101)과 도어외판(100)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협소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부재(40)를 이동이 간편한 연결부재(70)에 끼운 후에, 상기 연결부재(70)를 간편한 착탈수단에 의하여 본체(60)에 고정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연결부재(70)를 본체(60)에 고정하는 방식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결합부재(42)를 직접 회전부재(80)에 결합하는 방식에 비하여 단순하여, 작업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케이블부재(40)를 연결부재(70)에 끼워 고정하기 방식도 종래기술에 비하여 간편하게 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튜브(143)를 프레임(15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튜브(143)를 복수의 고정홈(151)에 각각 끼워넣으면서 고정부재(144)를 상기 고정홈(151)들 사이에 배치시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튜브(46)의 외측에 고정되어있는 매개부재(44)의 홈부(45)를 연결부재(70)의 위치고정부(76)에 끼워넣음으로서, 튜브(46)를 연결부재(70)에 고정시켜 고정작업을 단순화시켰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30)는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고려할 수 있다.
첫번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8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41)를 록킹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만을 고려하였으나, 상기 회전부재(8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41)를 록킹해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하는 구성요소도 추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재(42)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부(81)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가압걸림부(84)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가압걸림부(84)가 더 마련되면,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41)가 록킹해제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41)가 록킹해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두번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70)에는 가이드장공(74)이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재(42)가 상기 가이드장공(74)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을 설시하였으나, 연결부재(70)에 상기 가이드장공(74)이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작업자는 케이블부재(40)를 연결부재(70)의 환형의 홈부(45)에만 끼운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70)를 상기 본체(60)에 결합시켜 도어 개방장치(30)의 조립을 완료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신속한 도어 개방장치(30)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 따르면, 케이블부재(40)를 프레임에 손쉽게 연결시켜, 도어 개방장치의 조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4)

  1. 일단부는 차량의 도어 록킹용 래치유닛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와이어를 상기 래치유닛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해제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케이블부재;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부재의 튜브를 고정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량의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튜브를 고정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재에는, 그 회전부재가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와이어를 상기 록킹해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결합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가압걸림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록킹해제방향으로 당겨질 때의 상기 결합부재의 이동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그 가이드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상기 가이드장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재에는 상기 튜브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환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매개부재를 더 마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매개부재의 환형의 홈부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그 매개부재를 연결부재에 대해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장치.
  4. 삭제
KR1020070020505A 2007-02-28 2007-02-28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KR10085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05A KR100854074B1 (ko) 2007-02-28 2007-02-28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05A KR100854074B1 (ko) 2007-02-28 2007-02-28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074B1 true KR100854074B1 (ko) 2008-08-25

Family

ID=3987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505A KR100854074B1 (ko) 2007-02-28 2007-02-28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74A1 (en) * 2014-03-14 2015-09-17 Woobo Tech Co., Ltd. Latch system for door
CN110067454A (zh) * 2018-01-23 2019-07-30 博泽车锁系统有限公司 鲍登缆线端部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985A (ko) * 2001-10-24 2003-05-01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분할 윈도우 쉐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985A (ko) * 2001-10-24 2003-05-01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분할 윈도우 쉐이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74A1 (en) * 2014-03-14 2015-09-17 Woobo Tech Co., Ltd. Latch system for door
CN110067454A (zh) * 2018-01-23 2019-07-30 博泽车锁系统有限公司 鲍登缆线端部件
CN110067454B (zh) * 2018-01-23 2022-03-11 博泽车锁系统有限公司 鲍登缆线端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836B2 (en) Electric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EP2253977B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device using the same
US7722260B2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JP6363784B1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および二連式の光コネクタプラグ
AU2013356885B2 (en) Dust-proof apparatus an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JP5080600B2 (ja) 光コネクタ内蔵プラグ
JPH07287143A (ja) プラグ誤脱防止機構
KR102327367B1 (ko) 잠금 해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잠금 장치
KR101568816B1 (ko) 커넥터 장치
KR102536620B1 (ko) 볼잠금 연결체
KR100854074B1 (ko) 차량용 도어개방 장치
JP4652950B2 (ja) 着脱式車両用アンテナ
JP6425003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2015018741A (ja) 同軸プラグ及びこ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JP6016459B2 (ja) ノイズ吸収装置の支持構造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3882820B2 (ja) 光ファイバ用配線器具
JP6449558B2 (ja) Mu型光コネクタ用シャッタ付アダプタ
KR101625146B1 (ko) 광 케이블 및 그 설치방법
KR101779002B1 (ko) 인렛커넥터용 커버장치
KR101017725B1 (ko) 중립핀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스티어링 롤 커넥터 장치
KR20100006971U (ko) 모터 착탈형 전동커튼의 모터 접속장치
JP5180553B2 (ja) コネクタ
JP4163030B2 (ja) コネクタ
JP4731123B2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