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416A -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416A
KR20030031416A KR1020020061634A KR20020061634A KR20030031416A KR 20030031416 A KR20030031416 A KR 20030031416A KR 1020020061634 A KR1020020061634 A KR 1020020061634A KR 20020061634 A KR20020061634 A KR 20020061634A KR 20030031416 A KR20030031416 A KR 2003003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utting
thread
cutting blade
blad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타후미히코
후쿠다테루아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05B37/06Cutting devices with oscillating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북을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으로 봉제시에 발생하는 봉제불량이나 실절단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실절단 메스의 날부를 수평방향으로 바늘구멍 근처에 접근시킬 수 있음에 따라 실절단 후의 천측 실남은 길이를 짧게할 수 있는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드부 밑면에 수평면안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북 축대(24)와, 북축대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한개의 수평북(20)과, 실포착부와 날부를 갖는 제 1실절단 메스(4)와, 날부를 갖는 제 2실절단 메스(8)와의 협동에 의해 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제 1실절단 메스와 제 2실절단 메스 중 최소한 제 1실절단 메스가 수평면안에서 요동운동을 하며, 이 요동운동의 중심(25A)이 바늘낙하위치(2A)를 지나는 천이송 방향선(26)에 대해 수평북의 회전중심(20A)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이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THREAD CUTTING APPARATUS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평북을 구비한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의 일예를 도 9 및 도 10을 기초로 설명한다. 재봉틀의 베드부(도시하지 않음)의 밑면에 북 축대(24)가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 북 축대(24)에는 실절단 메스(51)가 수직축선(51A)을 중심으로 하여 북(20) 위쪽을 요동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있다.
실절단 메스(51)는 수평방향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수직축선(51A)은 도 10과 같이 천이송 방향을 따라 바늘낙하위치(2A)를 지나는 직선(26)에 대해 북(20)의 회전중심(20A)과 같은 측에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은 페달의 조작에 의해 실절단 신호가 온이 되면 실절단 메스(51)가 요동중심(51A)을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행하고, 그 선단에 형성된 실포착부와 날부가 북(20)의 위쪽을 이동하여 실을 포착, 절단한다.
이 수평북을 갖는 재봉틀에서는 북(20)의 위쪽에 실절단 메스(51)를 배치하므로 실절단 장치를 배치한 경우(도 11(A))에는 실절단 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도 11(B))에 대해 북(20)을 높이 H만큼 아래쪽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북(20)을 아래쪽에 배치하면 북 뾰족한 끝(20B)에 의한 바늘실 루프의 포착이 불안정 하게 되어 봉제시에 실절단이나 봉제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북 뾰족한 끝(20B)이 마모하면 바늘(52)로 최접근했을 때 바늘(52)과 뾰족한 끝(20B)의 수평방향 간극이 벌어지게 되고, 이 경우에는 북 축대(24)를 베드부에 대해 수평이동하여 상기 바늘(52)과 북 뾰족한 끝(20B)의 간극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때 실절단 메스(51)도 이동하게 되므로 바늘낙하위치(2A)에 대해 실절단 메스(51)의 위치조정을 재조정해야만 했었다.
또 실절단 메스(51)를 배치할 때에는 그 선단부를 바늘낙하위치(2A)로 될 수 있는 한 접근시킬 필요가 있지만 도 11(A)과 같이 바늘판(2) 및 북(20)의 북고정부(2B)(20C)가 장해가 되므로 일정한 간격 d을 두고 배치시켜야 하고, 이 때문에 실절단 후의 천측 실남은 길이를 짧게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이런 종류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실절단 장치는 실절단 캠(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되지만 실이 끊어지지 않는 등의 실절단 문제가 발생한 경우, 실절단 캠의 부착조정에 의해 동작타이밍을 변경하여 이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어 조정이 번거로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북을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으로 발생하는 봉제시에 있어 실절단이나 봉제 불량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북 토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해도 실절단 장치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절단 메스의 날부를 수평방향에 바늘구멍 근처로 접근시킬 수 있음에 따라 실절단 후의 천측 실남은 길이를 짧게할 수 있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제 1실시예의 저면도.
도 4는 제 1실시예의 제어블록도.
도 5는 실절단 메스 대기시에 있어 제 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주요부의 평면도, (B)는 캠과 굴림대의 평면도, (C)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절단 메스 최전진시에 있어 제 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주요부의 평면도, (B)는 캠과 굴림대의 평면도, (C)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절단시에 있어 제 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주요부의 평면도, (B)는 캠과 굴림대의 평면도, (C)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예에 의한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종래예에 의한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종래예에 의한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절단 토대2A: 바늘구멍(바늘낙하 위치)
4: 제 1실절단 메스8: 제 2실절단 메스
20: 수평북20A: 수평북의 회전중심
24: 북축대25A: 제 1실절단 메스의 요동운동의 중심
26: 천이송 방향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베드부 밑면에 수평면 안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북축대와, 상기 북축대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하나의 수평북과, 실포착부와 날부를 갖는 제 1실절단 메스와, 날부를 갖는 제 2실절단 메스와의 협동에 의해 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장치를 구비한 한개 바늘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절단메스와 제 2실절단 메스 중 최소한 제 1실절단 메스가 수평면안에서 요동운동을 하고, 이 요동운동의 중심이 바늘낙하위치를 지나는 천이송 방향 선에 대해 상기 수평북의 회전중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들면 상기 제 1실절단 메스와 제 2실절단 메스가 상기 북 축대와는 별도의 상기 베드부밑면에 부착된 실절단 토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동운동의 중심과 상기 바늘낙하위치와의 거리가 상기 북 축대가 수평면안에서 이동해도 변화하지 않는다.
다음 도 1~도 7을 기초로 본 발명에 의한 실절단 장치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수평북 재봉틀은 도시하지 않은 베드부 밑면으로, 수평면안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된 북축대(24)와, 북축대(24)에 회전가능하게 축 지지된 한개의 수평북(20)과, 베드부 윗면에 고정된 바늘판(2)과, 실절단 장치를 구비한다. 바늘판(2)은 바늘구멍(바늘낙하위치)(2A)이 형성된 이송톱니(2C)를 갖는다. 상기 실절단 장치는 북 축대(24)와는 바늘낙하위치(2A)를 지나 천이송방향을 따른 직선(26)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베드부 밑면에 고정나사(3)에 의해 부착된 실절단 토대(1)와, 이 실절단 토대(1)에 배치된 제 1실절단 메스(4)와 제 2실절단 메스(8)를 구비한다. 이 실절단 토대(1)는 상기 북 축대(24)와는 별도로 구성되며 제 1실절단 메스(4)는 그 선단부에 실포착부와 날부를 갖고, 제 2실절단 메스(8)는 그 선단부에 날부를 가지며, 이들 제 1및 제 2실절단 메스(4)(8)의 협동에 의해 실을 절단한다.
제 1실절단 메스(4)는 팔(5)에 부착되고, 제 2실절단 메스(8)는 팔(7)의 일단측에 부착된다. 팔(7)은 그 타단측에 2개로 나뉜 부(7c)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구멍(7a) 및 장공(7b)을 형성하고 있다. 팔(5)에는 2개의 축(15)(25)이 고정되고, 축(25)은 팔(7)의 구멍(7a)과 실절단 토대(1)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 각각 여유있게 끼워지며, 축(15)은 팔(7)의 장공(7b)에 여유있게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 1및 제 실절단 메스(4)(8)는 모두 축(25)의 중심(25A)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안에서 요동운동을 한다. 이 요동운동의 중심(25A)은 상기 직선(천이송 방향 선)(26)을 사이에 두고 수평북(20)의 회전중심(20A)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실절단 토대(1)가 북 축대(24)와는 별도의 베드부 밑면에 부착되므로 요동운동의 중심(25A)과 바늘낙하위치(2A)와의 거리는 북 축대(24)를 수평면안에서 위치조정에 의해 이동시켜도 변화하지 않는다.
실절단 토대(1)의 아래쪽에는 팔(6), 팔(10), 에어실린더(1) 및 하축(18)이 배치된다.
축(25)은 하단을 팔(6)에 의해 안아 고정된다. 에어실린더(11)는 멈춤나사(13)에 의해 실절단 토대(1)의 밑면에 고정되고, 링크(12)를 통해 팔(6)에 연결된다.
팔(10)에는 그 일단에 굴림대(16)가 부착되고, 타단에 축(10A)이 고정되고 있다. 이 팔(10)은 스프링(14)에 의해 도 1의 B방향으로 부세된다. 축(10A)은 실절단 토대(1)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여유있게 끼워지고, 그 선단에 팔(9)이 안겨져 고정된다. 팔(7)의 2개로 나뉜부(7c)는 팔(9)에 고정된 핀(9a)과 결합하고 있다. 하축(18)에는 캠(17)이 고정되고, 이 캠(17)에 형성된 캠홈(17A)은 팔(10)의 굴림대(16)와 결합가능하게 된다.
실절단 토대(1)에는 밑실고정판(19)이 부착되지만 이 밑실고정판(19)은 상하실을 절단한 제 1 및 제 2실절단 메스(4)(8)가 도 2에 도시한 대기위치로 후퇴했을 때 밑실을 고정가능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CPU(30)의 입력인터페이스(31)에는 페달(32), 조작패널(33)이 접속되고 있다. 이 조작패널(33)은 에어실린더(11)의 로드의 신축타이밍 등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출력인터페이스(34)에는 재봉틀 모터(35), 에어실린더(11)가 접속되고 에어실린더(11)와 재봉틀 모터(35)의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CPU(30)에는 재봉틀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있는 ROM(36)이 접속되고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실절단 신호가 들어올 때 까지는 에어실린더(11)의 신장측에 에어가 입력되고 있어 로드가 신장위치에 있고, 이 때문에 에어실린더(11)로부터의 힘이 링크(12), 팔(6), 축(25)을 통해 팔(5) 및 제 1실절단 메스(4)에 전달하고, 도 1의 A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때 팔(7) 및 제 2실절단 메스(8)에는 팔(5)에 고정된 축(15)에서의 힘이 가해지고, 제 1실절단 메스(4)와 마찬가지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 팔(10)에는 팔(7)에서의 힘이 팔(9), 핀(9a) 및 축(10A)을 통해 전해지고, 스프링(14)의 인장력에 맞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같이 제 1및 제 2실절단 메스(4)(8), 팔(10)은 각각 도 1의 A방향의 대기위치에 고정되고 있다. 도 2, 도 5는 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와 같이 이 때 팔(10)의 굴림대(16)는 캠(17)의 캠홈(17A)과 결합하고 있지 않다.
페달(32)에서 실절단 신호(온)가 CPU(30)에 입력되면 ROM(36)안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따라 CPU(30)의 제어에 의해 에어실린더(11)의 흡인측에 에어가 입력되고, 실린더 로드는 도 1의 B방향으로 끌린다. 그렇게 하면 링크(12), 팔(6), 팔(5)을 통해 제 1실절단 메스(4)가 B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6(C)과 같이 상하실(37)(38)을 풀어 포착한다. 또 팔(7)은 스프링(14)의 힘에 의해 팔(10), 축(10A), 팔(9), 핀(9a)을 통해 B방향으로 끌리고, 이 때문에 제 2실절단 메스(8)가 이송톱니(2C)의 바늘구멍(2A) 부근까지 전전한다. 제 2실절단 메스(8)가 최전진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6(B)과 같이 팔(10)의 굴림대(16)가 캠(17)의 캠홈(17A) 측면과 결합하고, 팔(10)은 그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면 축(10A), 팔(9), 핀(9a)을 통해 팔(7)도 그 위치에 고정되므로 제 2실절단 메스(8)는 최전진위치에 고정된다.
실절단 신호가 OFF로 되면 CPU(30)의 제어에 의해 에어실린더(11)의 신장측에 에어가 입력되고, 실린더 로드는 도 1의 A방향으로 신장한다. 이에 따라 상하실(37)(38)을 포착하고 있는 제 1실절단 메스(4)는 도 7(A)(C)과 같이 A방향으로 복귀하고, 그 날부가 제 2실절단 메스(8)의 날부의 위치까지 후퇴하여 상하 실(37)(38)을 절단한다. 도 7(B)과 같이 굴림대(16)는 실절단시도 캠홈(17A)과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2실절단 메스(8)는 또한 최전진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 후 하축(18)의 회전에 따라 캠홈(17A)에 들어온 굴림대(16)가 캠홈(17A)에서 벗어나고, 제 1 및 제 2의 실절단 메스(4)(8)는 대기위치까지 후퇴한다. 또 절단된 밑실은 제 1 및 제 2실절단 메스(4)(8)에 의해 대기위치까지 인장되고, 밑실고정판(19)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실절단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실절단 메스(4)(8)의 요동운동의 중심(25A)은 바늘낙하 위치(2A)를 지나는 천이송 방향선(26)에 대해 수평북(20)의 회전중심(20A)의 반대측에 배치되므로 북(20)을 아래쪽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따라서 봉제시에 있어 봉제불량이나 실끊어짐 등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 북 축대(24)를 이동하여 뾰족한 끝(20B)과 바늘의 수평방향 간극의 조정을 행해도 실절단 토대(1)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제 1 및 제 2실절단 메스(4)(8)의 위치조정을 재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실절단 메스(4)(8)의 동작시, 바늘판(2) 및 북(20)의 북고정부(2B)(20C)가 장해가 되지 않으므로 수평방향으로 바늘구멍근처에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절단 후 천측 실남은 길이를 짧게할 수 있다.
또 실절단 메스(4)(8)의 실풀기 및 실절단 동작의 타이밍은 에어실린더(11)의 로드의 신축 타이밍으로 제어하지만 이 제어는 조작패널로 조정가능하게 되므로 용이하게 동작의 조정이 가능하며 이 때문에 예를들어 트러블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 실절단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에어실린더(11)로서 복동식의 것을 이용한 예를 도시했지만 단동식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는 실절단 신호가 온이 되었을 때 실린더 로드가 복귀하고, 오프가 되었을 때 스프링의 힘에 의해 신장하는 타입의 것을 이용한다.
다음에 도 8을 기초로 본 발명에 의한 실절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실절단 메스(4)(8)를 에어실린더(11)에 의해 동작시키고 있지만 캠에 의해 행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제 1실시예에서 에어실린더(11), 링크(12), 팔(6)을 대신해 에어실린더(101), 팔(102) 및 캠(103)이 새로이 배치된다. 그 외 점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같은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의 제어계는 본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팔(102)은 그 중앙부에 팔(5)의 축(25)이 고정됨과 동시에 일단측에 굴림대(104)가 부착되고, 타단측이 에어실린더(101)와 결합가능하게 된다. 하축(18)에 고정된 캠(103)에는 캠홈(103A)이 형성되고, 이 캠홈(103A)은 굴림대(104)와 결합가능하다. 또한 상시에 있어서는 팔(102)은 스프링(105)에 의해 B방향으로 부세되고 굴림대(104)가 캠홈(103A)에서 벗어나고 있다.
실절단 신호가 온이 되면 에어실린더(101)가 신장하고, 팔(102)의 타단측을 민다. 이에 따라 팔(102)의 굴림대(104)가 캠홈(103A)과 결합한다. 그 후는 도 5~도 7에 도시한 제 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동작을 행하도록 캠홈(103A)의 형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면 실절단메스(4)(8)의 동작을 조작패널(33)로 제어하는것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제 1 및 제 2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제 1 및 제 2실절단 메스(4)(8)가 모두 요동운동을 행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제 1실절단 메스(4)만 요동운동을 행하고, 제 2실절단 메스(8)는 고정된 것(고정메스)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드부 밑면에 수평면안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북축대와, 상기 북축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된 한개의 수평북과, 실포착부와 날부를 갖는 제 1실절단 메스와, 날부를 갖는 제 2실절단 메스와의 협동에 의해 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장치를 구비하는 한개 바늘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절단 메스와 제 2실절단 메스중 최소한 제 1실절단 메스가 수평면안에서 요동운동을 하고, 이 요동운동의 중심이 바늘낙하위치를 지나는 천이송 방향 선에 대해 상기 수평북의 회전중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북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에 제공된다. 제 1실절단 메스의 요동운동의 중심이 바늘낙하 위치를 지나는 천이송 방향선에 대해 수평북의 회전중심의 반대측에 배치되므로 북을 아래쪽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봉제시에있어 봉제불량이나 실절단 등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 실절단 메스의 동작시 바늘판 및 북의 북고정부가 장해가 되지 않으므로 수평방향으로 바늘구멍 근처로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절단 후의 천측 실남은 길이를 짧게할 수 있다.
상기 제 1실절단 메스와 제 2실절단 메스가 상기 북 축대와는 별도의 상기 베드부 밑면에 부착된 실절단 토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북 축대를 이동하여 뾰족한 끝과 바늘의 수평방향 간극의 조정을 행해도 실절단 토대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실절단메스의 위치조정을 재조정할 필요가 없다.
상기 요동운동의 중심과 상기 바늘낙하위치와의 거리가 상기 북축대가 수평면안에서 이동해도 변화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도, 북 축대를 이동하여 뾰족한 끝과 바늘의 수평방향 간극의 조정을 행해도 실절단 메스의 위치조정을 재조정할 필요가 없다.

Claims (3)

  1. 베드부 밑면에 수평면 안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북축대와,
    상기 북축대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하나의 수평북과,
    실포착부와 날부를 갖는 제 1실절단 메스와, 날부를 갖는 제 2실절단 메스와의 협동에 의해 실을 절단하는 실절단 장치를 구비하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절단메스와 제 2실절단 메스 중 최소한 제 1실절단 메스가 수평면안에서 요동운동을 하고, 이 요동운동의 중심이 바늘낙하위치를 지나는 천이송 방향 선에 대해 상기 수평북의 회전중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절단 메스와 제 2실절단 메스는 상기 북 축대와는 별도의 상기 베드부 밑면에 부착된 실절단 토대에 배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운동의 중심과 상기 바늘낙하위치와의 거리가 상기 북 축대가 수평면안에서 이동해도 변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KR1020020061634A 2001-10-15 2002-10-10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KR20030031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7014 2001-10-15
JP2001317014A JP3817159B2 (ja) 2001-10-15 2001-10-15 水平釜ミシンの糸切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416A true KR20030031416A (ko) 2003-04-21

Family

ID=1913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634A KR20030031416A (ko) 2001-10-15 2002-10-10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817159B2 (ko)
KR (1) KR20030031416A (ko)
CN (1) CN100354465C (ko)
CZ (1) CZ20023412A3 (ko)
TW (1) TW5672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2573B2 (ja) * 2006-09-15 2012-10-03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5403401B2 (ja) * 2009-02-24 2014-01-29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2010246841A (ja) * 2009-04-20 2010-11-04 Juki Corp ミシン
CN108893887B (zh) * 2018-07-24 2023-11-24 浙江川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面线脱离机构的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2132B2 (ja) * 1989-08-31 1998-03-25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糸切断装置
US5176084A (en) * 1991-05-16 1993-01-05 Keeton J Herbert Knife assembly for automatic sewing machines
JPH0838774A (ja) * 1994-07-29 1996-02-13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3674082B2 (ja) * 1995-04-25 2005-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H10211380A (ja) * 1997-01-28 1998-08-11 Juki Corp ミシン
JP4686025B2 (ja) * 1999-12-16 2011-05-18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2375A (zh) 2003-04-23
JP2003117281A (ja) 2003-04-22
TW567265B (en) 2003-12-21
CN100354465C (zh) 2007-12-12
JP3817159B2 (ja) 2006-08-30
CZ20023412A3 (cs)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2361A (ko) 자수 미싱
KR101240382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20060066638A (ko) 재봉기
JP4822247B2 (ja) ミシンのかがり幅調整装置
KR20030031416A (ko) 재봉틀의 실절단 장치
JP3734301B2 (ja) 自動縫いミシンの中押え装置
JP2006102400A (ja) ミシン
JP2007215734A (ja) ミシン
JP2013208339A (ja) ミシン
CN207958715U (zh) 一种绣花机
KR20030041791A (ko) 단추구멍내기 재봉기
EP105061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titching from raveling
GB2109021A (en) Cycle sewing machine
JPS5886189A (ja) 布切断装置をもつミシン
JP4650169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US5299518A (en) Lower feed dog lifting, lowering, and horizontal coupling
KR100989740B1 (ko) 재봉틀의 실 끊기 장치
JP3983367B2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KR200256781Y1 (ko) 스팽글의 자동공급장치
US4582010A (en) Upper feed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2650516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3968676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JP2004321657A (ja) 糸切り装置
JP3101486U (ja) ミシンの自動糸切り装置
JP2000312786A (ja) 穴かがりミシンの布開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