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61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618A
KR20030024618A KR1020020056362A KR20020056362A KR20030024618A KR 20030024618 A KR20030024618 A KR 20030024618A KR 1020020056362 A KR1020020056362 A KR 1020020056362A KR 20020056362 A KR20020056362 A KR 20020056362A KR 20030024618 A KR20030024618 A KR 2003002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rear free
main body
surface structure
fre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가미에츠코
노자키사토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6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longitudinal raised end, e.g. cup-shaped gluteal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57Stiffness, e.g. Taber rig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enlarged in the anal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후방 부분을 둔부의 홈에 밀착시켜, 신체가 움직였을 때에 상기 둔부의 홈에의 밀착을 유지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체부(2)와 표면 구조체(3)가, 고정부(2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표면 구조체(3)는 상기 고정부(20)가 설치된 전방 부분(3A)과, 상기 고정부(2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자유 부분(3B)으로 구분되고,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은 상기 본체부(2)보다도 폭 치수가 작으며, 또한 상기 표면 구조체(3)의 상기 전방 부분(3A)보다도 폭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이 항문에서부터 둔부의 홈 속으로 밀착하기 쉬워 신체가 움직였을 때에도 둔부의 홈이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의해 메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소변 흡수 패드 등으로서 이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말하면, 흡수 부재 후방부를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가게 할 수 있어 착용자 신체에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체배설액이 착용자의 둔부를 타고 전해져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수성 물품의 후방 영역을 신체에 밀착시키기 쉽게 한 흡수성 물품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104169호 공보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샘 방지층 위에 액체 유지성의 흡수층이 배치된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층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샘 방지층 위에 고정되고, 상기 흡수층에 상기 샘 방지층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후방 자유 연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에 길이 방향을 따르는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후방 자유 연부가 상기 샘 방지층 상측을 향해서 기립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샘 방지층의 이면을 점착제를 통해 쇼츠에 고착하여 착용하지만, 이 때 상기 쇼츠가 헐렁하더라도 또는 착용 중에 착용자의 신체가움직이더라도, 상기 흡수층의 후방 자유 연부가 만곡되어 신체의 후방 부위에 밀착하기 쉽게 되고, 그 결과 착용성이 향상되어 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층의 폭 치수가 전방 연부에서부터 후방 자유 연부에 걸쳐서 균일한 형상이며, 혹은 상기 흡수층의 폭 치수가 후방 자유 연부를 향해서 서서히 커지는 형상이다. 그 때문에, 생리중인 여성이 착용했을 때에, 샘 방지층으로부터 기립하는 상기 흡수층의 후방 부분이, 항문 또는 둔부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었다고 해도 둔부의 홈과 상기 흡수층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배설된 생리혈이 항문에서 둔부의 홈 안을 타고 전해져 신체 후방으로 전해지기 쉽게 되어, 배설액이 흡수층 표면의 넓은 범위로 넓어져 버리므로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배설액이 새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 착용자가 보행하거나, 안착 자세로 가부좌하거나, 가로 방향으로 다리를 꼬거나 했을 때에는 둔부의 홈이 신체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어긋나는 식으로 변형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항문에서부터 둔부의 홈을 덮고 있는 상기 흡수층의 후방 부분이 신체의 비틀림에 대하여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체가 상기와 같은 자세를 취하면 둔부의 홈과 흡수층 사이의 간극이 더욱 커져 액이 샐 우려가 증가된다. 또한, 신체가 상기와 같은 자세를 취하면, 쇼츠가 둔부 살의 움직임을 따라 변형하기 때문에 쇼츠의 가랑이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이에 의해서도, 흡수층과 상기 둔부 홈 사이의 간극이 커지기 쉽다.
또, 상기 공보에는, 상기 흡수층의 후방 부분에 융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흡수층의 후방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체가 상기 자세가 되어 둔부의 홈이 변형했을 때에, 상기 융기부가 둔부의 홈 변화에 따라가기 어렵고, 상기 융기부가 둔부의 홈에서부터 떨어지기 쉽게 되어 착용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후방 부분을 착용자의 둔부의 홈에 밀착시킬 수 있고, 또한 신체가 움직였을 때에 상기 둔부의 홈에의 밀착을 유지하기 쉬워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실시예로서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압축 특성을 도시하는 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리대
2 : 본체부
2a : 본체부의 전연부
2b : 본체부의 후연부
2c : 본체부의 우측연부
2d : 본체부의 좌측연부
3 : 표면 구조체
3A : 전방 부분
3B : 후방 자유 부분
3A1, 3A2 : 측방 자유 부분
4a, 4b : 날개부
11 : 이면 시트
12 : 표면 시트
13 : 흡수층
14 : 샘 방지층
15 : 샘 방지층
16 : 보강지
17a, 17b : 감압 접착제층
18a, 18b : 감압 접착제층
20 : 고정부
21 : 이면 시트
22 : 표면 시트
23 : 제1 흡수층
23a : 융기부
23b : 박육부
24 : 제2 흡수층
25 : 압착 홈
26 : 샘 방지층
28 : 액체 투과 구멍
29 : 요철부
본 발명은, 세로로 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 위치하여 액을 흡수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세로로 긴 표면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표면 구조체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부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표면 구조체는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전방 부분과 상기 고정부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자유 부분과 세로 방향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은 상기 본체부보다도 폭 치수가 작으며, 또한 상기 표면 구조체의 상기 전방 부분보다도 폭 치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은 그 후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폭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본체부에 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표면 구조체가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 구조체에는 폭 치수가 작은 후방 자유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을 착용하면, 상기 표면 구조체의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항문에서부터 둔부의 홈 속으로 밀착하기 쉽다. 또한 신체 자세에 따라 둔부의 홈이 좌우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표면 구조체의 후방 자유 부분이 둔부의 홈의 움직임에 따라가기 쉽게 되어 둔부의 홈이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의해 메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표면 구조체에는 상기 전방 부분과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걸쳐서, 중심선을 따라 융기된 융기부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구조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융기부가 여성의 생식기에서부터 항문 나아가서는 둔부의 홈에 걸쳐서 밀착되어 배설액이 표면 구조체에서 포착되기 쉽게 되므로 액이 새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의 이면에서 상기 융기부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는 상기 전방 부분보다도 상기 후방 자유 부분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부분에서의 융기부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하면, 융기부의 전방 부분이 여성의 생식기에 밀착된 상태에서 더욱 융기부의 후방 부분이 둔부의 홈 속으로 밀착하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표면 구조체의 상기 전방 부분에는 상기 고정부보다도 폭 방향 양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측방 자유 부분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로 하면 속옷에 고착시킨 본체부가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비틀림이생겼다고 해도, 표면 구조체의 상기 측방 자유 부분이 신체에서 멀어져 가기 어렵게 되어 배설액의 가로 샘을 방지하기 쉽게 된다.
또, 상기 본체부는 전방 영역보다도 후방 영역에서 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 구조체의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은 상기 폭 치수가 큰 후방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본체부의 적어도 상기 후방 영역에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겹쳐져 있는 영역 및 그보다도 외측의 주변 영역에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부의 후방 영역의 폭 치수를 넓게 해 두면, 착용시에 상기 본체부의 후방 영역이 항문에서부터 둔부의 홈 표면을 넓게 덮을 수 있고, 더구나 표면 구조체의 후방 자유 부분이 둔부의 홈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후방에서 액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고정부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선이 본체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5도 이상의 각도가 되도록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양측 쪽을 향해 변형이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착용중에 보행하거나, 안착 자세로 가부좌하거나, 또는 가로 방향으로 다리를 꼬았을 때라도,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둔부의 홈 변형을 따라갈 수 있게 되어 둔부의 홈이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의해 메워진 상태가 되므로 둔부 방향으로 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상측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회복율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측방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회복율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상측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강성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측방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강성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의 압축 강성을 상기 범위의 특성으로 하면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둔부의 홈 형상을 유연하게 따라 변형하고, 또한 탄성 회복율을 상기 범위로 하면 후방 자유 부분이 둔부의 홈 속에 적절한 탄성력으로 압접하여 압접 상태를 항상 유지하기 쉽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예로서 생리대를 표면측에서부터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고정부의 형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생리대(1)는 생리중인 여성이 쇼츠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장착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고정된 표면 구조체(3)를 갖고 있다.
상기 본체부(2)의 평면 형상은 거의 원호 형상인 전연부(2a)와 후연부(2b) 및 우측연부(2c)와 좌측연부(2d)를 갖고 있다. 본체부(2)는 Y 방향으로 긴 세로 길이 형상이다. 본체부(2)는 세로 방향(Y 방향)의 길이 치수가 L1인 전방 영역과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L2인 후방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L1과 L2는 본체부(2)를 세로 방향으로 거의 이분하는 치수이며, L1과 L2는 거의 같다.
상기 전방 영역에서는, 우측연부(2c)와 좌측연부(2d)의 거리 즉 본체부(2)의 폭 치수가 W1이고, 상기 후방 영역에서는 상기 폭 치수가 W2이며, 전방 영역의 폭 치수(W1)보다도 후방 영역의 폭 치수(W2) 쪽이 커지고 있다.
상기 전방 영역에서, 본체부의 상기 우측연부(2c)와 상기 좌측연부(2d)의 일부분이 폭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의해 날개부(4a, 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11)와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12)를 지니고, 상기 이면 시트(11)와 상기 표면 시트(12) 사이에 액을 흡수할 능력을 갖는 흡수층(13)이 끼워진다.
본체부(2)의 상기 길이 치수(L2)의 후방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층(13)의 주연부 위에 겹쳐진 샘 방지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층(13) 및 샘 방지층(14)이 이면 시트(11)와 표면 시트(12)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샘 방지층(14)은 액을 흡수 유지할 능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후방 영역에서 상기 흡수층(13)의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샘 방지층(14)의 양단부를 14a 및 14b로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2)의 상기 영역에서는 그 거의 반의 길이(L3) 영역에서, 상기 흡수층(13)의 주연부 위에 상기 샘 방지층(14)과 같은 샘 방지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층(15)은 흡수층(13)의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흡수층(13) 및 샘 방지층(15)이 이면 시트(11)와 표면 시트(12) 사이에 끼워지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샘 방지층(15)의 양단부를 15a 및 15b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13) 및 샘 방지층(14)과 샘 방지층(15)보다도 외측 영역에서 상기 이면 시트(11)와 표면 시트(12)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구조체(3)가 겹쳐져 있는 영역에 상기 샘 방지층(14)과 샘 방지층(15)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흡수층(13)의 주연부 중의 표면 구조체(3)와 겹쳐져 있지 않은 상기 주연부에 상기 샘 방지층(14) 및 샘 방지층(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샘 방지층(14)과 샘 방지층(15)이 형성된 부분은 본체부(2)의 표면측으로 융기되어 있어, 흡수층(13)을 갖는 흡수 영역의 주위 부분을 둘러싸는 샘 방지제(防止堤)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4a, 4b)에서는, 상기 이면 시트(11)와 표면 시트(12) 사이에 보강지(16a, 16b)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이면 시트(11)와 보강지(16a, 16b) 및 표면 시트(12)가 겹쳐진 상태로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강지(16a, 16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날개부(4a, 4b)의 강성이 높아져 속옷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날개부(4a, 4b)를 본체부(2)의 이면측을 향해 접어 포개기 쉽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4a, 4b)의 이면에서는 상기이면 시트(11)의 외면에, 각각 고정 수단으로서 감압 접착제층(17a, 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이면에서는 상기 이면 시트(11)의 외면에, 세로 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연장되는 감압 접착제층(18a, 18b)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면 구조체(3)는 본체부(2)의 표면에서 핫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2와 도 5에서는, 상기 부분적인 고정부를 부호 20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면 구조체(3)는 세로 방향으로 이분된 전방 부분(3A)과 후방 자유 부분(3B)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20)가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전방 부분(3A)이며, 상기 고정부(20)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후방 자유 부분(3B) 이다.
또, 상기 전방 부분(3A)에서는, 상기 표면 구조체(3)는 상기 고정부(20)보다도 좌우 양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상기 표면 구조체(3)의 측방 자유 부분(3A1, 3A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 구조체(3)는 이면 시트(21)와 표면 시트(22)를 갖고 있고, 상기 이면 시트(21)와 표면 시트(22) 사이에서는 상기 전방 부분(3A)에 제1 흡수층(23)이 개재하고 있고,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에 제2 흡수층(24)이 개재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 구조체(3)의 전방 부분(3A)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O-O)의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압착 홈(25, 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 홈(25)과 압착 홈(25)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제1 흡수층(23)의 두께가 크게 되어 융기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 홈(25, 25)보다도 좌우 양 외측은 상기 제1 흡수층(23)의 두께가 상기 융기부(23a)보다 약간 얇게 되어 박육부(23b, 23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 구조체(3)의 전방 부분(3A)에서는, 상기 흡수층(23)의 상기 박육부(23b, 23b)의 외주 부분에 샘 방지층(26, 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샘 방지층(26, 26)은 상기 제1 흡수층(23)과 마찬가지로 액의 흡수 능력과 액의 유지 능력을 갖고 있으며, 샘 방지층(26, 26)은 상기 박육부(23b, 23b)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상기 표면 구조체(3)의 전방 부분(3A)에서는, 상기 제1 흡수층(23) 및 상기 샘 방지층(26, 26)이 상기 이면 시트(21)와 상기 표면 시트(22)에 끼워지고 있지만, 상기 전방 부분(3A)에서는 상기 융기부(23a)에 있어서 두께가 크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측방 자유 부분(3A1, 3A2)의 연부에 있어서도 상기 샘 방지층(26, 26)을 갖는 부분이 상측으로 융기되어 두께가 커지고 있다.
상기 표면 구조체(3)의 후방 자유 부분(3B)에서는 이면 시트(21)와 표면 시트(22) 사이에 제2 흡수층(24)이 끼워지고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과 상기 전방 부분(3A)의 상기 융기부(23a)가 연속되어 있고, 상기 융기부(23a)와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에 의해 중앙선(O-O)을 따르는 연속하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면 시트(11)에서부터 전방 부분(3A)의융기부(23a)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1)보다도, 상기 이면 시트(11)에서부터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2) 쪽이 크게 되어 있다.
상기 표면 시트(22)는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의 상기 전방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22)에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상기 후방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22)에 물결 모양의 요철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면 시트(21)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2)에 흡수층(1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면 시트(21)가 액체 투과성이라도 좋다. 다만, 상기 본체부(2)에 상기 흡수층(13)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면 시트(21)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제1 흡수층(23)과 제2 흡수층(24)은 같은 것이라도 좋지만, 상기 제1 흡수층(23)의 융기부(23a)보다도, 상기 제2 흡수층(24) 쪽이 압축 회복율이 높고 압축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2)의 이면 시트(11)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이며,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상기 필름과 부직포와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이다. 표면 시트(12)는 액체 투과성이며, 합성 섬유를 열풍으로 체결시켜 융착시킨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합성 섬유를 수류로 체결시킨 스펀레이스 부직포, 혹은 상기 부직포에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것, 혹은 액체 투과 구멍을 갖는 수지 필름 등이다.
표면 구조체(3)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표면 시트(22)는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구조체(3)에서는, 전방 부분(3A)이 여성의 질구에 맞닿은 영역이며, 전방 부분(3A)이 주로 배설액을 받아내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상기 표면 시트(22)에 상기 액체 투과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 자유 부분(3B)은 주로 항문 및 둔부의 홈 속에 맞닿은 부분이기 때문에, 이 후방 자유 부분(3B)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2)에 요철부(29)가 형성되어 표면의 접촉 감촉을 부드럽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생리대(1)는 본체부(2)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L1+L2)가 200∼450 mm이다. 취침시에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면, 상기 길이 치수는 250 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너무 지나치게 길면 착용시에 둔부에 위화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 치수의 바람직한 범위는 250∼350 mm이다. 또한 본체부(2)의 전방 영역의 폭 치수(W1)는 40∼100 mm, 후방 영역의 폭 치수(W2)는 80∼150 mm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구조체(3)는 고정부(20)의 후단부가 전방 부분(3A)과 후방 자유 부분(3B)의 경계부(3D)이다. 상기 표면 구조체(3)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La+Lb)는 80∼300 mm 정도이다. 본체부(2)의 전연부(2a)에서부터 상기 경계부(3D)까지의 거리는 130∼200이며,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의 길이 치수(Lb)는 30∼120 mm 이다.
상기 표면 구조체(3)의 후방 자유 부분(3B)은 전방 부분(3A)보다도 폭 치수가 작고, 상기 경계부(3D)에서부터, 후단부(3E)에 걸쳐서 폭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이다. 상기 표면 구조체(3)는 착용자의 항문에서 둔부의 홈 속에 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폭 치수가 가늘 필요가 있으며, 상기 경계부(3D)에서 후단부(3E)까지의 전체 길이(La)의 반(Lb/2)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의 폭 치수(Wb)는 전방 부분(3A)의 폭 치수(Wa)의 2/3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또한 둔부 홈 속에 밀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폭 치수(Wb)는 5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다.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은 상기 전방 부분(3A)의 융기부(23a)와 연속하는 형상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은 평탄이 아니라, 후방 자유 부분(3B)에서는 그 표면이 꼭대기부(3F)을 향해 부풀어 올라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계부(3D)에서부터의 거리가 Lb/2인 위치에 있어서, 폭 치수(Wb)에 대한 꼭대기부(3F)까지의 높이 치수(ha)의 비, ha/Wb가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이와 같이 후방 자유 부분(3B)이 상측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이면, 후방 자유 부분(3B)이 항문에서부터 둔부의 홈에 걸쳐 딱 들러 맞기 쉽게 된다.
다음에,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이, 항문에서 둔부의 홈 속에 들러 맞기 쉽게 되고, 또한 신체의 움직임을 따라 상기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은 이하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은 후단부(3E)를 생리대(1)의 폭 방향(X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눌렀을 때에 5도 이상의 각도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도는 도 5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자유 부분(3B)이변형했을 때에, 경계부(3D)와 후단부(3E)를 연결하는 선이 상기 중심선(O-O)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5도의 각도로 변형시킬 때에 상기 후단부(3E)에 부여할 필요가 있는 폭 방향(X 방향)의 힘은 0.2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힘의 측정은 SHIMPO사 제조의 디지털 포스 게이지 「SHIMPO FGC-0.2」의 접촉자에 갈고리형의 훅을 부착하여, 상기 훅을 후방 자유 부분(3B)의 후단부(3E)에 걸어 두고, 상기 변형 각도가 5도가 될 때까지 상기 후단부(3E)를 가로 방향으로 잡아당겨, 이 때에 상기 디지털 포스 게이지에 의해 표시된 하중을 읽어냄으로써 이루어진다.
후방 자유 부분(3B)이 좌우로 5도 이상의 각도로 변형할 수 있고, 또한 5도 변형시키는 데 필요한 힘이 0.2 N 이하이면, 착용시의 둔부 홈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이 변형할 수 있게 되어 후방 자유 부분(3B)이 둔부의 홈에 딱 들러 맞는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된다.
또,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의 압축 특성은 다음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의 압축 회복율 및 압축 강성으로서, 카트테크(주)의 자동화 압축 시험기 「KES FB3-A」로 측정한 값을 이용하고 있다.
그 측정 방법에서는,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과 동일한 구조로 동일한 치수의 시료를 작성하여, 이 시료를 상기 자동화 압축 시험기의 측정대에 설치하여 가압판(면적이 2 cm2인 원형 가압판)으로 상기 시료를 가압한다. 도 6의 선도는 이 때의 가압 압력을 종축에 나타내고, 측정 시료의 두께를 횡축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가압판에 의해서 측정 시료에 초기 압력(P0)=49 Pa(0.5 g/cm2)를 부여했을 때의 측정 시료의 가압 영역의 두께를 초기 두께를 T0으로 하고, 상기 초기 압력(P0)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압축 압력을 Pm=4900 Pa(50 g/cm2)까지 압축 속도 0.1 cm/s로 직선적으로 높여, 압력이 상기 압축 압력(Pm)에 이르렀을 때의 상기 측정 시료의 가압 시간 두께를 Tm으로 하고 있다.
상기 측정 시료의 1 cm2당 압축 에너지(WC)는 도 6의 (i) 곡선에 대하여, WC=∫P·dT(P는 압력, T는 두께)로 Tm→T0 사이에서 정적분을 행한 값이다. 또한 압축 강성(LC치)은 LC=2WC/{(T0-Tm)Pm}(무차원)으로 구한다.
또, 압축 회복율(RC치)은 (ii)의 회복 곡선에 대하여 ∫P·dT으로 Tm→T0 사이에서 정적분을 행한 값을 R로 했을 때, RC=R/WC×100(%)이다.
즉, 상기 압축 강성이란, 도 6에서 (i)의 곡선과 A1점, B점, C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이 WC이며, 이 때의 (WC/A1, B, C점을 정점으로 하는 3각형의 면적)이다. 또한, 상기 압축 회복율은 (ii)의 곡선과 A2점, B점, C점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R이며, R/WC의 면적비×100%이다.
상기 측정은 후방 자유 부분(3B)과 동일한 구조의 건조 상태의 시료에 대하여, 상측에서부터(꼭대기부(3F)에 대향하는 방향에서부터) 및 측방(X 방향)에서부터의 쌍방에 대해 행하여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한 압축 회복율은 상측 및 측방으로부터의 쌍방에 대하여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회복율이 30% 이상이면, 둔부의 홈에 들어간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이 홈의 압력으로 인해 눌려 찌부러졌을 때에 형상을 회복하기 쉽게 된다.
또,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의 압축 강성은 상측에서 가압했을 때와 측방에서 가압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 강성이 건조 상태에서도 0.6 이하이면, 후방 자유 부분(3B)이 항문에서부터 둔부 홈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착용자에게 강직감을 주지 않아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생리대(1)는 본체부(2)의 이면에 마련된 감압 접착제층(18a, 18b)을 속옷의 크로치부 내면에 고착시킨다. 또한 날개부(4a, 4b)를 이면을 향해서 절곡하여, 날개부(4a)와 날개부(4b)를, 감압 접착제층(17a, 17b)에 의해서 상기 크로치부의 외면에 고착시킨다. 이와 같이 생리대(1)를 속옷의 크로치부에 고착시켜 속옷을 착용한다.
이 때, 표면 구조체(3)의 전방 부분(3A)의 융기부(23a)가 질구에 밀착하고, 더욱 폭 치수가 작은 후방 자유 부분(3B)이 항문에서 둔부의 홈 속에 밀착시켜진다.
질구에서 배설되는 경혈은 표면 구조체(3)의 표면 시트(22)의 액체 투과 구멍(28)을 투과하여 제1 흡수층(23)에 흡수된다. 또한, 표면 구조체(3)의 후방 자유부분(3B)이 항문 및 둔부의 홈 속에 밀착되고 있기 때문에, 표면 구조체(3)와 둔부의 홈 사이의 간극이 메워져 후방으로 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은 좌우로 변형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보행하거나, 또는 안착 자세로 가부좌하거나, 혹은 가로 방향으로 다리를 꼬았을 때에, 둔부의 홈이 신체의 중앙부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변형하더라도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은 둔부의 홈을 따라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둔부의 홈은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에서 매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항상 경혈이 뒤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 표면 구조체(3)의 전방 부분(3A)에서는, 상기 융기부(23a)의 양측 쪽에 측방 자유 부분(3A1, 3A2)이 연장되고 있다. 그 때문에, 속옷의 크로치부가 느슨해지거나 꼬임에 의해 본체부(2)가 신체의 가랑이 사이에 대향한 상태로 기우는 경우가 있더라도, 상기 측방 자유 부분(3A1, 3A2)은 가랑이부에 있어서 질구 또는 질구의 좌우 측방 부분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측방 자유 부분(3A1, 3A2)의 연부에는 샘 방지층(26, 26)이 형성되고, 그 부분이 상측으로 융기하고 있기 때문에, 경혈이 상기 측방 자유 부분(3A1, 3A2)의 측방으로 흐르려고 했을 때에 이 경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샘 방지층(26, 26)이 착용자의 서혜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을 타고 전해져 흐르는 경혈을 상기 샘 방지층(26, 26)에서 막을 수 있다.
또, 후방 자유 부분(3B)이 존재하고 있는 후방 영역에서는, 본체부(2)가 폭 넓게 되어 있고, 이 부분에는 폭이 넓은 흡수층(13)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경혈이 둔부의 홈을 타고 전해져 상기 후방 자유 부분(3B)에 이르고, 또한 후방 자유 부분(3B)에서 측방으로 새었다고 해도 넓은 면적의 흡수층(13)에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수층(13)의 외주 부분에는 샘 방지층(14)이 형성되어 이 부분이 융기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층(13)을 타고 전해져 가로 방향으로 새려고 하는 경혈이 있더라도 상기 샘 방지층(14)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전방 부분에서도 흡수층(13) 주위에 샘 방지층(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혈의 누설을 방지하기 쉽다.
한편,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착체인 속옷이나 일회용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소변 흡수 패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 능력을 갖는 표면 구조체의 후방 자유 부분이 착용자 둔부의 홈 속에 밀착되고, 더구나 신체의 움직임을 따라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움직이기 때문에 체배출액이 뒤로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세로로 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 위치하여 액을 흡수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세로로 긴 표면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표면 구조체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부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표면 구조체는 상기 고정부가 설치된 전방 부분과, 상기 고정부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자유 부분과 세로 방향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은 상기 본체부보다도 폭 치수가 작으며, 또한 상기 표면 구조체의 상기 전방 부분보다도 폭 치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은 그 후단부로 향함에 따라 폭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체에는 상기 전방 부분과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걸쳐서, 중심선을 따라 융기된 융기부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이면에서부터 상기 융기부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는 상기 전방 부분보다도 상기 후방 자유 부분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체의 상기 전방 부분에는 상기 고정부보다도 폭 방향의 양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측방 자유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방 영역보다도 후방 영역에서 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표면 구조체의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은 상기 폭 치수가 큰 후방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적어도 상기 후방 영역에서는,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겹쳐져 있는 영역 및 그보다도 외측의 주변 영역에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선이, 본체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5도 이상의 각도가 되도록, 상기 후방 자유 부분이 양측 쪽을 향해서 변형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상측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회복율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30% 이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측방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회복율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상측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강성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자유 부분에 대하여, 측방에서부터 4900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의 압축 강성이 건조 상태에 있어서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20056362A 2001-09-17 2002-09-17 흡수성 물품 KR20030024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1448 2001-09-17
JP2001281448A JP4901037B2 (ja) 2001-09-17 2001-09-1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618A true KR20030024618A (ko) 2003-03-26

Family

ID=1910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362A KR20030024618A (ko) 2001-09-17 2002-09-1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55392A1 (ko)
EP (1) EP1293186A3 (ko)
JP (1) JP4901037B2 (ko)
KR (1) KR20030024618A (ko)
CN (1) CN1318006C (ko)
TW (1) TW5330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3786B2 (ja) * 2002-12-05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476611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DE10326022A1 (de) 2003-06-02 2004-12-23 Paul Hartmann Ag Hygiene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US8715258B2 (en) * 2004-11-30 2014-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outwardly convex longitudinal central channels for improved protection
KR100925571B1 (ko) * 2004-11-30 2009-1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한 쌍의 후방 측부 플랩을 구비한 흡수용품
JP4712376B2 (ja) *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WO2007069958A1 (en) * 2005-12-15 2007-06-2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JP4976066B2 (ja) * 2006-06-30 2012-07-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44301B2 (ja) * 2006-08-16 2013-07-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96910B2 (ja) 2006-11-07 2012-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EP2092917A4 (en) 2006-11-20 2012-06-27 Uni Charm Corp VOIDABLE ARTICLE
CN101234056B (zh) * 2007-01-29 2012-07-18 简元正 可防止后流的卫生棉
JP5084442B2 (ja) * 2007-10-25 2012-11-28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GB2454730A (en) * 2007-11-15 2009-05-20 Janet Marie Quigley Sanitary towel having increased absorption at one end
US7976525B2 (en)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GB0814969D0 (en) * 2008-07-07 2008-09-24 Hough Judith Child's paint protective liner
US8394316B2 (en) 2010-08-12 2013-03-12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388329B2 (en) 2010-08-12 2013-03-05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8480387B2 (en) 2010-08-12 2013-07-0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Apparatus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having a three dimensional profile
US8398915B2 (en) 2010-08-12 2013-03-19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l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US20150202090A1 (en) * 2012-09-07 2015-07-23 Renew Medical, Inc. Absorbent Article
KR101470249B1 (ko) * 2013-12-16 2014-12-05 채주석 생리대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JP5927314B1 (ja) 2015-03-16 2016-06-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772403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2401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AU2015397131B2 (en) * 2015-05-29 2020-07-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ntegral side covers and non-integral wings
USD772402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10765564B2 (en) 2015-05-29 2020-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absorbent article with a lobed absorbent layer
USD777910S1 (en) 2015-05-29 2017-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89523S1 (en) 2015-05-29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6620004B2 (ja) * 2015-12-16 2019-12-1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23413B2 (ja) * 2015-12-29 2017-11-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26947B2 (ja) * 2015-12-29 2017-1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994067A (zh) * 2016-01-26 2017-08-01 简元正 卫生棉
BR112018015938B1 (pt) 2016-02-29 2023-04-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DE112017000447T5 (de) 2016-02-29 2018-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ptionsartikel mit Flachrückenschutzmerkmal
EP4233817A3 (en) * 2017-05-12 2023-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CN110831560B (zh) * 2017-05-12 2022-04-15 宝洁公司 女性卫生制品
EP3621570A1 (en) * 2017-05-12 2020-03-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US11246770B2 (en) * 2017-05-12 2022-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with improved wings
CN110545773B (zh) 2017-05-17 2021-09-24 宝洁公司 用于将印刷在热敏吸收制品组件上的墨干燥的方法和设备
EP3672547B1 (en) * 2017-08-22 2022-08-2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hygiene article
GB2579905B (en) * 2018-11-02 2023-05-10 Alyk Inc Absorbent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025A (ja) * 1985-09-04 1987-03-11 Nec Corp 信号品質検出方式
JPH0249520A (ja) * 1988-08-10 1990-02-19 Toyoji Yoshida 畜舎の排泄物分離処理装置
JP2784016B2 (ja) * 1988-11-28 1998-08-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H03268753A (ja) * 1990-03-20 1991-11-29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H04146748A (ja) * 1990-10-08 1992-05-20 Honshu Paper Co Ltd 凸状隆起部を有する吸収体
JP2986606B2 (ja) * 1992-02-18 1999-1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MY114230A (en) * 1992-07-23 2002-09-30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silient center
JP3046156B2 (ja) * 1992-09-01 2000-05-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591148A (en) * 1994-04-08 1997-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n independently displaceable central core segment
CA2154926C (en) * 1994-08-19 2000-01-04 Katherine Louise Mayer Body fitting compound sanitary napkin
USH1687H (en) * 1995-05-04 1997-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luteal groove blocking device for diapers
SE508206C2 (sv) * 1995-09-06 1998-09-14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för upptagande av kroppsvätskor
TW538745U (en) * 1997-05-29 2003-06-21 Kao Corp Absorbent article
FR2763839A3 (fr) * 1997-06-02 1998-12-04 Huguette Marie Andree Kern Bourrelet de forme anatomique destine a ameliorer l'efficacite de l'absorption des serviettes hygieniques de nuit
SE509536C2 (sv) * 1997-06-24 1999-02-08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vätskemottagningsförmåga
DE69936798T2 (de) * 1998-12-28 2007-12-06 Kao Corp. Saugfähiger Gegenstand
JP2000254166A (ja) * 1999-03-09 2000-09-19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0288014A (ja) * 1999-04-05 2000-10-17 Mie Miyazawa 生理補助用品
JP3847023B2 (ja) * 1999-05-24 2006-11-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補助パッド
JP2000325391A (ja) * 1999-05-24 2000-11-28 Kao Corp 吸収性物品
US6652498B1 (en) * 1999-11-08 2003-11-25 Mcneil-Ppc, Inc. Tapered compound sanitary napkin
JP4086438B2 (ja) * 1999-12-13 2008-05-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5392A1 (en) 2003-03-20
EP1293186A3 (en) 2004-09-22
TW533067B (en) 2003-05-21
CN1408330A (zh) 2003-04-09
EP1293186A2 (en) 2003-03-19
JP2003079662A (ja) 2003-03-18
JP4901037B2 (ja) 2012-03-21
CN1318006C (zh)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4618A (ko) 흡수성 물품
JP3850618B2 (ja) 吸収性物品
JP4323786B2 (ja)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6080262B2 (ja) 吸収性物品
JP5014604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6080263B2 (ja) 吸収性物品
JP5551926B2 (ja) 吸収性物品
JP5546441B2 (ja) 吸収性物品
KR20050035519A (ko)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20030003075A (ko) 생리대
JP2004208919A (ja) 圧縮溝と可撓部とを備えた吸収性物品
WO2008062872A1 (e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50086479A (ko)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TWI668001B (zh) Absorbent article
KR20170099972A (ko) 흡수성 물품
WO2018100702A1 (ja) 吸収性物品
JP4913383B2 (ja) 吸収性物品
JP5544155B2 (ja) 吸収性物品
JP6257283B2 (ja) 吸収性物品
CN111148493A (zh) 吸收性物品
KR102570212B1 (ko) 흡수성 물품
JP5651000B2 (ja) 吸収性物品
JP2017060781A (ja) 吸収性物品
JPH10137284A (ja) 体液吸収性物品
JP7189706B2 (ja) 生理用ナプ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