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614A - 전압제어 발진기 - Google Patents

전압제어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614A
KR20030024614A KR1020020056307A KR20020056307A KR20030024614A KR 20030024614 A KR20030024614 A KR 20030024614A KR 1020020056307 A KR1020020056307 A KR 1020020056307A KR 20020056307 A KR20020056307 A KR 20020056307A KR 20030024614 A KR20030024614 A KR 20030024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strip conductor
varactor diode
cathode
switch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210B1 (ko
Inventor
치바유타카
노미히로키
이카라시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30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25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47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01346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4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7/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ctive element having a negative resistance between two of it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84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 H03B5/184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the active element in the amplifier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2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 H03B2201/0208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ment with a variable capacitance, e.g. capacitance di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2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 H03B2201/025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ctronic switch for switching in or out oscillator elements
    • H03B2201/0258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ctronic switch for switching in or out oscillator elements the means comprising a diode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버랙터 다이오드에 인가하는 제어전압에 대한 발진주파수의 변화감도를 높이는 것이다.
발진 트랜지스터(1)와, 버랙터 다이오드(3)를 가짐과 동시에, 발진 트랜지스터(1)에 결합된 공진회로(2)와, 공진회로(2)의 공진주파수를 전환하는 스위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공진회로(2)는 버랙터 다이오드(3)의 캐소드를 직류적으로 접지하는 제 1 스트립 도체(4)와, 버랙터 다이오드(3)의 캐소드를 발진 트랜지스터(1)에 결합하는 제 2 스트립 도체(5)로 이루어지고, 스위치 다이오드(7)를 제 1 스트립 도체(4)에 고주파적으로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캐소드를 접지하고, 버랙터 다이오드(3)의 용량값을 바꾸기 위한 제어전압을, 초크인덕터(11)를 거쳐 버랙터 다이오드(3)의 캐소드와 제 2 스트립 도체(5)와의 접속점에 인가하였다.

Description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본 발명은 전압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구성을 도 5에 나타낸다. 발진 트랜지스터(31)에는 도시 생략한 직류회로에 의해 소정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공진회로(32)는 버랙터 다이오드(33)와 스트립 도체(34)와의 직렬회로로 구성된다. 스트립 도체(34)는 2개의 직렬접속의 작은 스트립 도체(34a, 34b)로 이루어진다. 버랙터 다이오드(33)의 애노드는 스트립 도체(34)를 거쳐 접지되고, 캐소드는 크랩 콘덴서(35)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작은 스트립 도체(34a, 34b)의 접속점에는 스위치 다이오드(36)의 애노드가 직류 차단 콘덴서(37)를 거쳐 접속된다. 캐소드는 접지된다. 그리고 버랙터 다이오드(33)의 캐소드는 초크인덕터(38)를 거쳐 제어전압단자(39)에 접속된다. 제어전압단자(39)에는 버랙터 다이오드의 용량값을 바꾸기 위한 제어전압이 인가된다. 스위치 다이오드(36)의 애노드는 저항(40)을 거쳐 밴드전환단자(41)에 접속된다. 밴드전환단자(41)에는 스위치 다이오드(36)를 온할 때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 다이오드(36)를 온으로 하면, 작은 스트립 도체(34b)의 양쪽 끝이 스위치 다이오드(36)에 의해 단락되어, 발진주파수는 높은 밴드가 된다. 또 스위치 다이오드(36)를 오프로 하면 발진주파수는 낮은 밴드가 된다. 어느쪽의 밴드에 있어서도 제어전압에 의해 발진주파수가 변하게 된다.
상기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공진회로가 유도성이 된 주파수 범위에서 발진하나, 공진회로에 초크인덕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버랙터 다이오드의 용량변화에 대한 공진회로의 등가적인 인덕턴스값의 변화비율이 작고, 특히 스위치 다이오드가 오프가 되었을 때의 낮은 주파수 밴드에서의 발진주파수의 변화감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6은 스위치 다이오드를 오프로 하였을 때의 버랙터다이오드에 인가하는 제어전압에 대한 발진주파수의 변화상태를 나타내나, 특히 제어전압이 2.5 볼트 이하의 영역에서 감도가 낮아진다.
또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스위치 다이오드는 오프상태에서 용량성분을 가지고, 동시에 이 용량성분에 대하여 단자에 의한 미소저항성분이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이 직렬회로가 한쪽의 작은 스트립 도체에 병렬로 접속되게 된다. 이 때문에, 특히 저항성분에 의해 한쪽의 작은 스트립 도체의 Q가 저하하여, 발진신호의 C/N이 열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버랙터 다이오드에 인가하는 제어전압에 대한 발진주파수의 변화감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 다이오드의 미소저항성분에 의해 발진신호의 C/N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 1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 1 구성에 있어서의 발진주파수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 2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 3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종래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종래의 전압제어 발진기에 있어서의 발진주파수의 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 발진 트랜지스터 2 : 공진회로
3 : 버랙터 다이오드 4 : 스트립 도체
4a, 4b : 작은 스트립 도체 5 : 크랩 콘덴서
6 : 스위치 다이오드 7 : 직류 차단 콘덴서
8 : 인덕턴스소자 9 : 직류 차단 콘덴서
10 : 초크 인덕터 11 : 제어전압단자
12 : 저항 13 : 밴드 전환회로
14 : 제 1 스트립 도체 15 : 제 2 스트립 도체
16 : 접지용 콘덴서
이상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진 트랜지스터와, 버랙터 다이오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된 공진회로와, 상기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전환하는 스위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공진회로는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직류적으로 접지하는 제 1 스트립 도체와,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하는 제 2 스트립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를 상기 제 1 스트립 도체에 고주파적으로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캐소드를 접지하고,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용량값을 바꾸기 위한 제어전압을, 초크 인덕터를 거쳐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 2 스트립 도체와의 접속점에 인가하였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되어, 버랙터 다이오드와 스트립 도체와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와, 상기 스트립 도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대하여 고주파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온 또는 오프에 의해 발진주파수 밴드를 전환하는 스위치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에 고주파적으로 병렬로 인덕턴스소자를 접속하고, 상기 인덕턴스소자와 오프시의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의 등가용량값에 의해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의 오프시의 발진주파수에 대략 병렬공진시켰다.
또 상기 스트립 도체의 한쪽 끝과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접지하였다.
또 상기 스트립 도체를 2개의 작은 스트립 도체로 분할하여, 한쪽을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에 접속하고, 다른쪽을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와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를 상기 다른쪽의 작은 스트립 도체에 병렬로 접속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발진 트랜지스터(1)에는 도시 생략한 직류회로에 의해 소정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공진회로(2)는 버랙터 다이오드(3)와 2개의 스트립 도체(14, 15)와의 직렬회로로 구성된다. 버랙터 다이오드(3)의 애노드는 제 1 스트립 도체(14)를 거쳐 접지되고, 캐소드는 제 2 스트립 도체(15)를 거쳐 크랩콘덴서(5)에 접속되어, 크랩콘덴서(5)를 거쳐 발진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제 1 스트립 도체(4)와 버랙터 다이오드(3)와의 접속점에는 스위치 다이오드(6)의 애노드가 직류 차단 콘덴서(7)를 거쳐 접속된다. 캐소드는 접지된다. 또 스위치 다이오드(6)에는 저항(12)을 거쳐 밴드전환단자(13)에 접속된다. 밴드전환단자(13)에는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온 하였을 때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버랙터 다이오드(3)의 캐소드는 초크인덕터(10)를 거쳐 제어전압단다(11)에 접속된다. 제어전압단자(11)에는 버랙터 다이오드(3)의 용량값을 바꾸기 위한 제어전압이 인가된다. 제어전압단자(11)는 접지용 콘덴서(16)에 의해 고주파적으로 접지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온으로 하면, 제 1 스트립 도체(14)의 양쪽 끝이 스위치 다이오드(6)에 의해 단락되어, 발진주파수는 높은 밴드가 된다. 또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오프로 하면, 발진주파수는 낮은 밴드가 된다. 어느쪽의 밴드에 있어서도 제어전압에 의해 발진주파수가 바뀌게 된다.
여기서 공진회로(2)가 유도성이 된 주파수범위에서 발진하나, 초크 인덕터(10)는 공진회로(2)의 일부인 버랙터 다이오드(3)와 제 1 스트립 도체(14)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이 직렬회로의 등가적인 인덕턴스는 공진회로(2) 전체의 등가적인 인덕턴스보다도 작으므로, 이것과 병렬 접속된 초크 인덕터(10)를 포함하는 인덕턴스의 버랙터 다이오드(3)의 용량변화에 대한 변화비율은 커진다. 따라서 버랙터 다이오드(3)의 변화에 대한 발진주파수의 변화감도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아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 2 구성을 나타낸다. 발진 트랜지스터(1)에는 도시 생략한 직류회로에 의해 소정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공진회로(2)는 버랙터 다이오드(3)와 스트립 도체(4)와의 직렬회로로 구성된다. 스트립 도체(4)는 직렬접속된 2개의 작은 스트립 도체(4a, 4b)로 이루어진다. 버랙터 다이오드(3)의 애노드는 스트립 도체(4)를 거쳐 접지되고, 캐소드는 크랩콘덴서(5)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작은 스트립 도체(4a, 4b)의 접속점에는 스위치 다이오드(6)의 애노드가 직류 컷 콘덴서(7)를 거쳐 접속된다. 캐소드는 접지된다. 또 스위치 다이오드(6)에는 인덕턴스소자(8)가 직류 차단 콘덴서(9)를 거쳐 병렬로 접속된다.
인덕턴스소자(8)는 스위치 다이오드(6)가 오프가 되었을 때의 등가적인 용량값과 병렬공진하나, 그 공진 주파수가 스위치 다이오드(6)가 오프시의 발진주파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버랙터 다이오드(3)의 캐소드는 초크인덕터(10)를 거쳐제어전압단자(11)에 접속된다. 제어전압단자(11)에는 버랙터 다이오드(3)의 용량값을 바꾸기 위한 제어전압이 인가된다. 스위치 다이오드(6)의 애노드는 저항(12)을 거쳐 밴드전환단자(13)에 접속된다. 밴드전환단자(13)에는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온할때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온으로 하면, 작은 스트립 도체(4b)의 양쪽 끝이 스위치 다이오드(6)에 의해 단락되어, 발진주파수는 높은 밴드가 된다. 또 스위치 다이오드(6)를 오프로 하면, 발진주파수는 낮은 밴드가 된다. 어느쪽의 밴드에 있어서도, 제어전압에 의해 발진주파수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발진주파수가 낮은 밴드에서는 스위치 다이오드(6)의 용량값과 인덕턴스소자(8)가 병렬공진하므로, 스위치 다이오드(6)의 미소저항분에 의한 공진회로의 Q의 저하가 경감되어, 발진신호의 C/N의 열화가 방지된다.
도 4는 작은 스트립 도체(4a, 4b)를 버랙터 다이오드의 양측에 분할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동작은 도 3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진회로는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직류적으로 접지하는 제 1 스트립 도체와,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하는 제 2 스트립 도체로 이루어지고, 스위치 다이오드를 제 1 스트립 도체에 고주파적으로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캐소드를 접지하고, 버랙터 다이오드의 용량값을 바꾸기 위한 제어전압을, 초크인덕터를 거쳐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제 2 스트립 도체와의 접속점에 인가하였으므로, 버랙터 다이오드의용량변화, 따라서 버랙터 다이오드에 인가하는 제어전압에 대한 발진주파수 감도가 높아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하여, 버랙터 다이오드와 스트립 도체와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와, 스트립 도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대하여 고주파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온 또는 오프에 의해 발진주파수 밴드를 전환하는 스위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스위치 다이오드에 고주파적으로 병렬로 인덕턴스소자를 접속하고, 인덕턴스소자와 오프시의 스위치 다이오드의 등가용량값에 의해 스위치 다이오드의 오프시의 발진주파수에 대략 병렬공진시켰으므로, 스위치 다이오드 미소저항성분에 의한 발진신호의 C/N의 열화가 방지된다
또 스트립 도체의 한쪽 끝과 스위치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접지한 것으로, 애노드에 전환전압을 인가할 뿐으로 스위치 다이오드의 온/오프를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 스트립 도체를 2개의 작은 스트립 도체로 분할하고, 한쪽을 버랙터 다이오드와 발진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에 접속하고, 다른쪽을 버랙터 다이오드와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접속하고, 스위치 다이오드를 다른쪽의 작은 스트립 도체에 병렬로 접속하였기 때문에,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에는 한쪽의 작은 스트립 도체를 거쳐 제어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어전압에 포함되는 잡음성분에 의한 C/N의 열화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발진 트랜지스터와, 버랙터 다이오드를 가짐과 동시에, 그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된 공진회로와, 그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를 전환하는 스위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공진회로는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직류적으로 접지하는 제 1 스트립 도체와,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하는 제 2 스트립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를 상기 제 1 스트립 도체에 고주파적으로 병렬 접속함과 동시에, 캐소드를 접지하고,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용량값을 바꾸기 위한 제어전압을, 초크인덕터를 거쳐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 2 스트립 도체와의 접속점에 인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2. 발진 트랜지스터에 결합되어, 버랙터 다이오드와 스트립 도체와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와, 상기 스트립 도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대하여 고주파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온 또는 오프에 의해 발진주파수 밴드를 전환하는 스위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에 고주파적으로 병렬로 인덕턴스소자를 접속하고, 상기 인덕턴스소자와 오프시의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의 등가용량값에 의해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의 오프시의 발진주파수에 대략 병렬공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도체의 한쪽 끝과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의 캐소드를 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도체를 2개의 작은 스트립 도체로 분할하고, 한쪽을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에 접속하고, 다른쪽을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와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를 상기 다른쪽의 작은 스트립 도체에 병렬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KR10-2002-0056307A 2001-09-18 2002-09-17 전압제어 발진기 KR100477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3024 2001-09-18
JP2001283024A JP2003092512A (ja) 2001-09-18 2001-09-18 電圧制御発振器
JPJP-P-2001-00284779 2001-09-19
JP2001284779A JP2003101346A (ja) 2001-09-19 2001-09-19 電圧制御発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614A true KR20030024614A (ko) 2003-03-26
KR100477210B1 KR100477210B1 (ko) 2005-03-21

Family

ID=2662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307A KR100477210B1 (ko) 2001-09-18 2002-09-17 전압제어 발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14090B2 (ko)
KR (1) KR100477210B1 (ko)
CN (1) CN1196250C (ko)
TW (1) TW5695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4329B2 (en) * 2005-09-14 2008-07-01 Silicon Laboratories Inc. Analog varactor
US9099958B2 (en) * 2013-09-30 2015-08-04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103A (ja) * 1990-06-06 1992-02-10 Oki Electric Ind Co Ltd 電圧制御発振器
JPH09307354A (ja) * 1996-05-14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共振器とこれを用いた電圧制御発振器
JPH1056306A (ja) 1996-08-08 1998-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共振回路及び発振回路
JPH11186844A (ja) * 1997-12-22 1999-07-09 Murata Mfg Co Ltd 電圧制御発振器
JP2000151273A (ja) * 1998-11-12 2000-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振器
JP2000312115A (ja) * 1999-04-28 2000-11-07 Kyocera Corp 電圧制御型高周波発振回路
JP2001111342A (ja) * 1999-10-14 2001-04-20 Alps Electric Co Ltd 2バンド発振器
JP2001345638A (ja) * 2000-06-01 2001-12-14 Alps Electric Co Ltd 3バンド切替型発振器
JP2002141745A (ja) * 2000-10-31 2002-05-17 Murata Mfg Co Ltd 電圧制御発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JP2002246842A (ja) * 2001-02-22 2002-08-30 Alps Electric Co Ltd マイクロ波発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69518B (en) 2004-01-01
CN1405974A (zh) 2003-03-26
US20030052741A1 (en) 2003-03-20
US6714090B2 (en) 2004-03-30
KR100477210B1 (ko) 2005-03-21
CN1196250C (zh)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2384A (en) Dual band oscillator circuit using strip line resonators
US20060071726A1 (en) Oscillator having voltage dividing circuit
EP1154560B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oscillating signals with high C/N ratio
KR100477210B1 (ko) 전압제어 발진기
KR100468808B1 (ko) 2 밴드 발진기
JPH10270937A (ja) 電圧制御発振器
KR100386176B1 (ko) 전압제어발진기
JPS5922404A (ja) 電圧制御発振器
KR100286465B1 (ko) 발진회로
KR100386175B1 (ko) 전압제어발진기
JPH09307354A (ja) 共振器とこれを用いた電圧制御発振器
JP2002335109A (ja) 共振器
JPH11186844A (ja) 電圧制御発振器
KR100990013B1 (ko) 고주파 발진기 및 전자기기
JP2003101346A (ja) 電圧制御発振器
JP2002118421A (ja) 電圧制御発振器
JPH104315A (ja) 高周波発振回路
KR900002652Y1 (ko) 고주파 발진기
JP2003092512A (ja) 電圧制御発振器
JP2003060437A (ja) 電圧制御発振器
JP4721989B2 (ja) 2バンド発振器
KR19990085587A (ko) 전압 제어 발진 회로
JPH04330808A (ja) Saw共振子を用いた高周波発振器
JP2003032038A (ja) 周波数シフト型発振回路
JPH09252220A (ja) 電圧制御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