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652Y1 - 고주파 발진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52Y1
KR900002652Y1 KR2019850000971U KR850000971U KR900002652Y1 KR 900002652 Y1 KR900002652 Y1 KR 900002652Y1 KR 2019850000971 U KR2019850000971 U KR 2019850000971U KR 850000971 U KR850000971 U KR 850000971U KR 900002652 Y1 KR900002652 Y1 KR 900002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high frequency
diode
frequency oscilla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0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65U (ko
Inventor
다까시 다네무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03B5/124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84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 H03B5/184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the active element in the amplifier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주파 발진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 2 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31 : 발진트랜지스터 5,30 : 스트립 라인
11,12,36,41 : 종단콘덴서 13,14,23,37,38,39,42 : 조정콘덴서
21,49 : 결합콘덴서 7,32 : 궤환콘덴서
24,44 : 버랙터다이오드 16,40 : 절환다이오드
9,34 : 베이스저항 10,35 : 바이패스 콘덴서
8,33 : 이미터저항 15,17,47 : 저항
18,46,48 : 콘덴서 43 : 코일
본 고안은 무선 통신기등에 사용되는 고주파 발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퍼스날 무선통신기의 PLL 합성기에 사용되고 있는 고주파 발진기이며, 직접 FM 변조를 하는 유형의 고주파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제 2 도는 종래의 고주파 발진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한 종래예에서는 발진 트랜지스터(31)와, 스트립 라인(30)과, 종단 콘덴서(36),(41)와, 버랙터 다이오드(44)로써 주발진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고주파 발진기이다.
조정콘덴서(37),(38),(39)는 직렬로 접속되고, 종단콘덴서(36)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절환 다이오드(40)의 애노우드는 조정콘덴서(37),(38)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캐소우드는 접지되어 있다.
절환용 다이오드(40)는 절환단자(26)로부터 고레벨(High Level)의 전압을 인가(印加)하면, 절환 다이오드(40)는 순바이어스 되어서 온(ON) 상태로 되고, 조정 콘덴서(37)가 절환 다이오드(40)를 통하여 접지됨과 동시에, 조정 콘덴서(38),(39)가 단락됨에 따라서 송신용의 반송파 주파수를 얻을 수 있고, 또 절환단자(26)로부터 저레벨(Low Level)의 전압을 인가하면, 절환 다이오드(40)는 역바이어스되어 오프(OFF)상태로 되며 조정 콘덴서(37),(38),(39)가 직렬로 접속됨에 따라 수신의 반송파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버랙터 다이오드(44)는 종단 콘덴서(4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버랙터 다이오드(44)의 캐소우드에 제어 전압 입력단자(28)가 접속되며, 애노우드측에 변조신호 입력단자(27)가 접속되어 있다.
버랙터 다이오드(44)는 제어전압 입력전압(28)로부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버랙터 다이오드(44)의 용량을 변화시키면서 주파수를 절환하고, 송수신시에 채널 절환을 행한다. 또 애노우드측으로부터 변조신호가 입력되면, 송신시에 송신반송파를 변조한다.
결합 콘덴서(49)를 통하여 출력단자(29)에 고주파 발진기의 발진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예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 전압 입력단자(28)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버랙터 다이오드(44)의 용량을 바람직한 값으로 설정하여야 하고 각 채널마다 그 용량치가 서로 상이하게 되어있고, 그 결과 버랙터 다이오드의 전압 용량특성이 직선적이 아니기 때문에 변조 신호 입력단자(27)로부터 입력되는 변조신호의 레벨이 일정하여도 인가되는 제어 전압에 의해 변조도가 변화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제어전압에 의한 변조도의 변동이 매우 적고, 또한 제어 전압-송신 반송파 주파수의 직선상이 좋은 고주파 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다이오드에 형성된 미소한 용량을 이용하여 송신 반송파에 FM 변조를 함으로써 제어 전압-송신 반송파 주파수의 직선성을 방해하는 일 없이 고주파 발진기의 제어 전압에 의한 변조도의 변동을 없애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고주파 발진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발진용 트랜지스터(6)와 스트립 라인(5)과 종단 콘덴서(11),(22)와 버랙터 다이오드(24)로 고주파 발진기의 주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버랙터 다이오드(24)와 조정콘덴서(23)는 직렬로 접속되고 종단 콘덴서(22)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버랙터 다이오드(24)의 캐소우드에 제어 전압 입력 단자(3)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 전압을 인가하면 송신 반송파 주파수 또는 수신 반송파 주파수를 바람직한 값으로 제어하고 채널 절환을 행한다.
조정콘덴서(12),(13),(14)는 직렬로 접속되고 종단 콘덴서(1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며, 또 절환 다이오드(16)의 애노우드가 조정 콘덴서(12),(13)의 사이에 접속되며, 저항(17)과 콘덴서(20)를 통하여 변조신호 입력단자(2)로부터의 변조신호가 캐소우드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바이패스 콘덴서(18), 저항(19)을 경유하여서는 접지되어 있다. 절환 다이오드(16)는 절환단자(1)로부터 저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절환다이오드(16)가 오프상태로 되어 조정 콘덴서(12),(13),(14)를 직렬로 접속되게 하고 수신 반송파 주파수에 공진 회로를 공진시킨다.
절환 다이오드(16)는 절환 단자(1)로부터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절환 다이오드(16)는 온 상태로 되며, 조정 콘덴서(12)의 일단이 절환 다이오드(16) 및 바이패스 콘덴서(18)를 통해 접지되게 하고, 조정 콘덴서(13),(14)가 단락하게 하여, 송신 반송파 주파수에 공진 회로를 공진할 수 있게한다.
또 이때 절환 다이오드(16)에 형성된 미소한 용량을 이용함으로써, 송신 반송파를 FM 변조하도록 변조신호를 절환 다이오드(16)에 입력시킨다.
변저신호에 의해 절환 다이오드(16)의 미소 용량치가 변화하므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하여 FM 변조가 발생한다. 이 결과 절환 다이오드(16)에 인가되는 전압는 일정하며, 종래예와 같이 인가되는 전압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절환 다이오드(16)에 형성된 미소용량은 일정하게 되고, 변조 신호에 대응하여 안정된 변조도를 얻을수가 있다.
또 종래예로는 조정 콘덴서(23)와 종단 콘덴서(22)와의 용량 관계를 조정하여 변조도의 편차를 작게하고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그럴필요가 없고 제어전압-송신반송파 주파수의 직선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의 고주파 발진기로서는 반송파 주파수 절환 다이오드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게 함으로 형성되는 미소용량을 이용하여 FM 변조를 할 수 있게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반송주파수-제어 전압 특성을 희생하는 일 없이 변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큰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고주파 발진기를 구성하는 발진용 트랜지스터96)와, 스트립 라인(5)과, 종단 콘덴서(11,22)와, 발진파 주파수 절환용의 버랙터 다이오드(24)가 있으며, 송신·수신의 반송파 주파수를 절환하기 위해 동조 콘덴서(13)를 절환하는 절환 다이오드(16)를 구비하고 FM 변조신호를 그 절환 다이오드에 입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발진기.ㄴ
KR2019850000971U 1984-07-19 1985-01-30 고주파 발진기 KR9000026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09478U JPS6126313U (ja) 1984-07-19 1984-07-19 高周波発振器
JP59-109478 1984-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65U KR860002065U (ko) 1986-03-15
KR900002652Y1 true KR900002652Y1 (ko) 1990-03-31

Family

ID=1451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971U KR900002652Y1 (ko) 1984-07-19 1985-01-30 고주파 발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26313U (ko)
KR (1) KR9000026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99B1 (ko) * 2003-04-07 2005-10-24 황종성 용접봉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99B1 (ko) * 2003-04-07 2005-10-24 황종성 용접봉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6313U (ja) 1986-02-17
KR860002065U (ko) 198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4081A (en) Variable frequency U. H. F. local oscillator for a television receiver
EP0501620A1 (en) Wideband oscillator with bias compensation
JPH07307619A (ja) 発振器
US4353038A (en) Wideband, synthesizer switched element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4442415A (en) Multichannel frequency modulator
US3581240A (en) Frequency modulated solid state crystal oscillator providing a plurality of center frequencies
JPH0349458Y2 (ko)
US4755772A (en) Switchable microwave oscillator
JP3522283B2 (ja) 周波数変化可能な発振器装置
US3679990A (en) Variable frequency oscillator with substantially linear afc over tuning range
JP2580116B2 (ja) Ic化高周波可変周波数発振回路
JPH10150321A (ja) 電圧制御発振器
KR900002652Y1 (ko) 고주파 발진기
JPS5922404A (ja) 電圧制御発振器
JPH062333Y2 (ja) 変調器付電圧制御発振器
KR900009978Y1 (ko) 변조기가 부착된 전압 제어 발진기
US4638264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series connected resonance element and switched capacitance
US6724274B2 (en) Frequency-switching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6075421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H09307354A (ja) 共振器とこれを用いた電圧制御発振器
US6624709B2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372057B1 (ko) 2밴드 발진기
WO2001063741A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EP1117177B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H104315A (ja) 高周波発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