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587A - 전압 제어 발진 회로 - Google Patents

전압 제어 발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587A
KR19990085587A KR1019980018095A KR19980018095A KR19990085587A KR 19990085587 A KR19990085587 A KR 19990085587A KR 1019980018095 A KR1019980018095 A KR 1019980018095A KR 19980018095 A KR19980018095 A KR 19980018095A KR 19990085587 A KR19990085587 A KR 1999008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witching
signal
unit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일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8001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587A/ko
Publication of KR1999008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587A/ko

Links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VCO)에 관한 것으로; 탱크(Tank)부(10)와, 발진 증폭부(30), 및 완충 증폭부(50)로 구성된 전압 제어 발진기에 있어서,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탱크부(10)에 구비된 인덕터들의 총 인덕턴스 값을 변경하여 상기 일정 주파수 대역내의 제 1 주파수 신호를 다른 주파수 대역내의 제 2 주파수 신호로 절환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안정화한 후 상기 발진 증폭부(30)에 인가하는 주파수 절환/안정화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절환/안정화부(20)는, 주파수 절환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절환부(21)와, 상기 절환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주파수 편차를 줄여 주파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주파수 안정화부(23), 및 상기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탱크부(10)의 총 인덕턴스가 변경되도록 하여 절환될 주파수 값을 설정하는 절환 주파수 설정부(25)로 구성되어; 두가지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중 주파수 대역용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이중 주파수 대역용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절환(switching) 전압 변화에 따른 주파수 편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압 제어 발진 회로
본 발명은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VCO)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주파수 대역(dual frequency band)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주파수를 안정화시키도록 하는 전압 제어 발진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압 제어 발진기의 회로도로써,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t)에 따라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탱크(Tank)부(10)와, 상기 탱크부(10)에서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발진 증폭부(30)와, 상기 발진 증폭부(30)에서 증폭된 주파수 신호를 완충 증폭하여 출력단(OP)으로 출력하기 위한 버퍼 증폭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부(10)는, 주파수 가변용 입력전압(Vt)단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인덕터(L1)와, 상기 입력전압(Vt)과 제 1 인덕터(L1)의 접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1 콘덴서(C1)와, 상기 제 1 인덕터(L1)의 타단에 음극이 연결되고 양극은 접지된 버랙터(Varactor) 다이오드(D1)와,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D1) 사이의 접점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콘덴서(C2)와, 상기 제 2 콘덴서(C2)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제 3 콘덴서(C3), 및 상기 제 2 콘덴서(C2)와 제 3 콘덴서(C3) 사이의 접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도록 상호 병렬로 연렬된 제 4 콘덴서(C4) 및 제 2 인덕터(L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D1)는 상기 입력전압(Vt)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하는 가변 콘덴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발진 증폭부(30)는, 상기 탱크부(10)의 제 3 콘덴서(C3)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는 제 1 트랜지스터(T1)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제 5 콘덴서(C5)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와 상기 제 5 콘덴서(C5)의 접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는 제 1 저항(R1),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와 상기 제 5 콘덴서(C5)의 접점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도록 상호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2 저항(R2) 및 제 6 콘덴서(C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 증폭부(50)는, 에미터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연결되고 콜렉터는 출력단(OP)에 연결된 제 2 트랜지스터(T2)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 제 7 콘덴서(C7)와, 일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는 제 8 콘덴서(C8)와, 일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는 제 9 콘덴서(C9)와, 일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단(OP)에 연결되어 있는 제 10 콘덴서(C10)와, 일단은 전원단(B+)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11 콘덴서(C11)와, 일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원단(B+)에 연결되어 있는 제 3 인덕터(L3)와, 일단이 상기 전원단(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에 연결된 제 3 저항(R3), 및 일단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와 제 3 저항(R3)의 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와 상기 제 5 콘덴서(C5)의 접점에 연결된 제 4 저항(R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탱크부(10)의 제 1 콘덴서(C1), 제 2 콘덴서(C2), 제 3 콘덴서(C3), 제 4 콘덴서(C4) 및 버랙터 다이오드(D1)와 제 1 인덕터(L1) 및 제 2 인덕터(L2)의 구성 회로는 주파수 가변용 입력 전압(Vt)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LC 공진 회로이고, 여기서,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D1)는 상기 입력 전압(Vi)에 따른 가변 콘덴서 역할을 한다. 상기 발진 증폭부(30)의 제 1 트랜지스터(T1)와 제 5 및 제 6 콘덴서(C5)(C6)는 부성(negative) 저항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R1)(R2)은 전원단(B+)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직류(DC) 바이어스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 증폭부(30)의 제 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발진 증폭부(30)의 출력 신호를 완충 증폭하고, 상기 제 7콘덴서(C7)와 제 8 콘덴서(C8)는 입력 임피던스(impedance) 정합(matching)용 콘덴서들이고, 상기 제 3 인덕터(L3)와 제 9 콘덴서(C9) 및 제 10 콘덴서(C10)로 구성된 회로는 출력 정합용 회로이다.
도 1의 종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작용을 요약하면, 주파수 가변을 위한 입력 전압단에서 일정 전압(Vt)이 입력되면, 그 입력 전압(Vt)에 따라 상기 탱크부(10)에서는 하기 식(1)에 의해 일정한 주파수가 선택되고, 상기 발진 증폭부(30)에서는 상기 선택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여 발진 증폭하고, 그 발진 증폭된 주파수 신호는 상기 완충 증폭부(50)에 입력되어 완충 증폭된 후 출력단(OP)측으로 출력된다.
------------- 식(1)
상기 식(1)에서 Ltotal은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의 등가 인덕터의 총합 인덕턴스이며, Ctotal은 상기 제 1 콘덴서(C1), 제 2 콘덴서(C2), 제 3 콘덴서(C3), 제 4 콘덴서(C4), 및 버랙터 다이오드(D1)의 등가 콘덴서의 총합 정전용량이다.
그러나, 이상 설명된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단일(single) 주파수 대역에서 선택된 하나의 주파수 신호만을 발생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과 CDMA(Code Divisional Multi-Access)시스템과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필요로 하는 각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시스템에 맞는 별도의 전압 제어 발진기를 생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대에 이르러 개인 휴대 무선 전화기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 무선 전화기는 대부분 이중(dual)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압 제어 발진기 제작 기술로는 상기와 같이 이중 주파수 대역을 필요로 하는 전화기 등의 제작시 두 개의 전압 제어 발진기를 장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두가지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중 주파수 대역용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이중 주파수 대역용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절환(switching) 전압 변화에 따른 주파수 편차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 회로는: 입력 전압(Vt)과 콘덴서들의 총 정전용량 및 인덕터들의 총 인덕턴스에 의해 일정 주파수 대역 내의 제 1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탱크(Tank)부와;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총 인덕턴스 값을 변경하여 상기 일정 주파수 대역내의 제 1 주파수 신호를 다른 주파수 대역내의 제 2 주파수 신호로 절환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주파수 절환/안정화부와; 상기 탱크부 및 주파수 절환/안정화부에 의해 선택된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진 증폭하기 위한 발진 증폭부와; 상기 발진 증폭부에서 증폭된 주파수 신호를 완충 증폭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완충 증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파수 절환/안정화부는 주파수 절환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절환부, 상기 절환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주파수 편차를 줄여 절환 주파수를 안정화하기 위한 주파수 안정화부, 및 상기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총 인덕턴스가 변경되도록 하여 절환될 주파수 값을 설정하는 절환 주파수 설정부로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 전압 제어 발진기의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의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주파수 안정화부가 없을 경우의 절환 전압 공급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주파수 안정화부가 있을 경우의 절환 전압 공급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탱크부 20 : 주파수 절환/안정화부
21 : 절환부 23 : 주파수 안정화부
25 : 주파수 설정부 30 : 발진 증폭부
50 : 완충 증폭부 D2 : 절환 다이오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 회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 회로도로써,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t)과 콘덴서들(C1~C4)(D1)의 총 정전용량 및 인덕터들(L1)(L2)의 총 인덕턴스에 의해 일정 주파수 대역내의 제 1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탱크(Tank)부(10)와;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탱크부(10)에 구비된 인덕터들의 총 인덕턴스 값을 변경하여 상기 일정 주파수 대역내의 제 1 주파수 신호를 다른 주파수 대역내의 제 2 주파수 신호로 절환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주파수 절환/안정화부(20)와; 상기 탱크부(10) 및 주파수 절환/안정화부(20)에 의해 선택된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진 증폭하기 위한 발진 증폭부(30)와, 상기 발진 증폭부(30)에서 증폭된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완충 증폭하여 출력단(OP)으로 출력하기 위한 완충 증폭부(50)로 구성된다.
도 2에서, 상기 탱크부(10), 발진 증폭부(30) 및 완충 증폭부(5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도 1의 종래 전압 제어 발진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구성 요소들(10)(30)(50)은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가 함과 아울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요지인 상기 주파수 절환/안정화부(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주파수 절환/안정화부(20)는, 주파수 절환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절환부(21)와, 상기 절환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주파수 편차를 줄여 주파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주파수 안정화부(23), 및 상기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탱크부(10)의 총 인덕턴스가 변경되도록 하여 절환될 주파수 값을 설정하는 절환 주파수 설정부(25)로 구성된다.
상기 절환부(21)는 절환용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공급단(Vs)과, 일단이 상기 전원 공급단(Vs)에 연결된 제 5 저항(R5)과, 양극단이 상기 제 5 저항(R5)의 타단에 연결되고 음극단은 상기 주파수 안정화부(23)에 연결된 절환 다이오드(D2), 및 일단은 상기 제 5 저항(R5)과 상기 절환 다이오드(D5) 사이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12 콘덴서(C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절환 다이오드(D2)는 상기 전원 공급단(Vs)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온/오프된다. 즉,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에 0.7V 이상의 전압이 공급되면 턴온된다. 상기 제 12 콘덴서(C12)는 바이패스(bypass)용 콘덴서이다.
상기 주파수 안정화부(23)는 일단이 상기 전원단(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에 연결된 제 6 저항(R6)과, 일단이 상기 제 6 저항(R6)과 상기 절환 다이오드(D2)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7 저항(R7), 및 일단이 상기 제 6 저항(R6)과 제 7 저항(R7)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인덕터(L2)에 연결된 제 13 콘덴서(C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3 콘덴서(C13)는 블러킹(blocking)용 콘덴서이다. 또한, 상기 제 6 저항(R6) 및 제 7 저항(R7)은 바이어스 저항으로써, 상기 전원단(B+)의 전압을 분압하여 제 2 인덕터(L2)와 제 4 인덕터(L4) 사이의 접점(A)의 전압을 일정한 값으로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단(B+)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3V이므로 상기 상기 제 6 저항(R6) 및 제 7 저항(R7)의 저항값을 동일하게 하면 상기 접점(A)의 전압은 1.5V로 안정화 된다. 상기 접점(A)의 전압을 안정화시키므로써 절환 주파수가 거의 편차 없이 안정화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안정화부(23)가 없을 경우, 상기 제 2 인덕터(L2)와 제 4 인덕터(L4) 사이의 접점(A)의 전압이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단(Vs)으로부터 공급되는 절환 전압이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의 절환 전압인 0.7V에 도달되기 전의 구간 특히 0V - 0.3V 구간일 때 절환전 제 1 주파수(f1)에서 안정화되지 못하고 상승되는 주파수 편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상기 주파수 안정화부(23)를 구성하여 상기 제 2 인덕터(L2)와 제 4 인덕터(L4) 사이의 접점(A)의 전압을 안정화시키므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단(Vs)으로부터 공급되는 절환 전압이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의 절환 전압인 0.7V에 도달되기 전의 0V - 0.7V 구간에서 주파수가 편차 없이 안정된 제 1 주파수(f1)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절환 전압이 0.7V 이상이 되어 절환 다이오드(D2)가 턴온되면 다른 주파수 대역내의 제 2 주파수(f2)로 절환되도록 한다.
상기 주파수 설정부(25)는 일단이 상기 제 13 콘덴서(C13)와 제 2 인덕터(L2)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4 인덕터(L4)로 구성된다. 상기 제 4 인덕터(L4)의 인덕턴스 값에 따라 절환될 주파수 값이 설정되므로, 상기 제 4 인덕터(L4)의 용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절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절환용 전원 공급단(Vs)으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절환 다이오드(D2)가 오프(OFF)되었을 경우 그 절환 다이오드(D2)의 자체 저항값은 상기 제 4 인덕터(L4)의 자체 저항값 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탱크부(10)에서의 AC 주파수 경로는 탱크부(10)를 통해 상기 제 2 인덕터(L2)와 제 4 인덕터(L4)를 차례로 거쳐 접지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부(10)에서 선택되는 제 1 주파수(f1)는 식(1)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식(1)에서 Ltotal은 상기와 같은 절환 다이오드(D2)의 오프시 AC 주파수 경로로 인해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 및 제 4 인덕터(L4)의 등가 인덕터의 총합 인덕턴스가 되며, Ctotal은 상기 제 1 콘덴서(C1), 제 2 콘덴서(C2), 제 3 콘덴서(C3), 제 4 콘덴서(C4), 및 버랙터 다이오드(D1)의 등가 콘덴서의 총합 정전용량이 된다.
상기와 같이 절환 다이오드(D2)의 오프시 상기 탱크부(10) 및 주파수 절환/안정화부(20)에 의해 선택된 제 1 주파수 신호(f1)는 상기 발진 증폭부(30) 및 완층 증폭부(5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출력단(OP)으로 출력된다.
다음, 상기 절환용 전원 공급단(Vs)으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절환 다이오드(D2)가 온(ON)되었을 경우, 그 다이오드(D2)의 자체 저항값은 거의 영(0)으로 떨어져 상기 제 4 인덕터(L4)의 자체 저항값 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상기 탱크부(10)에서의 AC 주파수 경로는 탱크부(10)를 통해 상기 제 2 인덕터(L2), 제 13 콘덴서(C13), 절환 다이오드(D2) 및 제 12 콘덴서(C12)를 차례로 거쳐 접지측으로 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부(10)에서 선택되는 주파수는 제 1 주파수(f1)에서 제 2 주파수(f2)로 절환된다. 상기 제 2 주파수(f2)는 식(2) 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식(2)에서 Ltotal은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의 온시 AC 주파수 경로로 인해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의 등가 인덕터의 총합 인덕턴스가 되며, Ctotal은 상기 제 1 콘덴서(C1), 제 2 콘덴서(C2), 제 3 콘덴서(C3), 제 4 콘덴서(C4), 및 버랙터 다이오드(D1)의 등가 콘덴서의 총합 정전용량이 된다. 상기 제 1 주파수(f1)에서 제 2 주파수(f2)로 절환될 때, 상기 주파수 안정화부(23)에 의해 상기 제 2 인덕터(L2)와 제 4 인덕터(L4) 사이의 접점(A)의 전압이 안정화되므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단(Vs)으로부터 공급되는 절환 전압이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의 절환 전압인 0.7V에 도달되기 전의 0V - 0.7V 구간에서 주파수가 편차 없이 안정된 제 1 주파수(f1)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절환 전압이 0.7V 이상이 되어 절환 다이오드(D2)가 턴온되면 다른 주파수 대역내의 제 2 주파수(f2)로 절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절환 다이오드(D2)의 온시 상기 탱크부(10) 및 주파수 절환부(20)에 의해 선택된 제 2 주파수 신호(f2)는 상기 발진 증폭부(30) 및 완층 증폭부(5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출력단(OP)으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의 오프시 상기 탱크부(10)의 총 인덕턴스(Ltotal)는 상기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 및 제 4 인덕터(L4)의 등가 인덕터의 총합이며, 이때 본 발명의 전압 제어 발진 회로는 상기 절환 다이오드(D2) 온시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대역내의 제 1 주파수(f1)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의 온시 상기 탱크부(10)의 총 인덕턴스(Ltotal)는 상기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의 등가 인덕터의 총합이며, 이때 본 발명의 전압 제어 발진 회로는 상기 절환 다이오드(D2) 오프시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대역내의 제 2 주파수(f2)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 회로에 의하면, 두가지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중 주파수 대역용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 등의 제작시 각 주파수 대역에 맞는 각각의 전압 제어 발진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 1 개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절환 전압에 의해 제 1 주파수에서 제 2 주파수로 절환되는 과도기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편차를 방지하여 주파수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입력 전압(Vt)과 콘덴서들의 총 정전용량 및 인덕터들의 총 인덕턴스에 의해 일정 주파수 대역 내의 제 1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탱크(Tank)부와;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총 인덕턴스 값을 변경하여 상기 일정 주파수 대역내의 제 1 주파수 신호를 다른 주파수 대역내의 제 2 주파수 신호로 절환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주파수 절환/안정화부와;
    상기 탱크부 및 주파수 절환/안정화부에 의해 선택된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진 증폭하기 위한 발진 증폭부와; 그리고
    상기 발진 증폭부에서 증폭된 주파수 신호를 완충 증폭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완충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절환/안정화부는 주파수 절환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절환부, 상기 절환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주파수 편차를 줄여 절환 주파수를 안정화하기 위한 주파수 안정화부, 및 상기 절환 신호에 따라 상기 총 인덕턴스가 변경되도록 하여 절환될 주파수 값을 설정하는 절환 주파수 설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21)는 절환용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공급단(Vs)과, 일단이 상기 전원 공급단(Vs)에 연결된 제 5 저항(R5)과, 양극단이 상기 제 5 저항(R5)의 타단에 연결되고 음극단은 상기 주파수 안정화부(23)에 연결된 절환 다이오드(D2), 및 일단은 상기 제 5 저항(R5)과 상기 절환 다이오드(D5) 사이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12 콘덴서(C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다이오드(D2)는 상기 전원 공급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 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안정화부(23)는 일단이 상기 전원단(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절환 다이오드(D2)에 연결된 제 6 저항(R6)과, 일단이 상기 제 6 저항(R6)과 상기 절환 다이오드(D2)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7 저항(R7), 및 일단이 상기 제 6 저항(R6)과 제 7 저항(R7)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인덕터(L2)에 연결된 제 13 콘덴서(C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 회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설정부(25)는 일단이 상기 제 13 콘덴서(C13)와 제 2 인덕터(L2)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4 인덕터(L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제어 발진 회로.
KR1019980018095A 1998-05-20 1998-05-20 전압 제어 발진 회로 KR19990085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095A KR19990085587A (ko) 1998-05-20 1998-05-20 전압 제어 발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095A KR19990085587A (ko) 1998-05-20 1998-05-20 전압 제어 발진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587A true KR19990085587A (ko) 1999-12-06

Family

ID=6589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095A KR19990085587A (ko) 1998-05-20 1998-05-20 전압 제어 발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5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841B1 (ko) * 2000-12-30 2002-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압제어 발진기의 초크길이 조절회로
KR100423502B1 (ko) * 2001-11-2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공진기와 차동증폭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841B1 (ko) * 2000-12-30 2002-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압제어 발진기의 초크길이 조절회로
KR100423502B1 (ko) * 2001-11-2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공진기와 차동증폭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463B1 (ko) 전압 제어형 발진기
US7330083B2 (en) Oscillator having voltage dividing circuit
KR960003560B1 (ko) 전압제어 발진회로
KR19990021901A (ko) 발진기
EP1471632A2 (en) Oscillator circuit and oscillator
KR19990085587A (ko) 전압 제어 발진 회로
US6593822B2 (en) Oscillator for achieving stable oscillation
KR100399585B1 (ko) 상보성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압 제어 발진기
US6836190B2 (en) Oscillato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9990085588A (ko) 전압 제어 발진 회로
US5936480A (en) Selective loading for sideband noise ratio reduction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0372057B1 (ko) 2밴드 발진기
KR100640517B1 (ko) 전력 절약용 전압제어발진기
EP1117177B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9990041484U (ko) 전압 제어 발진 회로
JP4677696B2 (ja) 平衡型発振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KR100383487B1 (ko) 발진기
KR20080094815A (ko) 고주파 발진기 및 전자기기
EP1081846B1 (en) Voltage controled oscillator
KR19990085586A (ko) 전압 제어 발진 회로
JPH04249409A (ja) 電圧制御発振器
EP1892826A1 (en) Oscillator
JP2003060434A (ja) 発振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KR20010009708A (ko) 전압제어 발진기
JP2002353737A (ja) 電圧制御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