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268A -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268A
KR20030020268A KR1020027013131A KR20027013131A KR20030020268A KR 20030020268 A KR20030020268 A KR 20030020268A KR 1020027013131 A KR1020027013131 A KR 1020027013131A KR 20027013131 A KR20027013131 A KR 20027013131A KR 20030020268 A KR20030020268 A KR 20030020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seal
edge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681B1 (ko
Inventor
디이슈터벡프란크
Original Assignee
요카이 플라스틱 굼머스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카이 플라스틱 굼머스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요카이 플라스틱 굼머스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2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19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bottom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a superimp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0Tearable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27Stack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both cup and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83Means for limiting the axial insertion of the li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48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75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685Tot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796Tot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944Located only on the container, e.g.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냅 뚜껑 (2) 을 구비하며, 고정된 방식으로 상기 뚜껑을 수용하기 위해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상에 위치한 걸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용기 (1) 에 관한 것이다.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와 밀봉하게 놓이는 부위를 갖는다. 상기 용기 (1) 와 상기 뚜껑 (2) 사이의 밀봉부위는 용기 (1) 및/또는 뚜껑 (2) 의 탄성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주 밀봉부 (11) 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 (11) 는 단일 조각으로 용기 (1) 및/또는 뚜껑 (2) 에 성형된다.

Description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PLASTIC CONTAINER WITH A SNAP-IN LID}
이러한 종류의 플라스틱 용기는, 특히 산업 및 식품분야에서 다양한 상품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목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액체 또는 저 점도의 물질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플라스틱 용기의 충분한 누설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이것은, 특히 오일, 그 중에서도 미네랄 오일 등의 휘발성 또는 중요한 다른 형태의 상품을 운반하는 경우에 문제된다. 이러한 경우에, 플라스틱 용기의 누설 안전성에 특히 높은 요구가 부여되어야 하며, 종래의 플라스틱 용기에 의해서는 만족스럽게 달성되지 않았으며, 심지어 일치하는 윤곽을 갖는 뚜껑과 용기 가장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누설 안전성을 달성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품들은 보통 금속 용기로 운반된다.
본 발명은, 스냅뚜껑과, 그 뚜껑이 용기에 물릴수 있도록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된 스냅요소를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로서, 상기 용기에 물리는 뚜껑은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와 단단히 접촉하는 부위를 가지며, 이러한 단단한 접촉하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상기 용기와 상기 뚜껑과의 작용부위가 밀봉영역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다른 용기가 상단에 적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을 갖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뚜껑을 갖는 용기의 상세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용기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따른 뚜껑을 갖는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따른 적층된 뚜껑의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물받이2 뚜껑
3 외벽4 상단 가장자리
5 칼라6,7 스냅 가장자리
8 외부 플랭크9 리브
10 플랭크11 밀봉부
11a 밀봉리브12 수직구역
13 베벨14 공동
15 베벨16 강화 모서리
17 미끄럼 베벨18 어깨
19 템퍼-안전 밀봉부20 밀봉리브
21 만입부22 융기부
23,24 베벨25 벽
26 부위27 외벽
28,29 분절30 부위
31 수평다리32 바닥 가장자리
33 함입부34 홈
35 바닥 모서리36,37,38 리브
본 발명의 목적은, 누설 안전성에 부여된 특별한 요구를 확실히 수행할 수 있는 스냅뚜껑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를 의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스냅뚜껑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의 밀봉영역에는 용기와 뚜껑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 원주 밀봉부가 존재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밀봉부를 형성하는 용기와 뚜껑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 부위에서 일체로 성형된다.
그것은, 상기 뚜껑이 적소에 있는 경우 상기 용기와 뚜껑 사이에 단단히 놓여있는 일체로 성형된 원주 밀봉부가 상기의 밀봉부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밀봉부는 뚜껑 및/또는 물받이의 탄성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물질, 특히 고무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는 물받이와 뚜껑을 이루어지는 용기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손으로 밀봉부를 삽입하여 발생하는 오차를 피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용기에 고정되어, 심지어 외부의 힘에 노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용기가 떨어지는 경우에도, 밀봉부는 상기 구성품에 항상 고정된 방식으로 위치한다. 상기 밀봉부는 바람직하게 사출공정,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이음매등을 피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는 관련된 용기부분이 성형된 후에 즉시 동일한 몰드내에 사출될 수 있어, 특히 저제조가공 및 오차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는 유리하게 상기 뚜껑에 일첼로 성형되며, 뚜껑의 폭은 상단 용기 가장자리의 벽두께보다, 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1.5 내지 3 배 더 클수 있으며,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밀봉부는 본질적으로 수평의 밀봉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U 또는 V형태의 윤곽일 수 있다. 하나, 둘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의 상이한 밀봉영역이, 선형 또는 평면일 수 있는 이들의 접촉 폭, 이들의 물질두께 또는 다른 특성의 입장에서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봉영역은 상호교차 및/또는 방사상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는 유리하게 용기의 가장자리를 향해 개방된 뚜껑내의 원주 홈에 위치하며, 이 밀봉부는 상기 홈의 전체 폭에 대해 신장할 수 있어 측이동에 대해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홈의 측면 플랭크는, 바람직하게는 약간의 측면이동과 함께, 또는 어떤 이동도 없이 용기 가장자리의 내부 및 외부를 둘러쌀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밀봉부는 바람직하게, 상이한 각도에 있는 인접한 밀봉영역 및 상이한 각도에 있는 용기 가장자리의 단단한 접촉부위를 갖는다. 이 단부에, 상기 밀봉부는 U, V 또는 L형태의 단면, 특히, 다른 윤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밀봉영역은 서로 대면하는 밀봉부위, 예를 들어 가능한 볼록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이한 각도에 있는 밀봉영역은 단일부분 또는 복수부분, 즉 연속적이지 않은 디자인으로 의도될 수 있으며, 밀봉부분의 1 이상, 또는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용기 및/또는 뚜껑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용기가 밀폐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는 바람직하게, 용기 가장자리의 상단가장자리와 단단히 접촉하는 본질적으로 수평인 부위, 및 상부 용기 가장자리의 내부와 단단히 접촉하며 바림직하게는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방사상으로 내향하는부위를 구비한다. 상기 아래쪽으로 경사진 밀봉영역은, 상기 용기가 수직위치에 있는 경우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일정한 각으로 신장할 수 있으며, 상기 두개의 밀봉영역은 90°내지 135° 또는 그 이상의 각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진 밀봉영역은 경사부위에서 종료되며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선형인 형태로 신장한다. 상기 경사진 밀봉영역의 길이는 대략 수평의 밀봉영역의 길이, 예를 들어 전체길이의 1/4 과 동일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용기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 수평의 밀봉영역, 및 수직의 또는 비스듬한 밀봉영역을 위치결정하는 방사상의 내부 베벨 또는 챔버를 구비한다. 그러나, 다른 디자인도 또한 가능하다. 그 결과, 가요성 밀봉부의 영역에서 힘, 심지어 상기 밀봉영역에 측면으로 작용하는 힘조차도 항상 흡수되어, 높은 정도의 누설 안전성이 보장된다.
상기 밀봉부는, 용기부위, 특히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용기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하는 1 이상의 원주의 밀봉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봉리브의 높이는 상기 용기의 벽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용기 가장자리는 평면일 수 있으며 또는 1 이상의 원주리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리브의 여러쌍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1 이상의 밀봉리브와 결합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봉리브는 상기 밀봉부의 다른 부위, 예를 들어 수평부위 및/또는 수직 또는 경사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봉리브의 단면은, 충분한 밀봉효과를 달성하는 한, 용기 가장자리의 원주 홈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용기 가장자리 홈의 단면은 상기 밀봉리브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어, 뚜껑이 적소에 있는 경우 가요성 밀봉리브로 상기 홈을 완전하게 채울 수 있다. 상기 홈의 단면은 또한 상기의 결합하는 밀봉리브의 단면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동일한 목적인 측면이동의 상쇄는 단지 웨브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경계결정을 하는 웨브 또는 가장자리는 또한 밀봉부와 단단히 접척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가요성 밀봉부에서의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오목부와 결합하는 용기 가장자리에 1 이상의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접촉하는 상기 밀봉부와 용기 가장자리의 구조는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보되지 않아, 밀봉부상의 볼록부가 용기 가장자리내에 있는 맞은편 오목부에 놓이지 않고, 용기 가장자리상의 볼록부, 예를 들어 플랭크 부위에서 접촉한다. 이러한 결과 확실한 누설 안전성을 보장하는 비합동 연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밀봉리브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용기의 벽두께보다 적으며, 예를 들어 벽두께의 1/2 내지 1/5 또는 그보다 적으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기 가장자리는 또한, 상기 밀봉부의 평면과 접촉하는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바람직하게 높아, 뚜껑이 열리는 경우, 상기 리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상기 용기 재료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상기 밀봉부를 깊이 찌른다.
상기 밀봉부는 바람직하게, 힘이 밀봉영역내의 뚜껑 또는 용기에 가해지는 경우, 밀봉부가 동시에 변형구역으로 작용하여, 어떤 힘에 노출되는 경우 더 단단한 뚜껑 및 용기 부위의 변형을 피할 수 있는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다.
뚜껑이 열릴 때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밀봉부의 수평부위 및/또는 수직 또는 아래로의 경사부위가, 상기 용기 또는 뚜껑의 대응 접촉부위의 부분 면적 또는바람직하게 전체표면적(즉 전체 방사상 팽창에 대해)과 편평한 접촉을 할 수 있다.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웨브는, 원주리브의 방사상 팽창이 용기벽 두께보다 더 적게 의도될 수 있으며,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와 인접한 외부 용기벽 중 바깥쪽으로 아래로 경사진 부위에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는 용기벽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뚜껑위에 놓일 때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이러한 리브는 주로 가요성의 압축가능한 밀봉에 의해 실시되는 제 2 의 밀봉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2 이상의 원주리브는 또한 용기의 외부 가장자리상에 제공될 수 있다. 뚜껑이 적소에 있는 경우, 상기 리브는 바람직하게 이동없이 뿐만 아니라 어떤 중요한 프리텐션없이 접촉을 하여, 상기 뚜껑이 밀봉영역에 간단히 위치되며, 또는 약간의 이동으로 떨어져 위치하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밀봉영역을 안정시키기 위해,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강화리브가,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를 대면하는 스냅요소의 측면상의 용기 가장자리의 외부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강화리브는 바람직하게 용기 주위를 방사상으로 움직인다. 상기 강화리브는 또한 분할될 수 있으며 여러개의 강화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로, 1 이상의 추가적인 강화리브가,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또는 향하여 대면하는 스냅요소의 측면에 통합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강화리브의 두께, 즉 높이 및/또는 폭은 용기의 벽두께의 절반영역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두께의 영역 또는 그 이상이다. 가요성 밀봉부 근처에 강화리브를 배치함으로써 용기의 밀봉영역이 특히 안정화된다. 뚜껑은 바람직하게 프리텐션과 함께 또는 프리텐션없이 강화리브의 방사상 외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뚜겅의 측면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강화리브에 의해 직접 흡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강화리브의 방사상 외부측면은 편평한 부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강화리브과 상기 스냅요소 사이의 공간은 뚜껑의 스냅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강화리브는 또한 용기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유용하게, 상기 용기가 1회 개방된 후에도 상기 뚜껑의 스냅연결은 또한 똑같이 효과적이며, 즉 상기 스냅영역과 상기 밀봉영역은, 탬퍼-안전 밀봉, 예를 들어 용기를 개봉하기 위해 뚜껑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되거나 또는 접혀져야 하는 얇은 재료의 부위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스냅 요소는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상에 또는 그것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예를 들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가장자리상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뚜껑을 부착하기 위한 스냅요소는 바람직하게 용기의 외벽에, 또는 적절하다면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뚜껑은 바람직하게 바깥쪽으로 대면하는 미끄럼 베벨을 가지며, 이 베벨은 뚜껑의 상단 가장자리 또는 그 아래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수직인 구획상에서 결합될 수 있다. 미끄럼 베벨은 용기의 외벽상의 스냅요소 보다 위에 제공된 강화리브의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것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비록 스냅가장자리가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벽으로부터 떨어져 돌출하는 부위를 지나 방사상으로 신장하지만, 상기 미끄럼 베벨은 바깥 부위의 뚜껑의 스냅 가장자리와 방사상으로 접해있으며, 또는 스냅 가장자리를 지나 신장한다.
용기의 상부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아래로 대면하는 원주의 칼라영역을 가지며, 그 위에 상기 스냅요소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냅요소 위에 일체로 성형되며 바깥쪽으로 대면하는 강화리브가 또한 원주 용기 칼라(따라서 이것을 강화시킴) 및/또는 용기벽 바로위의 원주 칼라영역 위에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용기벽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아래쪽으로 대면하는 칼라영역으로 인해, 상기 스냅영역은 그들에 작용하는 힘에 관하여 밀봉영역으로부터 고립된다.
아래로 대면하는, 원주 칼라영역은 바람직하게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즉 밀봉영역의 높이에서 또는 벽두께의 수배, 예를 들어 1 또는 2 배의 거리에서 결합되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는 바람직하게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돌출하며 아래로 대면하는 칼라영역을 가지며, 상기 칼라영역은 뚜껑이 용기상에 있는 경우 뚜껑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에 또는 뚜껑을 넘어서 방사상으로 신장한다. 이 원주 칼라영역은 개별적으로 용기벽상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스냅 가장자리를 갖는 원주 칼라영역의 바닥 가장자리와 접해있거나, 또는 높이의 관점에서 상기 바닥 가장자리와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이 원주의 칼라영역은 바람직하게 스냅요소를 수용하는 연속적인 칼라영역으로, 즉 아래로 그리고 외부로 연속하는 어깨로서 의도된다.
대응하는 탬퍼-안전 밀봉가 이 부위에 제공된다. 뚜껑의 바닥 가장자리는 프리텐션과 함께 또는 프리텐션없이 이 칼라영역상에 놓일 수 있으며, 또는 그것에 대하여 약간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손으로 뚜껑의 상기 바닥 가장자리에 닿을 수 없다. 이 원주 칼라영역은 뚜껑의 바닥가장자리의 일부를 또는 전부를 수용하기 위한 방사상 협착부를 갖는다.
상기 원주 칼라영역은, 상기 칼라영역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용기의 외벽에 연결될 수 있는 수직의 리브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강화리브는 바람직하게 바닥에 합입부 또는 노치를 가지며, 이로인해 상기 칼라영역은 어느정도의 가요성을 보유하며 변형구역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뚜껑은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및/또는 방사상으로 가요성 밀봉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원주부위를 구비하며, 뚜껑이 적소에 있을 경우 용기의 내벽과 단단히 접촉한다. 이 밀봉영역은 뚜껑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밀봉영역은 아래로 돌출하는 리브 또는 예를 들어 뚜껑의 밑바닥 위의 어깨로서 의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뚜껑이 적소에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 용기벽내의 오목부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이 적소에 있는 경우, 상기 밀봉영역은 상기 오목부상에 놓일 수 있으며, 또는 이것으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용기가 상단위에 적층되는 경우 또는 외부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용기의 오목부상에 리브의 밑바닥 또는 뚜껑어깨의 밑바닥이 놓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뚜껑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수직의 용기영역과 선형으로, 또는 수직 높이 위에서, 바림직하게는 용기의 외부에 제공된 스냅가장자리또는 강화리브의 높이에서 단단히 접촉할 수 있다.
용기 밀봉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리브의 바닥가장자리를 지나 위로 돌출하는 부위는 용기의 내벽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뚜껑의 내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원주 리브 또는 웨브에 대해 안쪽에 방사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개의 돌출부 또는 웨브가 원주전체에 퍼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부위는 바람직하게 원주리브으로서 의도된다. 뚜껑 리브의 내부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 리브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용기 또는 뚜껑 리브의 벽두께보다 더 적으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중 위로 돌출하는 부위는 프리텐션과 함께 또는 프리텐션없이 뚜껑의 리브중 측면과 접촉하거나 약간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뚜껑의 상기 리브는 또한 내부 및 외부에서 방사상으로 인접한 용기부위 사이에서 압착끼움으로 위치할 수 있다.
용기등의 어깨 또는 리브 아래에 위치한, 용기 내벽의 어깨는, 스냅요소 또는 강화리브의 높이에서, 또는 용기의 벽두께의 수배의 거리에서 대략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밀봉영역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뚜껑은, 상단 부위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으로의 내부 돌출부와 함께, 바람직하게 용기벽의 내부 부위에 밀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환형, 박스형(예를 들어, 입방체, 다면체) 또는 웨브형태의 디자인일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박스형 또는 환형 돌출부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내부 강화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의 상단 부위는 유용하게 용기의 내벽과 단단히 접촉하는 뚜껑 부위로부터 떨어져, 바람직하게는 그 위에 위치하며, 수직방향에서의 접촉점은 실제로 반점형태 또는 선형일 수 있다. 돌출부의 단면은 비스듬한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의도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측벽중 상단가장자리 및/또는 바닥가장자리는 용기의 내부를 향해 아래로 경사지도록 의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방사상 내부 단부벽은 수직이거나 또는 일정한 각도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뚜껑의 상단 가장자리상에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의 상기 상단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 뚜껑의 상단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하여, 다른 어깨를 형성한다. 이것은 용기의 내부상에서의 밀봉영역의 높이에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회피시키며, 이것은 예를 들어 수축공정으로 인한 재료 응력 또는 변형을 초래한다.
돌출부 또는 웨브와 같은 돌출부상에 측면 형태등의 밀봉영역에서, 표면과 원주의 밀봉리브를 연결하는 수직의 신장을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뚜껑의 중앙을 대면하는 돌출부가 유용하게 의도된다.
이 목적을 위해, 원주의 비교적 많은 부분에 걸쳐 신장하는 돌출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의 원주 가장자리가 뚜껑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돌출부의 상단 부위에 있는 원주 밀봉영역으로부터 방사상 거리에 위치할 수 있어, 아래로부터 뚜껑을 보면, 예를 들어 대략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단면이며 내부에서 더 넓은 부위를 대면하는 원주 홈이 발생한다. 상기 돌출부, 특히 환형, 원주 돌출부는, 또한 내부리브으로 강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내벽과 접촉하는 지지리브 또는 밀봉부로부터 방사상 거리에서 종료되거나, 또는 이 리브의 밀봉영역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돌출부의 상단 부위는 뚜껑의 내부 가장자리와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내부를 향해 15°미만, 예를 들어 5°의 아래 각도에서 접촉할 수 있다.
용기의 개구를 막는 상기 뚜껑표면은 내부 밀봉영역 아래에 또는 같은 높이에, 바람직하게는 스냅가장자리 아래에 또는 같은 높이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분출구가 뚜껑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뚜껑표면적의 1/4 직경에 위치하여, 액체를 부을 때 물받이를 실용적으로 조작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아래에 서술되어 있다. 상기 도면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 은 스냅되는 뚜껑 (2) 을 구비한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물받이 (1) 를 도시하고 있으며, 편평한 영역에는 상기 물받이의 외벽 (3) 의 상단 가장자리 (4)가 설치된다. 상단 가장자리 (4) 는, 원주의 방사상으로 돌출한 칼라 (5) 에 연결되며, 이 칼라 위에는 외부로 돌출하는 스냅가장자리 (6) 가 일체로 성형되어, 후크의 돌출부를 갖는 뚜껑의 원주의 스냅가장자리 (7) 에 의해 아래로 부터 결합된다. 함께 스냅하는 물받이 및 뚜껑의 영역은 본질적으로 수평하며 둥근 외부 가장자리가 없어, 특히 고정 스냅연결이 연동 연결에 의해 제공된다. 물받이 및 뚜껑의 상기 스냅가장자리는 또한 외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굽어질 수 있어, 상기 연동연결을 강화시킨다.
물받이의 상단 가장자리 (4) 와 결합된 뚜껑 (2) 영역은 홈 또는 채널의 형상이며, 이곳에서 홈 (34) 의 외부 플랭크 (8) 가, 물받이의 수직으로 떨어진 2개의 원주리브 (9) 과 측면으로 접촉하고 있다. 리브 (9) 의 방사상 신장은 상기 물받이의 벽두께보다 상당히 작으며, 이경우 대략 3분의 1이다. 리브 (9) 의 둥근 상단 가장자리 및 상기 리브의 작은 폭으로 인해, 상기 뚜껑을 용이하게 물받이 위에 밀수 있으며, 심지어 물받이의 가장자리에 매우 단단히 놓을 수 있다. 여기서, 리브 (9) 는 밀봉구역 (12) 의 높이에 위치하며, 이러한 리브가 없는 경우에도 거의 또는 실제로 어떤 프리테션이 없이도 뚜껑을 이 높은 위치에서 물받이의 외벽에 놓을 수 있다.
탄성 및 압축가능한 고무물질로 만들어진 밀봉부는 뚜껑내 홈의 수평베이스 및 방사상으로 인접한 내부 플랭크 (10) 에 단일 피이스로 주입된다. 상기 물질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고무밀봉부의 접촉영역 및 홈베이스는 적합한 고도와 침하를 제공받는다. 내부 홈 플랭크 (10) 와 결합된 밀봉영역 (12) 은수직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여기서는 대략 20°의 각으로 있으며, 상기 각은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5 와 45°사이의 값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뚜껑을 스냅하고 여는 경우, 밀봉부 (11) 중 비스듬한 구역 (12) 은 아래쪽으로 경사진 베벨 (13) 에 놓여있으며, 이것은 물받이의 상단가장자리 (4) 의 내부와 인접하며(도 2, 3 을 참조) 그 경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밀봉구역 (12) 의 접촉 부위의 경사와 일치한다. 상기 밀봉부의 특별한 디자인의 결과로서, 상기 물받이는 심지어 강한 힘이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단단히 밀봉된다. 상기 밀봉구역 (12) 을 둘러싸는 상기 뚜껑구역은 내부에서 또한 비스듬한 디자인을 갖는다.
상기 물받이의 원주칼라 (5) 는 상단 가장자리 (4) 의 높이에서 결합되어, 칼라 (5) 에 의해 경계결정되는 공동 (14) 이 상기 상단가장자리에 가까이, 즉, 벽두께까지 신장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의 상단가장자리 (4) 영역은 U-형의 원주윤곽으로 디자인된다.
U-형의 상단가장자리 (4) 의 본질적인 수직다리는 수직선에 대해 대략 30°의 각으로 외부를 향해 베벨 (15) 로 변이하여, 계단이 있는 어깨를 형성한다. 스냅가장자리 (6) 는 이 어깨 아래에서 일체로 성형되며, 방사상 원주의 강화가장자리 (16) 가 상기 스냅가장자리와 어깨 사이에서 일체로 성형되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어깨의 높이에서, 스냅가장자리 (6) 와 함께 외부를 향해 인접해 있으며 대응하는 폭, 즉, 수직 신장부를 갖는다. 강화가장자리 (16) 의 바닥가장자리는 스냅가장자리 (6) 의 바닥가장자리와 일치하게 디자인되어, 상기 뚜껑의 스냅가장자리 (7) 는 가장자리 (6) 과 (16) 사이에 위치한 홈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단부에서 스냅 가장자리 (6) 의 상단가장자리가 또한 외부를 향해 경사진다. 완전히 스냅하여 열리는 경우,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는 스냅가장자리 (6), 강화가장자리 (16) 및 2개의 리브 (9) 의 외부가장자리에 대해 놓여있으며, 그 위에 위치한 뚜껑의 미끄럼 베벨 (17) 과 베벨 (15) 사이에 약간의 틈이 존재한다. 또한 미끄럼 베벨 (17) 이 용기의 상단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뚜껑림의 바닥가장자리 위에 위치할 수 있어, 베벨 (15) 을 향해 아래로 돌출하는 웨브가 형성되며, 이것은 또한 베벨 (15) 또는 본질적으로 수평한 구역에 놓일 수 있다.
원주 칼라 (5) 는, 뚜껑 (2) 의 외부가장자리 아래에 있는 스냅가장자리 (7) 로부터 멀리 돌출하는 스냅가장자리 (7) 아래에 있는 원주 어깨 (18) 를 구비하며, 스냅가장자리 (7) 는 프리텐션하에서 어깨 (18) 위에 놓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스냅가장자리와 어깨 사이에 틈이 존재할 수 있다. 어깨 (18) 는 탬퍼-안전(tamper-proof) 밀봉부 (19) 를 구비하며, 이것을 제거한 후, 아래로부터 손으로 스냅가장자리 (7) 를 잡을 수 있어 뚜껑을 벗긴다. 또한 물받이 원주의 매우 많은 부분에 걸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여러개의 티어-오프(tear-off)탭이 제공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탬퍼-프루프 밀봉부를 스냅가장자리 (7) 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부를 수용하는 홈과 스냅가장자리 사이의 뚜껑영역은 바람직하게 상당히 얇은 물질을 갖지 않아서, 스냅연결과 밀봉부 (11) 사이에서 또는 물받이 (1) 내부에 위치한 뚜껑의 영역에서 높은 안정성, 및 이에 따른 높은 누설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뚜껑은 밀봉부 (11) 에 관련된 내부에 원주밀봉 리브 (20) 를 구비하며, 그 높이에 따라 물받이의 내벽과 단단히 접촉하며, 이 실시예에서 밀봉영역은 리브의 바닥단부에 의해 형성되며, 대략 스냅가장자리 또는 강화가장자리 (16) 의 높이에 제공된다. 본질적으로 수직하여 아래로 돌출하는 리브 (20) 는, 물받이의 내벽 중 안쪽으로 돌출하는 어깨 (21) 의 높이에서 그리고 약간의 수직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상기 뚜껑에 약간의 수직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리브 (20) 는 만입부 (21) 에 놓인다. 리브의 밀봉기능이 필요없는 경우, 아래를 향하는 개별의 웨브과 유사한 돌출부가 또한 대체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만입부 (21) 는 원주 융기부 (22) 에 의해 내부에서 경계결정되며, 그 대신에 개별의 돌출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융기부 (22) 는 리브 (20) 의 바닥가장자리 위에서 신장하며 리브 (20) 가 안쪽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리브 (20) 는 또한 융기부 (22) 와 물받이의 인접한 외벽영역 사이의 압입에 수용될 수 있다. 리브 (20)(도 2 참조) 내에 형성된 밀봉영역은, 상기 뚜껑이 제거되는 경우 바닥가장자리 (35) 가 방사상으로 물받이의 내벽 밖에 위치하도록 바깥쪽으로 약간 비스듬하고 치수된다. 이 경우에서, 바닥가장자리의 두께는 대략 리브두께와 일치하며,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의 1/4 을 초과하며, 여기서는 약간 테이퍼형상이다. 그 결과, 상기 뚜껑이 열리는 경우 용기의 내벽과 방사상으로 프리텐션한 접촉을 일정하게 달성된다. 상기 뚜껑이 제거 될 때의 돌출부는 여기서의 리브두께보다 더 작으며 대략 바닥가장자리 두께의 1/4 에 상당한다.
내부를 향하여 약간 아래로 경사진 원주의 내부가장자리 (23) 는, 밀봉영역 위의 리브 (20) 에서 일체로 성형되며, 안쪽으로 대면하는 베벨 (24) 에서 또는,더 넓은 가장자리를 갖는 장소에서, 본질적으로 수직인 벽부위 (25) 가 수평인 뚜껑부위 (26) 로 변이하는 부분에서 일체로 성형된다. 영역 (26) 은 스냅가장자리 (6) 아래에 위치하며, 도시된 것처럼, 그 외경은 물받이를 적층가능하도록 하는 크기이다. 이 결과 사다리꼴의 홈위에 일체로 성형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돌출부가 바닥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향상된 힘을 전송하고, 동시에 뚜껑이 없는 물받이를 서로 적층하기 위해, 상기 물받이의 외벽 (3) 은 테이퍼 형상을 갖거나 또는 외부에 대해 3°보다 적게, 바람직하게 2°의 각을 가지며, 더 작은 각도 가능하다. 뚜껑을 갖는 물받이가 적층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힘을 가장자리 영역에서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물받이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하는 벽측 (25) 과 상기 물받이 (27) 의 반대측 외벽 사이의 거리가 2mm 보다 적게, 바람직하게 1mm 의 거리로 약간 움직일 수 있게된다.
도 2 및 도 3 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물받이 칼라의 상단가장자리 (4) 에는 2개의 원주리브 (36) 가 장착되며, 이 리브는 밀봉부 (11) 의 밑바닥상의 치형부와 결합하며, 밀봉부의 치형부 중 일부 아래쪽으로 돌출한 리브 (37) 는 물받이의 상단가장자리 위에서, 예를 들어 플랭크 영역에서 리브 (36) 와 접촉하게 되어, 리브 (37) 의 측면이동을 방지하며, 일부는 그들 사이에 형성된 홈에서, 또는 용기가장자리 (4) 의 외부에서 옆의 리브 (36) 와 접촉하게 한다. 두 구조의 부조화스러운 디자인으로 인해 물받이는 누설 안정성이 높다.
도면에 의해 추가로 도시된 것처럼, 외벽에 수직으로 움직이는 수직의 강화 리브 (38) 는, 바닥부를 향해 개방된 함입부 (33) 를 구비하는 공동 (14) 에 제공되며, 상기 함입부의 선단은 물받이의 외벽을 향해 상쇄된다.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물받이 벽 (3) 의 내부에 위치한, 뚜껑의 원주 가장자리 (23) 에는 상이한 방사상의 폭을 갖는 분절 (28,29) 이 존재하며, 이 결과 효과적인 강화형상을 유발하여, 밀봉부 (11) 또는 리브 (20) 의 밀봉영역상의 힘을 흡수한다. 실시예에 따라, 분절 (28,29) 의 원주 연장부는 분절폭의 배수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는 박스형태를 갖는다. 베벨 (24) 및 수직인 벽부위 (25) 는 물받이의 주축선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있으며, 측면상의 베벨 (24) 의 경계를 결정하는 부위 (30) 는 뚜껑의 원주를 향해 경사진다. 물받이 직경의 약 1/4 지점에 위치한 밀폐가능한 주둥이가, 또한 상기 뚜껑의 중앙부위 (26) 에 위치한다.
도 5 에 도시된 적층도형에 도시된 것처럼, 뚜껑의 스냅가장자리 (7) 의 바닥가장자리가 미끄럼 베벨 (17) 에 놓여 있으며, 밀봉 리브 (20) 의 바닥가장자리 (35) 는 밀봉부 (11) 를 지지하는 홈 (34) 의 수평다리 (31) 상에 있다. 박스형태의 돌출부 (32) 의 바닥가장자리는 대체로 또는 추가로 상기 뚜껑아래의 돌출부의 상단가장자리위에 놓일 수 있다.

Claims (20)

  1. 스냅뚜껑과, 그 뚜껑이 용기에 물릴수 있도록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된 스냅요소를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로서, 상기 용기에 물리는 뚜껑은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와 단단히 접촉하는 부위를 가지며, 이러한 단단한 접촉하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상기 용기와 상기 뚜껑과의 작용부위가 밀봉영역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용기 (1) 와 뚜껑 (2) 사이의 상기 밀봉영역에는 용기 (1) 및/또는 뚜껑 (2) 보다 탄성이 더 큰 재료로 만들어진 원주 밀봉부 (11) 가 제공되며, 상기 밀봉부 (11) 는 용기 (1) 및/또는 뚜껑 (2) 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2) 은 상기 용기 (1) 의 상단 가장자리 (4) 를 수용하는 원주홈 (34) 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 (11) 는 상기 홈 (34)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 (11) 는 상기 용기의 주축선에 대해 상이한 각을 이루며 떨어져 위치한 2개의 밀봉영역 (11,12) 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1) 또는 상기 뚜껑 (2) 에는, 각각, 상기 밀봉영역의 단단한 접촉하에서 상호작용하는 부위 (4,13)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 (11) 는, 상기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4) 에 대해 방사상으로 내향하며 용기의 내부를 향해 아래로 경사지는 부위와 접촉할 수 있는 부위 (1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 (11) 는, 상기 용기 (1) 의 상단영역과 단단히 접촉하는 용기 가장자리 (4) 를 향해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밀봉리브 (3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부 (11) 와 반대측의 용기 (1) 에는 상기 밀봉부 (11) 와 접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리브 (36)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1) 및 상기 밀봉부 (11) 에는, 리브 (36,37) 형태의 볼록부가 제공되고, 각 볼록부는 상기 뚜껑 (2) 이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용기 (1) 및 밀봉부 (11) 상의 당해 볼록부가 접촉하게 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 (34) 의 베이스는 상기 밀봉부 (11) 를 수용하며 밀봉부 (11) 는 합동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 (11) 의 높이에서, 상기 뚜껑 (2) 위의 밀봉부 (11) 를 수용하는 상기 홈 (34) 의 외부 플랭크 (8) 는 상기 용기의 상기 상단 가장자리 (4) 의 영역에서 용기 (1) 의 외부와 측면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4) 와 인접한 외부면상에는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웨브 (9) 가 일체로 성형되며, 그 웨브의 방사상 팽창은 용기의 벽두께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4) 를 대면하는 스냅요소측의 용기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리브 (16) 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1) 의 상단 영역은 아래로 대면하는 원주상 칼라영역 (5) 을 외부에 가지며, 이 칼라영역은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 (4) 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직접 상단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 칼라영역은, 방사상으로 돌출하며 아래로 대면하는 원주상 칼라영역 (5) 을 구비하며, 이 칼라영역에는 스냅요소 (6) 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2) 은, 상기 밀봉부 (11) 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용기의 내벽과 단단히 접촉하는 원주부위 (2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 영역은, 상기 뚜껑의 밑바닥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원주리브 (20) 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리브 (20) 에 대해 방사상으로 안쪽에 있는 용기의 내벽에는 상기 리브 (20) 의 바닥가장자리를 넘어서 위로 돌출하는 부위 (22) 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2) 은, 당해 뚜껑의 상단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용기의 주축선을 향해 신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25,29) 를 용기의 내벽 (3) 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25,29) 의 상단면이, 상기 용기의 내벽과 단단히 접촉하는 뚜껑의 부위 (20) 로부터 수직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뚜껑의 내부 주위에서 원주상으로 진행하는 방사상 가장자리 (20) 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가장자리 (20) 상에는 안쪽으로-대면하는 돌출부 (29) 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KR10-2002-7013131A 2000-04-01 2001-02-08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KR100538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06093.7 2000-04-01
DE20006093U DE20006093U1 (de) 2000-04-01 2000-04-01 Kunststoffbehälter mit einrastbarem Deckel
PCT/DE2001/000484 WO2001074674A1 (de) 2000-04-01 2001-02-08 Kunststoffbehälter mit einrastbarem deck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268A true KR20030020268A (ko) 2003-03-08
KR100538681B1 KR100538681B1 (ko) 2005-12-23

Family

ID=793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131A KR100538681B1 (ko) 2000-04-01 2001-02-08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020175173A1 (ko)
EP (1) EP1268289B1 (ko)
JP (1) JP3818919B2 (ko)
KR (1) KR100538681B1 (ko)
CN (1) CN1246193C (ko)
AT (1) ATE287363T1 (ko)
AU (1) AU2001239165A1 (ko)
BR (1) BR0109623B1 (ko)
CA (1) CA2404876C (ko)
DE (3) DE20006093U1 (ko)
DK (1) DK1268289T3 (ko)
ES (1) ES2236196T3 (ko)
FR (1) FR2808507B3 (ko)
MX (1) MXPA02009624A (ko)
PT (1) PT1268289E (ko)
RU (1) RU2261203C2 (ko)
UA (1) UA72594C2 (ko)
WO (1) WO2001074674A1 (ko)
ZA (1) ZA2002075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06094U1 (de) 2000-04-01 2000-09-14 Jokey Plastik Gummersbach Gmbh Kunststoffbehälter mit einrastbarem Deckel
US6478183B1 (en) * 2001-04-27 2002-11-12 Sonoco Development, Inc. Lightweight overcap having intermittent nesting and stacking elements
DE10260225B4 (de) * 2002-11-15 2018-01-25 Schoeller Wavin Systems Services Gmbh Behälter aus Kunststoff, insbesondere Eimer
BR0316251A (pt) * 2002-11-15 2005-10-04 Schoeller Wavin Sys Serv Gmbh Recipiente
DE20319163U1 (de) * 2003-12-11 2004-04-15 Groku Kunststoffe Gmbh Mit einem abnehmbaren Deckel verschlossener Behälter
DE102004049225B4 (de) 2004-09-24 2017-03-02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Behälterverschluss für Gefahrengut
JP4657703B2 (ja) * 2004-12-22 2011-03-23 Krh株式会社 運搬用容器
DE202005007586U1 (de) * 2005-05-13 2005-08-04 Rösler, Peter Behälter mit Rastverschluss
DE202005012314U1 (de) * 2005-08-05 2006-03-02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Kunststoffbehälter
AU2007213472B2 (en) * 2006-02-09 2010-06-03 Rubbermaid Incorporated Storage container and container system
AU2007256032B2 (en) * 2006-06-09 2014-06-26 N.V. Nutricia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CA2661895C (en) * 2006-08-25 2012-12-04 David D. Albrecht Square- shaped container with a pivotable bail and a lid
US8403174B2 (en) * 2006-08-28 2013-03-26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Snap resealing closure for a container
KR100899232B1 (ko) 2007-08-27 2009-05-26 임상후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TWM344034U (en) * 2008-04-25 2008-11-11 Han-Dun Huang Anti-bacterium cultivation container
PT2123574E (pt) 2008-05-21 2011-01-24 Groz Beckert Kg Embalagem para agulhas de feltragem
DE102009041727A1 (de) * 2009-09-16 2011-03-1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Gefäß, insbesondere Rührgefäß für eine Küchenmaschine
CA2786320C (en) 2010-04-13 2018-01-16 Ipl Inc. Tamper evident system and method
EP2392521B1 (de) * 2010-06-01 2015-04-01 Wolf PLASTICS Verpackungen GmBH Verpackungseinheit mit Dichtfläche zwischen Behälter und Deckel
US9340330B2 (en) 2010-06-24 2016-05-17 S. C. Johnson & Son, Inc. Storage container lids
USD706131S1 (en) 2011-10-10 2014-06-03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ntainer
CN106061855A (zh) * 2013-10-13 2016-10-26 Rpc舒珀弗斯有限公司 具有改进的密封的容器和盖子
US20150337482A1 (en) 2014-05-20 2015-11-26 Howard Silagy Manually-operated clothes drying apparatus
DE102015106547A1 (de) 2015-04-28 2016-11-03 Sanner Gmbh Behälter mit zwei Dichtabschnitten
USD816923S1 (en) 2015-05-18 2018-05-01 Howard Silagy Washing machine
US9687849B2 (en) * 2015-06-06 2017-06-27 IGU Holdings, LLC Leak proof, air tight plastic container device
CA2936684C (en) * 2015-07-22 2024-01-02 Jacob T. Littlejohns Waterproof dispensing apparatus for rolling paper
DE102015116527B3 (de) * 2015-09-28 2016-09-29 Rpc Bebo Plastik Gmbh Behälter aus Kunststoff für ein Verschließen mit einem Nocken-Drehverschluss
MY190461A (en) 2016-03-04 2022-04-22 Csp Technologies Inc Container and lid
US10273036B2 (en) * 2016-04-06 2019-04-30 Glenn H. Morris, Jr. Open end container with improved seal
JP6771103B2 (ja) * 2016-08-11 2020-10-21 ノーマン タイラー,クレン 改善されたプラスチックコンテナー本体及びコンテナー閉鎖具及びキャリーハンドルグリップ/コンテナーレバー式開放ツールアセンブリ
DE102016223043A1 (de) 2016-11-22 2018-05-24 Henkel Ag & Co. Kgaa Behälter mit Aufsatz
CN106596702B (zh) * 2016-12-27 2020-04-28 西北大学 一种多位溶样装置
US10155609B2 (en) * 2017-03-23 2018-12-18 Bway Corporation Tamper evident tub
CN106816066A (zh) * 2017-03-24 2017-06-09 武汉轻工大学 活塞式压力源流体压强体积温度关系测定实验装置
CN106683543A (zh) * 2017-03-24 2017-05-17 武汉轻工大学 手动压力源能测定多种流体压强体积温度关系的实验装置
CN106781903A (zh) * 2017-03-24 2017-05-31 武汉轻工大学 活塞式压力源测定多种流体压强体积温度关系的实验装置
DE202017107767U1 (de) * 2017-12-20 2019-03-22 Jokey Plastik Gummersbach Gmbh Behälter mit Deckel
CN108082715A (zh) * 2017-12-29 2018-05-29 苏州明强塑料有限公司 一种密封盖及采用该密封盖的容器
CN208281133U (zh) * 2018-02-14 2018-12-25 廖玉连 抽真空装置的锁定机构
CA3131400A1 (en) * 2019-02-26 2020-09-03 Bway Corporation Container and seal assembly
US20220031926A1 (en) * 2020-07-28 2022-02-03 Design Department, Inc. Spherical Canister
EP4032827A1 (en) 2021-01-20 2022-07-27 L'oreal Small wall thickness injected container and screw closure lid
CN114148607B (zh) * 2021-11-23 2022-08-16 江林(贵州)高科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果皮白霜破损的生物可降解气调保鲜盒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9081A (en) * 1938-01-12 1940-07-23 Rocic Ivan Container enclosure
US4296871A (en) * 1979-07-23 1981-10-27 Ring Lock Container S. A. Receptacle with a cover of plastics material
DK549180A (da) * 1980-12-23 1982-06-24 Nigu Pack As Baeger eller boetteformet formstofemballage med paatrykningslaag og fremgangsmaade ved paatrykning af laaget
US4826039A (en) * 1987-09-25 1989-05-02 Landis Plastics, Inc. Container closure with anti-nesting ribs
US5975320A (en) * 1990-08-09 1999-11-02 Portola Packaging, Inc. Tamper-evident closures and container neck therefor
US5163576A (en) * 1991-06-21 1992-11-17 Galer Herbert W Lid and container assembly incorporating camming lid application structure
DE4242370C1 (de) * 1992-12-16 1994-05-11 Schuetz Werke Gmbh Co Kg Mehrwegfaß aus Kunststoff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9403122U1 (de) * 1994-02-25 1994-04-28 Jokey Plastik Wipperfuerth Spritzgegossener Kunststoffeimer mit stapelbarem Deckel
DE19543388A1 (de) * 1995-11-21 1997-05-22 Robert Pappler Behältnis für Speisen, insbesondere zum Servieren, Aufbewahren und Transportieren und ein dafür geeigneter Dichtungskörper
NL1003918C1 (nl) * 1996-08-30 1998-03-04 Dsm Nv Deksel voor een houder met geknikte bovenrand.
DE29705166U1 (de) * 1997-03-21 1997-05-15 Groku Kunststoffe Gmbh Behälter mit einem Deckel aus einem elastischen Material
AU9782698A (en) * 1997-10-02 1999-04-27 M & M Industries, Inc. Open head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6619498B2 (en) * 2000-01-27 2003-09-16 Von Holdt, Jr. John W. Plastic container and lid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8289B1 (de) 2005-01-19
CA2404876A1 (en) 2002-10-01
CA2404876C (en) 2006-09-19
DE10191219D2 (de) 2003-06-05
PT1268289E (pt) 2005-04-29
CN1246193C (zh) 2006-03-22
EP1268289A1 (de) 2003-01-02
ES2236196T3 (es) 2005-07-16
AU2001239165A1 (en) 2001-10-15
DE50105127D1 (de) 2005-02-24
BR0109623A (pt) 2003-02-04
JP2004501836A (ja) 2004-01-22
CN1422224A (zh) 2003-06-04
DE20006093U1 (de) 2000-09-14
DK1268289T3 (da) 2005-05-23
WO2001074674A1 (de) 2001-10-11
MXPA02009624A (es) 2003-10-14
FR2808507B3 (fr) 2002-04-26
FR2808507A3 (fr) 2001-11-09
BR0109623B1 (pt) 2013-05-14
ZA200207587B (en) 2003-09-22
KR100538681B1 (ko) 2005-12-23
US20020175173A1 (en) 2002-11-28
UA72594C2 (en) 2005-03-15
ATE287363T1 (de) 2005-02-15
JP3818919B2 (ja) 2006-09-06
RU2261203C2 (ru)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81B1 (ko)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US6845877B2 (en) Plastic container with snap lid and a sealing web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S6708839B2 (en) Plastic container with snap lid and a sealing web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S6196404B1 (en) Triple seal container with protrusion
KR100396418B1 (ko) 경질의 탭 부재가 마련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뚜껑을포함하는 용기
US4574974A (en) Container having a snap-on lid
US6056138A (en) Triple seal container
CA2579319C (en) Lid and container
US4457447A (en) Plastic pail and lid
US4165020A (en) Closures and container assemblies
US4572399A (en) Plastic container having inwardly formed flange
US20060243735A1 (en) Plastic paint can
GB2240322A (en) Containers with removable lids
TWI549875B (zh) 用來儲存物質的容器以及密封容器的方法
KR200318856Y1 (ko)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CN113710585A (zh) 容器和密封组件
KR100644353B1 (ko) 밀폐형 용기
JP7320980B2 (ja) 容器
JP2021028229A (ja) 包装用容器
CA2229260A1 (en) A container and lid for covering the container
CA2544387A1 (en) Plastic paint 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