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232B1 -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232B1
KR100899232B1 KR1020070086184A KR20070086184A KR100899232B1 KR 100899232 B1 KR100899232 B1 KR 100899232B1 KR 1020070086184 A KR1020070086184 A KR 1020070086184A KR 20070086184 A KR20070086184 A KR 20070086184A KR 100899232 B1 KR100899232 B1 KR 10089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ling member
sealed case
cavity
fixe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562A (ko
Inventor
임상후
Original Assignee
임상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후 filed Critical 임상후
Priority to KR102007008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2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 케이스 제조용 금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가전 제품의 케이스의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에 실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를 밀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 밀폐기능을 갖도록 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실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물품을 보호하는 제2커버와,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의 결합선상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케이스, 커버, 실링, 금형, 사출, 캐비티, 방수, 밀폐

Description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SEALING CAS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를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와, 일반 밀폐케이스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의 제1커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의 작동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제1커버
13 : 실링부재 14 : 기능조작판
16 : 제2커버 17 : 안착홈
50 : 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 52 : 고정측부착판
53 : 제1탕구 54 : 제2탕구
56 : 고정측원판 57, 59 : 런너
58, 60 : 게이트 62 : 상부홈부
64 : 이동측원판 65 : 돌출코어
66 : 하부홈부 67 : 보조돌출코어
68 : 보조홈부 70 : 가동측원판
72 : 가동측부착판 74 : 이젝트핀
100 : 제1캐비티 200 : 제2캐비티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을 위한 실링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전 제품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내부 부품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는 크게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내부의 부품들의 방수를 위해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실링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며, 링 또는 판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링부재는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내부를 밀폐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는 상기 전면 커버 또는 상기 후면 커버에 실링부재를 결합하는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는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모양이 변형되는 특성에 의해 쉽게 끼워 넣기가 어렵고, 조립작업시 상기 실링부재가 움직이거나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시 많은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종래에는 밀폐케이스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가 누락되거나, 실링부재가 균일한 압력을 받지 못할 경우 밀봉력이 균일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에 실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를 밀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 밀폐기능을 갖도록 한 밀폐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실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는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는 밀폐케이스로서, 상기 밀폐케이스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물품을 보호하는 제2커버와,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의 결합선상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전 제품 밀폐케이스이고,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조작을 위한 기능조작판이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기능조작판 사이를 밀봉하도록 사출성형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는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는 밀폐케이스로서, 상기 밀폐케이스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물품을 보호하는 제2커버와,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한 쪽의 결합선상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실링부재와,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가전 제품 밀폐케이스이고,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조작을 위한 기능조작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상기 휴대용 가전 제품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조작판이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기능조작판 사이를 밀봉하도록 사출성형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는 이종(異種) 연질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용융액이 공급되는 제1 및 제2탕구가 마련된 고정측부착판과, 상기 고정측부착판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탕구와 연결되는 각각의 런너 및 게이트를 갖고, 상기 제1탕구와 연결된 게이트와 연결되며 밀폐케이스의 제1커버와 대응하는 제1캐비티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홈부를 갖는 고정측원판과, 상기 고정측원판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상부홈부와 함께 제1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홈부 및 상기 제2탕구와 연결된 게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1캐비티에 사출성형된 제품의 하단과 맞닿아 제2캐비티를 형성하는 보조홈부를 갖는 이동측원판과, 상기 이동측원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캐비티 또는 상기 제2캐비티가 각각의 게이트와 맞닿도록 상기 이동측원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동측원판과, 상기 가동측원판의 하부에 마련된 가동측부착판을 포함하는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제1탕구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런너 및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제1캐비티로 주입하여 제1커버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측부착판 및 상기 고정측원판을 분리하고 상기 이동측원판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측부착판 및 상기 고정측원판을 상기 이동측원판과 밀착시키고, 상기 제2탕구에 다른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러너 및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제2캐비티로 주입하여 실링부재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측부착판 및 상기 고정측원판을 분리하여 사출성형된 제1커버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기능조작판을 결합한 후, 상기 제1커버와 상기 기능조작판 사이의 틈새가 밀봉되도록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이종(異種) 연질수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를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분리된 사시도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와, 일반 밀폐케이스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의 (a)와 (b)는 도 3의 A와 B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이동 또는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밀폐케이스(10)는 외관 전면을 형성하는 제1커버(12)와, 상기 제1커버(12)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물품을 보호하는 제2커버(1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커버(12) 또는 상기 제2커버(16)의 결합선상에는 실링부재(13)가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실링부재(13)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이종(異種)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링부재(13)가 다른 쪽 커버의 결합면에 가압되며 내부를 밀폐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13)는 상기 제1커버(12) 또는 상기 제2커버(16) 중 어느 한 쪽에 사출성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 커버로 사용되는 제1커버(12)의 결합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커버(16)에는 상기 실링부재(13)가 삽입되며 안착되는 안착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케이스(10)는 도 3 및 도 4의 (a)와 같이, 내부에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휴대용 가전 제품의 밀폐케이스(10)일 수 있고, 도 3 및 도 4의 (b)와 같이, 식품 등을 보관하거나 일반 용기용 밀폐케이스(20)인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 및 도4의 (a)와 같이, 상기 밀폐케이스(10)가 휴대용 가전 제품용 밀폐케이스(10)로 사용될 경우, 상기 제1커버(12)의 내측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휴대용 가전 제품의 전자부품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조작판(14)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조작판(14)의 하단부는 상기 제1커버(12)의 하단부와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실링부재(13)는 상기 제1커버(12)의 하단부와 상기 기능조작판(14)의 하단부에 맞닿도록 사출성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버(12)와 상기 기능조작판(14)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b)와 같이, 식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케이스(20)는 제1커버(22)와 제2커버(26)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밀폐케이스(20)의 결합선상에 실링부재(23)가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한쪽의 안착홈(27)에 안착되며 내부를 밀폐한다. 더불어, 상기 밀폐케이스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50)를 도시한 단면도인 도 5 및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50)의 작동순서도인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50)는 용융액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측부착판(5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측부착판(52)은 각각 다른 재질의 용융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탕구(53) 및 제2탕구(5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측부착판(52)의 하부에는 고정측원판(56)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측원판(56)에는 상기 제1탕구(53) 및 상기 제2탕구(54)와 각각 연결되는 런너(57, 59)가 형성되고, 각각의 런너(57, 59)에는 게이트(58, 60)가 연결되어 용융액을 공급한다. 상기 고정측부착판(52)과 상기 고정측원판(56)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런너(57, 59) 및 상기 게이트(58, 60)에 잔류된 용융액 의 사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측원판(56)에는 상기 제1탕구(53)와 연결된 게이트(58)와 연결되는 상부홈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홈부(62)는 제품의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1캐비티(100)의 상부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고정측원판(56)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측원판(64)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측원판(64)에는 상기 제1캐비티(100)의 하부면을 이루는 하부홈부(66)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이동측원판(64)에는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캐비티(100)를 형성하는 상부홈부(62)와 맞닿아 제2캐비티(200)를 형성하는 보조홈부(68)가 마련된다. 상기 제2캐비티(200)는 상기 제2탕구(54)와 연결된 게이트(60)와 연결되며, 상기 제2탕구(54)로부터 공급된 용융액을 상기 제1캐비티(100)에 사출성형된 제품의 하부에 일체로 사출성형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탕구(53)를 통해 상기 제1캐비티(100)로 공급되는 용융액은 가소성수지로 이루어져, 사출후 경화된다. 한편, 상기 제2탕구(54)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액은 경화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이종(異種) 연질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캐비티(200)에 사출성형된 제품은 상기 제1캐비티(100)에 사출성형된 제품과 일체화되며, 상기 제1커버(12)와 결합되는 제2커버(16)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며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측원판(64)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측원판(64)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측원판(70)이 마련된다. 상기 가동측원판(70)은 상기 이동측원판(64)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제1캐비티(100) 또는 상기 제2캐비티(200)가 각각의 게이 트(58, 60)와 순차적으로 맞닿도록 일치시킨다.
한편, 상기 이동측원판(64)에는 제품의 내측을 형성하기 위해 제품의 내측형상과 대응하는 돌출코어(65)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코어(65)는 상기 제1캐비티(10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이동측원판(64)에는 상기 이동측원판(64)이 이동한 후, 상기 제1캐비티(100)의 제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돌출코어(67)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돌출코어(67)와 상기 제1캐비티(100) 사이에는 상기 돌출코어(65)에 의해 형성된 사출물의 내측에 다른 사출물을 더 결합할 수 있도록 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돌출코어(67)에 다른 제품을 결합한 상태로 상기 이동측원판(64)을 상기 고정측원판(56)의 상부홈부(62)에 삽입하면, 상기 제1캐비티(100)에 사출된 제품과 다른 제품이 결합되고,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2캐비티(200)와 동시에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캐비티(200)에 사출성형되는 사출물이 각각의 제품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가동측원판(70)의 하부에는 가동측부착판(72)이 마련된다. 상기 가동측원판(70)은 상기 이동측원판(64)에는 상기 제1캐비티(100)에 사출성형된 제품을 탈거하기 위한 사출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사출수단은 상기 이동측원판(64)과 상기 가동측원판(70)을 관통하여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젝트핀(74)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측부착판(52) 및 상기 고정측원판(56)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젝트핀(74)이 사출성형기 이젝트기구에 의해 상승하며 사출성형된 제품을 밀어 올리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이젝트핀(74)은 캐비티의 수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50)는 2개의 탕구, 즉 상기 제1탕구(53)와 상기 제2탕구(54)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고, 다수의 제품을 동시에 가공하기 위해 상기 제1탕구(53) 및 상기 제2탕구(54)와 연결되는 각각의 런너(57, 59), 게이트(58, 60) 및 제1캐비티(100)와 제2캐비티(200)도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50)를 이용한 밀폐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전술된 금형을 이용하여 밀폐케이스(10)의 제1커버(12) 또는 제2커버(16)를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커버(12) 또는 상기 제2커버(16)의 결합선상에 실링부재(13)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실링부재(13)가 상기 제1커버(12)에 사출성형될 경우, 상기 제1커버(12)와 상기 제2커버(16)를 조립하면, 상기 실링부재(13)가 상기 제2커버(16)의 결합면에 밀착되며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링부재(13)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이종(異種)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밀폐케이스(10)의 제1커버(12)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50)를 설치하고, 제1탕구(53)에 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용융액을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1탕구(53)로 공급된 용융액은 상기 고정측부착판(52)의 하부에 마 련된 고정측원판(56)의 런너(57) 및 게이트(58)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게이트(58)는 고정측원판(56)에 형성된 상부홈부(62) 및 이동측원판(64)에 형성된 하부홈부(66)에 의해 형성된 제1캐비티(100)와 연결되며, 상기 용융액을 상기 제1캐비티(100)로 공급하여 제1커버(12)를 사출성형한다. 이때, 상기 이동측원판(64)에는 상기 제1캐비티(10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돌출코어(65)가 설치되어, 상기 제1커버(12)의 내측면을 성형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측부착판(52)과 상기 고정측원판(56)을 분리하고 상기 런너(57) 및 상기 게이트(58)에 남아 있는 용융액의 고형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측원판(64)을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측원판(64)의 보조돌출코어(67)에 상기 제1커버(12)의 내측에 결합되는 기능조작판(14)을 끼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측부착판(52)과 상기 고정측원판(56)을 내려 금형이 맞물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금형이 재조립되면, 상기 고정측부착판(52)의 제2탕구(54)에 이종(異種) 연질재질로 이루어진 용융액을 주입한다. 상기 제2탕구(54)로 공급된 이종(異種) 연질의 용융액은 런너(59) 및 게이트(60)를 통해 상기 이동측원판(64)에 제2캐비티(200)를 형성하는 보조홈부(68)로 주입된다. 상기 보조홈부(68)는 상기 제1캐비티(100)에 사출성형된 제1커버(12) 및 상기 제1커버(12)의 내측에 결합된 기능조작판(14)의 하단부에 맞닿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60)로부터 주입된 연질의 용융액이 상기 제1커버(12)와 상기 기능조작판(14) 사이의 틈을 밀폐하며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캐비티(200)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연질의 용융액은 상기 제1커버(12)의 하부에 실링부재(13)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측부착판(52) 및 상기 고정측원판(56)을 분리함과 동시에 사출수단을 작동시켜 제1커버(12)를 탈거한다. 즉, 상기 사출수단인 이젝트핀(74)이 상승하며 상기 제1캐비티(100)에 성형된 상기 제1커버(12) 및 상기 제2캐비티(200)에 성형된 불필요한 부분과 상기 런너(59), 게이트(60)에 성형된 부분을 제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은 휴대용 가전 제품의 밀폐케이스의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에 실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실링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별도의 실링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불편함이 없으며, 내부를 쉽고, 신뢰성 있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케이스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이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연속적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실링부재를 조립하는 과정 또한 자동화가 가능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실링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조립 또는 누락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부위가 복잡한 형상에도 실링부재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밀폐케이스를 더욱 간편하게 설계할 수 있고, 복잡한 형상의 밀폐케이스를 신뢰성있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부재가 밀폐케이스로부터 이탈되거나 분실되지 않으므로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며, 재차 반복하여 조립하더라도 밀폐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는 밀폐케이스로서,
    상기 밀폐케이스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물품을 보호하는 제2커버와,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의 결합선상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전 제품 밀폐케이스이고,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조작을 위한 기능조작판이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기능조작판 사이를 밀봉하도록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케이스.
  2.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는 밀폐케이스로서,
    상기 밀폐케이스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물품을 보호하는 제2커버와,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한 쪽의 결합선상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실링부재와,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가전 제품 밀폐케이스이고,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조작을 위한 기능조작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상기 휴대용 가전 제품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조작판이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기능조작판 사이를 밀봉하도록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이종(異種) 연질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케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용융액이 공급되는 제1 및 제2탕구가 마련된 고정측부착판과, 상기 고정측부착판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탕구와 연결되는 각각의 런너 및 게이트를 갖고, 상기 제1탕구와 연결된 게이트와 연결되며 밀폐케이스의 제1커버와 대응하는 제1캐비티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홈부를 갖는 고정측원판과, 상기 고정측원판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상부홈부와 함께 제1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홈부 및 상기 제2탕구와 연결된 게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1캐비티에 사출성형된 제품의 하단과 맞닿아 제2캐비티를 형성하는 보조홈부를 갖는 이동측원판과, 상기 이동측원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캐비티 또는 상기 제2캐비티가 각각의 게이트와 맞닿도록 상기 이동측원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동측원판과, 상기 가동측원판의 하부에 마련된 가동측부착판을 포함하는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제1탕구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런너 및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제1캐비티로 주입하여 제1커버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측부착판 및 상기 고정측원판을 분리하고 상기 이동측원판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측부착판 및 상기 고정측원판을 상기 이동측원판과 밀착시키고, 상기 제2탕구에 다른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러너 및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제2캐비티로 주입하여 실링부재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측부착판 및 상기 고정측원판을 분리하여 사출성형된 제1커버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케이스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커버의 내측에 기능조작판을 결합한 후, 상기 제1커버와 상기 기능조작판 사이의 틈새가 밀봉되도록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케이스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이종(異種) 연질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0070086184A 2007-08-27 2007-08-27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89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184A KR100899232B1 (ko) 2007-08-27 2007-08-27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184A KR100899232B1 (ko) 2007-08-27 2007-08-27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743A Division KR20090023323A (ko) 2008-12-01 2008-12-01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62A KR20090021562A (ko) 2009-03-04
KR100899232B1 true KR100899232B1 (ko) 2009-05-26

Family

ID=4069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184A KR100899232B1 (ko) 2007-08-27 2007-08-27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95B1 (ko) * 2012-12-31 2014-10-14 장준영 휴대폰 방수 케이스
JP6011392B2 (ja) 2013-02-28 2016-10-19 富士通株式会社 防水筺体及び防水筺体の製造方法
KR200477075Y1 (ko) * 2014-10-02 2015-05-13 임창수 전면 커버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보호 케이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164A (ja) * 1988-09-14 1990-03-26 Asahi Chem Ind Co Ltd 蓋付き容器
KR20000006942U (ko) * 1998-09-24 2000-04-25 김종국 식품용기 뚜껑의 밀폐구조
KR200197515Y1 (ko) 2000-03-30 2000-09-15 김창근 용기
KR200300523Y1 (ko) 2002-10-02 2003-01-10 (주)명문엘씨 뚜껑에 잠금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밀폐용기
KR20040066245A (ko) *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뉴라이프 밀폐용기의 기밀구조
KR100538681B1 (ko) 2000-04-01 2005-12-23 요카이 플라스틱 굼머스바흐 게엠베하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KR100794429B1 (ko) 2006-12-06 2008-01-16 김종선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164A (ja) * 1988-09-14 1990-03-26 Asahi Chem Ind Co Ltd 蓋付き容器
KR20000006942U (ko) * 1998-09-24 2000-04-25 김종국 식품용기 뚜껑의 밀폐구조
KR200197515Y1 (ko) 2000-03-30 2000-09-15 김창근 용기
KR100538681B1 (ko) 2000-04-01 2005-12-23 요카이 플라스틱 굼머스바흐 게엠베하 스냅뚜껑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KR200300523Y1 (ko) 2002-10-02 2003-01-10 (주)명문엘씨 뚜껑에 잠금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밀폐용기
KR20040066245A (ko) *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뉴라이프 밀폐용기의 기밀구조
KR100794429B1 (ko) 2006-12-06 2008-01-16 김종선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62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717B1 (ko) 사출 금형 및 이를 이용하는 사출 성형 방법
KR100899232B1 (ko)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20100178376A1 (en) Injection mold device
KR101256853B1 (ko) 합성수지물의 이중사출성형방법
CA25675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injection unit and sprue
KR100706424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4434276B2 (ja) 2色成形方法
KR20090023323A (ko)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
JP3232048B2 (ja) 2材質からなる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US20100166907A1 (en) Injection mold having workpiece trimming edge
KR100636804B1 (ko) 휴대폰의 이형부재 조립품 제조방법
KR101813677B1 (ko) 사출 성형 장치
JP2009143015A (ja) 金型装置
KR100582818B1 (ko) 이중 각도의 언더컷 빼기용 슬라이드코어 구조
KR100549394B1 (ko) 인 몰드 성형용 런너장치
KR101204484B1 (ko) 램프 렌즈 제조용 금형 및 상기 램프 렌즈의 제조방법
KR102087617B1 (ko) 금형조립체
EP202798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of two plastic materials
KR101587710B1 (ko) 라디에이터 박스 또는 인터쿨러 박스의 제조 방법
CN211194699U (zh) 免热熔的导光按键注塑模具
KR100441411B1 (ko) 자동차의 공기정화기용 어퍼케이스 사출 성형장치
JP6603843B1 (ja) 射出成形装置、および射出成形装置制御プログラム
KR200293874Y1 (ko) 이중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되는 핸드폰의 키패드
JP3776574B2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KR20050102953A (ko) 돌출 코어에 의한 사출 금형의 개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