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414A - 복합관 - Google Patents

복합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414A
KR20030017414A KR1020020049990A KR20020049990A KR20030017414A KR 20030017414 A KR20030017414 A KR 20030017414A KR 1020020049990 A KR1020020049990 A KR 1020020049990A KR 20020049990 A KR20020049990 A KR 20020049990A KR 20030017414 A KR20030017414 A KR 2003001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tube
pipe
resin lay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모리고지로
나가시마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623/06PE, i.e. polyethylene
    • B29K2623/0691PEX, i.e. crosslinked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조면화된 수지관(12)의 바깥표면에 압출발포법으로써 발포수지층(14)을 형성한 복합관(15).

Description

복합관{COMPOSITE TUBE}
본 발명은, 수지관의 바깥표면에 발포수지층을 형성한 복합관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공업용의 고온유체이송관 혹은 급탕관, 난방관 등의 송수관, 그리고 냉매용 배관 등으로서 바람직한 단열성, 보온성이 뛰어난 수지복합관에 관한 것이다.
금속, 수지 등의 관형상체의 둘레에 발포수지층을 피복한 복합관이 알려져 있고, 그 단열·보온성이나 차음성을 살려 급탕관, 난방관 등에 사용되고 있다.
관에 발포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종래로부터 여러가지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48-31165호나 특개소 50-18576호에서는, 미리 발포시킨 시트를 장방형형상으로 절단하고, 이 장방형형상 발포시트의 길이 방향의 끝단부끼리를 열융착하여, 관에 피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작성한 복합관은, 열융착한 발포시트 끝단부의 깨짐, 소위 접합부분의 깨짐이 큰 문제가 되고 있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단열 테잎을 관의 바깥둘레면에 나선형상으로 두루 감아 피복하는 방법도 주지이지만, 이 테잎형상물은 열이력에 의해 박리하기 쉬운 결점이 있다.
한편, 일본 특개소58-102895호에는, 크로스헤드 다이로부터 압출발포함과 동시에, 크로스헤드내의 관용통로를 통과해 온 수지관에 발포수지층을 피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작성한 복합관에는, 발포수지층에 열융착의 이음매가 없어, 접합부분의 깨짐 문제는 없다.
압출발포법으로 수지관에 발포수지층을 피복형성하는 압출발포법에서는, 압출기내에서 수지중에 가스를 용해·분산시켜, 다이로부터 수지를 압출함과 동시에 압력차에 의해서 가스를 팽창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압출발포법으로 수지관에 발포체를 피복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 1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크로스헤드(10)의 수지관용통로(11)에 수지관(12)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이것과는 수직인 수지공급구멍으로부터 고리형상 수지용 통로(13)를 통과해 온 수지를 압출발포시키고, 동시에 발포수지층(14)을 수지관(12)에 피복하여, 복합관(15)을 얻는다. 화살표(17)는 수지공급구멍에의 공급수지를 나타낸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종래의 복합관의 단면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면중, (23)은 발포수지체내의 기포의 1개를 꺼내어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24)는 발포가스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부호는같은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압출발포법으로 관형상체에 발포수지층을 피복한 경우, 다이로부터 압출된 후의 냉각에 의해 발포수지가 수축하여, 내관과 발포수지층이 강고하게 밀착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내관과 발포수지층이 강고하게 밀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복합관을 급탕관이나 난방관으로서 단독주택이나 맨션에 배관할 경우, 혹은 통신기나 전산기 등의 고발열기기의 냉각에 대응하는 공조기에의 냉매용으로 배관하는 경우 등, 복합관끼리를 접속하거나, 복합관을 헤더에 접속할 필요가 아무래도 생긴다. 이들 접속일 때에는, 통상, 복합관의 끝단부로부터 발포수지층의 일부를 벗겨 내고, 내관을 노출시켜, 노출한 관의 끝단부에 접속용 치구를 장착하고 나서 접속을 행한다. 그러나, 내관과 발포수지층의 밀착이 지나치게 강하면 발포수지층을 인력(人力)으로 완전히 박리,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하는 것이다.
상기 내관이 동관이나 강관이라고 하는 금속관의 경우에는, 제조시에, 관을 버너 등으로 미리 가열함으로써, 발포수지층의 열수축을 억제하고, 내관과 발포수지층과의 계면밀착력을 약하게 하는 것은 가능하였다. 그러나, 수지관인 경우에는 관의 열변형의 문제 때문에, 가열에 의해 밀착력을 약하게 할 수 없었다.
수지제의 내관과 발포수지층과의 밀착력을 약하게 하는 기술로서는 일본 실공소 61-28558호가 있다. 이 고안에서는, 폴리부텐관에 압출발포법으로 발포폴리에틸렌을 피복한 경우, 폴리부텐과 폴리에틸렌발포체의 박리성이 좋다고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폴리부텐과 폴리에틸렌발포체의 조합밖에 사용할 수 없고, 범용성이 없어 다른 수지를 채용할 수가 없었다.
덧붙여 다음의 문제도 있었다. 즉, 상기의 종래의 압출발포법으로 수지가 다이로부터 압출되면, 수지중에 용해되어 있던 가스중 대부분은 기포의 형성에 사용되지만, 가스의 일부는 발포수지층의 바깥표면으로부터 대기중으로 확산하고, 다른 일부는 수지관과 발포수지와의 계면(25)으로 확산한다[도 2에서는, 계면(25)은 빈틈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설명을 위해서이고 실제는 계면은 접하고 있다).
이 때,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사이가 강고하게 밀착하고 있으면,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계면에 안정적으로 가스가 확산할 수 없고, 확산할 수 없었던 가스의 압력이 어느 임계점을 넘으면 종종 거대기포(26)를 계면(25)에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밀착정도가 낮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또한 거대기포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는 복합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함께 고려함으로써, 하기의 기재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관의 제조에 사용하는 수지관에 발포수지층을 피복하는 크로스헤드부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복합관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관의 인발력(引拔力) 측정용의 샘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복합관의 인발력을 측정하는 치구의 예와 측정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관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관의 연속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관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로스헤드 11 : 수지관용통로
12, 121, 122 : 수지관 13 : 수지용 통로
14 : 발포수지층 15 : 복합관
16 : 미세한 요철 17 : 화살표
23 : 발포수지체내의 기포의 1개를 꺼내어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
24 : 발포가스의 흐름 25 : 계면
26 : 거대기포 41 : 치구
42 : 손잡이구 61 : 수지관용 압출기
62 : 발포수지용 압출기 64 : 전자선가교장치
65 : 냉각수조 71, 73 : 코일
72 : 온욕 74 : 에어 블로우 장치
621 : 가스 주입구 622 : 크로스헤드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수지관의 주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함에 따라 거대기포의 발생이 억제됨과 동시에, 수지관의 밀착성을 적절히 저하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자세한 메카니즘은 불분명하지만, 미세한 요철에 의해서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그 빈틈에 가스가 안정적으로 확산하기 쉽게 되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조면화(粗面化)된 수지관의 바깥표면에 압출발포법으로 발포수지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2) 상기 수지관의 바깥표면이 멜트 프랙쳐에 의해 조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에 기재된 복합관,
(3) 상기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이 동종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항에 기재된 복합관,
(4) 상기 수지관이 가교 폴리에틸렌계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관,
(5) 상기 발포수지층이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관,
(6) 상기 압출발포법이 탄산가스압출발포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관, 및
(7) 조면화된 수지관의 바깥표면의 거칠기가, 중심선 평균거칠기로 1㎛이상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복하는 발포수지층의 발포배율은 특히 제한은 없지만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배율이 2배 이상이면, 가스량이 충분하고, 인력으로 발포수지층을 관으로부터 용이하게 뽑을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빈틈을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사이에 만들어 내기 쉬워, 필요로 하는 단열성, 보온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스의 확산을 강화하기 위해서 발포배율은 3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지, 발포배율이 너무 커지면(예를 들면 20배 이상에서는),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틈에 많은 가스가 확산하여 거대기포가 형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인력에 의한 뽑아내기가 특히 쉬운 관의 인발력(引拔力)은 5kgf이하이다. 그러나, 약간의 전단응력으로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는, 더 큰 인발력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관의 바람직한 인발력은 10∼0.5kgf, 보다 바람직하게는 6∼1kgf이다.
여기서 관의 인발력(引拔力)이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관으로부터 발포수지층의 길이가 30cm의 샘플을 5개 꺼내어, 23℃의 항온실내에 48시간 방치한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구(41)에 배치하고, 치구(41)와 함께 인장시험기의 손잡이구(42)에 설치하고, 23℃에서 200mm/분의 속도로 잡아 당겼을 때의 힘의 최대치를 5개의 샘플로 평균한 값으로 한다. 한편, 도 1∼7의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는 같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관의 바깥표면은 조면화(粗面化)된 것이다. 그 거칠기는, 중심선평균 거칠기가 1㎛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중심선평균 거칠기가 너무 작으면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이 밀착해 버려, 수지중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가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계면에 안정적으로 확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한편, 중심선평균거칠기가 너무 커지면 수지관 표면의 볼록부의 앤커효과에 의해, 오히려 발포수지층은 뽑아 내기 어렵게 된다. 뽑아 내는 것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2∼15㎛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10㎛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중심선평균 거칠기(Ra)란, 일본공업규격 JIS B 0601-표면거칠기의 정의 및 표시-에 기재된 중심선 평균거칠기인 것을 나타낸다. 즉,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중심선의 방향에 측정길이 l(엘) 부분을 빼내고, 이 빼낸 부분의 중심선을 X축, 세로배율의 방향을 Y축으로 하여, 거칠기 곡선을 y=f(x)로 나타내었을 때, 다음 식에 의해서 구해지는 값을 마이크로미터(㎛)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수지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조면화하기 위해서는, 수지관을 압출성형한 직후에 표면에 주름을 전사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주름의 전사압력 때문에 관의 치수를 정확히 내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관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으로서, 원료수지를 융점에 가까운 저온으로 압출 성형할 때에, 약간 멜트 프랙쳐를 일으키는 것으로 표면을 거칠게 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주름 전사법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를들어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다.
또, 멜트 프랙쳐란 압출 불안정현상의 하나로 압출된 용융물의 표면이 물결치는 현상이다. 이 물결의 파장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표면이 크게 꾸불꾸불 하는 것이나, 1mm 이하의 미세 파장의 물결이 표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멜트 프랙쳐가 일어나는 원인은 현재도 정확하지 않지만, 다이 출구 부근의 전단응력이 어느 역치를 넘으면 수지가 다이의 벽에 밀착하거나 미끄러지거나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여겨지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관의 내관인 수지관의 원료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폴리프로필렌이나 이들을 가교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환경에의 영향 등을 고려하면 내열변형성이 뛰어 난 가교 폴리에틸렌계가 바람직하다.
가교 폴리에틸렌계수지로서는, 가교 폴리에틸렌수지단체 외에, 가교 폴리에틸렌수지와 다른 폴리올레핀계수지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틸렌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수지층의 원료로서는, 발포성형체의 소재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사용가능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고무 및 이들 수지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이다.
사용되는 수지원료는, 내관인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이 같은 것이어도 틀린 것이어도 좋지만, 오히려 같은 쪽이 제조시의 준비, 취급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이 동일종류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발포수지층을 뽑아 낼 수 있는 복합관을 제공할 수 있다.
발포제로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등의 무기물이나 니트로조화합물, 아조화합물 등의 유기물 등의 열분해형 발포제 및 메탄올, 에탄올 등의 유기휘발형발포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열분해형발포제는 분해잔사가 발포수지층중에 남고, 유기휘발형발포제는 대규모의 방폭설비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발포성, 환경에의 영향 등을 고려하면 탄산가스, 질소가스 등의 무기가스가 바람직하고, 발포배율을 올리기 쉬운 등의 점에서 탄산가스가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출발포법은, 탄산 가스압출발포법이 적합하다.
수지관 및 피복층을 형성하는 수지에는, 더욱 필요에 따라서, 열안정제, 가공조제, 활제, 충격개질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안료 등이 적절히 첨가되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관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관(12)의 바깥표면에는 미세한 요철(1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지관(12)의 바깥둘레면에 발포수지층(14)이 피복되어, 본 발명의 복합관(15)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포수지층(14)의 바깥둘레부에는, 내외상성과 내마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미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51)를 씌우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발포수지층을 형성한 복합관의 제조법의 일례를, 도 6에나타내는 설명도에 따라서 서술한다. 수지관(12)을 수지관용 압출기(61)로 압출성형하고, 그 때 수지관(12)에 멜트 프랙쳐에 의해서 그 바깥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고, 그 직후에 냉각수조(65)로써 냉각한다. 계속해서 발포수지용 압출기 (62)로부터의 수지를 크로스헤드(622)로부터 압출하여 수지관(12)에 발포수지층을 피복한다. 이 압출발포법 자체는 도 1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발포제로서 화학발포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수지와 함께 발포제를 압출기(62)의 호퍼에 공급한다. 한편, 탄산 가스나 질소가스에 의한 발포의 경우는, 압출기(62)의 측면에 설치된 가스주입구(621)로부터 적절한 압력으로 발포제인 가스를 주입한다.
수지관에 가교를 실시한 경우에는, 압출기(61) 또는 냉각수조(65)를 나간 직후에 전자선가교장치(64)로써 가교를 하고, 압출기(62)로 발포수지층을 피복하면, 상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복합관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이 좋다.
비싼 전자선가교장치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는, 약간 생산효율은 떨어지지만, 수지관을 가교하는 공정과 발포수지층을 피복하는 공정을 따로따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기(61)로부터 실란가교성의 수지관(121)을 압출하고, 코일(71)로서 감아서 꺼낸다. 이 경우 압출기(61)로부터 수지관 (121)을 압출성형할 때에 멜트 프랙쳐에 의해 수지관 바깥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한다. 이 코일(71)을 온욕(72)에 담그고 수지관을 실란가교시켜, 실란가교한 코일(73)로부터 압출기(62)에 수지관을 공급하여, 도 1에 나타낸 압출발포장치를 사용하여 복합관(15)을 얻을 수 있다. 압출기(62)로서는 화학발포제로 수지를 발포시켜도 좋고, 가스주입구(621)로부터 탄산가스나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수지를 발포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복합관은, 알맞은 거칠기를 가진 수지관의 바깥표면을 압출발포법으로써 발포수지층을 형성한 복합관이기 때문에, 단열성, 보온성을 가진 것은 물론, 접합부분의 깨어짐의 걱정이 없고, 관을 뽑아내는 것이 사람의 손으로 가능하고, 극히 시공성이 양호하므로 거대기포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제조는 멜트 프랙쳐에 의한 수지관의 바깥표면의 조면화를 이용하면, 이것을 압출발포법을 조합시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일반적인 조면화법에 따른 수지관의 변형을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관은, 제조가 염가로 용이하고, 특히 급탕관, 난방관 등의 송수관이나 공기조절기에의 냉매용 배관으로서 적합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 및 도 7에서 설명한 압출피복성형장치를 사용하여 복합수지관을 제조하였다. 압출기(61)로서 Ø100mm의 단축압출기를 사용하고, 압출기(62)로서 Ø65mm의 단축압출기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실란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수지관성형재료를 조제하고, 아울러 압출기(61)의 실린더 온도를 140℃∼180℃로, 다이 온도를 140℃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이 수지관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압출기(61)로부터 수지를 관형상으로 압출하고, 이리하여 안지름 6.5mm, 바깥지름 10mm의 수지관(121)을 얻었다. 수지관(121)의 표면에는 멜트 프랙쳐에 의한 중심선 평균거칠기 6㎛의 요철을 형성하였다. 이 수지관(121)을 감아 코일(71)로 하였다.
다음에, 코일(71)을 온욕(72)에 8시간 담그고, 수지를 실란가교시켜, 가교한 수지관(122)을 얻었다.
한편, 멜트 플로레이트가 3.0g/min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1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발포수지성형재료를 조제하고, 아울러 압출기(62)의 실린더 온도를 120∼170℃로 설정하였다. 압출기(62)의 중간부에 설치된 탄산 가스공급밸브(621)로부터 수지토출량의 1중량부에 해당하는 탄산가스를 공급하였다.
그리고, 가교된 수지관(122)을 크로스헤드(622) 속을 통과시키고, 동시에 압출기(62)로부터 발포수지성형재료와 탄산가스의 용융혼련물도 크로스헤드(622)에 공급하여, 수지관의 주위에 용융혼련물을 피복하면서 압출하였다.
크로스헤드(622)의 출구 바로 뒤에 설치한 에어 블로우 장치(74)로써 복합관의 표면을 냉각하는 것으로 복합관(15)을 얻었다.
이리 하여,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수지관(12)의 바깥둘레면에 두께 5mm, 발포배율 4배의 발포수지층(14)이 피복된 바깥지름 20mm의 복합관(15)을 얻었다.
(실시예 2)
수지관 및 발포체의 재료는 실시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고, 같은 방법으로 발포수지의 발포배율만 1.5배로 변경하여 수지관에 발포수지층을 피복형성하여 복합관을 얻었다.
(실시예 3)
수지관 및 발포체의 재료는 실시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고, 수지관의 중심선 표면거칠기만 0.5㎛로 변경하여, 수지관에 발포수지층을 형성한 복합관을 얻었다.
(실시예 4)
수지관 및 발포체의 재료는 실시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수지관의 중심선 표면거칠기만 25㎛로 변경하고, 수지관에 발포수지층을 형성한 복합관을 얻었다.
각 실시예로 얻어진 복합관에 대하여, 상술한 측정방법, 평가방법으로써, 표면거칠기 및 인발력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1 2 3 4
발포배율 4 1.5 4 4
내관표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 6 6 0.5 25
내관의 인발력(kgf) 3 10 7 8
표 1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쪽의 실시예의 복합관의 인발력이나 사람 손으로, 발포수지층을 내관으로부터 뽑아 내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특히 발포배율을 4배, 표면거칠기를 6㎛의 범위로 한 실시예 1의 것이 뽑아내는 것이 매우 용이하였다.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와 함께 설명하였지만, 우리들은 특히 지정하지 않는 한 우리들 발명을 어느 세부에 있어서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지 않고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의 밀착정도가 낮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또한 거대기포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는 복합관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조면화된 수지관의 바깥표면에 압출발포법으로써 발포수지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관의 바깥표면이 멜트 프랙쳐에 의해 조면화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관과 발포수지층이 동종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관이 가교 폴리에틸렌계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층이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발포법이 탄산 가스압출발포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면화된 수지관의 바깥표면의 거칠기가, 중심선 평균거칠기로 1㎛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관.
KR1020020049990A 2001-08-24 2002-08-23 복합관 KR20030017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5141A JP2003065464A (ja) 2001-08-24 2001-08-24 複合管
JPJP-P-2001-00255141 2001-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14A true KR20030017414A (ko) 2003-03-03

Family

ID=190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990A KR20030017414A (ko) 2001-08-24 2002-08-23 복합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065464A (ko)
KR (1) KR20030017414A (ko)
CN (1) CN10040494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53B1 (ko) * 2007-12-21 2010-01-19 (주)무한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6028B2 (ja) * 2005-03-31 2012-06-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複合管
ITMN20050031A1 (it) * 2005-05-20 2006-11-21 Weightpack Srl Macchina riempitrice di contenitori mediante prodotto liquido
DE102006014235A1 (de) * 2006-03-28 2007-10-04 Brugg Rohr Ag, Holding Mantel für wärmeisolierte Leitungsrohre
KR100896655B1 (ko) * 2008-09-22 2009-05-11 이희곤 온수의 이동 경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보온 패널
JP7211741B2 (ja) * 2018-09-13 2023-01-24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加飾押出成形品
CN110039742B (zh) * 2019-04-18 2023-11-03 江西科技师范大学 一种塑料微管双气辅挤出用气体流量闭环控制装置和方法
CN114440011B (zh) * 2021-12-28 2024-05-31 日丰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pb复合管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558Y2 (ko) * 1981-05-29 1986-08-23
JPS58102895A (ja) * 1981-12-16 1983-06-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流体輸送用断熱パイプ
JPH086847B2 (ja) * 1989-11-16 1996-01-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96679U (zh) * 1991-07-24 1992-02-19 衡水市特种胶塑制品厂 高强度耐磨复合管
JP3157591B2 (ja) * 1992-03-30 2001-04-16 日本碍子株式会社 電圧非直線抵抗体のマスキングテープの剥離方法
JP3135384B2 (ja) * 1992-09-21 2001-02-1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発泡ポリエチレン被覆管及びその製造方法
FI96396C (fi) * 1992-12-28 1996-06-25 Uponor Bv Menetelmä kaksikerroksisen muoviputken muodostamiseksi aineensiirtoa varten ja menetelmällä muodostettu kaksikerroksinen muoviputki
DE4411164C1 (de) * 1994-03-30 1995-05-18 Rieter Automat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aufschäumbaren Kunststoffs
CN2221141Y (zh) * 1995-06-27 1996-02-28 浙江佑利工程塑料管道总厂 塑料管子
JPH09262893A (ja) * 1996-03-28 1997-10-07 Sekisui Chem Co Ltd 複合パイプの製造方法
JPH11227028A (ja) * 1998-02-13 1999-08-24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の製造方法
JP3902865B2 (ja) * 1998-05-21 2007-04-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エチレン管の製造方法
JPH11348145A (ja) * 1998-06-03 1999-12-21 Sekisui Chem Co Ltd 合成樹脂管の製造方法
JP2000238112A (ja) * 1999-02-22 2000-09-05 Mitsubishi Chem Mkv Co 樹脂複合体
JP2001170922A (ja) * 1999-12-21 2001-06-26 Nikko Co Ltd 生コンクリート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53B1 (ko) * 2007-12-21 2010-01-19 (주)무한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7266A (zh) 2003-04-02
CN100404940C (zh) 2008-07-23
JP2003065464A (ja)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084A (en) Expanded fluoropolymer tubular structure, hose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485062A (en) Process for extruding polymers
KR20030017414A (ko) 복합관
JP3699579B2 (ja) 断熱層付き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635586A (zh) 一种改性聚丙烯及其复合管
JP7316265B2 (ja) 低密度フルオロポリマー発泡体
JPH09222185A (ja) 複合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346579B2 (ja) 複合管の製造方法
RU218286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экструдированной многослойной трубы,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 труба, получ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JP3228830B2 (ja) 発泡ポリエチレン被覆管の製造方法
JP2004044733A (ja) 複合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56028B2 (ja) 複合管
CN210362355U (zh) 一种保温管及其挤出模具
JP2007333062A (ja) 複合管
WO2005018913A1 (ja) フッ素樹脂製の筒状の部材
JP2009262896A (ja) 空調用エアダクトの接続方法および接続構造
CN101147020B (zh) 复合管
CN110901005A (zh) 一种阻氧防垢复合管及其制备方法
CN216732992U (zh) 一种pvc管大头段挤压成型机构
JP2004044734A (ja) 複合管
CN113677509A (zh) 复合管及复合管的制造方法
JP2000238113A (ja) 熱可塑性樹脂管の製造方法
KR100511932B1 (ko) 윤활성 필름을 이용한 공기압 포설용 튜브 제조방법 및 장치
CN115071188A (zh) 一种深层地热保温复合管道及其制备方法
JP2022060684A (ja) 断熱構造体および加温装置を備える断熱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