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587A -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587A
KR20030014587A KR1020020045598A KR20020045598A KR20030014587A KR 20030014587 A KR20030014587 A KR 20030014587A KR 1020020045598 A KR1020020045598 A KR 1020020045598A KR 20020045598 A KR20020045598 A KR 20020045598A KR 20030014587 A KR20030014587 A KR 20030014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ating layer
layer
adhesive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가키마사시
키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43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554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4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57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71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81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3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9165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5Composition of adhesive or bonding component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세하게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내찰상성, 대전방지성, 미끄럼성 등이 우수한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 필름 및, 상기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용 기재, 전사매체 및 열전사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내찰상성, 대전방지성, 미끄럼성 등이 우수한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 필름 및, 상기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용 기재, 전사매체 및 열전사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우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자동차나 건축물의 창 등에 차광, 비산 방지 등의 목적으로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도포하여 건조, 경화시킨 하드 코트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드 코트 필름은, 대전방지성, 미끄럼성이 나쁘고, 대전에 의한 먼지나 오염물 등의 부착이나, 미끄럼성의 열화로 인한 취급성의 악화 등,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편광판 표면의 보호 필름에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 액정표시판은, 2매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한 액정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유통과정이나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텔레비전 등의 각종 표시기기의 조립공정에서 편광판 표면의 찰상방지나 오염물 부착방지를 위해, 편광판의 표면에는 보호필름이 점착된다. 보호필름은, 편광판의 보호 역할을 다한 후에 있어서는 불필요물로서 박리 제거된다. 통상, 보호필름의 박리제거는, 보호필름에 고무계 점착 테이프를 압착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를 떼어내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종래에는, 상기 보호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보호필름은, 액정표시판의 표시능력, 색상, 콘트라스트, 이물질 혼입 등의 광학적 평가를 위한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검사 시에 일단 박리하고, 검사 종료 후에 다시 첨부해야만 하는 결점이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4-30120호 공보에는, 광학적 평가를 위한 검사 시에 박리할 필요가 없는 보호필름으로서, 광등방성 기재 필름에 광등방성 점착성 수지층을 적층한 보호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보호필름은, 기재 필름으로서, 유연법(流延法)에 의해 제막되고, 거의 배향되어 있지 않고 비정질에 가까운 상태의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약품성, 내찰상성 등의 점에서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다.
또한, 열전사 기록 매체에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표면에 착색제를 포함하는 열용융성 잉크층이나, 열반응형 발색 반응 성분 등을 제공한 열전사 기록매체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열용융성 잉크층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는, 수용 시트를 그 위에 중첩하고, 하면에서 서멀 헤드(thermal head)등으로 열 인쇄함으로써, 수용 시트 상에 용융 잉크를 전사시켜 착색화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열반응형 발색반응 성분 함유층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는, 그 위에, 수용 시트나, 그 발색반응 성분과 가열 시에 반응하여 발색시키는 반응성분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시트를 중첩하여 하면에서 서멀 헤드 등으로 열 인쇄함으로써, 수용 시트면에 발색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들의 용도에 해당하는 전사매체에 대한 요구 특성으로서, 전사층의 수용성, 수용한 전사층의 전사성이라는 이율배반적인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사층을 수용할 때에 전사매체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사층이 깨끗하게 수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대전방지성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스티킹(sticking) 방지성이 요구된다. 서멀 헤드의 표면온도는 300∼400℃ 이상의 고온에 달하므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열전사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스티킹이 생기거나, 스티킹 찌꺼기가 생기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필름의 서멀 헤드 접촉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스티킹 방지층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스티킹 방지층으로서, 금속층, 내열성 수지층, 벤조트리아졸층, 스테아릴술폰산 나트륨을 함유하는 에틸셀룰로오스층, 스테아르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스티킹 방지층은, 충분한 방지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스티킹방지효과가 얻어질 때까지 적층량을 많게 하면, 열용량의 증가에 의한 열감도의 저하나, 그 스티킹 방지층에 의한 스티킹과 스티킹 찌꺼기의 발생이 문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방지성, 내약품성, 내찰상성, 취급성 등이 우수하고, 그 결과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액정표시판에 대한 점착제, 먼지 등의 부착방지에 우수한 특성 등을 갖고, 편광판의 보호역할을 다한 후 불필요물로서 박리 제거될 때,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박리 대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박리 대전에 의해 액정표시판과 접속되어 있는 회로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전방지성, 내찰상성, 미끄럼성 등이 우수하고, 그 결과 먼지 등의 부착에 의한 오염 방지, 찰상 방지, 취급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사층의 수용성, 수용한 전사층의 전사성,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열 전사 등에 의해 화상을 형성시키는 수용 시트면에, 고충실한 화상 등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전사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 전사 인쇄 등에 있어서의 서멀 헤드와 열전사 기록매체 또는 피인쇄물과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주행정지, 소위 스티킹 현상이나 스티킹 찌꺼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하여 선명한 인쇄를 할 수 있는 열 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l 요지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포층 표면의 표면저항이 1x1011Ω이하이고, 도포층 표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2)이 3,000 mN/cm 이하이고, 도포층 표면의 고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l)과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2)과의 차(Pl-P2)가 100 m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필름용 기재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요지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포층 표면의 표면저항이 lxl011Ω이하이고, 도포층의 경도가 연필경도H 이상이고, 도포층의 두께가 0.5㎛ 이상에서 또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의 1/l0까지의 범위이고, 도포층 표면과 도포층 반대측의 필름표면과의 마찰계수가 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요지는,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도포층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포층 표면의 표면저항이 1x1011Ω이하이고, 도포층 표면의 물방울 접촉각이 100° 이하, 도포층 표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이 200∼3,000 mN/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매체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요지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스티킹 방지층이 제공되고, 상기 스티킹 방지층 면의 표면저항이 1x1011Ω이하, 마찰계수가 0.4 이하, 물방울 접촉각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l 요지에 기재된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는, 액정표시판의 편광판 표면 사이에 점착제 등으로 점착하여 사용되고,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다른 쪽 표면에 점착층이 제공되고, 점착층의 표면에 이형 필름이 적층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는, 일반적으로, 도포층 형성 공정, 점착층 형성 공정, 이형필름 적층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에 기재된 적층필름은,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에 기재된 전사매체는, 감열 전사 장치 등에 사용되는 열전사 기록매체 등으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기재된 열전사 기록매체는, 열용융성 잉크층이나 열반응형 발색반응 성분 등을 제공하여 사용되고, 열인쇄 함으로써, 수용 시트 상에 용융 잉크 등을 전사시켜 착색화상을 얻을 수 있고,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스티킹 방지층이 제공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다른 쪽 표면에 이형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l∼4 요지에 있어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하, 필름이라 약칭함)이란, 소위 압출법에 따라 압출구로부터 용융압출된 시트를 연신하여 배향시킨 필름을 말한다.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l,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제3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이 있다. 이들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그 취급성을 고려한 경우,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필름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입자로서는, 예컨대,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카올린, 탈크, 제올라이트, 불화리튬, 황산바륨, 카본블랙, 일본 특허공보 소59-52l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내열성 고분자 미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입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입자의 평균 입경은 통상 0.02∼2㎛, 바람직하게는 0.05∼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l㎛ 이다. 입자의 함유량은 통상 0.01∼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l 중량%이다.
필름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제조공정의 임의의 단계에서 입자를 첨가할 수 있다. 특히,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중축합반응 개시전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에 입자를 분산시킨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 등도 이용할 수 있다.
필름의 제조는, 압출법에 따라 압출구로부터 용융압출된 시트를 세로 및 가로 방향의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행해진다.
압출법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압출구로부터 용융압출하고, 냉각 로울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트와 회전냉각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여 줄 필요가 있고, 정전인가밀착법 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정전인가밀착법이란 통상, 시트의 상면 측에 시트의 흐름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선상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전극에 약 5∼10 kV의 직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트에 정전하를 부여하여 시트와 드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액체도포밀착법이란, 회전냉각드럼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예컨대 시트 양 단부와 접촉하는 부분만)에 액체를 균일하게도포함으로써, 드럼과 시트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양자를 병용해도 좋다.
필름의 2축방향 연신배향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동시 2축 연신법, 순차 2축 연신법 등이 이용된다. 동시 2축 연신법으로서는, 상기 미연신 시트를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l10℃에서 온도가 조정된 상태로 기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으로, 연신 배율로서는 면적 배율로 통상 4∼50배, 바람직하게는 7∼3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l0∼20배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통상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 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 하에서 열처리를 하고, 연신 배향 필름을 얻는다. 순차 2축 연신법으로서는 상기 미연신 시트를 1방향으로 로울 또는 텐터 방식의 연신기에 의해 연신한다. 연신 온도는 통상 70∼l20℃, 바람직하게는 80∼110℃이고, 연신 배율은 통상 2.5∼7배, 바람직하게는 3.0∼6배이다. 그 다음, 1단계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 온도는 통상 70∼l20℃, 바람직하게는 80∼115℃이고, 연신 배율은 통상 3.0∼7배, 바람직하기로는 3.5∼6배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 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 하에서 열처리를 하여 연신 배향 필름을 얻는다.
상기 연신에 있어서는, 1방향의 연신을 2단계 이상으로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최종적으로 2방향의 연신 배율이 각각 상기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를 하기 전 또는 후에 다시 세로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연신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l 요지의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에 있어서, 필름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통상 5∼l50㎛, 바람직하게는 10∼l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75㎛ 이다. 필름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는, 액정표시판의 표면 보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내마모성 층형성 공정이나 점착층 형성공정에서의 취급성 등도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가 l50 ㎛을 초과하는 경우는, 가소성의 저하, 전 광선투과율의 저하에 의해, 보호필름으로서의 취급 작업성, 액정표시판의 표시능력, 색상, 콘트라스트, 이물질 혼입 등의 광학적 평가를 위해 검사를 하는 경우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의 적층필름에 있어서, 필름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150㎛, 바람직하게는 l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75㎛ 이다. 필름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는, 필름의 강직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도포층 형성 공정이나 점착층 형성 공정에서의 취급성 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가 150㎛을 초과하는 경우는, 가소성의 저하에 의해, 적층필름으로서의 취급 작업성 등에 지장을 초래할 경우가 있다. 제2 요지의 적층필름에 있어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예컨대, 공압출에 의한 적층체이어도 좋고, 착색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의 적층필름에 있어서, 필름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50㎛, 바람직하게는 5∼25㎛ 이다. 필름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는, 전사층 형성 공정 등에 있어서의 취급성 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가 5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사층의 전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의 열전사 기록매체에 있어서, 필름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3∼75㎛, 바람직하게는 5∼50㎛,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 이다. 필름의 두께가 3㎛ 미만인 경우는, 도포공정 등에서 작업성이나 취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가 75㎛을 초과하는 경우는, 전사성의 저하에 의해, 선명한 화상이 얻어지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1∼4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제4 요지에 있어서는 스티킹 방지층)은, 예컨대,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물,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용매에 용해한 상태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공(塗工)된 후, 건조된 것이다. 도공에 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에어 나이프 코트, 블레이드 코트, 바코트, 그라비아 코트, 커튼코트, 로울 코트 등의 도포기계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l 요지에 있어서의 도포층의 두께는, 통상 0.0l㎛∼0.3㎛,바람직하기로는 0.05 ㎛∼0.2㎛의 범위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0.0l㎛ 미만인 경우는, 아크릴계 점착제와의 점착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도포량이 0.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포층에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간섭줄무늬가 발생하기 때문에, 편광판이나 액정표시판의 검사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에 있어서의 도포층의 두께는, 0.5㎛로부터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의 l/10까지의 범위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0.5㎛ 미만인 경우는, 내찰상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도포층의 두께가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의 1/l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층필름이 커얼(curl)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에 있어서의 도포층의 두께는, 0.0l㎛∼3㎛, 바람직하게는 0.05㎛∼2㎛의 범위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0.0l㎛ 미만인 경우는, 아크릴계 점착제와의 점착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도포량이 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포 필름에 커얼이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있어서의 도포층(스티킹 방지층)의 두께는 통상 0.01㎛∼3㎛, 바람직하게는, 0.05㎛∼2㎛의 범위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0.0l㎛ 미만인 경우는, 스티킹 방지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도포량이 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용량의 증대에 의한 열감도를 저하시키기도 하는 경우가 있다.
제l∼4 요지에 있어서, 도공에 있어서,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 예컨대 단량체, 수지, 가교제, 안료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공중합체는 주성분으로서,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 소수성 단량체 단위 및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로서는, 예컨대, 그 단위 내에 제4급 암모늄염 기를 함유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a)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대전방지성, 오염방지성을 부여할수 있다:
상기 식에서,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CH3을 나타내고,
R3은 C2∼C4알킬렌기, 또는 -CH2CH(OH)CH2-를 나타내고,
R4, R5및 R6은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은 C1∼C10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또는 알킬황산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메타)아크릴로일옥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일옥시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일옥시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일옥시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일옥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로일옥시트리메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단위, (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계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그 해당하는 단량체를 중합해도 좋고, 그 전구체인 제3급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예컨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나 디메틸아미노푸로필아크릴아미드를 우선 중합한 후, 메틸클로라이드 등의 변성제로 양이온화해도 좋다.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는, 공중합체 중 통상 l5∼60 중량%를 차지해도 좋다. 15 중량% 미만인 경우는, 대전방지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6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는, 블로킹이 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수성 단량체 단위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 단량체 단위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세트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소수성 단량체 단위는, 공중합체 중 30∼84.9 중량%을 갖는다. 30 중량% 미만인 경우는, 오염 방지성이 불충분해지고, 84.9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는, 예컨대,하기일반식(b)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은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고, C1∼C10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n은 5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n이 5미만인 경우는, 얻어지는 공중합체에 충분한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한,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의 양이온성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비율은 통상 0.1∼20 중량%이다. 0.l 중량% 미만이면, 오염 방지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20 중량%을 초과해도 오염 방지성이 더 이상 좋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양이온성 공중합체 중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일반식(l), (m) 또는 (n)으로 나타내지는 전구체를 사용하여 공중합체 중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일반식에서 나타낸 전구체는, 반응성기 D를 이용하여, 이들을 공중합체 중에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D는 비닐기, 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글리시드옥시알킬기 등의 에폭시기 또는 아미노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C1∼C10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n은 5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D는 비닐기, 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글리시드옥시프로필 등의 에폭시기 또는 아미노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C1∼C10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n은 5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D는 글리시드옥시프로필 등의 에폭시기, 아미노알킬기 또는 메르캅토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C1∼C10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m은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5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의 전구체는 반응성 실리콘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고분자량으로 되면 반응성이 저하되는 것을 감안하여, 일반식(l) 및 (m)의 경우에는 n으로서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일반식(n)의 반응성기가 많은 경우에도 4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전구체를 양이온성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반응성기 D가 중합성기인 경우에는 다른 단량체와 동시에 중합하면 좋고, 메르캅토 알킬기인 경우에는, 이 전구체 존재 하에서 양이온성 단량체(a) 와 소수성 단량체(b)를 중합하면, 연쇄이동에 의해 효율 좋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반응성기 D가 에폭시기인 경우에는, 양이온성 단량체(a)와 소수성 단량체(b)와의 공중합을, 에폭시기와 반응성이 있는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시산기 함유 단량체 또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제3급 아민기 함유 단량체의 염산염 등의 단량체류와 함께 행하고, 이어서 전구체의 에폭시기와 반응시키면 좋다.
마찬가지로, 반응성기 D가 아미노알킬기인 경우는, 양이온성 단량체(a)와 소수성 단량체(b)와의 공중합을,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와 반응하는 단량체와 함께 행하고, 그 다음 전구체의 아미노기와 반응하면 좋다. 또한,대전방지성과 오염반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피롤리돈 등의 다른 친수성 단량체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해도 좋다.
중합법으로서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등의 공지된 라디칼 중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법은, 용액중합법이고, 각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하고,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가열교반함으로써 실시된다. 용매는 물,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가 바람직하고, 또한 이들의 용매는 혼합사용해도 좋다. 중합개시제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울로일 등의 과산화물,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량체 농도는 통상 10∼60 중량%이고, 중합개시제는 통상 단량체에 대해 0.1∼10 중량%이다.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중합 온도, 중합개시제의 종류 및 양, 용제 사용량, 연쇄 이동 등의 중합 조건, 유기 폴리실옥산 전구체의 종류 및 반응성기의 함유량 등에 의해 임의의 레벨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얻어지는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5,000∼500,000만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정한 도료를 사용하여,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형성된 도포층은 대전방지성, 오염 방지성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양이온성 공중합체로서는,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와,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측쇄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이 유기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1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1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은 3급 아민 중합체 화합물을 4급화제로 4급 암모늄염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l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성 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을 공중합 할 때, 이들의 단량체에 추가하여, 다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l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l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1 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을 공중합할 때, 이들 단량체에 추가하여 다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공중합할 수도 있다.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은,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릴, 신남산 에스테르, 비닐, 아릴 등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l분자 중에 l개 갖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l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과의 공중합 용이성을 고려할 때,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릴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이 중합할 때, 연쇄 이동에 의해 술피드 결합을 통해 중합체 중에 도입되는 l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이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에 포함되는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는 하기 일반식(c)으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고, 메틸기 또는 페닐기이고,
n은 5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400∼60,000, 바람직하게는 1,000∼30,000이다.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의 1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은 하기 식(d)으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R3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4및 R5는 H 또는 치환기를 포함해도 좋은 C1∼C9알킬기를 나타내고,
k는 l∼6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부틸메타크릴레이트, N,N-디히드록시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N,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N,N-디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리레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의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상기 식(d)으로 표시되는 3급 아민 화합물을, 예컨대 메틸 클로라이드, 부틸 클로라이드 등의 알킬 클로라이드, 메틸 브로마이드, 메틸벤질 클로라이드, 벤질 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물, 디메틸황산, 디에틸황산, 디프로필황산 등의 알킬 황산류, p-톨루엔술폰산메틸, 벤젠술폰산메틸 등의 술폰산에스테르류 등의 4급화제에 의해 4급화한 것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l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1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4급 암모늄염을 공중합할 때, 이들 단량체에 추가하여 (메타)아크릴산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이를테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l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1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l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4급 암모늄염을 공중합할 때, l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1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의 사용량은, 공중합성 단량체 l00 중량%중, 통상 l∼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이다. 1 중량% 미만에서는, 비닐중합체를 도포층 표면으로 인출하는(bleed out) 능력에 결함이 있고, 도포층에 충분한 대전방지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40 중량%을 넘으면,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4급 암모늄염의 사용 비율이 저하하고, 충분한 대전방지성이 얻어질 수 없다.
한편, 1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4급 암모늄염의 사용량은, 공중합성 단량체 100 중량%중, 통상 60∼99 중량%, 바람직하게는 60∼95 중량% 이다. 60 중량% 미만에서는, 도포층에 충분한 대전방지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99 중량%을 초과하면,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의 사용비율이 저하되고, 도포층에 충분한 대전방지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 단량체,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 단량체의 공중합은, 용제 중에서 통상의 라디칼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용제로서는,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틸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2-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에테르에스테르류 및 물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을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반응에 사용하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액 중의 단량체 농도는 통상 10∼60 중량%이고, 중합개시제는 통상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0.l∼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5 중량%의 량으로 사용된다.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1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공중합한 경우는, 공중합하여 얻은 3급 아민 중합체 화합물을 4급화제를 사용하여 4급 암모늄염으로 한다. 4급화제로서는, 예컨대, 메틸클로라이드, 부틸클로라이드 등의 알킬클로라이드, 메틸브로마이드, 메틸벤질클로라이드, 벤질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물, 디메틸황산, 디에틸황산, 디프로필황산 등의 알킬 황산류, p-톨루엔술폰산메틸, 벤젠술폰산메틸 등의 술폰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 얻어지는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 중에서도, l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1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공중합하여 얻은 3급 아민 중합체화합물을 알킬클로라이드로 4급 암모늄염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가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 좋은 도포층이 얻어지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로서, 측쇄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사용하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시에 이 중합체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의 사이에 결합이 형성되고, 대전방지 성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 측쇄에(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체는, 예컨대,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1분자 중에 l개의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4급 암모늄염을 공중합할 때, 이들 단량체에 추가하여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한 후, (메타)아크릴산을 부가(3급 아민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는, 다시 얻어진 3급 아민 중합체화합물을 4급화제로 4급 암모늄염으로 한다)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1분자 중에 1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또는 4급 암모늄염을 공중합할 때, 이들 단량체에 추가하여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한 후,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트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몰비 l대1의 부가체나, 메타크릴로일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부가(3급 아민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는, 다시, 얻어진 3급 아민 중합체화합물을 4급화제로 4급 암모늄염으로 한다)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들 방법으로 얻어지는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측쇄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체 중에서도,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l분자 중에 2개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과 l분자 중에 l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3급 아민 화합물 및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공중합한 후, 이 중합체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부가한 후, 3급 아민 화합물을 알킬클로라이드로 4급 암모늄염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가,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 좋은 도포층이 얻어지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과 분자 내에 수산기 및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수산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반응하여 얻어지는 카르복시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의 구체예로서는,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4,4'-비프탈산 무수물, 4,4'-옥소디프탈산 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무수물, 1,2,3,4-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플루)-3-메틸-3-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시산 무수물, 4-(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프란-3-일)-테트라린-l,2-디카르복시산 무수물,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비시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분자 내에 수산기 및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수산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중에서도,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과 분자 내에 수산기 및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수산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반응하여 얻어지는 카르복시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내마모성이 우수한 도포층을 제공한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 및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에 추가하여, 다른 중합 단량체, 예컨대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로일기를 2개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내마모성 및 대전방지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도포층 성분중, 예컨대 20 중량% 이하)로 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조성물의 경화에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와,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에 추가하여 광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2,2-에톡시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디벤조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p-클로로벤조페논, p-메톡시벤조페논, 미히라케톤(Michler's ketone), 아세토페논, 2-클로로티옥산톤, 안트라퀴논, 페닐디술피드,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리폴리노프로판-l-온, 2-히드록시-2-메틸-l-페닐-프로판-l-온, 2,4,6-트리메틸베조인-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l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개시 조제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등의 3급 아민,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알킬포스핀, 베타-티오디글리콜 등의 티오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개질제로서는, 도포성 개량제, 소포제, 증점제, 무기계 입자, 유기계 입자, 윤활제, 유기 고분자, 염료, 안료,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수지층의 특성을 용도에 따라 개량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수지층의 조성물에는, 점도조정, 도공시의 작업성 향상, 도공 두께의 조절을 위해, 공중합체 제조 시에 사용된 용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에는, 도포층 특성을 개량할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흡수제), 자외선 안정제(예컨대, 가리워진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예컨대, 페놀계, 유황계, 인계 산화방지제), 블로킹 방지제,미끄럼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 중의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중합체의 배합량은, 고형분 l00 중량%중, 통상 l∼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25 중량%이다. 배합량이 l 중량%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대전방지성을 갖는 도포층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도포층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 중 3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배합량은, 고형분 100 중량%중, 통상 60∼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5∼95 중량% 이다. 6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내마모성을 갖는 도포층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99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방지성을 갖는 도포층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l∼l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l∼5 중량%로 조정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 중 광중합 개시제 배합량은, 고형분 l00 중량%중, 통상 0.5∼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의 형성은,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도포방법으로서는, 역전로울 코팅법, 그라비아로울 코팅법, 로드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포된 도포조성물의 경화는,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이나 열에 의해 행하여진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가시광선, 전자선, 엑스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등이 사용된다. 열원으로서는, 적외선 히터, 열오븐 등이 사용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통상, 도포층 측으로부터 행하지만, 필름과의 밀착을 높이기 위해서, 도포층의 반대면 측으로부터 행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 활성 에너지선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을 이용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된 피막은, 특히 내찰상성이나 스티킹 방지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제1 요지에 따른 기재에 있어서, 도포층의 표면저항은 lx1011Ω이하이어야 한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이 상기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먼지의 부착이 많아진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은, 바람직하게는 5xl010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x1010Ω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l 요지에 따른 기재에 있어서, 도포층 표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한 점착력(P2)은 3,000 mN/cm 이하, 바람직하게는 2,750 mN/c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mN/cm 이하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LCD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는, 적층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보관 시, 소정 치수로 재단 공정함에 있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형필름과의 사이에서 우발적으로 밀려나온 점착층이 다른 보호필름의 도포층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점착층이 도포층으로 접촉하는 것은, 점착제의 점착력이 3,000 mN/cm을 초과하면, 도포층에 대한 점착제의 부착 오염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이 제공된 표면의 고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l)과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2)과의 차(P1-P2)는, l00 mN/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mN/cm 이상이다. 상기 점착력의 차가 10O mN/cm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공정에서 고무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보호필름을 박리할 때에 보호필름의 박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의 연필경도는 H 이상이어야 한다. 도포층의 연필 경도가 H 미만인 경우는 표면에 상처가 나기 쉽고, 이를테면 자동차의 창, 건축물의 창 등에 첨부되어 사용된 경우, 청소를 위해 표면을 걸레 등으로 닦았을 때 상처가 나기 쉽고, 흐려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의 구조상으로부터, 연필 경도의 상한은 3H 정도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의 표면저항은 lxl011Ω이하이어야 한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이 상기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먼지나 오염물 등의 부착이 많아진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은, 바람직하게는 lxlO8∼5xl010Ω이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이 제공된 표면의 마찰계수는 0.4 이하,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마찰계수의 값이 0.4를 초과하는 경우는, 취급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요지에 있어서,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필름의 또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 및 그를 보호하는 이형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구성의 적층필름이다.
상기 점착층은, 공지의 점착제,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블록 공중합체계 점착제, 폴리이소부틸렌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는, 탄성중합체, 점착부여제, 연화제(가소제), 열화방지제, 충전제, 가교제 등의 조성물로 구성된다.
탄성중합체로서는, 상기의 각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예컨대, 천연고무, 합성 이소프렌 고무, 재생 고무, SBR,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부여제로서는, 이를테면, 로진, 수첨 로진에스테르,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첨 테르펜 수지, 테르펜 페놀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수첨 석유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알킬페놀 수지, 크실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연화제로서는, 예컨대,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액상 폴리부텐,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액상 폴리이소프렌,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캐스터유, 톨유 등을 들 수 있다.
열화방지제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아민 유도체, 페놀 유도체, 유기티오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로서는, 이를테면, 아연화(亞鉛華), 티탄백, 탄산칼슘, 클레이, 안료, 카본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가 함유되는 경우는 보호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된다.
가교제로서는, 이를테면 천연고무계 점착제의 가교에는 황과 가황 보조제 및가황 촉진제(대표적인 것으로서, 디부틸티오카바메이트 아연 등)가 사용된다. 천연고무 및 카르복시산 공중합 폴리이소프렌을 원료로 한 점착제를 실온에서 가교할 수 있는 가교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트류가 사용된다. 부틸 고무 및 천연고무 등의 가교제에 내열성과 비오염성의 특색이 있는 가교제로서, 폴리알킬페놀 수지류가 사용된다.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천연고무를 원료로 한 점착제의 가교에 유기 과산화물, 이를테면 벤조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등이 있고, 비오염성의 점착제가 얻어진다. 가교조제로서, 다관능 메타크릴에스테르류를 사용한다. 기타 자외선 가교, 전자선 가교 등의 가교에 의한 점착제의 형성이 있다.
점착층의 형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필름의 다른 쪽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포방법으로서는, 내마모성 층의 형성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통상 0.5∼l00㎛, 바람직하게는 1∼5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제l 요지에 있어서, 점착층의 점착력은, 도포층에 점착 테이프를 눌러 부착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를 위로 잡아 뗄 때, 편광판의 표면으로부터 점착층이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함께 박리 제거되는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편광판과 점착층 사이의 점착력은, l0∼400 mN/c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점착층의 표면에는, 그 취급성의 편의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공지의 이형필름이 적층된다. 여기서 말하는 편광판이란, 폴리비닐 알코올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을 함유시켜 1축배향시킨 편광필름의 양면에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보호필름을 적층한 구조의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l 및 제2 요지의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전광선투과율(TL)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80%이상, 바람직하기로는 85% 이상이다. 그 결과, 액정표시판의 표시능력, 색상, 콘트라스트, 이물질 혼입 등의 광학적 평가를 위한 검사는, 편광판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첨부한 채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은 표면저항이 1x1011Ω이하이어야 한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이 상기 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전사층을 수용할 때에 전사층이 깨끗이 수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은, 바람직하게는 5xl010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lxl010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이 제공된 표면의 물방울 접촉각은 100°이하, 바람직하게는 70∼90°이다. 접촉각의 값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는, 전사층의 수용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포층의 특성상, 물방울 접촉각의 하한치는 60° 정도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이 제공된 표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한 점착력이 200∼3,000 mN/cm, 바람직하게는 700∼2,700 mN//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2,500 mN/cm 이다. 점착력이 200 mN/cm 미만인 경우는, 전사층의 수용성이 나빠지고, 수용한 전사층이 간단히 벗겨져 버리는 등, 사용상 문제가 된다.상기 점착력이 3,000 mN/cm을 초과하는 경우는, 수용된 전사층의 전사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있어서, 도포층은 표면저항이 lxl011Ω이하이어야 한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이 상기 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피인쇄물과, 첨부되기 쉽고 선명한 인쇄가 저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포층의 표면저항은 바람직하게는 5xl010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lx1010Ω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있어서, 스티킹 방지층면의 마찰계수는 0.4 이하,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마찰계수가 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서멀 헤드와의 미끄럼성이 나빠지고, 스티킹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있어서, 스티킹 방지층면의 물방울 접촉각은 70°이상, 바람직하게는 70∼l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95°이다. 물방울 접촉각의 값이 70° 미만인 경우에는, 스티킹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있어서,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필름의 또 다른 쪽 면에 이형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구성의 열전사 기록매체이다. 여기서 제공된 또 다른 쪽 면의 이형층 상에는, 열전사를 행할 때의 전사체가 제공된다. 상기 이형층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사체를 수용하고, 열전사 시에는 수용체로 전착하는 특성의 이형층이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요지의 열전사 기록매체는, 열전사 프린트 등에 있어서의 서멀 헤드와 열전사 기록매체 및/또는 피인쇄물과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주행정지 소위 스티킹 현상이나 스티킹 찌꺼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하여 선명한 인쇄를 할 수 있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요지에 의하면, 대전방지성, 내약품성, 내찰상성, 취급성 등이 우수하고, 그 결과,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액정표시판에 대한 점착제 및 먼지 등의 부착 방지가 우수한 특성 등을 갖는다. 또한, 편광판의 보호 역할을 다한 후 불필요물로서 박리 제거될 때,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박리 대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박리 대전에 의해 액정표시판과 접속되어 있는 회로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에 의하면, 대전방지성, 내찰상성, 미끄럼성 등이 우수하고, 그 결과, 먼지 등의 부착에 의한 오염 방지, 상처 방지, 취급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에 의하면, 전사층의 수용성, 수용한 전사층의 전사성,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열전사 등에 의해 화상을 형성시키는 수용 시트 면에, 고충실한 화상 등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전사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의하면, 열전사 프린트 등에 있어서의 서멀 헤드와 열전사 기록매체 및/또는 피인쇄물과의 사이에 일어나는, 주행 정지 소위 스티킹 현상이나 스티킹 찌꺼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하여 선명한 인쇄를 할 수 있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중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법 및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도포층의 표면저항(Ω)
(주)다이아인스트루먼트사 제「Hiresta-UP MCP-HT 450」을 사용하고, 23℃/50% RH의 분위기 하에서 시료를 설치하고, 500 V의 전압을 인가하고, 1분간 충전후(전압인가 시간 l분)의 표면저항(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전극의 형은, 주전극의 외경 16 mm, 대전극의 내경 40 mm의 동심원 전극이다.
(2) 도포층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P2)
도포층상에 양면 점착테이프(닛또덴코사 제「No. 502」)를 붙이고, 고무 로울러를 사용하여 450 g/cm의 선압으로 압착하고, 50 mm 폭으로 잘라내어 박리력 측정용 시료로 하였다. 압착하고 나서 1시간 방치후, 인스트론형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180° 방향으로 인장속도 300 mm/분으로 벗겨내고, 그 응력의 평균치를 그 시료의 박리력으로 하였다. 이 시험을 l0회 반복하고, 10회의 실험치를 평균내어 박리력으로 하였다. 또한, 이 시험을 한 분위기는 23℃, 50% RH의 표준상태이다.
(3)도포층의 고무계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Pl)
도포층상에 니치반사 제 셀로테이프를 붙이고, 고무 로울러를 사용하여 450 g/cm의 선압으로 압착하고, 박리력 측정용 시료로 하였다. 압착하고 나서, l시간 방치후, 인스트론형 인장력 시험기를 사용하여, 180° 방향으로 인장속도 300 mm/분으로 박리하고, 그 응력의 평균치를 그 시료의 박리력으로 하였다. 이 시험을 l0회 반복하고, 10회의 실험치를 평균내어 박리력으로 하였다. 또, 이 시험을 한 분위기는 23℃, 50% RH의 표준상태이다.
(4)전광선 투과율
일본전색공업사(日本電色工業社)제 적분구식 탁도계 NDH-300A에 의해,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5)먼지 부착의 유무
도포층의 표면에 담배 재를 떨어뜨리고, l회전(360°의 회전)시켰을 때 재의 부착 상태를 관찰하고, 먼지 부착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6)점착제 부착성의 유무
도포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르고, 그 점착제를 손가락으로 문질러 떼어낼 때의 점착제 부착성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7)도포층의 두께
도포 필름 소편을 에폭시 수지로 고정 성형한 후, 미크로톰으로 절단하고, 도포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단면중 필름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명암에 의해서 그 도포층이 관찰된다. 그 도포층의 거리를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 l매에 대해서 평균하여 두께를 계산하였다. 이를 적어도 50매의 사진에 대해서 행하고, 측정치가 두꺼운 쪽으로부터 l0점, 얇은 쪽으로부터 10점을 삭제하고 30점의 실험치를 평균내어 도포층의 두께로 하였다.
(8)연필 경도
JIS-K5401에 따라, 도포층의 경도를 측정하고, 연필경도로 표시하였다.
(9)마찰계수
ASTM Dl894-73의 방법에 따라, 도포필름 표리 간의 정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10) 커얼성의 평가
도포필름을 1Ocm x lOcm의 크기로 잘라내고, 수평 반상에 놓고, 시험편의 커얼 상태를 관찰하여 다음 3 등급으로 나누어 커얼성을 평가하였다.
등급 A: 전혀 커얼이 확인되지 않고, 양호
등급 B: 거의 눈에 띄지 않지만, 매우 약간의 커얼이 확인되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수준
등급 C: 분명히 커얼이 확인되고, 실용상 문제가 있는 수준.
(1l) 물방울 접촉각
온도 23℃ 습도 50% RH에서 시료필름과 증류수와의 접촉각을, 협화계면화학(주)[協和界面化學(株)]사제 접촉각계 CA-DT-A 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접촉각은 물방울의 좌우2점, 시료수3에서 계 6점 측정하고, 평균치를 구하여 접촉각으로 하였다. 한편, 물방울의 직경은 2 mm이고, 적하 1분 후의 수치를 읽어내었다.
(l2)도포층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
도포층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닛또덴코사 제「No. 502」)를 붙이고, 고무 로울러를 사용하여 450 g/cm의 선압으로 압착하고, 50 mm 폭으로 잘라내어 박리력 측정용 시료로 하였다. 압착하고 나서 l시간 방치후, 인스트론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80° 방향으로 인장속도 300 mm/분으로 박리하여, 그 응력의 평균치를 그 시료의 박리력으로 하였다. 이 시험을 10회 반복하고, l0회의 실험치를 평균내어 박리력으로 하였다. 또한, 이 시험을 한 분위기는 23℃, 50% RH의 표준상태이다.
(13)전사층의 수용성
동양방사(東洋紡社)제 "바이론 200"을 톨루엔50, 메틸에틸케톤50의 혼합용매로 희석하고, 시료 필름 상에 건조후의 도포량이 O.5 g/m2로 되도록 그라비아 로울로 도포하였다. 이 때의 도포면 상태 및 밀착성의 상태를 하기 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 전사층의 도포면 상태
O : 도포얼룩이 확인되지 않고 양호
x : 도포얼룩이 확인됨
* 전사층의 밀착성
O : 도포한 층이 손으로 간단히 벗겨지지 않음
x : 도포한 층이 손으로 간단히 벗겨짐
(14) 전사층의 전사성
동양방사 제 "바이론 200"을 톨루엔50, 메틸에틸케톤50의 혼합용매로 희석하고, 시료필름 상에 건조후의 도포량이 O.5 g/m2로 되도록 그라비아 로울로 도포하였다. 이 도포한 필름의 도포면과 상질지를 겹치고, l00℃에서 0.2 MPa의 압력 하에 3초간 가압하여 붙이고, 그 직후 23℃-50% RH의 실내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80° 방향으로 300 mm/분의 속도로 박리하고, 그 박리면의 상태를 관찰하여 하기 등급으로 나누었다.
O : 도포한 필름면에 도포층이 남지 않음
x : 도포한 필름면에 도포층이 남음
(l5)마찰계수
고정한 경질 크롬도금 금속 로울(직경 6 mm)에 필름의 권취각 135°(θ)로 접촉시키고, 53 g(T2)의 하중을 일단에 가하고, lm/분의 속도로 이것을 주행시켜 타단의 저항력(Tl(g))을 측정하고, 다음 식으로 주행중의 마찰계수(μd)를 구하였다:
μd=(1/θ)·ln(T1/T2) = 0.424 ·ln(T1/53)
(16) 스티킹
온도 23℃, 습도 50% RH에서 오오사까 실링인쇄주식회사 제 OSP 라벨 프린터 TP-80에 의해 시료필름의 프린터 주행 인자(印字) 테스트를 하였다. 300 m 주행후의 상태를 하기 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O : 주행정지하지 않고, 서멀 헤드에 대한 백분이 부착되지 않음
x : 주행정지 및/또는 서멀 헤드에 대한 백분이 부착됨.
제조예 l(폴리에스테르A)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l00부, 에틸렌글리콜 60부 및 아세트산마그네슘·4수염 0.09부를 반응기에 넣고, 가열 승온함과 동시에 메탄올을 증류제거한 후,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한 다음, 반응개시 후 4시간에 걸쳐 230℃로 승온하고,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하였다. 이어서, 평균입경 1.54 ㎛의 실리카 입자를 0.1부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반응계에 첨가하고, 다시 에틸산포스페이트 0.04부, 산화게르마늄 0.01부를 첨가한 후, 100분 동안 온도를 280℃, 압력을 15 mmHg에 달하게 한 후, 서서히 압력을 감하여 최종적으로 0.3 mmHg로 하였다. 4시간 후에 계내를 상압으로 되돌려 폴리에스테르A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A의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은 0.1 중량% 이었다.
제조예2(폴리에스테르 필름Al)
폴리에스테르A를 180℃에서 4시간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건조하고, 용융 압출기에 의해 290℃에서 용융 압출하고, 정전인가밀착법을 사용하여 표면온도를 40℃로 설정한 냉각 로울 상에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85℃에서 3.5배 세로방향으로 연신한 후, l00℃에서 3.7배 가로방향으로 연신하고, 다시 230℃에서 열 고정하여,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을 얻었다.
제조예3(폴리에스테르 필름A2)
제조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A2를 얻었다.
제조예4(폴리에스테르 필름A3)
제조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A3을 얻었다.
제조예5(폴리에스테르 필름A4)
제조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A4를 얻었다.
(실시예 1)
소수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부,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80% 수용액 50부,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로서 분자량 약 5,000의 한쪽 말단 메타크릴옥시 변성 유기 폴리실옥산(칫소사 제 FM 0721) 5부, 및 에틸 알코올 l40부와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6시간 중합반응을 하여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40% 에틸 알코올 용액을 얻었다. 이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에틸알코올/이소프로필 알코올 = 50/50의 혼합용매로 희석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A1의 한쪽 면에 건조후의 도포 두께가 0.2㎛로 되도록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 및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소수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부,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80% 수용액 40부,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로서, 분자량 약 7,000의 메르캅토 변성 유기 폴리실옥산(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X-22-980) 5부,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l50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l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5시간 중합반응을 하고,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40% 이소프로필 알코올 용액을 얻었다. 이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희석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A1의 한쪽 면에 건조후의 도포 두께가 0.15㎛로 되도록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 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소수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l부,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80% 수용액 50부, 메타크릴산 4부 및 에틸 알코올 140부와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6시간 중합반응을 한 후,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로서 분자량 약 1,000의 양 말단 에폭시 변성 유기 폴리실옥산(칫소사제 FM 551l) 5부를 첨가한 다음, 80℃에서 l0시간 반응하여,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40% 에틸 알코올 용액을 얻었다. 이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에틸 알코올로 희석하고, 폴리에스테르필름Al의 한쪽 면에 건조후의 도포두께가 0.2㎛로 되도록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 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한쪽 말단에 스티렌기를 갖는 수평균 분자량 11,300의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X-22-2440) 30부,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70부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150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80℃로 승온하였을 때, 및동 승온 때부터 2시간 후에, 각각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0.3부씩 첨가하고, 80℃에서 8시간 반응하여, 고형분 40%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그 다음,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83.3부를 첨가한 후, 염화메틸을 반응계에 도입하고, 50℃에서 6시간 반응하고,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고형분 농도 34%의 중합체 용액(4A)을 얻었다.
다음에,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를 67 몰% 함유하는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니뽄가야쿠사제, '카야랏드 DPHA') 163부와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21.8부, 메틸에틸케톤 100부,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0.l부 및 N,N-디메틸벤질아민 1부를 가하고, 80℃에서 8시간 반응하여, 고형분 농도 65%의 카르복시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용액(4B)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체 용액(4A)을 17부, 아크릴레이트 용액(4B)을 83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제 'IRGACURE 907'을 3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897부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0.15㎛이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조사 거리 100 mm에서 15초간 조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 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양 말단에 메르캅토기를 갖는 수평균 분자량이 약 3,340의 유기 폴리실옥산화합물(신에츠가가쿠고교사 제, X-22-167B) l0부,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8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l0부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150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80℃로 승온하였을 때, 및 동 승온 시로부터 2시간 후에, 각각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0.3부씩 첨가하고, 80℃에서 8시간 반응하여, 고형분 40%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83.3부를 첨가한 후, 염화메틸을 반응계에 도입하고, 50℃에서 6시간 반응한 후,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고형분 농도 35%의 중합체 용액(5A)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체 용액(5A)을 17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3부, 및 광중합개시제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제 "IRGACURE 907"을 3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927부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0.15㎛이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수은등을 사용하고, 조사거리 100 mm에서 15초 동안 조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 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한쪽 말단에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수평균 분자량이 약 10,000인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칫소사제 FM0725) 15부,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75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부 및 메틸에틸케톤 150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80℃로 승온 하였을 때, 및 동 승온 시부터 2시간 후에, 각각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0.3부씩 첨가하고, 80℃에서 8시간 반응하여, 고형분 40%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 것에, 메타크릴로일이소시아네트 8부를 첨가하고, 80℃에서 6시간 반응한 후, 측쇄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고형분 42%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300부를 첨가한 후, 염화메틸을 반응계에 도입한 다음, 50℃에서 6시간 반응하고,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고,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고형분 농도 22%의 중합체 용액(6A)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체 용액(6A)을 26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3부, 및 광중합개시제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제 "IRGACURE 907"을 3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918부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A1의 한쪽 표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0.15㎛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수은등을 사용하여 조사거리 100 mm에서 15초 동안 조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한쪽 말단에 스티렌기를 갖는 수평균 분자량 11,300의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X-22-2440) l0부,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80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l0부 및 메틸에틸케톤 150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80℃로 승온 하였을 때, 및 동 승온 시부터 2시간 후에, 각각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0.3부씩 첨가하고, 80℃에서 8시간 반응하여, 고형분 40%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 것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8부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2부를 반응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50부를 첨가하고, 80℃에서 6시간 반응하여, 고형분 50%의 측쇄에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여기서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300부를 첨가한 후, 염화메틸을 반응계에 도입하고, 50℃에서 6시간 반응한 후,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 및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고, 측쇄에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고형분 농도 28%의 중합체 용액(7A)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체 용액(7A)을 20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3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사제 "다로큐아 1173"을 6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92l 부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폴리에스테르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0.15 ㎛이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수은등을 사용하고, 조사거리 100 mm에서 15초 동안 조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4에서 얻어진 중합체 용액(4A)을 17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3부, 및 광중합개시제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제"IRGACURE 184"를 6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924부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다음에,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0.15㎛이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수은등을 사용하고, 조사거리 l00 mm에서 15초 동안 조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l)
p-스티렌술폰산나트륨염(40부), 비닐술폰산나트륨염(40부), N,N'-디메틸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20부)를 증류수 중에 용해시키고, 60℃에서 가열교반 하면서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노디프로판) 2염산염을 첨가하여 중합을 하고, 대전방지성 수지를 얻었다. 다음에, 상기 대전방지성 수지 30부에, 폴리우레탄 수지(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성분: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사슬연장제: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50부, 아크릴 수지(구성 단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l0부, 3관능 수용성 에폭시 화합물 5부, 평균입경 0.l㎛의 콜로이달 실리카를 5부 배합하여 수분산체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제조예2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연신한 후, 상기 수분산체 도포액을 연신 건조후의 도포 두께가 0.l㎛이 되도록 도포한 이외는 제조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A2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필름A2의 수분산체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소수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부,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로서,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80% 수용액 50부 및 에틸 알코올 140부와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l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6시간 중합반응을 행하여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40% 에틸 알코올 용액을 얻었다. 이 양이온성 공중합체를 에틸 알코올/이소프로필 알코올 = 50/50의 혼합 용매로 희석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 면에 건조 후의 도포 두께가 0.2㎛로 되도록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 건조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여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8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부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150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80℃로 승온하였을 때, 및 동 승온 시로부터 2시간 후에, 각각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0.3부씩 첨가하고, 80℃에서 8시간 반응하여, 고형분 40%의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여기서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83.3부를 첨가한 후, 염화메틸을 반응계에 도입한 후, 50℃에서 6시간 반응하고, 4급 암모늄염 단위를 갖는 고형분 농도 34%의 중합체 용액(8A)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체 용액(8A)을 17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3부, 및 광중합개시제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제 "IRGACURE 907"을 3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927부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다음에,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0.15㎛이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수은등을 사용하여, 조사거리 l00 mm에서 15초 동인 조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한쪽 말단에 스티렌기를 갖는 수평균 분자량 약 11,300의 유기 폴리실옥산 화합물(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X-22-2440) 3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부,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150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80℃로 승온하였을 때, 및 동 승온 시로부터 2시간 후에, 각각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0.3부씩 첨가한 후, 80℃에서 8시간 반응하여, 유기 폴리실옥산 단위를 갖는 고형분 40%의 공중합체 용액(9A)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9A)을 15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53부, 및 광중합개시제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제 "IRGACURE 907"을 3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929부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다음에, 폴리에스테르필름A1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0.15㎛이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수은등을 사용하고, 조사거리 100 mm에서 l5초 동인 조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상, 얻어진 실시예1∼8, 비교예1∼4의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1∼2에 나타냈다.
표 1
실시예 1 2 3 4
표면저항(Ω) 3×109 3×109 1×109 9×109
P2 (mN/cm) 2100 2200 2100 2200
P1 (mN/cm) 2400 2500 2400 2500
P1-P2 (mN/cm) 300 300 300 300
전광선 투과율(%) 90 90 90 90
먼지 부착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점착제 부착성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표 1(계속)
실시예 5 6 7 8
표면저항(Ω) 5×108 7×108 5×108 4×108
P2 (mN/cm) 2200 2200 2200 2200
P1 (mN/cm) 2500 2500 2500 2500
P1-P2 (mN/cm) 300 300 300 300
전광선 투과율(%) 90 90 90 90
먼지 부착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점착제 부착성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표 2
비교예 1 2 3 4
표면저항(Ω) 6×108 1×109 3×1011 >1013
P2 (mN/cm) 4000 3100 2200 2200
P1 (mN/cm) 4300 3400 2500 2500
P1-P2 (mN/cm) 300 300 300 300
전광선 투과율(%) 88 90 90 90
먼지 부착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점착제 부착성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실시예 9)
실시예4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2㎛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실시예4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5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l.5㎛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실시예5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6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2㎛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실시예6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7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2㎛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실시예7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2㎛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실시예8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1에 있어서, 이 양이온성 공중합체 희석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2㎛m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실시예l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5)
실시예9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A1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필름A2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9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9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Al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필름A4를 사용하는 제외하고는 실시예9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9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A1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필름A3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9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비교예2에 있어서, 양이온성 공중합체 희석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2㎛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비교예2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비교예3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l의 한쪽 표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2㎛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비교예3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비교예4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도포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A1의 한쪽 표면에, 경화후의 두께가 2㎛이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이외는 비교예4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상, 얻어진 실시예9∼l6, 비교예5∼8의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3∼4에 나타냈다.
표 3
실시예 9 10 11 12
표면저항(Ω) 3×109 3×109 1×109 9×108
연필 경도 2H 2H 2H 2H
마찰 계수 0.14 0.14 0.13 0.14
필름 두께 (㎛) 38 38 38 38
도포층 두께 (㎛) 2 1.5 2 2
먼지 부착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커얼성 A A A A
전광선 투과율(%) 90 90 90 90
표 3(계속)
실시예 13 14 15 16
표면저항(Ω) 5×108 7×108 5×108 4×108
연필 경도 2H 2H 2H 2H
마찰 계수 0.14 0.24 0.13 0.13
필름 두께 (㎛) 38 38 25 50
도포층 두께 (㎛) 2 2 2 2
먼지 부착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커얼성 A A B A
전광선 투과율(%) 90 90 90 90
표 4
비교예 5 6 7 8
표면저항(Ω) 6×108 1×109 3×1011 >1013
연필 경도 2H H-2H 2H 2H
마찰 계수 0.14 0.48 0.32 0.14
필름 두께 (㎛) 12 38 25 50
도포층 두께 (㎛) 2 2 2 2
먼지 부착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커얼성 C A A A
전광선 투과율(%) 91 90 90 90
(실시예 17)
실시예1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l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8)
실시예2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9)
실시예3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0)
실시예4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4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1)
실시예5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5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2)
실시예6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6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3)
실시예7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7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4)
실시예8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8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9)
비교예l에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l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l0)
비교예2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2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l1)
폴리에스테르 필름A3의 한쪽 표면에, 경화 후의 두께가 0.1㎛이 되도록 경화성 실리콘 수지(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KS-723A) 100부, (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KS-723B) 25부, 경화제(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CATPS-3) 5부, 메틸에틸케톤/톨루엔 = 50/50의 혼합용매 2,200부로 이루어진 도포액을 도포한 후, 건조 및 열경화시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l2)
비교예4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설하고, 이형필름으로 보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4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상, 얻어진 실시예17∼24, 비교예9∼12의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5∼6에 나타냈다.
표 5
실시예 17 18 19 20
표면저항(Ω) 3×1010 3×1010 1×1010 9×109
물방울 접촉각 (°) 81 80 81 80
박리력 (mN/cm) 2100 2200 2100 2200
전사층의 도포면 상태
전사층의 밀착성
전사층의 전사성
마찰 계수 0.14 0.14 0.13 0.14
스티킹
표 5(계속)
실시예 21 22 23 24
표면저항(Ω) 5×109 7×109 5×109 4×109
물방울 접촉각 (°) 80 80 80 80
박리력 (mN/cm) 2200 2200 2200 2200
전사층의 도포면 상태
전사층의 밀착성
전사층의 전사성
마찰 계수 0.14 0.24 0.13 0.13
스티킹
표 6
비교예 9 10 11 12
표면저항(Ω) 6×109 1×1010 >1013 >1013
물방울 접촉각 (°) 67 72 110 82
박리력 (mN/cm) 4000 3100 40 2200
전사층의 도포면 상태 × ×
전사층의 밀착성 ×
전사층의 전사성 × ×
마찰 계수 0.14 0.48 0.32 0.14
스티킹 × × × ×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는 대전방지성, 내약품성, 내찰상성, 취급성 등이 우수하고, 그 결과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액정표시판에 대한 점착제, 먼지 등의 부착방지에 우수한 특성 등을 갖고, 편광판의 보호역할을 다한 후 불필요물로서 박리 제거될 때,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박리 대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박리 대전에 의해 액정표시판과 접속되어 있는 회로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대전방지성, 내찰상성, 미끄럼성 등이 우수하고, 그 결과 먼지 등의 부착에 의한 오염 방지, 찰상 방지, 취급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매체는 전사층의 수용성, 수용한 전사층의 전사성,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열전사 등에 의해 화상을 형성시키는 수용 시트 면에, 고충실한 화상 등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기록매체는 열 전사 인쇄 등에 있어서의 서멀 헤드와 열전사 기록매체 또는 피인쇄물과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주행정지, 소위 스티킹 현상이나 스티킹 찌꺼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하여 선명한 인쇄를 할 수 있다.

Claims (20)

  1.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포층 표면의 표면저항이 1x1011Ω이하이고, 도포층 표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2)이 3,000 mN/cm 이하이고, 도포층 표면의 고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l)과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P2)과의 차(Pl-P2)가 100 m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필름용 기재.
  2.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
  3.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
  4.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의 두께가 0.01㎛∼0.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
  5.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의 필름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
  6. 제 5항에 있어서, 점착층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블록 공중합체계 점착제, 폴리이소부틸렌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
  7. 제 5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이형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용 기재.
  8.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도포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포층 표면의 표면저항이 lxl011Ω이하이고, 도포층의 경도가 연필경도H 이상이고, 도포층의 두께가 0.5㎛ 이상으로부터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의 1/l0까지의 범위이고, 도포층 표면과 도포층 반대측 필름표면과의 마찰계수가 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9. 제 8항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0. 제 8항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1. 제 8항에 있어서, 도포층과 반대측 필름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2. 제 11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이형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3.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도포층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포층 표면의 표면저항이 1x1011Ω이하이고, 도포층 표면의 물방울 접촉각이 100° 이하, 도포층 표면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력이 200∼3,000 mN/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매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매체.
  15. 제 13항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매체.
  16. 제 13항에 있어서, 필름이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사매체.
  17.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스티킹 방지층이 제공되고, 상기 스티킹 방지층 면의 표면저항이 1x1011Ω이하, 마찰계수가 0.4 이하, 물방울 접촉각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스티킹 방지층이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9. 제 17항에 있어서, 스티킹 방지층이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20. 제 17항에 있어서, 스티킹 방지층의 반대측 면에 이형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KR1020020045598A 2001-08-10 2002-08-01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30014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4305 2001-08-10
JP2001244305A JP2003055488A (ja) 2001-08-10 2001-08-10 積層フィルム
JP2001244304A JP4755735B2 (ja) 2001-08-10 2001-08-10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JP-P-2001-00244304 2001-08-10
JP2001247173A JP4608150B2 (ja) 2001-08-16 2001-08-16 転写媒体
JPJP-P-2001-00247173 2001-08-16
JP2001393791A JP2003191655A (ja) 2001-12-26 2001-12-26 熱転写記録媒体
JPJP-P-2001-00393791 2001-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87A true KR20030014587A (ko) 2003-02-19

Family

ID=2748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598A KR20030014587A (ko) 2001-08-10 2002-08-01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13820B2 (ko)
KR (1) KR20030014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865A2 (en) * 2007-12-27 2009-08-27 Kolon Industries, Inc. Release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87A (ko) * 2001-08-10 2003-02-19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US6838185B2 (en) * 2001-11-27 2005-01-04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used for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US7088511B2 (en) * 2003-02-12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polariz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252733B2 (en) * 2004-05-04 2007-08-07 Eastman Kodak Company Polarizer guarded cover sheet with adhesion promoter
US7279060B2 (en) * 2004-05-04 2007-10-09 Eastman Kodak Company Guarded cover film for LCD polarizers
DE102004049609A1 (de) * 2004-10-12 2006-04-1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hydrophiler 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TWI384265B (zh) * 2005-03-30 2013-0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Polarizing plate
US7662456B2 (en) * 2005-12-12 2010-02-16 Eastman Kodak Company Guarded cover sheet for LCD polariz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70196657A1 (en) * 2005-12-15 2007-08-23 Cabot Corporation Transparent polymer composites
US20070239153A1 (en) * 2006-02-22 2007-10-11 Hodorek Robert A Computer assisted surgery system using alternative energy technology
DE102006020712A1 (de) * 2006-05-04 2007-11-0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eschichtete Polyesterfolie mit hoher Oberflächenspannung und niedriger Reibung
US7470974B2 (en) * 2006-07-14 2008-12-30 Cabot Corporation Substantially transparent material for use with light-emitting device
JP2008158181A (ja) 2006-12-22 2008-07-10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995510B1 (ko) * 2007-01-16 2010-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20100277684A1 (en) * 2007-10-22 2010-11-04 Hiroshi Fukushi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5324316B2 (ja) * 2008-05-27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10003282A (ko) * 2009-07-03 2011-01-1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및 점착 테이프
WO2011090126A1 (ja) * 2010-01-21 2011-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CN102869727B (zh) * 2010-04-26 2014-10-08 三键精密化学有限公司 光固化性硅凝胶组合物及其用途
KR101914477B1 (ko) 2012-09-28 2018-11-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CN104385725A (zh) * 2014-11-06 2015-03-04 苏州佳值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止滑橡胶脚垫
CN105733464B (zh) * 2015-10-30 2019-06-04 昆山乐凯锦富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偏光板用光学保护膜
CN105346296B (zh) * 2015-12-04 2018-01-09 张家港保税区康得菲尔实业有限公司 一种多色预涂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3195A (ja) * 1984-12-17 1986-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感熱転写用シ−ト
JPH0641333A (ja) * 1992-07-22 1994-02-15 Diafoil Co Ltd 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H0691811A (ja) * 1992-09-14 1994-04-05 Teijin Ltd 帯電防止性と離型性を有する偏光板用離型フイルム
JPH1055894A (ja) * 1996-08-09 1998-02-24 Arutetsuku Kk 耐熱静電誘導防止性接着プライマー
JPH1170629A (ja) * 1997-06-25 1999-03-16 Mitsubishi Kagaku Polyester Film Kk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H11221971A (ja) * 1998-02-06 1999-08-17 Fujicopian Co Ltd 感熱転写記録媒体
JP2000168015A (ja) * 1998-12-09 2000-06-2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1305346A (ja) * 2000-04-24 2001-10-31 Sun A Kaken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499B (en) * 1999-04-15 2004-12-21 Konishiroku Photo Ind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TW200806451A (en) * 1999-10-21 2008-02-01 Konica Minolta Opto Inc Optical film,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t
KR20030014587A (ko) * 2001-08-10 2003-02-19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3195A (ja) * 1984-12-17 1986-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感熱転写用シ−ト
JPH0641333A (ja) * 1992-07-22 1994-02-15 Diafoil Co Ltd 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H0691811A (ja) * 1992-09-14 1994-04-05 Teijin Ltd 帯電防止性と離型性を有する偏光板用離型フイルム
JPH1055894A (ja) * 1996-08-09 1998-02-24 Arutetsuku Kk 耐熱静電誘導防止性接着プライマー
JPH1170629A (ja) * 1997-06-25 1999-03-16 Mitsubishi Kagaku Polyester Film Kk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H11221971A (ja) * 1998-02-06 1999-08-17 Fujicopian Co Ltd 感熱転写記録媒体
JP2000168015A (ja) * 1998-12-09 2000-06-2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1305346A (ja) * 2000-04-24 2001-10-31 Sun A Kaken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865A2 (en) * 2007-12-27 2009-08-27 Kolon Industries, Inc. Release film
WO2009104865A3 (en) * 2007-12-27 2009-10-22 Kolon Industries, Inc. Releas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13820B2 (en) 2005-07-05
US20030124338A1 (en) 200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4587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106749B2 (ja)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4895000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US20050225857A1 (en) Substrate for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KR20040111611A (ko) 디스플레이 표면 보호필름
KR101084403B1 (ko) 광학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467752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209584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CN105378516B (zh) 保护膜和含有该保护膜的偏光板
JP2003080639A (ja) フィルム
JP531345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0168015A (ja)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TWI682852B (zh) 光學構件保護用塗佈薄膜
KR100587441B1 (ko) 액정 표시판 표면 보호 필름
JP4755735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2007021930A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2000168016A (ja)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506691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3055489A (ja) 窓貼り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10006682A (ko) 점착층 보호필름
JP2007178492A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4608150B2 (ja) 転写媒体
JP2019126999A (ja) 積層フィルム
JP2007163909A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2003182009A (ja) 電子ペーパー用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