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682A - 점착층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점착층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682A
KR20010006682A KR1020000008798A KR20000008798A KR20010006682A KR 20010006682 A KR20010006682 A KR 20010006682A KR 1020000008798 A KR1020000008798 A KR 1020000008798A KR 20000008798 A KR20000008798 A KR 20000008798A KR 20010006682 A KR20010006682 A KR 2001000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polarizing plate
refractive index
mold rel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가키마사시
이사키기미히로
Original Assignee
구기사와 도시로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사와 도시로,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기사와 도시로
Publication of KR2001000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8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Landscapes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 Tap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니콜 상태의 2장의 편광판 사이에서 광학적 평가를 수반하는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검사에 있어서, 이형 필름이 접착된 상태에서도 소광상태가 유지되고, 이물질 혼입 등의 검사가 용이하고, 또 점착제와의 점착성의 저하가 적은 특성을 갖는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 보호필름은 액정표시판용 편광판 및 위상차판에 도포된 점착제 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에 있어,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이형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면 내에서 최대 굴절률과 최저 굴절률의 차가 0∼0.005이고, 적층필름의 잔류접착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층 보호필름{ADHESIVE LAYER-PROTETING FILM}
본 발명은, 점착층 보호필름, 상세하게는 편광판 및/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도포된 점착제를, 예컨대, 액정셀 등의 기판 등에 접착시킬 때까지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액정표시판은 2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한 액정셀의 양면에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적층함으로써 제작된다.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액정셀에 적층할 때 점착제를 그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것이 보통이다. 점착제는, 통상,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적층되고, 액정셀 등의 기판 등에 접착시킬 때까지 이형 필름에 의해 보호된다. 이는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 및 점착제에 대하여 이물질의 혼입, 이물질의 부착 등에 의한 액정표시판의 표시능력이 저하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로스니콜 상태의 2장의 편광판 사이에서 광학적 평가를 수반하는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검사에 대해서도 이형 필름이 접착 된 채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상기의 보호필름으로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필름으로 하는 이형 필름이, 우수한 기계적, 열적 특성 등을 갖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공개 제7(1995)-101026호에는, 2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필름으로 한 이형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주축의 방향과,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같게 하든가, 또는 실질적으로 90°가 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주축의 방향과,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을 실질적으로 같게 하든가, 또는 실질적으로 90°가 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주축을 확인하고, 그 방향과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같게 하든가, 또는 실질적으로 90°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생산성 면에서 극히 곤란하다. 또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 배향축이 폭방향(기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부분만을 사용한 경우는, 상기와 같은 배향주축을 확인하는 수고는 없어지지만,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배향축이 폭방향(기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부분은, 제조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중앙부분의 일부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할 때 그 해결과제는, 크로스니콜 상태의 2장의 편광판 사이에서 광학적 평가를 수반하는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검사에 있어서, 이형 필름이 접착된 상태에서도 소광상태가 유지되고, 이물질 혼입 등의 검사가 용이하고, 또 점착제와의 점착성 저하가 적은 특성을 갖는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잔류접착율을 갖는 특정한 적층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뛰어 난 특성을 갖는 보호필름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액정표시판용 편광판 및 위상차판에 도포된 점착제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에 있어,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이형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면 내에서 최대 굴절률과 최저 굴절률의 차가 0∼0.005이고, 적층필름의 잔류접착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보호필름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및 위상차판용 점착층 보호필름은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적층되어 있는 점착제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형 필름이고, 면내 굴절률 등방성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이형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내 굴절률 등방성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하, 등방성필름이라 약칭함)이란, 필름면내에서 최대 굴절률과 최저 굴절률의 차가 0∼0.005, 바람직하게는 0∼0.003이고, 소위 압출법에 따라서 금형 압출구로부터 용융압출된 시트를 연신하여 배향시킨 필름을 말한다.
등방성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제3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이러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콜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l,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그 취급성을 고려할 경우,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은 조건하에서 필름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로서는, 예컨대,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카올린, 활석, 제올라이트, 불화리튬, 황산바륨, 카본블랙, 특공소59-52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내열성 고분자 미분체 등이 있다. 이들 입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입자의 평균입경은, 통상0.02∼2μm, 바람직하게는 0.05∼1.5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μm 이다. 입자의 함유량은 통상 0.01∼2중량%, 바람직하게는 0.02∼1중량% 이다.
필름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제조공정의 임의의 단계에서 입자를 첨가할 수가 있다. 특히, 에스테르화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후 중축합반응 개시전의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에 입자를 분산시킨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 등도 이용할 수 있다.
필름은 압출법에 따라서 금형 압출구로부터 용융압출된 시트를 세로 및 가로 방향의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압출법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금형 압출구로부터 용융압출하고, 냉각로울로 냉각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트와 회전냉각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전인가밀착법 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필름의 2축 방향의 연신 배향에 있어서는 동시 2축 연신법, 순차 2축 연신법 등이 이용되지만, 면내의 굴절률 등방성을 얻기 위해서는 동시2축 연신법 쪽이 바람직하다.
동시2축 연신법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로 온도제어된 상태에서 세로방향(기계방향) 및 가로방향(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으로, 연신 배율이 면적배율로 4∼50배, 바람직하게는 7∼3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10∼20배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통상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 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 하에서 열처리를 하여 연신배향 필름을 얻는다.
순차 2축 연신법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1방향으로 로울 또는 텐터 방식의 연신기로 연신시킨다. 연신 온도는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l0℃이고, 연신 배율은 통상 2.5∼7배, 바람직하게는 3.0∼6배이다. 이어서, 제1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온도는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5℃이고, 연신 배율은 통상 3.0∼7배, 바람직하게는 3.5∼6배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통상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 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 하에서 열처리를 하여 연신배향 필름을 얻는다.
연신 공정 중에 필름표면을 처리하는, 소위 인라인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그것은 이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동시2축 연신의 경우는 연신 종료후, 열처리 전에, 순차 2축 연신의 경우는 제l 연신이 종료한 후 제2 연신 전에, 대전방지성, 활성(미끄럼성), 접착성 등의 개량 및 2차 가공성 개량 등의 목적으로 수용성, 수계 에멀젼, 수계 슬러리 등으로 코팅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순차 2축 연신에 있어서는, 1방향의 연신을 2단계 이상으로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최종적으로 2방향의 연신 배율이 각기 상기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 전 또는 후에 두 번째 세로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 동시2축 연신법에 있어서는, 필름특성을 만족하는 한 회분식이나 연속식이어도 괜찮지만, 생산성 면에서 연속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등방성 필름의 일면에 이형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형층은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포액을 코팅하고,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층 중에는, 특성을 손상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임의의 첨가제, 예컨대, 각종 수지,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적외선 반사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화제, 블로킹방지제, 산화방지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상기 경화형 실리콘 수지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축합반응형, 부가반응형, 자외선경화형, 전자선경화형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액을 코팅하는 방법으로서는 로드 코팅법, 역전로울 코팅법, 그라비아로울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등의 공지 방법으로 코팅할 수가 있다.
도포후, 예컨대, 축합반응형이나 부가반응형 같은 열경화형의 경우, 통상 50℃∼150℃, 바람직하게는 80℃∼130℃의 온도에서 통상 2분 이내, 바람직하게는 1분 이내의 시간으로 가열 처리함으로써 경화 피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경화형 실리콘 수지의 도포량은 1∼25 g/m2, 바람직하기로는 2∼20 g/m2이고, 경화후의 실리콘수지 도막의 두께는 O.O1∼1μm, 바람직하기로는 0.05∼0.5μm이다. 도막 두께가 0.01μm 미만인 경우에는 이형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도막 두께가 1μm을 넘는 경우에는, 도막의 경화가 불충분하여 지는 경향이 있고, 이형성능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 필름의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은, 박리가 가능하면 좋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2∼400 mN/cm, 바람직하게는 4∼200 mN/cm, 더욱 바람직하게는 8∼100 mN/cm 이다.
본 발명에서, 이형 필름의 잔류접착율은 80%이상, 바람직하게는 85%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이 값이 80% 미만인 경우에는, 예컨대, 유리기판 등에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접착 할 때에 점착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형 필름의 잔류접착율을 8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이형층을 형성할 때에 축합형의 반응형태가 아니라 부가형의 반응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즉, 축합형에서는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저분자량의 미반응물이 남기쉽고, 부가형으로서는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저분자량의 미반응물이 남기 어렵다. 이 미반응물이 이행성분으로 되고, 잔류접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잔류접착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축합형 및 부가형에 공통적으로, 반응성이 높은 단량체를 사용하여 중합을 하고, 저분자량 성분을 적게 함으로써 잔류접착율을 높게 할 수가 있다. 더욱, 경화형 실리콘 수지의 분자량 분포도 잔류접착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화형 실리콘 수지의 분자량 분포에 있어서 저분자량 측을 적게 함으로써 잔류접착율을 높게 할 수 있다. 통상 함께 배합되는 실리콘 오일의 배합량은 적은 편이 잔류접착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전광선투과율(TL)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80%이상, 바람직하게는 85%이상이다. 80%정도 이상의 TL을 가지면, 이물질 혼입 등의 광학적 평가를 수반하는 검사를,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첨부한 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름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5∼150μm, 바람직하게는 10∼l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75μm 이다. 필름의 두께가 5μm 미만인 경우는 보호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취급성 등이 나빠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가 150μm을 넘는 경우는, 가요성 및 전광선투과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보호필름으로서의 취급 작업성, 이물질 혼입 등의 광학적 평가를 수반하는 검사를 하는 경우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참고예중「부」는「중량부」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법 및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이형 필름의 박리력
시료필름의 이형층상에 양면 점착테이프(닛또덴코샤제「No.502」)를 붙이고, JIS Z 0237에 규정되어 있는 2kg의 고무 로울러로 압착하고, 5Omm 폭으로 잘라내어 박리력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압착하고 나서 1시간 방치후, 인스트론형 인장력 시험기를 사용하고, 180°방향에서 인장속도300 mm/분으로 박리하여, 그 응력의 평균치를 그 시료의 박리력으로 하였다. 이 시험을 10샘플에 대해 반복하여, 그들의 산술평균을 내어 박리력으로 정하였다. 또, 이 시험을 한 분위기는 23℃, 50% RH의 표준상태로 하였다.
(2)잔류접착율
양면 점착테이프(닛또덴코샤제「No.502」)를 JIS G 4305에 규정되어 있는 냉간 압연 스텐레스판(SUS304)에 붙인 후, 상기 스텐레스판과의 접착력을 측정하여 그 값을 "fO"로 한다. 한편, 평가기준(1)의 기재방법으로 박리한 후의 양면 점착테이프를 상기 스텐레스판에 붙인 후의 접착력을 측정하여 해당 값을 "fl" 로 하여, 다음 식으로 잔류접착율을 계산하였다.
잔류접착율=(f1/fO)× l00
또, 접착력의 측정은 JIS Z 0237에 규정되어 있는 2kg 고무 로울러로 압착하고, 각각 f0 및 fl의 점착력 측정용 시료로 하며, 압착 1시간 방치후 인스트론형 인장력 시험기를 사용하고, 180°방향에서 인장속도30 mm/분으로 박리하고, 그 응력을 각각 1O 샘플에 대해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치를 각각 f0 및 f1로 하였다.
(3)적층필름의 전광선투과율(TL)
JIS-K7105에 따라, 적분구식 탁도계(일본전색공업사제「NDH-300 A」)에 의해 전광선투과율(TL)을 측정하였다.
(4)굴절율차의 절대치
아타고광학사제 압베식 굴절계를 사용하고,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의 시료 필름을 채취하여, 각각의 시료에 관해서 시료채취 방향의 굴절률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굴절율차의 절대치= ??세로방향의 굴절률 - 가로방향의 굴절률??
또, 굴절률의 측정은 나트륨 D선을 이용하여 23℃에서 행하였다.
(5)검사용이성(소광 상태)
크로스니콜 상태의 2장의 편광판 사이에 시료 필름을 배치하여, 위에서 전체를 보았을 때의 소광상태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제조예1 (폴리에스테르 A)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100부, 에틸렌글리콜60부 및 아세트산마그네슘·4수염0.09부를 반응기에 넣고, 가열 승온함과 동시에 메탄올을 증류 제거한 후,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하고, 반응개시로부터 4시간 동안 230℃로 승온하고, 실질적으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종료하였다. 이어서, 평균입경1.54μm의 실리카 입자를 0.1부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반응계에 첨가하고, 다시 에틸산포스페이트0.04부, 산화게르마늄0.01부를 첨가한 후, 100분 동안 온도를 280℃, 압력을 15 mmHg에 달하게 하고, 이후 서서히 압력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0.3 mmHg로 하였다. 4시간 후에 계내를 상압으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A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A의 실리카 입자의 함유량은 0.1중량%이었다.
제조예2 (폴리에스테르 필름 Al)
폴리에스테르 A를 l80℃에서 4시간동안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건조하고, 용융압출기로 290℃에서 용융압출한 후, 정전인가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40℃로 설정한 냉각로울상에서 냉각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T.M.Long 사제 롱(LONG)연신기를 이용하여 95℃에서 면적배율이 16배가 되도록 동시 2축연신을 하였다. 그 후, 230℃에서 열고정하여 두께25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A1을 얻었다. 필름 Al의 굴절율차는 0.001이었다.
제조예3 (폴리에스테르 필름 A2)
제조예2에서 연신 배율을 면적배율로 12배가 되도록 동시 2축연신을 하는 이외는 제조예2와 같이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A2를 얻었다. 필름 A2의 굴절율차는 0.001이었다.
제조예4 (폴리에스테르 필름 A3)
제조예2에서 연신 배율을 면적배율로 20배가 되도록 동시2축연신을 하는 이외는 제조예2와 같이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A3을 얻었다. 필름 A3의 굴절율차는 0.001이었다.
제조예5 (폴리에스테르 필름 A4)
제조예2에서 동시 2축 연신한 후, 물분산체 도포액을 연신 건조후의 도포 두께가 0.1μm이 되도록 도포하여 열고정을 한 이외는, 제조예2와 같이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A4를 얻었다. 필름 A4의 굴절율차는 0.001이었다.
상기 물분산체 도포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즉, 우선, p-스티렌술폰산나트륨염(40부), 비닐술폰산나트륨염(40부), N,N'-디메틸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20부)를 증류수중에 용해시켜 60℃에서 가열 교반하면서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노디프로판)2염산염을 첨가하여 중합을 하고 대전방지성 수지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대전방지성 수지30부에, 폴리우레탄 수지(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성분: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보다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사슬연장제: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50부, 아크릴수지(구성단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10부, 3관능수용성 에폭시 화합물5부, 평균입경0.1μm의 콜로이달 실리카5부를 배합하여 물분산체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6 (폴리에스테르 필름 A5)
폴리에스테르 A를 180℃의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4시간동안 건조하고, 용융압출기에 의해 290℃에서 용융압출한 후, 정전인가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40℃로 설정한 냉각로울상에서 냉각고화함으로써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85℃에서 3.5배 세로방향으로 연신한 후, 100℃에서 3.7배 가로방향으로 연신하고, 다시 230℃에서 열고정하고 연신필름의 중앙 부분만 채취하여 두께38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A5를 얻었다. 필름 A5의 굴절율차는 0.025이었다.
실시예1
폴리에스테르 필름 A1의 표면에 경화성 실리콘수지(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KS-779) 100중량부, 경화제(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CAT PL-8)1중량부,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용매2200중량부로 이루어진 도포액을 사용하고, "마이야바"로써 경화후의 도포 두께가 O.1μm이 되도록 도포하여, 경화 실리콘 수지 피막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2
실시예1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A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A2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3
실시예1에서, 도포액을 경화성 실리콘수지 "KS-723A"(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l00중량부, "KS-723B"(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25부, 경화제 "CAT PS-3"(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용매2200중량부로 이루어진 도포액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l과 같이 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4
실시예1에 있어서, 도포액을 경화성 실리콘 수지 "X-62-5039 A"(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100중량부, 경화제 "X-62-5039 B"(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용매2200중량부로 이루어진 도포액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5
실시예1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A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A3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6
실시예1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A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A4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참고예1
실시예 l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A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A5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참고예2
실시예1에서 경화성 실리콘수지 "KS-779"(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l00중량부, 경화제 "CAT PL-8"(신에츠가가쿠고교사제)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용매2200중량부로 이루어진 도포액 중에 실리콘 오일을 5부 배합하는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이형 필름을 얻었다.
이상,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낸다.
박리력(mN/cm) 잔류접착율(%) TL(%) 굴절율차 소광상태
실시예 1 1 4 9 0 8 9 0.001
실시예 2 1 4 9 0 8 9 0.001
실시예 3 3 9 9 5 8 9 0.001
실시예 4 1 4 9 0 8 9 0.001
실시예 5 1 4 9 0 8 9 0.001
실시예 6 1 4 9 0 8 9 0.001
참고예 1 1 4 9 0 8 9 0.025
참고예 2 1 2 7 0 8 9 0.001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잔류접착율, 투명성, 검사용이성이 뛰어 나고, 편광판 및 위상차판용 점착층 보호필름으로서 사용된 경우에 극히 유용하고, 본 발명의 공업적 가치가 높다.

Claims (2)

  1. 액정표시판용 편광판 및 위상차판에 도포된 점착제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에 있어,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이형층이 제공된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면 내에서 최대 굴절률과 최저 굴절률의 차가 0∼0.005이고, 적층필름의 잔류접착률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보호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이형층이 경화 실리콘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000008798A 1999-02-25 2000-02-23 점착층 보호필름 KR20010006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7793 1999-02-25
JP11047793A JP2000239623A (ja) 1999-02-25 1999-02-25 粘着層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82A true KR20010006682A (ko) 2001-01-26

Family

ID=1278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98A KR20010006682A (ko) 1999-02-25 2000-02-23 점착층 보호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239623A (ko)
KR (1) KR200100066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39B1 (ko) * 2004-10-01 2007-08-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783726B1 (ko) * 2003-10-30 2007-12-0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6093A (ja) * 2003-03-25 2004-12-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用離型フィルム
KR100991074B1 (ko) * 2005-06-14 2010-10-29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필름용 지지체의 평가 방법
JP2009184269A (ja) * 2008-02-07 2009-08-20 Mitsubishi Plastics Inc 離型フィルム
CN101946196B (zh) * 2008-02-25 2012-09-19 三菱树脂株式会社 离型膜
JP5412321B2 (ja) * 2010-02-25 2014-02-12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性に優れた離型フィルム
JP5420454B2 (ja) * 2010-03-12 2014-02-19 三菱樹脂株式会社 偏光板用離型フィル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5023A (ja) * 1995-11-02 1997-05-13 Nippon Shokubai Co Ltd 剥離剤および剥離シート
JPH09156060A (ja) * 1995-12-05 1997-06-17 Fujimori Kogyo Kk 剥離シート
JPH09174763A (ja) * 1995-12-22 1997-07-08 Teijin Ltd 離型フイルム
KR19980018026A (ko) * 1996-08-29 1998-06-05 한형수 점착층 보호용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5023A (ja) * 1995-11-02 1997-05-13 Nippon Shokubai Co Ltd 剥離剤および剥離シート
JPH09156060A (ja) * 1995-12-05 1997-06-17 Fujimori Kogyo Kk 剥離シート
JPH09174763A (ja) * 1995-12-22 1997-07-08 Teijin Ltd 離型フイルム
KR19980018026A (ko) * 1996-08-29 1998-06-05 한형수 점착층 보호용 실리콘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26B1 (ko) * 2003-10-30 2007-12-0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750839B1 (ko) * 2004-10-01 2007-08-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39623A (ja)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6749B2 (ja)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6940004B2 (ja)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
KR101767791B1 (ko) 편광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129735A (ko) 광학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EP2508344A1 (en) Release film
KR20110066932A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13396179A (zh) 聚酯薄膜及其用途
CN113874212B (zh) 层叠薄膜及其用途
JP4476423B2 (ja) 離型フィルム
KR100689974B1 (ko) 이형 필름
WO2011105441A1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離型フィルム
JP2004177719A (ja) 離型フィルム
KR20010006682A (ko) 점착층 보호필름
JP4521704B2 (ja) 離型フィルム
KR100587441B1 (ko) 액정 표시판 표면 보호 필름
JP4216962B2 (ja) 離型フィルム
JP4397499B2 (ja) 液晶偏光板粘着層保護用離型フィルム
JP2013202962A (ja) 両面粘着テープ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62239A (ja) 粘着層保護フィルム
JP2011189589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
JP2004177718A (ja) 離型フィルム
JP2004066642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8128503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41575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245739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