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336A -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벨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벨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336A
KR20030013336A KR1020020045952A KR20020045952A KR20030013336A KR 20030013336 A KR20030013336 A KR 20030013336A KR 1020020045952 A KR1020020045952 A KR 1020020045952A KR 20020045952 A KR20020045952 A KR 20020045952A KR 20030013336 A KR20030013336 A KR 20030013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rear door
vehicle body
door
web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치이페이
나카오히로아키
후쿠시마마사노부
타케시타히로아키
오쓰카마사시
오쿠가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33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필러가 없고, 소위 좌우 여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자동차의 앞좌석용 시트벨트 장치의 승무원 구속 성능을, 상대적으로 승무원 착석 위치가 낮은 경우라도, 뒷좌석 승무원의 승강성등을 방해하는 일 없이, 썩알맞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며, 그 해결수단으로서는, 랩ㆍ엥커(42)가 설치된 엥커ㆍ브래킷(44), 리어ㆍ도어(3)에 설치되고 엥커ㆍ브래킷(4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62), 리어ㆍ도어(3)의 개방시에 엥커ㆍ브래킷(44)을 리어ㆍ도어(3)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위쪽으로 구동하는 동시에, 리어ㆍ도어(3)폐쇄시에는 엥커ㆍ브래킷(44)을 아래 쪽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50), 및, 리어ㆍ도어(3)폐쇄시에, 엥커ㆍ브래킷(44)이 아래 쪽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하도록, 리어ㆍ도어(3)보다 아래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ㆍ핀(6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벨트구조{SEAT BELT STRUCTURE FOR FRONT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소위 좌우여닫이식 구조의 도어를 구비한 차량에 적절한 차량의 앞좌석 승무원용 시트벨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승용차등의 차량에 있어서, 앞좌석용 3점시트 벨트의 웨빙을 감아꺼내는 리트랙터, 웨빙을 승무원의 차외측 위 쪽에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ㆍ엥커 및 웨빙을 승무원의 차 외측 아래 쪽에서 고정 지지하는 랩ㆍ엥커는, 차체의 센터 필러에 배치되는 것이 통상이다.
한편, 센터 필러가 없이, 소위 좌우 영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이들, 앞좌석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숄더ㆍ엥커 및 랩ㆍ엥커가, 뒷좌석 승무원의 승강성등에 배려해서 리어ㆍ도어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개2001-105864).
그러나, 랩ㆍ엥커를, 차체의 센터필러에 배치했을 경우, 랩ㆍ엥커의 위치(엥커ㆍ포인트)가 도어 아래 가장자리 보다도 아래 쪽에 배치되는 것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랩ㆍ엥커를 리어ㆍ도어에 배치했을 경우, 리어ㆍ도어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랩ㆍ엥커를 도어 아래 가장자리보다도 위 쪽에 배치 하게 되어, 엥커ㆍ포인트가, 높아지기 때문에, 승무원 착석 위치가 높은 차량에 있어서는 하등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승무원 착석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차량에 있어서는, 도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즉, 시트 벨트에 의한 승무원 구속시에, 웨빙에 의한 승무원 구속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승무원 구속이 썩 알맞게 행해질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도어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센터필러가 없이, 소위 좌우 여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자동차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장치의 승무원 구속 성능을 상대적으로 승무원 착석 위치가 낮은 경우라도, 뒷좌석 승무원의 승강성등을 방해하는 일없이 썩 알맞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벨트 구조를 구비한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리어ㆍ도어와 제 1실시형태를 가지는 시트벨트 장치를 실내로부터 손 세로단면도.
도 3은, 제 1실시형태의 랩ㆍ엥커를 실내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제 2실시형태의 랩ㆍ엥커를 실내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제 2실시형태의 랩ㆍ엥커의 부분 측면도 및 부분 정면도.
도 6은, 제 3실시형태의 랩ㆍ엥커의 부분측면도 및 부분 정면도.
<부호의 설명>
3: 리어ㆍ도어31: 웨빙
42,46: 랩ㆍ엥커44: 엥커ㆍ브래킷
48: 엥커ㆍ링크50: 구동기구(전동식 구동 기구)
51: 모터53: 기어
55: 링크57,58: 스프링
59: 스토퍼ㆍ핀62: 지지부재
66: 돌쩌귀지지부재64,68: 엥커ㆍ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의 구성은, 차실내에 전후석을 갖추는 동시에, 차체 측면의 단일 개구(開口)가 프런트ㆍ도어와 리어ㆍ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상기 프런트ㆍ도어가 그 앞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제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 되고, 상기 리어ㆍ도어가 그 뒷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벨트 장치이며, 상기시트벨트 장치가, 승무원을 구속하는 웨빙, 상기 리어ㆍ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웨빙을 충돌시에 유지 가능하게 감아 꺼내는 리트랙터, 상기 리어ㆍ도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ㆍ엥커,상기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측 아래 쪽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한 탱ㆍ버클부, 및,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 밖 측 아래 쪽에 있어서 고정 지지하는 랩ㆍ엥커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랩ㆍ엥커가 설치된 엥커ㆍ브래킷, 상기 리어ㆍ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엥커ㆍ브래킷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리어ㆍ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엥커ㆍ브래킷을 상기리어ㆍ도어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위 쪽으로 구동 하는 동시에, 상기리어ㆍ도어폐쇄시에는 상기 엥커ㆍ브래킷을 아래쪽으로 구동하는 구동기구, 및, 리어ㆍ도어 폐쇄시에, 상기 엥커ㆍ브래킷이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엥커ㆍ브래킷을 개재하여 차체 쪽에서 받도록, 상기 리어ㆍ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ㆍ핀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구가 엥커ㆍ브래킷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 하는 것이며, 리어ㆍ도어개방시에는, 상기 엥커ㆍ브래킷은, 위 쪽으로 이동해서 리어ㆍ도어 개폐의 지장으로 되는 일이 없고, 리어ㆍ도어폐쇄시에는 아래 쪽으로 이동해서 앵커ㆍ핀과 걸어맞춤함으로써,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랩ㆍ엥커가 설치된 엥커ㆍ브래킷을 개재하여, 리어ㆍ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ㆍ핀으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구동 기구가, 전기적으로 발생하는 구동력을 이용하는 전동식 구동 기구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적은 구성부품으로 상기 구동 기구를 실 현할 수가 있고, 공간절약화, 비용절약화를 도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동식 구동 기구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링크에 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의해 전달된 모터의 회전력을 그 선단에 결합된 엥커ㆍ브래킷의 상하 방향의 이동력으로서전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결합되고 위 쪽에의 인장력을 일으키게 하는 스프링과, 상기 엥커ㆍ브래킷을, 상기 엥커ㆍ핀에 걸어맞춤한 위치에서 지지부재에 유지 시키는 스토퍼ㆍ핀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어ㆍ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시는, 엥커ㆍ브래킷을 순식간에, 리어ㆍ도어를 개방하는데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반대로 리어ㆍ도어가 개방상태로부터 닫힌 상태에 이행시는, 앵커ㆍ브래킷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엥커ㆍ브래킷을 확실히 상기 엥커ㆍ핀에 걸어맞춤시켜, 상기 엥커ㆍ핀에 걸어맞춤한 후는, 리어ㆍ도어 노브에 연동한 스토퍼ㆍ핀에 의해, 확실히 상기 엥커ㆍ핀에 걸어맞춤한 위치를 유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구성에 의하면, 차실내에 전후석을 갖춤과 동시에, 차체 쪽 면의 단일 개구가 프런트ㆍ도어와 리어ㆍ도어와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상기 프런트ㆍ도어가 그 앞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상기 리어ㆍ도어가 그 뒷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자동차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장치로서, 상기 시트 벨트 장치가, 승무원을 구속하는 웨빙, 상기 리어ㆍ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충돌시에 유지 가능하게 감아꺼내는 리트랙터, 상기 리어ㆍ도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ㆍ엥커,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쪽 아래 쪽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한 탱ㆍ버클부 및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 외측 아래 쪽 에있어서 고정 지지하는 랩ㆍ엥커를 갖춘것에 있어서, 상기 랩ㆍ엥커가 설치된 엥커ㆍ링크, 상기 리어ㆍ도어에 설치되고, 상기엥커ㆍ링크를 차체 전후방향으로 피봇(Pivot)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리어ㆍ도어가 닫혀있고, 또한 상기 탱ㆍ버클부가 걸어맞춤 해서 있을 때, 상기 웨빙으로부터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엥커ㆍ링크를 차체의 앞아래 방향으로 피봇움직임 가능하게하는 돌쩌귀지지부재, 상기 리어ㆍ도어가 열려 있고, 또한 상기 탱ㆍ버클부가 이탈하고 있을 때, 상기 엥커ㆍ링크를 상기 리어ㆍ도어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엥커ㆍ링크에 결합 되고, 차체의 뒤위쪽방향에의 인장력을 일으키게 하는 스프링, 및 상기 리어ㆍ도어가 닫혀 있고, 상기 탱ㆍ버클부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 상기 엥커ㆍ링크가 피봇움직임해서 걸어맞춤 함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엥커ㆍ링크를 개재하여 차체쪽에서 받도록, 상기 리어ㆍ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ㆍ핀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어ㆍ도어 개방으로, 탱과 버클의 이탈시에는, 상기 엥커ㆍ링크는, 차체의 뒤위 쪽방향으로 피봇 움직임해서 리어ㆍ도어 개폐의 지장이되는 일이 없고, 리어ㆍ도어폐쇄로, 탱과 버클의 걸어맞춤시에는, 차체의 앞 아래쪽 방향으로 피봇움직임해서 엥커ㆍ핀과 걸어맞춤 함으로써,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랩ㆍ엥커가 설치된 엥커ㆍ링크를 개재하여, 리어ㆍ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ㆍ핀으로 받을 수 있다.
또 리어ㆍ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의 이행시는, 엥커ㆍ링크를 순식간에, 리어ㆍ도어를 개방하는데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반대로 리어ㆍ도어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행시는, 상기 엥커ㆍ링크를 서서히 하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엥커ㆍ링크를 확실히 상기 엥커ㆍ핀에 걸어맞춤 시킬 수 있는 데다가, 적은 구성부품으로, 상기 구동 기구를 실현하며 공간절약화, 비용절약화를 도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의 구성에 의하면, 차실내에 전후석을 갖춤과 동시에, 차체 측면의 단일 개구가 프런트ㆍ도어와 리어ㆍ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상기 프런트ㆍ도어가 그 앞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리어ㆍ도어가 그 뒷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자동차의, 앞좌석용 시트벨트 장치이며, 상기시트벨트 장치가, 승무원을 구속하는 웨빙, 상기 리어ㆍ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상기 웨빙을 충돌시에 유지 가능하게 감아꺼내는 리트랙터, 상기 리어ㆍ도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ㆍ엥커,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쪽 아래 쪽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 하고, 그 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한 탱ㆍ버클부 및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외측 아래 쪽에 있어서 고정 지지하는 랩ㆍ엥커를 갖춘 것 에 있어서, 상기 랩ㆍ엥커가 설치된 엥커ㆍ링크, 상기 리어ㆍ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엥커ㆍ링크를 차체 전후방향으로 피봇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쩌귀지지부재, 상기 돌쩌귀지지부재에 연결 되고, 상기 리어ㆍ도어폐쇄시에, 상기 엥커ㆍ링크를 차체의 앞아래 쪽방향에 피봇움직임하는 모터, 상기 리어ㆍ도어개방시에, 상기 엥커ㆍ링크를 상기 리어ㆍ도어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엥커ㆍ링크에 결합 되고, 차체의 뒤위 쪽방향에의 인장력을 일으키게 하는 스프링, 상기 리어ㆍ도어폐쇄시, 상기 엥커ㆍ링크가 피봇움직임해서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엥커ㆍ링크를 개재하여 차체 쪽에서 받도록, 상기 리어ㆍ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ㆍ핀, 및 상기 엥커ㆍ링크를, 상기 엥커ㆍ핀에 걸어맞춤 위치에서 유지 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어ㆍ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상태로의 이행시에는, 엥커ㆍ링크를 순식간에, 리어ㆍ도어를 개방하는데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반대로 리어ㆍ도어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행시는, 엥커ㆍ링크를 서서히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엥커ㆍ링크를 확실히 상기 엥커ㆍ핀에 걸어맞춤 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먼저, 차체 구조 및 도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의 차실내에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전후방향에 앞좌석(21) 및 뒷좌석(불도시)이 배치되고, 이들 앞좌석(21) 및 뒷좌석에 착석하는 승무원이, 각각 승강하기 위한 앞좌석용 승강구(13a)와 뒷좌석용 승강구(13b)가, 차체의 적어도 한 쪽의 측면에 설치되고 있다.
앞좌석용 승강구(13a)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앞끝부분을 프런트 도어 힌지(4)에 의해 이 힌지부(4)를 지점으로서 회전하도록 차체에 지지된 프런트 도어(2)로 개폐되고, 마찬가지로 뒷좌석용 승강구(13b)는, 그 뒤 끝부분을 리어·도어힌지(5)에 의해 이 힌지부(5)를 지점으로서 회전하도록 차체에 지지된 리어·도어(3)로 개폐되고, 소위 좌우 여닫이식 구조의 사이드 도어가 형성되고 있다.
또, 이들의 승강구(13a),(13b)는, 양도어(2),(3)에 의해서 개폐 자재로 덮이는 연속한 1개의 개구(13)를 형성 하고, 센터필러레스 구조의 차체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리어·도어(3)앞끝의 상부, 및 하부에는 리어·도어(3)를 차체에 록하기위한 록 부재(14),(15)가 설치되고, 프런트·도어(2)뒤끝의 중간부에는 리어·도어(3)의 스트라이커(16)를 록하기 위한 록 부재(불도시)가 설치되고있다.
리어·도어(3)의 록 부재(14),(15)는, 프런트·도어(2)가, 열린 후, 록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좌우 여닫이식 구조의 도어는, 프런트·도어(2)가 우선해서 개방 되고, 리어·도어(3)는 프런트·도어(2)의 개방 후에 있어서, 그 개방이 허용 된다.
다음에, 앞좌석용 시트 벨트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좌석용 시트 벨트 장치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승무원을 구속하는 웨빙(31), 상기 리어·도어(3)의 하부에 설치되고 웨빙(31)을 충돌시에 유지 가능하게 감아꺼내는 리트랙터(32), 벨트 지지점 중의 1개로, 리어·도어(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31)을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엥커(35), 다른 1개의 벨트 지지점으로써, 상기 웨빙(31)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쪽 아래 쪽 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 하고, 그 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한 탱·버클부(36), 또 다른 1개의 벨트 지지점으로써, 웨빙(31)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외측아래 쪽에 있어서 고정 지지하는 랩·엥커(42)를 가진다.
상기 구성부품 가운데, 탱·버클부(36)는, 플로어 패널(18)에 브래킷(26)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상기 웨빙(31)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쪽 아래 쪽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 하고, 그 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하다.
리트랙터(32)는, 리어·도어(3)에 있어서의 센터 필러와 동등의 강성을 가지는 리어·도어 앞부분 구조 체내에 설치되어 웨빙(31)을 감아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숄더·엥커(35)는, 상기 리어·도어 앞부분 구조체의 차실 쪽의 상부에, 앞좌석(21)의 헤드레스트(24)의 위치 와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즉, 리트랙터(32)로부터 인출된 웨빙(31)은, 상기 리어·도어 앞부분 구조체의 차실 쪽 표면에 배치되는 도어트림(불도시)의 상단부로부터, 차실내로 인출되고, 숄더·엥커(35)의 벨트가이드 구멍을 통과한 후, 탱·버클부(36)에 설치되는 버클(36b)에 접속 가능한 벨트 착탈용의 탱(36a)을 거친 후, 그 끝부분이, 리어·도어 앞부분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는 랩·엥커(42)에 고정되고 있다.
다음에, 랩·엥커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3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1실시형태>
제 1실시형태의 랩·엥커는, 도 2 및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랩·엥커(42)가 설치된 엥커·브래킷(44), 상기 리어·도어(3)에 설치되고, 엥커·브래킷(44)을 상하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62), 리어·도어(3)의 개방시에 엥커·브래킷(44)을 리어·도어(3)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위쪽으로 구동하는 동시에, 리어·도어폐쇄시에는 엥커 브래킷(44)을 아래 쪽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전동식 구동 기구)(50), 및 리어·도어(3)의 폐쇄시에, 엥커·브래킷(44)이 아래 쪽으로 이동하고, 하단에 형성된 노치부와 걸어맞춤하도록 리어·도어(3)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64)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구동 기구(전동식 구동 기구)(5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51),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을 링크(55)에 전하는 기어(53), 기어(53)에 의해 전달된, 모터(5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하고, 선단부에 설치된 긴 구멍내에서 엥커·브래킷(44)에 설치된 핀을 접동시킴으로써 엥커·브래킷(44)을 상하동 시키는 링크(55), 상기 링크(55)에 결합되어 위 쪽으로의 인장력을 일으키게 하는 스프링(57), 및, 리어·도어 노브(불도시)와 케이블(54)에 의해 연동되고, 엥커·브래킷(44)이, 아래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엥커·핀(64)과 걸어맞춤한 위치를 유지 하도록 지지부재(62)에 설치된 스토퍼·핀(59)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제 1실시형태의 랩·엥커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했을 경우, 리어·도어(3)의 상태변화는, 리어·도어(3)에 설치된 리어·도어 스위치(불도시), 또는, 탱·버클부(36)에 설치된 버클 스위치(불도시)의 출력전압 변화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리어·도어 스위치, 또는 상기 버클 스위치의 출력전압 변화를 검출하면,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했다고 판정 하고, 확인용 타이머를 스타트 시킨다.
상기 확인용 타이머가, 카운트 동작중, 재차, 상기 리어·도어 스위치, 또는 상기 버클 스위치의 출력전압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 복귀했다고 판정 하고, 제어를 중지 하고, 랩·엥커(42)의 위치는, 변화하지않는다.
한편, 상기 확인용 타이머가, 카운트 동작중, 상기 리어·도어 스위치, 및 상기 버클 스위치의 어느 출력전압 변화 도 검출하는 일 없이, 소정 시간 경과했을 경우, 리어·도어(3)의 닫힌 상태가 확인되었다고 해서, 모터(51)를 도 3에 있어서 시계회전 방향(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은, 기어(53)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있는 링크(55)에 전달 되고, 링크(55)는, 시계·회전반대방향(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러나, 상기 링크(55)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있는 엥커·브래킷(44)은, 지지부재(62)에 의해, 상하 방향만의 이동으로 규제되고 있으므로써, 엥커·브래킷(44)은, 스프링(57)에 의한 위쪽방향으로의 인장력에 저항해서, 아래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엥커·브래킷(44)의 아래 쪽방으로의 이동은, 리어·도어(3)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64)이, 엥커·브래킷(44)의 하단부에 형성된 노치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종료하고, 동시에, 지지부재(62)에 설치된 스토퍼·핀(59)이 엥커·브래킷(44)의 상단부에 끼워맞춤 한다.
즉, 엥커·브래킷(44)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엥커·핀(64)에 의해, 하단부를 지지를 받아 리어·도어(3)에 설치된 지지 부재(62)와 스토퍼·핀(59)에 의해 상단부를 지지를 받은 상태로, 아래 쪽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하고, 모터(51)는, 록 전류 검출에 의해 통전을 중지한다.
반대로, 리어·도어(3)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했을 경우, 리어·도어노브(불도시)가 조작되는 것으로, 리어·도어 노브와 케이블(54)에 의해 연결되고 있는 스토퍼·핀(59)이, 지지부재(62)와 엥커·브래킷(44)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55)에 설치된 스프링(57)의 위쪽방향에의 인장력에 의해, 엥커·브래킷(44)은, 순식간에, 지지부재(62)에 의해, 규제되는 위치까지 위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2실시형태>
제 2실시형태의 랩·엥커는, 도 4 및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랩·엥커(46)가 일체로서 설치된 엥커·링크(48), 리어·도어(3)에 설치되어 엥커·링크(48)를 차체 전후방향으로 피봇움직임 가능하게 지지 하고, 리어·도어(3)가 닫고 있고, 또한 탱·버클부(36)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 웨빙(31)으로부터,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엥커·링크(48)를 차체의 앞아래쪽방향으로 피봇움직임가능하게하는 둘쩌귀지지부재(66), 상기 리어·도어(3)이 열리고 있어, 또한 탱·버클부(36)가 이탈하고 있을 때, 엥커·링크(48)를 리어·도어(3)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엥커·링크(48)에 결합 되고, 차체의 뒤위쪽방향으로의 인장력을 일으키게 하는 스프링(58), 및, 리어·도어(3)가 닫고 있어, 탱·버클부(36)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 상기 엥커·링크(48)가 피봇움직임해서 걸어맞춤함으로써, 웨빙(31)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엥커·링크(48)를 개재하여 차체 쪽에서 받도록, 상기 리어·도어(3)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68)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제 2실 시형태의 랩·엥커의 작동에 대해 설명 한다.
리어·도어(3)가, 열린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하여, 탱·버클부(36)가 걸어맞춤될 때, 승무원에 의해 웨빙(31)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이 인장력은, 랩·엥커(46)에 전달된다.
이로써, 랩·엥커(46)는, 돌쩌귀지지부재(66)를 회전 중심으로서 차체 앞아래쪽방향으로 회전이동을 개시하고, 랩·엥커(46)는, 스프링(58)에 의한 차체 뒤위 쪽방향으로의 인장력에 저항해, 차체 앞아래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차체 앞아래쪽방향으로의 이동은, 리어·도어(3)의 아래 쪽 차체부에 고정된 엔커·핀(68)이, 랩·엥커(46)와 일체인 엥커·링크(48)의 아래 쪽부분에 형성된 노치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종료한다.
엥커·링크(48)와 엥커·핀(68)이 걸어맞춤한상태는, 웨빙(31)이, 리트랙터(32)와, 숄더·엥커(35)와, 탱·버클부(36)와 랩·엥커(46)간에 팽팽히 가설되고, 리트랙터(32)에 의한 웨빙(31)의 인장력이, 랩·엥커(46)에 전달됨으로써, 유지 된다.
반대로, 리어·도어(3)를,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에 이행 시키기 위해, 탱·버클부(36)에 있어서, 탱(36a)을, 버클(36b)로부터 이탈시켰을 경우, 웨빙(31)의 인장력은, 소실하기 때문에, 엥커·링크(48)에 설치된 스프링(58)의 차체 뒤 위 쪽방향으로의 인장력에 의해서, 엥커·링크(48)는, 순식간에, 돌쩌귀지지부재(66)를 회전 중심으로서 회전하고, 차체 뒤위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3실시형태>
제 3실시형태의 랩·엥커는,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제 2실시형태의 구성에, 돌쩌귀지지부재(66)를 피봇움직임 가능하도록 돌쩌귀지지부재(66)에 연결된 모터(69), 및 상기 엥커·링크(48)를, 상기 엥커·핀(68)에 걸어맞춤한 위치에서 유지 시키는 스토퍼 기구(67)를 추가 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구성에 의하면, 제 2실시형태의 랩·엥커(46)가, 승무원 또는 리트랙터(32)에 의한 인장력을 이용 하고, 엥커·링크(48)를 피봇움직임한것에 바구어서,
상기 제 1실시형태의 모터 제어와 마찬가지로, 리어·도어(3)의 상태변화를, 리어·도어(3)에 설치된 리어·도어 스위치(불도시), 또는, 탱·버클부(36)에 설치된 버클 스위치(불도시)의 출력전압 변화에 의해 검출하고, 리어·도어(3)의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행이 확인되었을 경우, 모터(69)를 도 6(b)에 있어서 시계회전 방향(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이것에 의해, 연결된 돌쩌귀지지부재(66)와 엥커·링크(48)가, 스프링(58)에 의한 차체 뒤위 쪽방향에의 인장력에 저항해서, 차체 앞아래 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차체 앞아래쪽 방향에의 이동은, 리어·도어(3)의 아래 쪽 차체부에 고정된 엥커·핀(68)이, 랩·엥커(46)와 일체인 엥커·링크(48)의 아래 쪽부분에 형성된 노치부에 걸어맞춤 함으로써 종료 하고, 동시에,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기구(67)에 의해, 엥커·링크(48)가,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반대로, 리어·도어(3)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했을 경우,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리어·도어 노브(불도시)가 조작됨으로서, 리어·도어 노브와 케이블(6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 기구(67)에 의한 엥커·링크(48)의 유지가 해제되고, 엥커·링크(48)에 설치된 스프링(58)의 차체 뒤 위쪽방향에의 인장력에 의해, 엥커·링크(48)는, 순식간에, 돌쩌귀지지부재(66)를 회전 중심으로서 회전 하고, 차체 뒤 위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으로서,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하고, 탱·버클부(36)에 있어서, 탱(36a)이, 버클(36h)에 걸어맞춤되면, 승무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없이, 제 1실시형태이면 랩·엥커(42)가, 제 2실시형태, 및 제 3실시형태이면 랩·엥커(46)가, 모두 자동적으로 낮은 위치까지 저하하기 때문에, 승무원 착석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차량 에 있어서도, 웨빙(31)에 의한 승무원 구속 위치가 적절한 높이로 되어, 시트 벨트에 의한 승무원구속을 썩알맞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 하고, 시트 벨트에 의한 승무원구속시, 웨빙(31)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제 1실시형태이면, 리어·도어(3)에 설치한 지지부재(62)와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64)에 의해, 혹은 제 2실시형태 및 제 3실시형태이면, 제 1실시형태 와 마찬가지로, 리어·도어에 설치한 돌쩌귀지지부재(66)와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68)에 의해, 모두 차체와 리어·도어(3)에 분산 해서 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어·도어와 차체의 부담이 경감되게 되어, 리어·도어 및 차체의 변형, 파손등이 방지 되고, 나아가서는 시트 벨트의 구속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 했을 경우에는, 모터(51)에 의해 서서히 엥커·포인트를 낮게 하고, 엥커·브래킷(44)을, 확실히, 엥커·핀(64)에 걸어맞춤시켜, 반대로 리어·도어(3)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 했을 경우에는, 스프링(57)에 의해, 엥커·브래킷(44)을, 순식간에,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 되는데에 지장이 없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리어·도어(3)를 지장 없이 개폐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트벨트 장착시의 엥커·포인트를 적절한 높이로 함으로써, 승무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 2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어·도어(3)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하고, 탱. 버클부(36)에 있어서, 탱(36a)을, 버클(36b)에 걸어맞춤되었을 경우에는, 리트랙터(32)에 의한 웨빙(31)의 인장력에 의해, 또, 제 3실시형태에 의하면, 모터(69)의 회전력에 의해, 서서히 엥커·포인트를 낮추고, 엥커·링크(48)를, 확실히, 엥커·핀(68)에 걸어맞춤시켜, 반대로 탱·버클부(36)에 있어서, 탱(36a)이, 버클(36b)로부터 이탈되어, 리어·도어(3)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스프링(58)에 의해, 엥커·링크(48)를, 순식간에, 리어·도어가 열린 상태로 되는것에 지장이 없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리어·도어(3)를 지장 없게 개폐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트 벨트 장착시의 엥커·포인트를 적절한 높이로 함으로써, 승무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랩·엥커의 위치 이동이, 제 1실시형태이면, 모터(51), 기어(53), 링크(55), 스프링(57), 스토퍼·핀(59)에 의해, 혹은 제 2실시형태이면, 돌쩌귀지지부재(66), 스프링(58)에 의해, 제 3실시형태이면, 돌쩌귀지지부재(66), 스프링(58), 모터(69), 스토퍼 기구(67)에 의해, 모두 적은 구성부품으로 실현되고, 공간절약화, 비용절약화를 도모하는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랩·엥커(42)의 위치 이동을 위해, 구동 기구(50)를 모터(51)에 의해 실현했으나, 유압 장치등에 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필러가 없이, 소위 좌우 여닫이식 도어를 갖춘자동차의 앞좌성용 시트 벨트 장치의 승무원 구속 성능을, 상대적으로 승무원 착석위치가 낮은 경우라도, 뒷좌석 승무원의 승강성등을 방해하는 일 없이, 썩 알맞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차실내에 전후석을 구비하는 동시에, 차체 측면의 단일 개구가 프런트·도어 와 리어·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상기 프런트·도어가 그 앞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 되고, 상기 리어·도어가 그 뒷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차량의, 앞좌석용시트 벨트 장치이며,
    상기 시트 벨트 장치가, 승무원을 구속하는 웨빙, 상기 리어·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충돌시에 유지 가능하게 감아꺼내는 리트랙터, 상기 리어·도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엥커,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쪽 아래 쪽 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 하고, 그것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한 탱·버클부, 및,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 외측 아래 쪽에 있어서 고정 지지하는 랩·엥커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랩·엥커가 설치된 엥커·브래킷, 상기 리어·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엥커·브래킷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리어·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엥커·브래킷을 상기 리어·도어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위 쪽으로 구동 하는 동시에, 상기 리어·도어폐쇄시에는 상기 엥커·브래킷을 아래 쪽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 및, 리어·도어폐쇄시에, 상기 엥커·브래킷이 아래 쪽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엥커·브래킷을 개재하여 차체 쪽에서 받도록, 상기 리어·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구조.
  2. 청구항 1에 기재된 앞좌석용 시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가, 전기적으로 발생하는 구동력을 이용하는 전동식 구동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구조.
  3. 청구항 2에 기재된 앞좌석용 시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구동 기구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링크에 전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의해 전달된 모터의 회전력을 그 선단에 결합된 엥커·브래킷의 상하 방향의 이동력으로서 전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결합되고 위쪽으로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엥커·브래킷을, 상기 엥커·핀에 걸어맞춘 위치에서 지지부재에 유지 시키는 스토퍼·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구조.
  4. 차실내에 전후석을 구비하는 동시에, 차체 측면의 단일 개구가 프런트·도어와 리어·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 상기 프런트·도어가 그 앞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리어·도어가 그 뒷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자동차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장치이며,
    상기 시트 벨트 장치가, 승무원을 구속하는 웨빙, 상기 리어·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충돌시에 유지 가능하게 감아꺼내는 리트랙터, 상기 리어·도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엥커,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쪽 아래 쪽 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 하고, 그것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한 탱·버클부 및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 외측 아래 쪽에 있어서 고정 지지하는 랩·엥커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랩·엥커가 설치된 엥커·링크, 상기 리어·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엥커·링크를 차체 전후방향으로 피봇(PIVOT)움직임가능하게 지지 하고, 상기 리어·도어가 닫고 있어, 또한 상기 탱·버클부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 상기 웨빙으로부터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엥커·링크를 차체의 앞아래 쪽방향으로 피봇움직임가능하게 하는 돌쩌귀지지부재, 상기 리어·도어가 열여 있고, 또한 상기 탱·버클부가 이탈해 있을 때에, 상기 엥커·링크를 상기 리어·도어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엥커·링크에 결합 되고, 차체의 뒤위 쪽방향으로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리어·도어가 닫고 있어, 상기 탱·버클부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 상기 엥커·링크가 피봇움직임해서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엥커·링크를 개재하여 차체 쪽에서 받도록, 상기 리어·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앞좌석용 안전 벨트 구조.
  5. 차실내에 전후석을 구비하는 동시에, 차체 측면의 단일 개구가 프런트·도어 와 리어·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 상기 프런트·도어가 그 앞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 되고, 상기 리어·도어가 그 뒷부분에 고정된 힌지를 개재하여 차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자동차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장치이며,
    상기 시트 벨트 장치가, 승무원을 구속하는 웨빙, 상기 리어·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충돌시에 유지 가능하게 감아꺼내는 리트랙터, 상기 리어·도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을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숄더·엥커,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내 쪽 아래 쪽에 있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자체를 상기 차체에 대해서 착탈 조작 가능한 탱·버클부 및 상기 웨빙을 앞좌석 승무원의 차 외쪽 아래 쪽 에 있어서 고정 지지하는 랩·엥커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랩·엥커가 설치된 엥커·링크, 상기 리어·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엥커·링크를 차체 전후방향으로 피봇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쩌귀지지부재, 상기 돌쩌귀지지부재에 연결 되고, 상기 리어·도어폐쇄시에, 상기 엥커·링크를 차체의 앞아래쪽 방향으로 피봇움직임하는 모터, 상기 리어·도어개방시에, 상기 엥커·링크를 상기 리어·도어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엥커·링크에 결합 되고, 차체의 뒤위 쪽방향에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상기 리어·도어폐쇄시, 상기 엥커·링크가 피봇움직임해서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엥커·링크를 개재하여 차체 쪽에서 받도록, 상기리어·도어보다 아래 쪽의 차체에 고정된 엥커·핀, 및 상기 엥커·링크를, 상기 엥커·핀에 걸어맞춤한 위치에서 유지 시키는 스토퍼 기구,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 벨트 구조.
KR1020020045952A 2001-08-07 2002-08-03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벨트구조 KR20030013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8623A JP4590801B2 (ja) 2001-08-07 2001-08-07 車両の前席用シートベルト構造
JPJP-P-2001-00238623 2001-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336A true KR20030013336A (ko) 2003-02-14

Family

ID=1906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952A KR20030013336A (ko) 2001-08-07 2002-08-03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벨트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15792B2 (ko)
EP (1) EP1285824B1 (ko)
JP (1) JP4590801B2 (ko)
KR (1) KR20030013336A (ko)
DE (1) DE602070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7590B2 (en) * 2004-02-26 2008-05-27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chool bus passenger seat with energy absorbing occupant restraint
US20050253370A1 (en) * 2004-05-12 2005-11-17 Takata Corporation Coated seat belt device part and method
US7401815B2 (en) * 2005-03-17 2008-07-22 Antoliv Asp, Inc. Dual spool retractor seat belt system
US7296649B2 (en) * 2005-04-12 2007-11-20 Takata Seat Belts, Inc. Door-mounted seat bel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JP2007284014A (ja) * 2006-04-20 2007-11-01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907249B2 (ja) * 2006-07-19 2012-03-28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121213B2 (ja) * 2006-11-22 2013-01-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4148270A (ja) * 2013-02-01 2014-08-21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90256039A1 (en) * 2018-02-20 2019-08-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lf-aligning restraint system
US10829083B2 (en) 2018-10-30 2020-11-10 Deere & Company Pivoting seat bel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8140C2 (de) * 1977-08-24 1984-07-2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Lageänderung des oberen Befestigungs- bzw. Umlenkpunktes eines Sicherheitsgurtes
DE3110689C2 (de) * 1981-03-19 1984-01-26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Sicherheitsgurtanordnung für die Rücksitze von Kraftfahrzeugen
JPS59145646A (ja) * 1983-02-10 1984-08-21 Honda Motor Co Ltd シ−トベルトの装着補助装置
JPS62105049U (ko) * 1985-12-24 1987-07-04
JPS63301146A (ja) * 1987-05-30 1988-12-08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パッシブシ−トベルト装置
FR2683781B1 (fr) * 1991-11-18 1994-03-04 Sieges Automobiles Cie Europ Dispositif d'accrochage automatique au plancher d'un vehicule d'un moyen de fixation d'une ceinture de securite.
US5294184A (en) * 1992-06-24 1994-03-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Omni locking adjustable seat belt load transfer mechanism
US5431446A (en) * 1992-08-05 1995-07-11 Ford Motor Company Seat belt presenter
IT1267335B1 (it) * 1994-12-16 1997-01-28 Fiat Auto Spa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i un'estremita' di una cintura di sicurezza per un autoveicolo.
DE29613427U1 (de) * 1996-08-02 1996-11-28 Trw Repa Gmbh Einrichtung zum Bewegen einer Steckzunge eines Sicherheitsgurtes in eine ergonomisch günstige Präsentationsstellung
WO2000063050A1 (en) * 1999-04-16 2000-10-26 Joalto Design, Inc. Improved restraint belt presenter
JP3925008B2 (ja) * 1999-10-13 2007-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1138864A (ja) * 1999-11-11 2001-05-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6485058B1 (en) * 2000-08-04 2002-11-2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belt buckle and tongue presen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15792B2 (en) 2004-04-06
JP2003048510A (ja) 2003-02-18
JP4590801B2 (ja) 2010-12-01
DE60207023D1 (de) 2005-12-08
US20030042725A1 (en) 2003-03-06
EP1285824B1 (en) 2005-11-02
DE60207023T2 (de) 2006-08-03
EP1285824A1 (en)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48055A (en) Seat belt retractor
KR20030013336A (ko) 차량의 앞좌석용 시트벨트구조
RU21376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JP3531704B2 (ja) ガイド席を有するバス
JP2003285719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4191399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4007045B2 (ja) 車両の前席用シートベルト装置
US7614660B2 (en) Belt end fitting device
US3840248A (en) Self-tensioning knee belt safety device
KR10046111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
JP4433938B2 (ja) 乗物用シート
JPH0431872Y2 (ko)
JPH0711951U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H0225722Y2 (ko)
JP2782602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S6330589Y2 (ko)
JPS6132837Y2 (ko)
JPS6332763Y2 (ko)
JPS5846901Y2 (ja)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着車両のドアア−ムレスト装置
JP3965990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0158362B1 (ko) 시트백 지지겸용 안전벨트
JPH0511074Y2 (ko)
JPS63315350A (ja) 車両のパッシブシ−トベルト装置
KR20220143298A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록킹 장치
JPS6034515Y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