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469Y1 -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 Google Patents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469Y1
KR200225469Y1 KR2020000036794U KR20000036794U KR200225469Y1 KR 200225469 Y1 KR200225469 Y1 KR 200225469Y1 KR 2020000036794 U KR2020000036794 U KR 2020000036794U KR 20000036794 U KR20000036794 U KR 20000036794U KR 200225469 Y1 KR200225469 Y1 KR 200225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ad frame
finger
strip
fram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젯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젯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젯텍
Priority to KR2020000036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469Y1/ko
Priority to CN011309695A priority patent/CN1217833C/zh
Priority to MYPI20014285A priority patent/MY134674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의 제조공정중 도금공정에서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벨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벨트와 핑거가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파지하는 힘이 약하여 이송중에 스트립이 빠지거나 정위치를 자리잡지 못하여 제품불량의 요인이 되고, 이를 보완하고자 벨트에 단차부를 형성한 형태는 스트립의 사이드 바아가 휘어지거나 아니면 핑거에 의하여 파지가 이루어지는 스트립의 단자 부위가 일부 차단되고 도금이 되지않아 실제로 생산라인에 활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벨트와 핑거에 의한 파지부로서 벨트엔 돌출단부를 형성하고 이들 돌출단부의 사이로서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단자부가 위치하는 벨트부위엔 요부를 형성하여, 벨트의 돌출단부와 핑거의 독립적인 스트립의 파지작동이 이루어져 파지력을 향상시키면서 스트립의 사이드 바아가 휘어지는 불량현상을 방지하며, 단자부가 벨트의 요부 내측에서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전부위에 걸쳐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반도체의 제조분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Feeding Belt For Semi-Conductor Lead Frame Strip}
본 고안은 반도체의 제조공정중 도금공정에서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핑거와 대응되는 위치로서 벨트에 돌출단부를 형성하여 파지력을 향상시키고 사이드 바아의 휘는 현상을 방지하며 스트립의 단자부위와 상응하는 위치에 요부를 형성하여 전부위에 걸쳐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 이송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국내 특허등록 제199289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예는 벨트(1)와 핑거(3)가 리드프레임 스트립(5)을 끼워 파지하는 부위가 여러 인접한 핑거(3)와 함께 동일의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파지하는 힘이 약하여 이송중에 스트립(5)이 빠지거나 정위치를 자리잡지 못하여 엉키게 되는 잼(Jam) 현상이 유발되며, 리드 프레임 스트립(5)과 핑거(3) 사이에 간극이 생겨 리드프레임 스트립(5)의 도금과정에서 전기 전도율의 불균일성으로 도금 밀착성이 떨어지고 제품불량의 요인이 되어 실제로 생산라인에는 활용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형태로서 벨트(1)에 단차부(7)를 형성한 형태는 벨트(1)와 핑거(3)사이의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자재의 절감을 위하여 최근 사용되고 있는 스트립(5)의 사이드 바아(50)의 폭이나 두께를 얇게 형성한 경우엔 사이드 바아(50)가 휘어져 제품불량의 원인이 되고, 핑거(3)에 의하여 파지가 이루어지는 스트립(5)의 단자부(52) 부위가 핑거(3)에 의하여 일부 가리게 되는 부위는 도금이 되지 않아 실제로 생산라인에 활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와 핑거에 의한 파지부로서 벨트엔 돌출단부를 형성하여, 벨트의 돌출단부와 핑거의 독립적인 스트립의 파지작동이 이루어져 파지력을 향상시키면서 스트립의 사이드 바아가 휘어지는 불량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여러 돌출단부 사이로서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단자부가 위치하는 벨트부위엔 요부를 형성하여, 단자부가 벨트의 요부 내측에서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도금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품질을 향상시켜 자동화 생산라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핑거가 결합되고 핑거와 벨트사이에 반도체 리드프레임을 파지한 상태로 리드 프레임 스트립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송벨트에 있어서, 벨트와 핑거에 의한 파지부로서 벨트엔 각각의 핑거의 파지선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이송벨트를 제공한다.
또한, 벨트의 여러 돌출단부 사이로서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단자부가 위치하는 벨트부위엔 요부를 형성하여, 단자부가 벨트의 요부 내측에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이송벨트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벨트에 리드 프레임 스트립이 파지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2는 도1의 일부 생략 절결 정면도,
도3은 도1 및 도2에 예시한 종래의 벨트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4는 종래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벨트의 요부 사시도,
도5는 도4의 벨트를 이용하여 리드 프레임 스트립을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6은 도5의 정면도,
도7은 본 고안인 벨트의 요부 사시도,
도8은 핑거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인 벨트를 이용하여 리드 프레임 스트립을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
도10은 도9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송벨트, 3. 핑거 5. 스트립, 10. 돌출단부, 30. 파지선단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7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핑거(3)가 결합되고 핑거(3)와 벨트(1)사이에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5)을 파지한 상태로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송 벨트(1)에 있어서, 벨트(1)와 핑거(3)에 의한 파지부로서 벨트(1)엔 각각의 핑거(3)의 파지선단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단부(1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돌출단부(10)는 평면 형태이고, 핑거(3)의 파지선단부(3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벨트(1)의 여러 돌출단부(10)사이로서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의 단자부(52)가 위치하는 벨트부위엔 요부(12)를 형성하여, 단자부(52)가 벨트(1)의 요부(12) 내측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부(12)는 벨트(1)에 일정 간격마다 미리 형성되고 이송시 구동력을 전달하며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통공(14)의 대향측에 마련하여 벨트(1)에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을 로딩(Loading)시키거나 벨트(1)로부터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을 언로딩(Unloading)시키는 경우에 정위치에 자리잡도록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이송벨트는 사용시로서 로딩(Loading)시엔 벨트(1)의 돌출단부(10)와 핑거(3)의 파지선단부(30)사이가 벌어지면서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이 이들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므라들어 장착되고, 반대로 언로딩(Unloading)시엔 다시 이송 벨트(1)의 돌출단부(10)와 핑거(3)의 파지선단부(30)사이가 벌어지면서 장착되어 있던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은 다시 분리되어 언로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로딩이 완료되어 장착된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의 파지상태는 핑거(3)와 돌출단부(10)와의 개별적인 파지작동에 의하여 강한 파지력을 얻게 되며, 요부(12)에 의하여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의 단자부(52)가 개방 상태에서 단자부(52)의 확실한 도금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이송 벨트는 벨트의 평면형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단부(10)와 핑거(3)의 독립적인 스트립(5)의 파지작동이 이루어져 파지력을 향상시키면서 스트립(5)의 사이드 바아(50)가 휘어지는 불량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여러 돌출단부(10) 사이로서 리드프레임 스트립(5)의 단자부(52)가 위치하는 벨트부위엔 요부(12)를 형성하여, 단자부(52)가 벨트(1)의 요부(12)사이 내측에서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도금과정에서 필요한 전부위에 걸쳐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자동화된 생산라인에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핑거(3)가 결합되고 핑거(3)와 벨트(1)사이에 반도체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을 파지한 상태로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송 벨트(1)에 있어서,
    벨트(1)와 핑거(3)에 의한 파지부로서 벨트(1)엔 각각의 핑거(3)의 파지선단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단부(1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드 프레임 스트립의 이송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부(10)는 평면 형태이고, 핑거(3)의 파지선단부(3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드 프레임 스트립의 이송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의 여러 돌출단부(10)사이로서 리드 프레임 스트립(5)의 단자부(52)가 위치하는 벨트부위엔 요부(12)를 형성하여, 단자부(52)가 벨트(1)의 요부(12) 내측에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드 프레임의 이송 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12)는 벨트(1)에 일정 간격마다 미리 형성되고 이송시 구동력을 전달하며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통공(14)의 대향측에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드 프레임의 이송 벨트.
KR2020000036794U 2000-12-28 2000-12-28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KR200225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94U KR200225469Y1 (ko) 2000-12-28 2000-12-28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CN011309695A CN1217833C (zh) 2000-12-28 2001-08-28 输送半导体引线板条的传送带
MYPI20014285A MY134674A (en) 2000-12-28 2001-09-12 Belt for feeding semiconductor lead frame str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94U KR200225469Y1 (ko) 2000-12-28 2000-12-28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469Y1 true KR200225469Y1 (ko) 2001-06-01

Family

ID=1967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794U KR200225469Y1 (ko) 2000-12-28 2000-12-28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25469Y1 (ko)
CN (1) CN1217833C (ko)
MY (1) MY1346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2047B2 (ja) * 2005-02-28 2010-02-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部品の搬送用パレ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05789100B (zh) * 2016-05-17 2018-11-13 安徽大华半导体科技有限公司 用于半导体封装系统的引线框架夹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4674A (en) 2007-12-31
CN1361055A (zh) 2002-07-31
CN1217833C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0106A (en) Method for transporting/storing wafer and wafer carrier
KR200225469Y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KR100237334B1 (ko) 축 형태 전자소자 삽입방법 및 장치
JP3751452B2 (ja) 電子部品搬送装置
JP5371129B2 (ja) ストリップ状部品の移送用ベルト
KR102000988B1 (ko) 박막필름 이송장치
JPS6336160B2 (ko)
KR100978803B1 (ko)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KR100423962B1 (ko) 와이어스프링그립, 리드프레임 캐리어벨트 및 도금시스템
JP6660219B2 (ja) ダイボンダ
JPH0964067A (ja) ワークに対する半導体チップの供給装置
JP7177470B2 (ja) 物品搬送装置及び物品搬送方法
JP7088581B1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装置
JP3903758B2 (ja) ワークの位置決め搬送装置
CN210763154U (zh) 一种链式刻蚀机的下料装置及链式刻蚀机
JPH0368536B2 (ko)
JP2000124231A (ja) リードフレーム搬送装置
JPH02180182A (ja) マガジン
KR200152081Y1 (ko) 탄탈 프레임의 언로딩 가이더
JPS63108967A (ja) はんだ付け用治具
KR200243507Y1 (ko) 컷스트립 리드프레임 도금장치
JPS6387418A (ja) ワ−ク自動供給機
KR20040015495A (ko) 리드 프레임 공급 장치
JP3301009B2 (ja) 電線移送装置と電線移送方法及び電線移載装置
JPH0642291U (ja) 封筒の同封物挿入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