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259Y1 - 고기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259Y1
KR200207259Y1 KR2020000015460U KR20000015460U KR200207259Y1 KR 200207259 Y1 KR200207259 Y1 KR 200207259Y1 KR 2020000015460 U KR2020000015460 U KR 2020000015460U KR 20000015460 U KR20000015460 U KR 20000015460U KR 200207259 Y1 KR200207259 Y1 KR 200207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inclined portion
grill
oil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2020000015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로부터 양 측부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판면으로부터 융기되어 상기 판면을 따라 개구된 배출구를 형성하는 다수의 배출가이드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상향 절곡된 기름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연소불꽃이 고기에 직접 닿지 않아 과열로 인해 고기가 타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숯불의 훈연이 고기에 잘 스며들어 육미를 향상시키는 고기구이용 불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기구이용 불판 { Grill for meat }
본 고안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숯불구이는 불판에 비하여 담백한 육미를 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화덕의 숯불 위에 석쇠를 올려놓고 숯불의 화열로 직접 고기를 굽는 것이므로 숯불의 과열로 인해 고기가 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고기의 맛을 저하시키게 되고, 특히, 고기를 구을 때 고기로부터 분비되는 기름이 직접 숯불에 낙하되어 커다란 불꽃을 일으키게 됨으로서 육류를 심하게 태우게 될 뿐 아니라, 냄새와 연기를 대량 발생시켜 사용자를 불쾌하게 하여 음식의 맛을 즐기며 먹을 수 없게 하는 등 여러 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불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반면에 숯불의 훈연이 고기에 잘 스며들지 않아 육미를 떨어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숯불의 훈연이 고기에 잘 스며들면서 종래 석쇠가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는 불판의 제작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숯불의 훈연이 고기에 잘 스며들어 육미를 살릴 수 있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사부 20 : 배출구
30 : 기름역류방지턱 34 : 배출가이드
40 : 기름받이부 41 : 이탈방지부
42 : 기름받이공 43 : Y형 유로
44 : 투시구
상기 목적은, 중앙부로부터 양 측부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판면으로부터 융기되어 상기 판면을 따라 개구된 배출구를 형성하는 다수의 배출가이드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상향 절곡된 기름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의 영역에 상기 경사부의 판면으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고기로부터 분비되는 기름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막는 기름역류방지턱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용 불판은, 판상으로 이루어져 중앙부가 융기되게 형성되는 경사부(10)로 마련된다.
경사부(10)에는 숯불의 훈연을 배출하는 배출구(20)와, 배출구(20) 입구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기름역류방지턱(30)과, 배출구(20)와 기름역류방지턱(30)의 상부영역에 마련되는 배출가이드(34) 및, 경사부(10)의 양 측단부에 상향절곡되어 마련되는 기름받이부(40)와 이탈방지부(41)가 마련된다. 또한, 경사부(10)의 각 모서리에는 기름받이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투시구(44)가 위치한다.
경사부(1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양 측부따라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어 중앙부가 양 측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기로부터 분비되는 기름이 경사부(10)를 타고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경사부(10)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는 배출구(20)는 경사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타원형상의 개구되어 마련된다. 배출구(20)로는 숯불의 훈연이 배출되어 담백한 육미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구(20) 입구측 하부에는 단부가 상향절곡되게 마련되는 기름역류방지턱(30)이 위치하게 된다.
기름역류방지턱(30)은 고기로부터 분비되는 기름이 경사부(10)를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기름이 배출구(20)를 통해 숯불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배출구(20)와 기름역류방지턱(30)의 상부영역에는 상호 대칭되는 경사부(10)의 경사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되게 마련되는 배출가이드(34)가 위치한다. 이렇게 마련된 배출가이드(34)는 연소불꽃이 고기에 직접 닫지 않게 연소불꽃을 차단하는 역할과, 숯불의 훈연이 배출구(20)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배출가이드(34)는 고기 등이 올려져 요리될 수 있도록 완만한 하향 경사면을 가지게 된다.
경사부(10)의 가장 낮은 각 모서리에는 기름받이공(42)이 위치한다. 기름받이공(42)의 하부에는 착탈이 가능한 Y자 형상의 Y형 유로(43)가 마련되어 고기로부터 분비되는 기름이 기름받이공(42)을 거쳐 Y형 유로(43)를 따라 불판의 외부로 유출시킨다.
또한, 기름받이부(40)와 이탈방지부(41)는 상호 대칭되는 경사부(10)의 양 측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마련된, 기름받이부(40)의 역할은 고기로부터 분비되는 기름이 경사부(10)를 거쳐 하부영역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기름받이공(42)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탈방지부(41) 역시,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고기 등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한다.
또한, 경사부(10)의 중앙부에는 경사부(1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시구(44)가 마련된다. 복수개의 투시구(44)는 불판과 숯불사이에 공기의 출입을 자유롭게 허용하여 숯불의 연소를 돕는 역할과 숯불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시켜 준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숯불이 들어있는 화로 위에 고기구이용 불판을 위치시켜고 고기를 경사부(10)에 올려 가열하면, 숯불로부터 나오는 훈연이 배출가이드(34)를 따라 배출구(20)로 배출되어 고기에 스며들어 고기의 맛을 담백하게 만든다. 한편, 고기로부터 분비되는 기름은 경사부(10)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려 기름받이부(40)를 타고 양 측부 하단부에 마련된 기름받이공(42)과 Y형 유로(43) 거쳐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가이드에 의해 연소불꽃에 고기에 직접 가열되지 않아 고기가 타게 되는 것을 막고, 배출가이드를 따라 배출구로 배출되는 숯불의 훈연이 고기에 잘 스며들어 육미를 향상시키므로 고기구이용 불판의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연소불꽃이 고기에 직접 닿지 않아 과열로 인해 고기가 타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숯불의 훈연이 고기에 잘 스며들어 육미를 향상시키는 고기구이용 불판이 제공된다.

Claims (2)

  1.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양 측부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판면으로부터 융기되어 상기판면을 따라 개구된 배출구를 형성하는 다수의 배출가이드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상향 절곡된 기름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영역에 상기 경사부의 판면으로부터 상향 절곡된 기름역류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KR2020000015460U 2000-05-31 2000-05-31 고기구이용 불판 KR200207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60U KR200207259Y1 (ko) 2000-05-31 2000-05-31 고기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60U KR200207259Y1 (ko) 2000-05-31 2000-05-31 고기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259Y1 true KR200207259Y1 (ko) 2000-12-15

Family

ID=1965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60U KR200207259Y1 (ko) 2000-05-31 2000-05-31 고기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25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93B1 (ko) 2011-03-03 2011-12-07 정찬교 이중석쇠
KR101217508B1 (ko) * 2012-06-22 2013-01-10 김영봉 고기 구이판
KR101439897B1 (ko) * 2013-01-30 2014-10-30 김영봉 기능성 고기 구이판
KR101477634B1 (ko) * 2013-05-21 2014-12-30 김광진 구이용 불판
KR101706644B1 (ko) 2016-04-29 2017-02-1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이용 불판
KR101775149B1 (ko) * 2016-12-29 2017-09-05 (주)드림레저 고기구이판
KR102485402B1 (ko) * 2022-09-05 2023-01-04 배정관 직화구이용 불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93B1 (ko) 2011-03-03 2011-12-07 정찬교 이중석쇠
KR101217508B1 (ko) * 2012-06-22 2013-01-10 김영봉 고기 구이판
KR101439897B1 (ko) * 2013-01-30 2014-10-30 김영봉 기능성 고기 구이판
KR101477634B1 (ko) * 2013-05-21 2014-12-30 김광진 구이용 불판
KR101706644B1 (ko) 2016-04-29 2017-02-1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이용 불판
KR101775149B1 (ko) * 2016-12-29 2017-09-05 (주)드림레저 고기구이판
KR102485402B1 (ko) * 2022-09-05 2023-01-04 배정관 직화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3875B2 (en) Cooking grate
US7487717B2 (en) Flameless barbecue grill
KR200433479Y1 (ko) 직화 구이 석쇠
KR200207259Y1 (ko) 고기구이용 불판
WO2010005218A2 (ko) 만능 구이판
KR101428463B1 (ko)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KR200295935Y1 (ko) 숯불구이용 불판
CN1937945A (zh) 竹烤架及采用该竹烤架的烘烤装置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0763832B1 (ko) 고기구이 불판
KR200238657Y1 (ko) 구이판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KR200239785Y1 (ko) 고기구이판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030091080A (ko) 직화구이기
KR200436062Y1 (ko) 연기방지용 석쇠
KR200401810Y1 (ko) 구이판
KR102224962B1 (ko) 숯불구이용 불판
KR102447673B1 (ko) 고기 불판
KR200178845Y1 (ko) 고기구이기의 석쇠용 살
KR200412758Y1 (ko)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
KR200230534Y1 (ko) 직화 구이판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KR200341138Y1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