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810Y1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810Y1
KR200401810Y1 KR20-2005-0025772U KR20050025772U KR200401810Y1 KR 200401810 Y1 KR200401810 Y1 KR 200401810Y1 KR 20050025772 U KR20050025772 U KR 20050025772U KR 200401810 Y1 KR200401810 Y1 KR 200401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il
flame distribution
roasting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규
Original Assignee
이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2005-0025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화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지방성분의 기름을 별도의 기름받이 없이 본체만으로 포집하고 배출시켜 육류의 급격한 탄화나 연소가 방지되는 동시에 설치구성이 간소화됨으로써 사용성과 취급성이 향상되도록 한 직화구이판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의 판형 부재로 가열수단(100)의 상단에 안착 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소정의 이동손잡이(19)와 방향돌기(13)가 붙어있는 안착면(14)이 형성되어 있고, 기름의 포집과 유도와 배출작용이 이루어지는 중앙이 요입 만곡 되어 형성된 요입사면(15)과 본체요입부(18)와 기름유도홈(17)이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요입부(18) 상면에는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시킨 면에 다수의 천공된 본체화염유통공(11)과, 상기 본체화염유통공(11)과 본체화염유통공(11) 사이는 골이 되어 본체기름골(12)이 형성되고, 육류 구이 시 상기 기름유도홈(17)을 따라 유입되는 기름을 바로 본체 밖의 기름접시(300)로 배출되도록 기름배출구(16)가 형성되어 구성된 본체와, 소정 두께의 만곡된 판형 부재로 본체(10)의 안착면(14) 상측에 안착 되어 육류가 올려지며 구워지고, 가장자리부분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방열공(24)이 형성되고, 또한 소정의 방향홈(23)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안착 될 때 방향돌기(13)와 결합 되어져 만곡 상면에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된 면에 천공된 다수의 구이화염유통공(21)의 수직축 상의 위치가 상기 본체(10)의 본체화염유통공(11)과 어긋나며 본체기름골(12)과 일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이화염유통공(21)과 구이화염유통공(21) 사이는 구이체기름골(22)이 형성된 구이체(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판 {a grill}
본 고안은 직화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지방성분의 기름을 용이하게 포집 배출시켜 육류의 급격한 탄화 및 연소를 방지 할 수 있는 직화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를 굽는 방식으로 가스렌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 위에 화염유통공이 없는 판형 구이판을 올려놓고 가열된 구이판에서 육류가 익혀지는 간접가열구이방식이 있고, 석쇠나 화염유통공이 있는 구이판과 같이 화염이 직접 육류에 닿아 구워지는 직화구이방식이 있다.
그러나, 간접가열구이방식은 화염이 직접 육류에 미치지 않으므로 육류 속의 습윤 상태가 천천히 건조되면서 익혀지므로 경화되어 부드럽지 않고, 맛과 향이 손실되며, 구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지방성분이 많은 돈육, 오리육등을 종래의 직화구이방식으로 구이 할 경우, 기름이 가열수단의 화염으로 낙하 되어 유해연기 발생과 불완전 연소의 화염으로 발화 증폭되어 육류의 급격한 탄화 진행으로 이를 취식할 수 없고, 심한 연기와 화염으로 육류 구이작업이 불가능하며, 심한 경우에는 화상과 화재위험이 발생하는 문제로 일반적으로 간접가열구이방식을 선택하지만 맛과 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석쇠구이망을 사용하는 직화구이방식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우육 과 같이 지방성분이 비교적 적게 함유한 육류로 하고, 점화에서 운반과 소화까지의 관리가 어렵고, 특히 화력의 조절이 곤란하여 유해연기와 불완전 연소 화염이 계속 발생하여 구이와 취식환경이 나빠지는 숯불을 사용하여 구이하는데, 이는 구이 시 발생하는 기름 때문에 가스렌지와 같은 가열수단에서는 가스토출구가 막혀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유통공을 최소화한 종래의 직화구이판을 가열수단을 숯으로하여 기름받이에 안착사용하는 경우, 이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이맛은 간접가열구이방식에 가깝게 되고, 가열수단이 숯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가열수단의 상측에 기름받이를 안착시키고,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된 이중구조의 직화구이판이 고안되었으나, 항상 육류 구이 시 기름받이를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 손실 및 구이 후에 기름받이에 담긴 끓은 상태의 물과 섞인 기름을 쏟지않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배출시키고, 세척해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추가로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지방성분의 기름을 별도의 기름받이 없이 본체만으로 포집하고 배출시켜 육류의 급격한 탄화나 연소가 방지되는 동시에 설치구성이 간소화됨으로써 사용성과 안전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한 직화구이판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의 판형 부재로 가열수단(100)의 상단에 안착 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소정의 이동손잡이(19)와 방향돌기(13)가 붙어있는 안착면(14)이 형성되어 있고, 기름의 포집과 유도와 배출작용이 이루어지는 중앙이 요입 만곡 되어 형성된 요입사면(15)과 본체요입부(18)와 기름유도홈(17)이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요입부(18) 상면에는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된 다수의 본체화염유통공(11)과, 상기 본체화염유통공(11)과 본체화염유통공(11) 사이는 골이 되어 본체기름골(12)이 형성되고, 육류 구이 시 상기 기름유도홈(17)을 따라 유입되는 기름을 바로 본체 밖의 기름접시(300)로 배출되도록 기름배출구(16)가 형성되어 구성된 본체와, 소정 두께의 만곡된 판형 부재로 본체(10)의 안착면(14) 상측에 안착 되어 육류가 올려지며 구워지고, 가장자리부분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방열공(24)이 형성되고, 또한 소정의 방향홈(23)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안착 될 때 방향돌기(13)와 결합 되어져 만곡 상면에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된 면에 천공 형성된 다수의 구이화염유통공(21)의 수직축 상의 위치가 상기 본체(10)의 본체화염유통공(11)과 어긋나며 본체기름골(12)과 일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이화염유통공(21)과 구이화염유통공(21) 사이는 구이체기름골(22)이 형성된 구이체(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 상세도이다.
상기 본체(10)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판형 부재로 가열수단(100)의 상단에 안착 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소정의 이동손잡이(19)와 방향돌기(13)가 붙어있는 안착면(14)이 형성되어 있고, 기름의 포집과 유도와 배출작용이 이루어지는 중앙이 요입 만곡 되어 형성된 요입사면(15)과 본체요입부(18)와 기름유도홈(17)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요입부(18) 상면에는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된 본체화염유통공(11)과, 상기 본체화염유통공(11)과 본체화염유통공(11) 사이는 도 2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골이 되어 본체기름골(12)이 형성되고, 도 2 내지 도 3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류 구이 시 상기 기름유도홈(17)을 따라 유입되는 기름을 바로 본체 밖의 기름접시(300)로 배출되도록 기름배출구(16)가 형성되어 구성된 본체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만곡된 판형 부재로 본체(10)의 안착면(14) 상측에 안착 되어 육류가 올려지며 구워지고, 가장자리부분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방열공(24)이 형성되고,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홈(23)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안착 될 때 방향돌기(13)와 결합 되어져 만곡 상면에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된 면에 천공 형성된 다수의 구이화염유통공(21)의 수직축 상의 위치가 도 6 의 상세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본체화염유통공(11)과 어긋나며 본체기름골(12)과 일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이화염유통공(21)과 구이화염유통공(21) 사이는 구이체기름골(22)이 형성된 구이체(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직화구이판을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열수단(100)의 상부에 본체(10)를 설치하고 구이체(20)를 본체(10)에 결합하거나, 미리 본체(10)에 구이체(20)를 결합한 상태에서 가열수단(100)의 상부에 본체(20)를 설치하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방향돌기(13)와 상기 구이체(20)의 방향홈(23)은 결합 설치되어 상기 구이화염유통공(21)의 동일수직축 상의 위치가 상기 본체화염유통공(11)과 어긋나고 상기 본체기름골(13)과 일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육류가 구워지는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이체(20)의 상면에 육류(200)가 올려진 상태에서 가열수단(100)으로부터 화염(110)이 본체화염유통공(11)을 통해 상승하여 구이화염유통공(21)을 거쳐 구이체(20)의 상면에 올려진 육류를 가열시켜 구워지게 되면서 지방성분인 기름(210)이 생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기름은 구이체(20)의 구이체기름골(22)과 구이화염유통공(21)을 통해 각각 배출되는데, 구이체기름골(22)을 통한 기름은 구이체(20)의 방열공(24)을 통해 본체(10)의 기름유도홈(17)으로 낙하 되고, 구이화염유통공(21)을 통해 낙하된 기름은 본체(10)의 본체기름골(12)에서 포집되고 유도되어 기름유도홈(17)을 거쳐 기름배출구(16)를 통해 기름접시(300)로 배출 제거된다.
따라서, 육류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생성된 기름이 화염(110) 내부로 낙하 되지 않고 본체(10)에 의해 기름접시(300)로 배출시켜 낙하 되는 기름에 의한 화염이 차단되므로 육류의 급격한 탄화가 방지되고 유해연기와 같은 연소가스가 발생 되지 않아 안정되고 쾌적한 환경에서 육류의 직화구이 맛과 향을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직화구이방식으로 육류를 구울 수 있는 동시에 이때 발생 되는 지방성분의 기름을 별도의 기름받이 없이 본체만으로 포집하고 배출시켜 육류의 급격한 탄화나 연소가 방지되는 동시에 설치구성이 간소화됨으로써 사용성과 안전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며 또한, 직화구이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구이판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본체화염유통공
13:방향돌기 16:기름배출구
17:기름유도홈 20:구이체
21:구이화염유통공 23:방향홈

Claims (4)

  1. 가열수단의 상단에 안착 되어 기름을 포집하고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중앙이 요입되고 만곡된 본체요입부와 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착면 상측에 안착 되어 육류가 구워지는 구이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소정 두께의 판형 부재로 가장자리부분 둘레에 소정의 이동손잡이와 방향돌기가 붙어있는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이 요입 만곡 되어 형성된 요입사면과 본체요입부와 기름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요입부 상면에는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된 면에 천공 형성된 다수의 본체화염유통공과, 상기 본체화염유통공과 본체화염유통공 사이는 골이 되어 본체기름골이 형성되고, 기름을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구이체는, 육류가 올려지고 구워지도록 소정 두께의 만곡된 판형 부재로, 가장자리부분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방열공이 형성되고, 중앙의 만곡 상면에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시킨 면에 천공된 다수의 구이화염유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화염유통공과 구이화염유통공 사이는 구이체기름골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소정의 방향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방향돌기와 결합하여 본체와 설치된 상태에서 구이화염유통공의 수직축 상의 위치가 상기 본체의 본체화염유통공과 어긋나고 본체기름골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앙이 요입된 본체요입부가 형성되고 기름배출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돌기와 상기 방향홈은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이화염유통공의 동일수직축 상의 위치가 상기 본체화염유통공과 어긋나고 상기 본체기름골과 일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요입부와 상기 구이체는 설치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판.
KR20-2005-0025772U 2005-09-07 2005-09-07 구이판 KR200401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72U KR200401810Y1 (ko) 2005-09-07 2005-09-07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72U KR200401810Y1 (ko) 2005-09-07 2005-09-07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810Y1 true KR200401810Y1 (ko) 2005-11-22

Family

ID=4370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72U KR200401810Y1 (ko) 2005-09-07 2005-09-07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8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5293A1 (en) 2015-04-01 2016-10-05 Chang Bo Co Ltd Direct-heat grilling pa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2992B1 (ko) * 2016-07-08 2017-11-07 마루티엔티 (주) 갭이 구비되고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5293A1 (en) 2015-04-01 2016-10-05 Chang Bo Co Ltd Direct-heat grilling pa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006444B1 (ja) * 2015-04-01 2016-10-12 株式會社 彰甫 直火グリルパ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037503A (zh) * 2015-04-01 2016-10-26 株式会社彰甫 直热式烧烤盘及其制造方法
KR101792992B1 (ko) * 2016-07-08 2017-11-07 마루티엔티 (주) 갭이 구비되고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101646243B1 (ko) 구이용 불판
KR200401810Y1 (ko) 구이판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20077885A (ko) 직화구이용 불판
KR101669920B1 (ko) 수랭식 다기능 불판
KR200395681Y1 (ko) 전기구이기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KR20110000683U (ko) 오븐형 직화조리기
KR200396675Y1 (ko) 구이판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0239790Y1 (ko) 직화 구이판
KR200459206Y1 (ko) 가스레인지의 그릴
KR200230534Y1 (ko) 직화 구이판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KR101613633B1 (ko) 기름가이드를 구비한 숯불구이용 화로장치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CN220588113U (zh) 烹饪装置及热源保护部件
WO2005013785A1 (en) Advanced roaster without smoke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KR20170133676A (ko) 직화구이 프라이팬
KR20080004961U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