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249Y1 - 육류구이팬 - Google Patents

육류구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249Y1
KR200256249Y1 KR2020010028009U KR20010028009U KR200256249Y1 KR 200256249 Y1 KR200256249 Y1 KR 200256249Y1 KR 2020010028009 U KR2020010028009 U KR 2020010028009U KR 20010028009 U KR20010028009 U KR 20010028009U KR 200256249 Y1 KR200256249 Y1 KR 200256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eat
roasting
fi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희
Original Assignee
권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희 filed Critical 권순희
Priority to KR2020010028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249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시 직열과 공기열의 혼합으로 구워지며, 본체에 채워진 수분에 의하여 수증기를 발생하여 고기의 맛을 더욱 향상시키는 육류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본 육류구이팬은 상기 구이팬은 원판 상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형으로 화기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그 화기공의 사이에서 화염분배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일정량의 수액을 저장하는 요입형성된 요입홈을 형성하며 일측벽 상면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요입홈의 내측방향에서 본체의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며 상기 본체와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올려지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화기유도공과 수분유도대를 교차적으로 형성한 수분받이판과, 상기 수분받이판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출공을 천공한 구이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직열과 공기열의 혼합으로 육류가 구어지면서 본체에 채워둔 물을 끓여 수증기를 발생하므로 구워진 고기의 육질을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맛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물에 첨가된 향신료가 수증기를 통하여 발산하므로 향신작용을 극대화하고, 구이시 생성되는 고기의 기름을 안전하게 유도하여 수용부로 배출하여서 기름으로 인한 연기발생 억제와 환경오염을 예방한다.

Description

육류구이팬{Roaster Pan for Meat}
본 고안은 구이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시 직열과 공기열의 혼합으로 구워지며, 본체에 채워진 수분에 의하여 수증기를 발생하여 고기의 맛을 더욱 향상시키는 육류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를 익히는 방법으로는 가스렌지나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 위에 구이판 등을 올려 놓고 화염에 의해 가열된 구이판에 육류가 익혀지는 간접가열방식과, 석쇠와 같은 그물형태에 고기를 얹혀놓은 상태로 화염에 의해 직접 육류가 익혀지는 직화(直火) 구이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간접가열구이방식은 화염이 직접 육류에 미치지 않으므로 각 육류가 갖는 특유의 맛과 향이 상실되고 또한 육류로부터 지방 성분이 배출될 수 없으므로 이에 따라 과다 지방으로 육류의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없고 건강에도 유해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간접가열구이 방식에 의한 구이시 발생되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직화구이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직화구이판은 고온의 화염이 직접 육류에 미치게 되므로 육류가 쉽게 탄화되고, 육류의 형태가 말리거나 변형되어 익히는 과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구이판의 장공을 통해 육류의 작은 조각이나 양념 및 국물 등이 화염에 낙하되어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발생되므로 취식이 불편하고, 지방성분이 많은 종류의 육질의 구이 시에는 화염으로 낙하되는 지방성분이 쉽게 연소되면서 육류에 불이 붙어 급격하게 탄화되므로 이를 취식할 수 없고, 심한 연기 및연소가스에 의해 육류를 구워내는 작업이 불가능하며, 심할 경우에는 화상을 입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3중구조의 구이팬을 통하여 구이시 직열과 공기열의 혼합을 유도함과 동시에 몸체에 채워진 물을 통하여 수증기를 발생하여, 부드럽고 담백하면서 쫄깃쫄깃한 육질의 맛을 얻을 수 있고, 구이시 생성되는 고기의 기름 및 수분 등을 화염으로 바로 낙하하지 않고 안전하게 유도하여 심한 연기에 의한 구이작업의 불편을 해소하면서 화염으로부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육류구이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가열수단에 올려져 육류의 구이를 이루는 구이팬에 있어서, 상기 구이팬은 원판 상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길이 방형으로 화기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그 화기공의 사이에서 화염분배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일정량의 수액을 저장하는 요입형성된 요입홈을 형성하며 일측벽 상면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요입홈의 내측방향에서 본체의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며 상기 본체와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올려지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화기유도공과 수분유도대를 교차적으로 형성한 수분받이판과, 상기 수분받이판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출공을 천공한 구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육류구이팬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는 구이판은 상기 본체의 걸림턱의소정부위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 상에 삽입되어 상기 구이판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이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화기공은 구이판의 배출공과 수분받이판의 화기유도공이 지그재그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수분받이판의 화기유도공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분받이판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깊은 골을 따라 유도되는 수분을 가장자리로 유도하는 수분유도대를 다수개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팬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팬의 종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팬을 다른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돌기와 고정홈을 보인 절개 분해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구이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이팬 102 ; 화기공
104 ; 화염분배대 106 ; 요입홈
108 ; 걸림턱 110 ; 고정홈
112 ; 걸림부 20 ; 본체
30 ; 수분받이판 302 ; 화기유도공
304 ; 수분유도대 40 ; 구이판
402 ; 배출공 410 ; 지지돌기
70 ; 가스렌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이팬을 분해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이팬를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이팬의 수분유도상태를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돌기와 고정홈가 잘 나타나도록 절개 분해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5는 본 고안의 구이팬이 사용되는 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육류구이팬은, 가열수단인 가스렌지(70) 등에 올려지는 본체(20)에는 구이시 육류에서 유출되는 수분을 유도하고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화염을 유도하여 안전하게 상승시키는 수분받이판(30)이 자유롭게 재치 되고, 상기 수분받이판(30)의 상부에서 본체(20)에 자유롭게 재치되어 육류를 올려놓고 구이를 이루는 구이판(40)을 포함하는 구이팬(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는 원판 상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형으로 화기공(102)을 다수개 형성하고 있으며, 그 화기공(102)의 사이에서 화염분배대(10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상의 가장자리에는 일정량의 수액을 저장하며 요입형성된 요입홈(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벽 상면에는 걸림턱(10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08)은 상기 요입홈(106)의 일측으로 연장된 걸림부(112)의 내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구이판(40)이 재치될 때 수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이판(40)의 두께정도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받이판(30)은 상기 본체(20)의 요입홈(106)의 내측방향에서 화염분배대(104)가 형성된 본체(20)의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와 일정간격이 유지할 수 있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올려지고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화기유도공(302)과 수분유도대(304)가 교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분유도판(304)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깊은 골을 따라 수분이 길이방향의 가장자리로 유도되도록 하고 있다.
구이판(40)은 상기 수분받이판(30)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20)의 걸림턱(108)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출공(402)을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20)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는 구이판(40)은 상기 본체(20)의 걸림턱(108)의 소정부위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110)과, 상기 고정홈(110)상에 삽입되어 상기 구이판(40)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이판(4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41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화기공(102)은 구이판(40)의 배출공(402)과 수분받이판(30)의 화기유도공(302)이 지그재그 상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화기유도공(302)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있어서 화염을 화기유도공(302)으로 장애없이 상승시킨 후 구이판(40)의 하단에 부딪힘과 동시에 양측으로 갈라져 배출공(402)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됨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간접열기를 통하여 열전도된 열기에 의하여 화염의 상승이 지그재그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요입홈(106)에 수용된 수분이 수증기로 증발되어 와류상태로 상부로 이동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로 전달되는 화염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화기공(102)과 화염분배대(104)에 의하여 통과되거나 양측으로 유도되면서 열전도가 길이방향으로만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요입홈(106)에 수장된 물은 화염분배대(104)의 길이방향측 가장자리에서 집중적으로 끓게되고 그곳에 별도로 주입된 레몬조각 등의 향신부재가 수증기와 함께 발산하면서 구이 물로 향신 작용을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육류구이팬은 구이팬(10)을 이용하여 각종 육질의 고기를 구어 먹을 시에는 도5에서와 같이 가스렌지(70)에 본체(20)의 화염분배대(104)의 가장자리에 수분받이판(30)이 올려지고, 상기 본체(20)의 걸림턱(108)에 구이판(40)이 올려 일체성 있게 조립되어진 구이팬(10)을 올려놓는다. 여기서상기 구이판(40)은 상기 본체(20)의 걸림턱(108) 소정지점에 형성된 고정홈(108)에 구이판(40)의 저면 일측에 하향돌출된 지지돌기(410)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구이판(40)이 본체(20)에서 좌우의 어느 한 방향으로도 회동이 불가능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구이판(40)의 배출공(402)은 본체(20)의 화기공(102)과 화염분배대(104) 및 수분받이판(30)의 화기유도공(302)과 수분유도대(304)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스렌지(70)를 점화하면 본체(20)의 중앙부로 화염이 분사되고, 화염분배대(104)의 하방을 집중적으로 가열하고 부딪치면서 양측으로 유도된 미량의 열기와 직화 열기는 화기공(102)을 통하여 상승한다.
이렇게 상승되는 화기는 수분받이판(30)의 화기유도공(302)를 통하여 장애없이 수직상승하여 구이판(40) 하면에서 부딪친 후 양 옆으로 갈라져 배출공(402)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하나의 화기통로를 형성하여 구이팬(10)의 직,간접열과 공기열의 혼합과정으로 구이를 이루게 된다.
이는 가스렌지(70)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본체(20)의 화기공(102)과 수분받이판(30)의 화기유도공(302)은 동리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구이판(40)의 배출공(402)은 상기 화기 유도공(302)과 지그재그 상태로 배치하여서 형성된 통로를 따라 지그재그 상승으로 간접적인 가열을 이루게 되므로 구이판(40)의 상면에 올려진 고기가 먹기 좋은 상태로 적당하게 구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렌지(70)에 화염 분출시 직화열기로 가열되는 본체(20)의 화염분배대(104)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화기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염분배대(104)의 열전도방향으로 길이방향을 이루게 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전도되는 열기가 화염분배대(104)의 전후단 측에 배치되는 요입홈(106)의 물을 가열함과 동시에 끓여서 수증기 발생으로 구이판(40)으로 유출되므로 구이시 고기의 건조상태를 예방하여 항상 맛 좋고 구어진 고기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쫄깃쫄깃한 맛을 이루게 한다.
여기서 상기 요입홈(106)의 물에 레몬조각이나 향신료를 투여하여주면 물이 끓을 때 수증기와 더불어 발산작용으로 외기로 향신 작용을 유도하게되므로 후각을 통한 고기의 맛을 더욱 증대한다.
한편, 고기구이시 간접열과 공기열의 간접열기의 혼합으로 고기의 맛이 좋은 상태로 구워지게 되고, 구이 시에 생성되는 고기의 기름이나 수분들이 배출공(402)으로 흘러내려 수분유도대(304)로 바로 낙하하고, 이렇게 낙화된 기름이나 수분은 수분유도대(304)의 원호를 따라 양측으로 유도되어 요입홈(106)으로 흘러서 배수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고기의 기름을 충분히 제거함으로써 고기의 맛을 높여주고 낙하된 기름은 화염과 접촉되지 않고 배수되어 타지 않기 때문에 연기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구이판(40) 주변의 환경오염을 예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구이팬에 의하면, 직열과 공기열의 혼합으로 육류를 구어지면서 본체에 채워둔 물로 생성되는 수증기로 인하여 구워진 고기의 육질을 더욱더 부드럽게 함과 동시에 보다 쫄깃쫄깃한 맛을 얻도록 하고, 구이시 생성되는 고기의 기름을 안전하게 유도하여 폐기 가능하게 배출하여서 고기의맛을 높여주면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구이시 향신 작용으로 후각적 맛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가열수단에 올려져 육류의 구이를 이루는 구이팬에 있어서,
    상기 구이팬(10)은 원판 상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형으로 화기공(102)을 다수개 형성하고 그 화기공(102)의 사이에서 화염분배대(104)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일정량의 수액을 저장하는 요입형성된 요입홈(106)을 형성하며 일측벽 상면으로 걸림턱(108)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요입홈(106)의 내측방향에서 본체(20)의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며 상기 본체(20)와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올려지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화기유도공(302)과 수분유도대(304)를 교차적으로 형성한 수분받이판(30)과;
    상기 수분받이판(30)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20)의 걸림턱(108)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출공(402)을 천공한 구이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 선택적으로 재치 되는 구이판(40)은 상기 본체(20)의 걸림턱(108)의 소정부위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110)과;
    상기 고정홈(110)상에 삽입되어 상기 구이판(40)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이판(4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육류구이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화기공(102)은 구이판(40)의 배출공(402)과 수분받이판(30)의 화기유도공(302)이 지그재그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수분받이판(30)의 화기유도공(302)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받이판(30)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깊은 골을 따라 유도되는 수분을 가장자리로 유도하는 수분유도대(304)를 다수개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팬.
KR2020010028009U 2001-09-12 2001-09-12 육류구이팬 KR200256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09U KR200256249Y1 (ko) 2001-09-12 2001-09-12 육류구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09U KR200256249Y1 (ko) 2001-09-12 2001-09-12 육류구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249Y1 true KR200256249Y1 (ko) 2001-12-13

Family

ID=7310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009U KR200256249Y1 (ko) 2001-09-12 2001-09-12 육류구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2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90B1 (ko) 2007-01-16 2007-09-12 (주)지영사 고기구이 불판
KR101060025B1 (ko) 2009-09-09 2011-08-29 이종우 고기구이 불판
KR101299278B1 (ko) * 2011-12-08 2013-08-23 지낙현 직화구이기
KR101516796B1 (ko) * 2013-10-18 2015-05-04 이기용 구이용 불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90B1 (ko) 2007-01-16 2007-09-12 (주)지영사 고기구이 불판
KR101060025B1 (ko) 2009-09-09 2011-08-29 이종우 고기구이 불판
KR101299278B1 (ko) * 2011-12-08 2013-08-23 지낙현 직화구이기
KR101516796B1 (ko) * 2013-10-18 2015-05-04 이기용 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829B2 (en) Rapid anti-flare-up smoker for grills
KR100722298B1 (ko) 석쇠 구이장치
US7487717B2 (en) Flameless barbecue grill
US5501142A (en) Steamer device for cooking food in a grill
JPS60501398A (ja) ハンプバック型のグリル・オ−ブン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207259Y1 (ko) 고기구이용 불판
KR101547581B1 (ko) 기름 유도 배출 기능과 열효율 향상 기능을 개선한 복합 기능성 고기 구이판
KR200238657Y1 (ko) 구이판
KR200401810Y1 (ko) 구이판
KR200396675Y1 (ko) 구이판
KR200230534Y1 (ko) 직화 구이판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0264091Y1 (ko) 직화 구이판
KR200238993Y1 (ko) 육류구이용 구이판
KR101452783B1 (ko)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KR100564965B1 (ko)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JP3235278U (ja) 焼物調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