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783B1 -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 Google Patents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783B1
KR101452783B1 KR1020130148905A KR20130148905A KR101452783B1 KR 101452783 B1 KR101452783 B1 KR 101452783B1 KR 1020130148905 A KR1020130148905 A KR 1020130148905A KR 20130148905 A KR20130148905 A KR 20130148905A KR 101452783 B1 KR101452783 B1 KR 10145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oil
plate
grill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용
Original Assignee
권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용 filed Critical 권오용
Priority to KR102013014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고기구이판 하부의 버너 화염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되고, 버너의 화염이 고기구이판의 중앙 상부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기구이판 상부의 구워진 고기가 쉽게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이고, 버너의 상부에 올려져 가열되고 버너의 열로 고기를 굽는데 사용되며,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측면으로 배출되게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고기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은 막혀있고, 측면에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구이판 본체와; 구이판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온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며, 종래 고기구이판에서 발생하던 연기발생문제를 개선하여 실내에서 고기를 굽더라도 공기가 탁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ROAST PLATE}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데 사용되는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고기구이판 하부의 버너 화염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되고, 버너의 화염이 고기구이판의 중앙 상부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기구이판 상부에서 구워진 고기가 쉽게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고기구이판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되고, 금속판, 철망, 석재 등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고기구이판은 숯불이나 가스버너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고기구이판은 가열수단에 따라 사용하는 종류에도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이용한 버너에 사용하는 고기구이판은 철망형상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가스버너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고기구이판은 상부가 막힌 금속판 형상의 것이 주로 사용된다.
숯불을 주로 복사열을 방출하여 고기를 굽는 것으로서, 복사열이 고기의 표면을 통과하여 고기의 표면과 속을 동시에 익혀주기 특성이 있다. 따라서 숯불로 조리하는 경우에는 복사열이 최대한 잘 전달될 수 있게 철망형상의 고기구이판을 사용한다.
그러나 철망형상의 고기구이판은 고기에서 배어나온 기름이 숯불의 열기로 인해 철망의 표면에서 탄화하여 철망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기에서 배어나온 기름이 숯불의 상부로 떨어지면 많은 연기를 발생시키며 탄화되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가스버너는 가스화염의 특성상 복사열보다는 기체가 타면서 발생되는 대류열이 주를 이룬다. 따라서 가스화염의 대류열에 접촉된 부분에서 이 열을 흡수하여 열이 전도되는 것에 의해 열이 전파된다.
따라서 가스버너를 이용하는 경우 가스의 화염이 고기의 표면에 직접 전달되게 하기 보다는, 화염에 의해 고기구이판이 달궈지도록 하고, 달궈진 고기구이판에 의해 고기가 익혀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금속판 형상의 고기구이판의 경우 가스버너의 화구가 중앙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앙은 막힌 형상으로 제작되고, 측면 가장자리에는 기름배출공이 형성되어 조리시 발생된 기름이 배출되게 형성된다.
기름배출공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입에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잘려진 고기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면 된다.
또한 고기구이판은 중앙이 상부로 완만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버너의 화염은 고기구이판 중앙으로 집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기구이판의 중앙에서는 고기가 구워지고,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은 고기구이판의 측면으로 이동되어 배출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중앙이 볼록하게 돌출된 고기구이판을 이용하는 경우, 구워진 고기는 즉시 섭취하는 것이 고기의 맛을 최상으로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구워진 고기를 즉시 섭취하지 못할 때에는 고기에서 육즙이 지나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접시에 담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구워진 고기를 접시에 담아두면 구워진 고기의 온기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구워진 고기는 고기구이판의 가장자리로 옮겨놓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가스버너의 화염을 작게 한 뒤 고기가 천천히 구워지도록 하면서 이미 구워진 고기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구워진 고기를 고기구이판의 가장자리로 옮겨놓으며, 고기구이판의 중앙에서 구워지고 있는 고기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이미 구워진 고기의 표면에 묻는 문제가 있고, 이처럼 구워지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은 이미 구워져 있는 고기의 담백한 식감을 저감시키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섭취하는 경우 과도한 칼로리 섭취로 이어져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포화지방인 경우에는 이를 섭취한 사람에게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이미 구워진 고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이미 구워진 고기를 따듯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나 아직까지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고기구이판이 존재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허공개 제10-2002-0067477호(공개일2002. 8. 22) 특허등록 제10-1335294호(등록일 2013, 11, 26)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고기구이판을 개선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된 기름이 가스버너의 화염에 떨어져 열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이미 구워진 고기가 일정시간 이상 마르지 않으면서도 온기가 유지돌 수 있도록 하는 고기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발명은 버너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고 버너의 열로 고기를 굽는데 사용되며,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측면으로 배출되게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고기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은 막혀있고, 측면에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구이판 본체와; 구이판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온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기름배출공의 사이의 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기름배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구이판 본체에는 중앙에서 측면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부에서 하부로 균일하게 함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은 구이판 본체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이판 본체의 하부에는 기름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기름배출공은 상부의 측면이 걸림턱의 측면과 중첩되는 지점에 접하게 형성되어, 걸림턱 내부로 유입된 기름이 걸림턱 측면으로 연결된 기름배출공의 측면을 통해 배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보온판의 측면에는 구이판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고정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구이판 본체는 상부를 향해 완만한 호를 형성하며 돌출되게 형성되고, 보온판은 구이판 본체의 상부에서 구이판 본체와 일정한 거리를 이격되게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온판은 구이판 본체와 2 내지 5㎜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보온판은 중앙에 내부의 열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으로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 고기구이판에서 발생하던 연기발생문제를 개선하여 실내에서 고기를 굽더라도 공기가 탁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신속하게 고기구이판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설계되어, 구워진 고기가 담백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건강에 이롭게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다 구워진 고기를 보온판에 올려놓으면 고기가 장기간 온도를 유지하면서도 마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기구이판의 구이판 본체와 보온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의 구이판 본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의 구이판 본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의 보온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의 보온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이 기름받이에 설치된 뒤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1:이하, 고기구이판이라 함)은 버너(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이판 본체(100)와 보온판(200)으로 구성된다.
구이판 본체(100)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중앙은 상하가 밀폐되어 있고, 측면에는 기름배출공(110)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이판 본체(100)는 버너(400)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 수도 있으나, 이보다는 기름받이(500)가 버너(400)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이판 본체(100)는 기름받이(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름배출공(110)은 구워지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은 배출되기 용이하면서도 고기는 빠지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온판(200)은 구이판 본체(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는 금속판으로서, 구이판 본체(100)의 온도가 상승되어도, 구이판 본체(100)의 열기가 구워진 고기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일종의 보호판이다.
보온판(200)에는 구이판 본체(100)에서 충분히 구워진 고기를 올려놓는 곳이고, 보온판(200) 상부의 고기는 구이판 본체(100)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보온판(200)에서 마르지 않으면서도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최상의 맛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기구이판(1)을 사용하는 경우 버너(400)의 화염은 고기구이판(1)의 중앙보다는 중앙에서 측면으로 벗어난 기름배출공(110)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버너(400)의 화구 방향을 넓게 하여 화염이 고기구이판(1)의 기름배출공(110)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고, 버너(400)의 상부에 화염확산판(300)을 설치하여 화염확산판(300)에 의해 화염이 기름배출공(110)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1)은 중앙보다는 기름배출공(110) 상부와 중앙의 측면 부분 정도에서 고기가 주로 구워지도록 형성된다.
도 3, 도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기구이판(1)은 버너(400)의 화염이 기름배출공(110)의 하부에 인접한 주변까지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의한 고기구이판(1)은 기름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에 머무르지 못하게 해야만 버너(400)의 화염에 의해 배출되는 기름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은 점성이 있는 액체로서, 온도에 의한 차이가 있으나 표면장력에 의해 2 내지 4 ㎜의 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기름배출공(110)으로 떨어지는 기름은 기름배출공(110)을 통해 즉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정 크기의 방울을 형성한 뒤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기름배출공(110)으로 즉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로 1 내지 2㎜ 유입된 상태에서 떨어지게 되고,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에는 기름배출공(110)을 기준으로 1 내지 2㎜ 지접으로 기름이 묻게 된다.
이처럼 기름 배출공 하부의 주변으로 묻은 기름은 버너(400)의 화염에 의해 탄화되고, 기름이 탄화되는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된다.
이에 종래의 구이판에는 하부에 스커트 형상의 돌기를 별도로 부착하여 배출되는 기름이 버너의 화염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였으나, 구이판 하부에 별도의 스커틀를 설치하는 것은 별도로 생산해야하는 스커트부재와 스커드부재를 부착시키는데 따른 비용으로 인해 고기구이판의 원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출되는 기름이 화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고기구이판(1)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이판 본체(100)와 기름배출공(110)의 형상을 개선하였다.
배출되는 기름이 고기구이판(1)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된 것은 기름배출돌기(112), 걸림턱(120)과 기름방지턱(121), 기름배출공(110)의 위치 등이다.
기름배출돌기(112)는 기름배출공(110)들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기름배출공(110)들을 분할하는 살(11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기름배출돌기(112)가 형성된 경우 기름배출공(110) 상부에서 익혀지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은 기름배출돌기(112)의 경사로 인해 기름배출공(110) 사이에 머무르지 못하고 기름배출공(110)으로 즉시 배출된다.
이처럼 기름배출돌기(112) 주변에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이 머물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신속하게 배출되고, 기름이 버너(400)의 화염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구워진 고기는 표면으로 배어나온 기름이 신속히 배출되어 담백한 맛을 유지하면서 건강에도 유익한 상태로 조리된다.
걸림턱(120)과 기름방지턱(121)은 구이판 본체(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구이판 본체(100)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이격된 지점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다. 이는 주로 프레스로 눌러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프레스에 눌려 내부로 함몰된 부분이 걸림턱(120)이 되고, 프레스에 눌려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기름방지턱(121)이 된다.
걸림턱(120)은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름배출공(110) 상부에서 구워지는 고기로부터 배출된 기름 중 구이판 본체(100)의 중앙부분에 인접한 지점에서 구워지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이 모이는 곳과, 보온판(200)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이 모이는 곳이다.
즉, 걸림턱(120)은 구워지는 고기의 기름 및 이미 다 구워진 고기에서 배어나온 기름이 구워지고 있는 고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배출되는 기름이 기름배출공(110)으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한다.
더불어, 걸림턱(120)은 보온판(200)이 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름방지턱(121)은 종래 설치되던 스커트 형상의 돌기를 대체하는 것으로서, 기름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기름방지턱(121)의 수직에 가까운 경사면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은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기름받이(500)로 즉시 떨어진다.
기름배출공(110)의 경우에는 상부의 측면이 걸림턱(120)의 측면과 중첩되는 지점에 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걸림턱(120) 내부로 유입된 기름이 걸림턱(120)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기름배출공(110)의 상부를 통해 기름받이(5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걸림턱(120)과 기름배출공(110) 및 기름방지턱(121)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은 기름방지턱(121)의 경사면에 의해 기름받이(500)로 신속히 배출되어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에서 버너(400)의 화염에 의해 기름이 탄화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켜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구이판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온판(200)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구이판 본체(100) 상부에 올려져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온판(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온판(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구이판 본체(100)의 상부에서 보온판(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온판(200)에는 구이판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20)에 걸쳐지는 고정발(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발(210)은 보온판(200)의 측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걸림턱(120)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또한, 고정발(210)은 보온판(200)이 구이판 본체(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보온판(200)의 단부에서 구이판 본체(100)를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이판 본체(100)에 걸림턱(120)이 형성되고, 보온판(200) 측면에 고정발(210)이 형성된 경우 보온판(200)은 구이판 본체(100)의 상부에 올려질 때 걸림턱(120)에 고정발(210)이 위치되면서 구이판 본체(10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이 간편하고 보관 및 청소가 용이한 고기구이판(1)이 되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 구이판 본체(100)가 상부로 완만하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보온판(200) 역시 구이판 본체(100)와 함께 완만하게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보온판(200)과 구이판 본체(100)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보온판(200)은 구이판 본체(100)와 2 내지 5㎜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보온판(200)이 구이판 본체(100)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은 구이판 본체(100)의 열이 보온판(200)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방지하되, 구이판 본체(100)에서 방출되는 복사열과 대류열에 의해 보온판(200)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구이판 본체(100)는 버너(400)에 의해 가열되어 표면에서 복사열과 대류열이 형성된다. 이때 발생되는 복사열은 보온판(2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고, 대류열은 열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보온판(200)에 열교환 형식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구이판 본체(100)와 보온판(200) 사이의 간격이 5㎜ 이상인 경우에는 대류열이 보온판(200)과 열교환되기 전에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고, 간격이 2㎜ 이하인 경우에는 구이판의 열이 보온판(200)에 과도하게 전달되어 보온판(200)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온판(200)의 상부에는 보온판(200)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의 내부 온도가 급속히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온기배출공(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온기배출공(220)은 일종의 굴뚝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보온판(200)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이판 본체(100)에서 가열된 공기가 보온판(200)을 적당히 가열시킨 뒤 즉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기구이판(1)은 구이판 본체(100)와 보온판(200)으로 구성되어, 굽는 고기는 구이판 본체(100)에서 구워지게 하고 다 구워진 고기는 보온판(200)에서 온도를 유지하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에 묻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종래의 고기구이판(1)과 비교하여 기능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특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1: 고기구이판 100: 구이판 본체
110: 기름배출공 111: 살
112: 기름배출돌기 120: 걸림턱
121: 기름방지턱 200: 보온판
210: 고정발 220: 온기배출공
300: 화염학산판 400: 버너
500: 기름받이

Claims (7)

  1. 버너의 상부에 올려져 가열되고 버너의 열로 고기를 굽는데 사용되며,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측면으로 배출되게 기름배출공이 형성된 고기구이판에 있어서,
    중앙은 막혀있고, 측면에는 고기에서 배출된 기름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공(110)이 형성되되, 중앙에서 측면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부에서 하부로 균일하게 함몰되는 걸림턱(120)이 형성되고, 걸림턱(120)은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이판 본체(100)의 하부에는 기름방지턱(121)이 형성되며, 기름배출공(110)은 상부의 측면이 걸림턱(120)의 측면과 중첩되는 지점에 접하게 형성되어, 걸림턱(120) 내부로 유입된 기름이 걸림턱(120) 측면으로 연결된 기름배출공(110)의 측면을 통해 배출되게 형성된 구이판 본체(100)와;
    구이판 본체(100)의 상부의 중앙에 설치되는 보온판(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보온판(200)의 측면에는 구이판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20)에 걸리는 고정발(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6. 제 5항에 있어서,
    구이판 본체(100)는 상부를 향해 완만한 호를 형성하며 돌출되게 형성되고, 보온판(200)은 구이판 본체(100)의 상부에서 구이판 본체(100)와 일정한 거리를 이격되게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온판(200)은 구이판 본체(100)와 2 내지 5㎜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7. 제 6항에 있어서,
    보온판(200)은 중앙에 내부의 열기를 배출시키는 온기배출공(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KR1020130148905A 2013-12-03 2013-12-03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KR10145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05A KR101452783B1 (ko) 2013-12-03 2013-12-03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05A KR101452783B1 (ko) 2013-12-03 2013-12-03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783B1 true KR101452783B1 (ko) 2014-10-22

Family

ID=5199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905A KR101452783B1 (ko) 2013-12-03 2013-12-03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1738A (zh) * 2018-01-26 2018-05-04 广东阳晨厨具有限公司 新型烤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77A (ko) * 2002-07-30 2002-08-22 하필호 요철부를 형성한 옥판이 설치된 고기구이판
KR200353487Y1 (ko) 2004-03-19 2004-06-29 이강실 두개의 보조판을 갖는 고기구이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77A (ko) * 2002-07-30 2002-08-22 하필호 요철부를 형성한 옥판이 설치된 고기구이판
KR200353487Y1 (ko) 2004-03-19 2004-06-29 이강실 두개의 보조판을 갖는 고기구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1738A (zh) * 2018-01-26 2018-05-04 广东阳晨厨具有限公司 新型烤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0480A1 (en) Multi-use cooking apparatus
KR101452783B1 (ko)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KR101565326B1 (ko) 직화 구이판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629604B1 (ko) 화기 조절 및 제연 기능을 구비한 구이용 테이블
KR101292351B1 (ko) 간접 가열식 구이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KR200401034Y1 (ko)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200264091Y1 (ko) 직화 구이판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KR200238993Y1 (ko) 육류구이용 구이판
KR101613401B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KR20130138432A (ko) 구이부가 길게 칸칸이 돌설된 양변면에 가열공이 천공된 구이판
KR100330622B1 (ko) 직화 구이팬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100447249B1 (ko)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100522401B1 (ko) 직화구이기
KR200493423Y1 (ko) 구이용 황토가마의 화덕장치
KR200406385Y1 (ko) 고기 구이판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0428742Y1 (ko) 가열실이 형성된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