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4Y1 -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 Google Patents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4Y1
KR200401034Y1 KR20-2005-0024133U KR20050024133U KR200401034Y1 KR 200401034 Y1 KR200401034 Y1 KR 200401034Y1 KR 20050024133 U KR20050024133 U KR 20050024133U KR 200401034 Y1 KR200401034 Y1 KR 200401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ejection hole
heat
flame ejection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구
Original Assignee
유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홍구 filed Critical 유홍구
Priority to KR20-2005-0024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와 같은 소재를 성형틀에 삽입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가마에서 구워내어서 내열도기재로된 단일체의 고기구이판을 만들되, 그 전체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직화열로 고기를 구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기구이판 상면에 놓여진 고기의 저면이 직접 고기구이판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주어 기름 및 양념이 열원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간편하게 단일체의 고기구이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소정간격의 높이에서 직화열로 굽는 것과 동시에 내열도기에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고기구이판에 고기가 눌러붙지 않도록 빠르게 구워 구워내면서도 기름기 및 고기특유의 냄새를 말끔히 제거하여 주어 맛과 영양이 그대로 살아있도록 함은 물론 기름 및 양념이 열원에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주어 유해가스 및 매케한 연기의 배출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식당이나 야외등의 장소에서 고기를 구워먹는데 사용되는 고기구이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황토와 같이 유해성분의 배출이 전혀 없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는 소재를 성형틀에 삽입하여 중앙이 상향 만곡진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가마(로)에서 구워내어서 내열도기재로된 단일몸체의 구이판몸체(100')를 형성하되,
상기 구이판몸체(100') 외연에는 기름배출홈(11) 또는 기름배출공이 구비된 기름받이홈(10)이 형성되며,
만곡진 중앙에는 기름유도홈(21)이 형성되도록 소정간격으로 길이가 긴 형태의 반원형융기부(20)가 소정갯수 돌출형성되고, 이 반원형융기부(20)에는 소정 갯수의 화염분출공(22)을 형성하고 화염분출공(22) 외측에는 화염분출공(22) 하나하나를 각각 감싸듯이 화염분출공(22) 보다 더 높이 상향돌출된 간격유지용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Multi-function St. late flag meat roasted with seasoning VER forming to heatproof earhten ware calamity}
본 고안은 황토와 같은 소재를 성형틀에 삽입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가마에서 구워내어서 내열도기재로된 단일체의 고기구이판을 만들되, 그 전체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직화열로 고기를 구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기구이판 상면에 놓여진 고기의 저면이 직접 고기구이판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주어 기름 및 양념이 열원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간편하게 단일체의 고기구이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소정간격의 높이에서 직화열로 굽는 것과 동시에 내열도기에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고기구이판에 고기가 눌러붙지 않도록 빠르게 구워 구워내면서도 기름기 및 고기특유의 냄새를 말끔히 제거하여 주어 맛과 영양이 그대로 살아있도록 함은 물론 기름 및 양념이 열원에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주어 유해가스 및 매케한 연기의 배출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숯불구이나 돌구이 등은 기름기를 제거하여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육류 조리법들로서, 이와같은 조리법들은 대상 구이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 특유의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기 때문에 특히 소고기나 돼지고기등과 같이 지방함량이 많고 비린내가 많이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숯불구이는 석쇠형태의 철재구이판을 숯불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서 직화열로 고기를 굽는 조리법으로서, 이 조리법은 숯이 가지고 있는 탈취기능과 특유한 향의 발산으로 고기를 훈증하여 비린내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담백한 고기의 맛을 낼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돌구이는 원판이나 사각판형태의 석판을 가스렌지등에 올려 놓고 그 위에서 고기를 굽는 조리법으로 고기를 석판에 눌러 붙지 않게 은근하게 구워지게 함으로써, 고기를 연하게 함과 동시에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그 세척도 비교적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숯불구이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고기구이판은 다수의 철재살을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촘촘하게 엮어서 만든 석쇠형태의 철재구이판이거나 또는 그 밖의 형태라 할지라도 거의 대부분 표면에 화염불출공이 뚫린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금속재구이판 이어서 직화열에 의한 고기구이중 고기가 쉬 눌러 붙어 금방 더러워지며, 기름기나 양념이 열원인 숯불에 쉬 떨어져 유해연소가스 및 매케한 연기가 발생하여 손님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은 물론 손님들의 옷이나 피부에 기름기나 매케한 냄새가 스며들어 좋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철을 포함한 금속재구이판들은 부식의 염려가 있어서 세척에 각별한 주위를 기울어야 하였으며, 이들 철 및 금속재에 합금재로 함유되었던 각종 유해성분이 뜨거운 열에 의해 용출되기 때문에 용출된 유해성분이 묻은 고기를 섭취하게 되는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석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기가 직화에 의하지 않고 가열된 석판의 뜨거운 열에 의해서만 구워지므로 고기에 대한 훈증효과가 전혀 없어서 숯불로 구워 냈을 때와 같은 담백한 고기 맛을 낼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황토와 같이 유해성분의 배출이 전혀 없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내열도기재로된 단일체의 고기구이판을 만들되, 직화열로 고기를 구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기구이판 상면에 놓여진 고기의 저면이 직접 고기구이판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주어 기름 및 양념이 열원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방지한 고품격 고품질의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을 제공함으로서,
간편하게 단일체의 고기구이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소정간격의 높이에서 직화열로 굽는 것과 동시에 내열도기에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고기구이판에 고기가 눌러붙지 않도록 빠르게 구워 구워내면서도 기름기 및 고기특유의 냄새를 말끔히 제거하여 주어 맛과 영양이 그대로 살아있도록 함은 물론, 기름 및 양념이 열원에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유해가스 및 매케한 연기의 배출을 최대한 방지하여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손님이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한 고기구이를 즐거운 마음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식당이나 야외등의 장소에서 고기를 구워먹는데 사용되는 고기구이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황토와 같이 유해성분의 배출이 전혀 없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는 소재를 선택하여 이를 성형틀에 삽입하여 중앙이 상향 만곡진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가마(로)에서 구워내어서 내열도기재로된 단일몸체의 구이판몸체(100')를 형성하되,
상기 구이판몸체(100') 외연에는 기름배출홈(11) 또는 기름배출공이 구비된 기름받이홈(10)이 형성되며,
만곡진 중앙에는 기름유도홈(21)이 형성되도록 소정간격으로 길이가 긴 형태의 반원형융기부(20)가 소정갯수 돌출형성되고, 이 반원형융기부(20)에는 소정 갯수의 화염분출공(22)을 형성하고 화염분출공(22) 외측에는 화염분출공(22) 하나하나를 각각 감싸듯이 화염분출공(22) 보다 더 높이 상향돌출된 간격유지용돌기(23)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화염분출공(22)이 형성된 반원형융기부(20)의 양측에 화염분출공(22)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서 간격유지용돌기(31)가 구비된 반원형융기부(30)를 형성하여,
불꽃이 분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하여서 다 구워진 고기를 올려놓아도 타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반원형융기부(20)에 형성된 화염분출공(22)의 상측주연(22a)을 반원형융기부(20) 표면보다 약간 더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화염분출공(22) 주변에 떨어지는 기름이 화염분출공(22) 외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7a 내지 도7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구이판몸체(100') 외연에 상측단은 길이가 짧고 하측단은 내측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된 연장부(41)가 형성된 금속테두리(40)를 구성하여,
구이판몸체(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이 중앙으로만 전달되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상기 미설명 부호(24)는 고기구이판(100) 교체시 교체용막대가 결합되는 구멍이다.
상기 구이판몸체(100')는 황토 뿐만 아니라 금속판이나 돌판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구성내용을 이용하여 단순설계변경 내지는 단순치환한 것과 이들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내열도기재 고기구이판(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식당이나 야외등의 장소에서 고기를 구워먹을때 숯불이나 가스불과 같은 열원상면에 내열도기재 고기구이판(100)을 안착시킨다.
그러면 반원형융기부(20)에 형성된 화염분출공(22)을 통해 화염이 솟아 오르게 된다.
이때, 고기(200)를 화염분출공(22)이 형성된 반원형융기부(20) 상면에 올려 놓는다.
이와같이 하면 고기(200)는 반원형융기부(20)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화염분출공(22) 보다 더 높이 상향돌출된 간격유지용돌기(23) 상면에 얹어지게 되므로 화염분출공(22)과는 소정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기(200)가 화염분출공(22)을 막지 못하기 때문에 고기(200)를 얹기 전과 마찬가지로 화염분출공(22)으로 화염이 원활하게 솟아 오르므로 분출되는 화염의 직화열에 의해 고기(200)가 고기구이판(100)에 눌러붙지 않으면서도 빠르게 구워지게 된다.
특히, 열원이 숯불인 경우에는 숯이 가지고 있는 탈취기능과 특유한 향의 발산으로 고기(200)를 훈증하여 주기 때문에 고기(200) 특유의 느끼한 비린내가 제거되므로 더욱 맛있고 담백하게 고기가 구워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간편하게 단일체의 고기구이판(100)을 사용하여 고기(200)를 소정간격의 높이에서 직화열로 굽는 것과 동시에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100)은 내열도기재로 제작되어 있어서 열을 받으면 받을 수록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출되므로 원적외선이 고기(200)에 흡수되면서 기름기 및 고기특유의 냄새를 더욱 더 말끔히 제거하여 주고 맛과 영양이 그대로 살아있는 상태로 고기가 구어진다.
그러는 한편 상기와 같이 고기(200)를 구울시에는 기름 및 양념이 떨어지게 되는데,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100)의 경우에는 고기(200)가 반원형융기부(20)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화염분출공(22)을 감싸듯이 화염분출공(22) 보다 더 높이 상향돌출된 간격유지용돌기(23) 상면에 얹어진 상태이고, 상기 화염분출공(22)의 상부 직경이 작으며, 이를 통해 화염이 지속적으로 분출되는 상태임은 물론 화염분출공(22)이 기름이 외측으로 쉽게 흘러내리도록 반원형융기부(2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숯불이나 가스불과 같은 열원으로 기름이나 양념이 직접 떨어지는 것이 최대한 차단되므로 유해가스 및 매케한 연기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때, 도6과 같이 상기 반원형융기부(20)에 형성된 화염분출공(22)의 상측주연(22a)을 반원형융기부(20) 표면보다 약간 더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100)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화염분출공(22) 주변에 떨어지는 기름이 화염분출공(22) 외측으로 더욱 더 용이 하게 흘러내리게 되는 것은 물론, 이와 약간 낮은 위치에 근접되게 형성된 또다른 화염분출공(22)으로 흘러내리면서 들어가는 것까지도 완벽하게 차단시켜 줄 수 있어서 더욱 더 편리 하다.
그러므로 고기(200)를 구을시 흘러 내리는 기름이나 양념은 반원형융기부(20) 사이에 형성되는 기름유도홈(21)에 안내되어 고기구이판(100) 외연에 형성한 기름받이홈(10)에 받아져 기름배출홈(11)을 통해 외부로 곧바로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100)을 구성한 경우에는 다 구어진 고기(200)를 불꽃이 분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화염분출공(22)을 형성하지 않은 반원형융기부(30) 상면에 올려놓아 타지 않도록 하면서 먹을 수 있는데, 이 반원형융기부 상면에도 간격유지용돌기(31)가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고기가 눌어 붙거나 타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내열도기재로 제작된 특수한 구조의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100)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고기(200)가 잘 눌러 붙지도 않고 매케한 연기의 발생도 없으며 맛과 영양이 풍부한 상태로 빠르게 구워진 고기(200)를 즐거운 마음으로 마음껏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는 한편, 본 고안은 도7a 내지 도7c에서 보는 바와같이 구이판몸체(100') 외연에 금속테두리(40)가 씌워져 있으므로 구이판몸체(100')의 파손이 최대한 방지됨과 동시에 금속테두리(40)의 하측단에 구이판몸체(100') 저면 내측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된 연장부(41)가 형성되어 있어서 화염이 중앙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므로 화염분출공(22)이 형성된 반원형융기부(20) 상측에 위치된 고기는 더욱 빨리 구워지고 화염분출공(22)이 형성되지 않은 반원형융기부(30) 상측에 위치된 고기는 열전달이 최대한 차단되므로 고기가 쉽게 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유해성분의 배출이 전혀 없는 황토와 같은 소재를 성형틀에 삽입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가마에서 구워내어서 내열도기재로된 단일체의 고기구이판을 만들되, 직화열로 고기를 구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기구이판 상면에 놓여진 고기의 저면이 직접 고기구이판 상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하여 기름 및 양념이 열원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고 최대한 방지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고기를 소정간격의 높이에서 직화열로 굽는 것과 동시에 내열도기에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고기구이판에 고기가 눌러붙지 않도록 빠르게 구워내면서도 기름기 및 고기특유의 냄새를 말끔히 제거하여 주어 맛과 영양이 그대로 살아있도록 함은 물론 기름 및 양념이 열원에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주어 유해가스 및 매케한 연기의 배출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단일몸체의 고기구이판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발휘토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고기가 잘 눌러 붙지도 않고 매케한 연기의 발생도 없으며 맛과 영양이 풍부한 상태로 빠르게 구워진 고기를 즐거운 마음으로 마음껏 먹을 수 있는 잇점이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으로서 일 실시예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으로서 일 실시예의 B-B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7a,도7b,도7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7a는 외연에 금속테두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7b는 외연에 금속테두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7c는 외연에 금속테두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름받이홈 11:기름배출홈
20,30:반원형융기부 21:기름유도홈
22:화염분출공 23,31:간격유지용돌기
40:금속테두리 41:연장부
100:고기구이판 100':구이판몸체
200:고기

Claims (4)

  1. 식당이나 야외등의 장소에서 고기를 구워먹는데 사용되는 고기구이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황토와 같이 유해성분의 배출이 전혀 없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는 소재를 성형틀에 삽입하여 중앙이 상향 만곡진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가마(로)에서 구워내어서 내열도기재로된 단일몸체의 구이판몸체(100)를 형성하되,
    상기 구이판몸체(100) 외연에는 기름배출홈(11) 또는 기름배출공이 구비된 기름받이홈(10)이 형성되며,
    만곡진 중앙에는 기름유도홈(21)이 형성되도록 소정간격으로 길이가 긴 형태의 반원형융기부(20)가 소정갯수 돌출형성되고, 이 반원형융기부(20)에는 소정 갯수의 화염분출공(22)을 형성하고 화염분출공(22) 외측에는 화염분출공(22) 하나하나를 각각 감싸듯이 화염분출공(22) 보다 더 높이 상향돌출된 간격유지용돌기(23)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융기부(20)에 형성된 화염분출공(22)의 상측주연(22a)을 반원형융기부(20) 표면보다 더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화염분출공(22) 주변에 떨어지는 기름이 화염분출공(22) 외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이루어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분출공(22)이 형성된 반원형융기부(20)중 양측에 화염분출공(22)을 형성하지 않은 반원형융기부(30)로 형성하여,
    불꽃이 분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하여서 다 구워진 고기를 올려놓아도 타지 않도록 이루어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몸체(100') 외연에 상측단은 길이가 짧고 하측단은 내측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된 연장부(41)가 형성된 금속테두리(40)를 구성하여,
    구이판몸체(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이 중앙으로만 전달되도록 이루어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20-2005-0024133U 2005-08-22 2005-08-22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200401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33U KR200401034Y1 (ko) 2005-08-22 2005-08-22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33U KR200401034Y1 (ko) 2005-08-22 2005-08-22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4Y1 true KR200401034Y1 (ko) 2005-11-28

Family

ID=4370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33U KR200401034Y1 (ko) 2005-08-22 2005-08-22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326B1 (ko) * 2015-07-09 2015-11-04 조은미 직화 구이판
KR20200002774U (ko) * 2019-06-14 2020-12-23 김장현 구이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326B1 (ko) * 2015-07-09 2015-11-04 조은미 직화 구이판
KR20200002774U (ko) * 2019-06-14 2020-12-23 김장현 구이판
KR200493540Y1 (ko) * 2019-06-14 2021-04-19 김장현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34Y1 (ko)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KR200207275Y1 (ko) 훈제 구이기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101452783B1 (ko)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200196622Y1 (ko) 육류 구이판
KR102585935B1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원형구이판
JP2002209758A (ja) ロースター
KR19990036668U (ko) 훈제 구이기
KR200241605Y1 (ko) 저면 환턱이 형성된 고기구이 판
KR200427285Y1 (ko) 구이기용 간접가열커버
KR200238993Y1 (ko) 육류구이용 구이판
KR200246711Y1 (ko) 숯불구이 화덕
KR100384951B1 (ko) 고기 구이 장치
KR20230124323A (ko) 다용도 식품 가열 장치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0315598Y1 (ko) 황토가마 맥반석석쇠구이판
KR200196718Y1 (ko) 솥뚜껑 구이판
KR200365227Y1 (ko) 고기 구이판
JP2819088B2 (ja) 石焼料理用加熱器
KR200181793Y1 (ko) 구이팬
KR200294394Y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406385Y1 (ko) 고기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