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74U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74U
KR20200002774U KR2020190002446U KR20190002446U KR20200002774U KR 20200002774 U KR20200002774 U KR 20200002774U KR 2020190002446 U KR2020190002446 U KR 2020190002446U KR 20190002446 U KR20190002446 U KR 20190002446U KR 20200002774 U KR20200002774 U KR 202000027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ing plate
grilling
meat
plate
oi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540Y1 (ko
Inventor
김장현
Original Assignee
김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현 filed Critical 김장현
Priority to KR2020190002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4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불과 구이판 사이에 거리가 생기도록 구이판의 가장자리부 부분을 라운딩 되게 형성하여 고기구이 시 직화 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이판의 적층 시 구이판 사이에 생기는 간격으로 구이판 상면의 코팅된 부분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구이판 상면에는 돌기, 기름배출 홀과 일정한 간격으로 기름배출 구멍을 형성하여 고기는 돌기 위에 올려져 구이판 상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돌기 사이사이에 형성된 기름배출 홀에는 고기 구이 시 생기는 기름이 고인 후 기름배출 구멍을 통해 배출되어 고기와 기름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고기의 담백한 맛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판{A Grill}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구이판과 불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구이판의 가장자리가 라운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이판 상면에는 요철형태의 돌기와 기름배출 홀을 형성하여 고기를 구울 때의 최대의 직화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하고, 구이판 상면의 코팅 보호가 가능하며, 고기의 담백한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구이판은 육류 등을 구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 구이판에 재료를 올린 다음 버너 등의 화력을 이용하여 굽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은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전체가 평평한 모양으로 상면에는 고기가 들러붙지 않도록 코팅이 돠며, 모서리에는 기름을 배출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판은 평평한 모양으로 버너에 올려 고기를 구울 때, 구이판의 바닥 부분에 불이 강하게 가해져 고기가 구이판에 닿는 부분만 빨리 익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구이판을 쌓아 보관할 때, 구이판의 코팅된 상면이 구이판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어 상면의 코팅된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구이판의 모서리에 형성된 기름 배출구에 의해 기름은 배출되지만, 구이판의 상면에는 기름이 계속 남아 고기와 접촉하게 되어 고기의 맛이 느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구이판의 가장자리부가 라운딩 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이판은 불과 간격이 생겨 고기구이 시 최대의 직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고, 구이판의 적층 시 구이판의 상면은 구이판의 하부면과 접촉되지 않아 구이판의 상면에 코팅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구이판 상면에 요철 형태의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고기는 돌기 위에 올려져 구이판 상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돌기 사이에 함몰되는 기름배출 홀과 구이판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기름배출 구멍을 형성하여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은 기름배출 홀로 고여져 기름배출 구멍을 통해 배출되어 고기와 기름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고기의 담백한 맛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고기를 구울 수 있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이판의 구이판 상면에는 요철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사이사이에는 함몰되는 기름배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 상면에는 기름배출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이판의 가장자리부는 하향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본 고안은 구이판으로, 가장자리부가 하향 만곡되는 형상으로 구이판과 불과 간격이 생겨 고기구이 시 최대의 직화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하며, 구이판의 적층 시 구이판 사이에 거리가 생겨 접촉되지 않아 구이판 상면의 코팅된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이판 상면에 요철의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와 돌기 사이에 형성된 기름배출 홀과 함께 일정한 간격으로 기름배출 구멍을 형성하여, 고기가 구이판 상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기름은 기름배출 홀로 고인 후 기름배출 구멍을 통해 배출되어 고기와 기름의 접촉이 작아져 고기의 담백한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구이판(10)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구이판(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구이판(10)은 구이판 상면(12), 돌기(14), 기름배출 홀(16), 기름배출 구멍(18), 구멍(20), 가장자리부(22), 테두리 홈(24)으로 구성된다. 구이판(10)은 화력을 이용해 고기(50)를 구울 때, 불 위에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판이다. 구이판(10)에서 고기(50)가 구워지는 부분은 평면이며, 가장자리부(22)로 갈수록 하향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이판 상면(12)은 고기(50)가 올려지는 부분이다. 구이판 상면(12)에는 돌기(14)와 기름배출 홀(16)이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기름배출 구멍(18)이 형성된다. 구이판 상면(12)은 고기(50)가 들러붙지 않도록 코팅된다. 돌기(14)는 구이판 상면(12)에 형성된다. 돌기(14)는 요철의 형태로 돌출되며, 고기(5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기름배출 홀(16)은 구이판 상면(12)에 형성된다. 기름배출 홀(16)은 상기 돌기(14)의 사이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홈이다. 기름배출 홀(16)은 고기(50)에서 나오는 기름(60)이 고여지는 곳이다. 기름배출 구멍(18)은 구이판 상면(1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기름배출 구멍(18)은 기름배출 홀(16)에 고인 기름(60)이 배출되는 곳이다. 구멍(20)은 구이판 상면(12)에서 하향 만곡되는 가장자리부(22) 부근에 형성된다. 구멍(20)은 구이판 상면(12)의 사분점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구멍(20)은 구이판(10)을 교체하거나 구이판(10)의 이동시 들개를 끼울 수 있는 구멍(20)이다. 가장자리부(22)는 하향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이판(10) 하부의 가장자리부(22)에는 걸림발(26)이 형성된다. 걸림발(26)은 구멍(20)과 같이 구이판의 사분점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걸림발(26)은 구이판(10)이 버너에 올라간 상태에서 구이판(10)이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테두리 홈(24)은 구이판 상면(12)과 구이판(10) 외경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홈으로, 구이판(10)의 적층 시 구이판(10) 하부에 형성된 걸림발(26)이 끼워지는 곳이다.
도 2는 구이판(10)을 버너(40)에 올려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30)에 놓인 버너(40) 위에 구이판(10)을 올리면, 구이판 (10)은 구이판(10) 하부에 형성된 걸림발(26)이 버너(40)의 지지대(42)에 걸려 움직이거나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구이판(10)은 가장자리부(22)가 라운딩 되고 고기(50)가 구워지는 부분은 평면으로 버너(40)에 올리면 불과 구이판(10) 사이에 간격이 생겨 고기(50) 구이 시 최대의 직화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하며, 작은 규격의 구이판(10)에서도 많은 양의 고기(50)를 굽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구이판(10)을 적층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이판(10)의 적층 시 위쪽에 적층 되는 구이판(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발(26)은 하측의 구이판(10)의 구이판 상면(12)에 형성된 테두리 홈(24)에 끼워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구이판(10)의 가장자리부(22) 부분이 라운딩 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이판(10)의 적층 시 구이판(10) 사이에 거리가 생겨 구이판 상면(12)은 적층 되는 구이판(10)의 하부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이판 상면(12)의 코팅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구이판(10)에 고기(50)가 올려진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기(50)는 구이판 상면(12)에 형성된 돌기(14) 위에 올려진다. 고기(50)가 구이판 상면(12)에 바로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구이판 상면(12)에 형성된 돌기(14)와 접촉되어 고기(50)가 구워지는 부위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돌기(14) 사이사이에 형성된 기름배출 홀(16)로 구이 과정 중 생기는 기름(60)이 고인 후 기름배출 구멍(18)을 통해 배출되므로, 고기(50)와 기름(60)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고기(50)의 담백한 맛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0 : 구이판 12: 구이판 상면
14 : 돌기 16 : 기름배출 홀
18 : 기름배출 구멍 20 : 구멍
22 : 가장자리부 24 : 테두리 홈
26 : 걸림발 30 : 바닥
40 : 버너 42 : 지지대
50 : 고기 60 : 기름

Claims (2)

  1. 고기(50)를 구울 수 있는 구이판(10)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0)의 구이판 상면(12)에는 요철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4)의 사이사이에는 함몰되는 기름배출 홀(16)이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 상면(12)에는 기름배출 구멍(18)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0)의 가장자리부(22)는 하향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KR2020190002446U 2019-06-14 2019-06-14 구이판 KR200493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46U KR200493540Y1 (ko) 2019-06-14 2019-06-14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46U KR200493540Y1 (ko) 2019-06-14 2019-06-14 구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74U true KR20200002774U (ko) 2020-12-23
KR200493540Y1 KR200493540Y1 (ko) 2021-04-19

Family

ID=7408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46U KR200493540Y1 (ko) 2019-06-14 2019-06-14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4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72Y1 (ko) * 2000-06-22 2000-12-15 장길용 고기 구이판
KR200339220Y1 (ko) * 2003-10-16 2004-01-16 김장현 적층 및 보관이 용이한 고기 구이판
KR200401034Y1 (ko) * 2005-08-22 2005-11-28 유홍구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20100099438A (ko) * 2009-03-03 2010-09-13 신영열 고기구이판
KR101565326B1 (ko) * 2015-07-09 2015-11-04 조은미 직화 구이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72Y1 (ko) * 2000-06-22 2000-12-15 장길용 고기 구이판
KR200339220Y1 (ko) * 2003-10-16 2004-01-16 김장현 적층 및 보관이 용이한 고기 구이판
KR200401034Y1 (ko) * 2005-08-22 2005-11-28 유홍구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20100099438A (ko) * 2009-03-03 2010-09-13 신영열 고기구이판
KR101565326B1 (ko) * 2015-07-09 2015-11-04 조은미 직화 구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40Y1 (ko)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016B1 (ko)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US10201245B2 (en) Automatic broiler with air flow restriction plate
KR200493540Y1 (ko) 구이판
US6820541B2 (en) Cookie baking sheet with cookie slide-off ramp
KR101515579B1 (ko) 인덕션용 구이판
KR200489264Y1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 보조불판이 구비된 구이판 세트
KR102177414B1 (ko) 구이용 불판
KR200320473Y1 (ko) 승하강식 2중 고기구이판
KR200348791Y1 (ko) 구이용 석쇠
KR102062253B1 (ko) 즉석 김구이기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KR101467729B1 (ko) 절첩식 불판
KR102585935B1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원형구이판
JP3223122U (ja) お好み焼き用焼成プレート
KR20100004159U (ko) 고기구이 불판
KR20100008334U (ko) 육류 구이판
JP5203722B2 (ja) アルミニウム箔成型鍋
KR200432858Y1 (ko) 수정구이판
TWM538702U (zh) 貝果烤盤
KR200359184Y1 (ko) 구이기
TWM498556U (zh) 烤肉爐
TWI618486B (zh) Bego baking tray
TWM503863U (zh) 麵包烤盤
KR200309213Y1 (ko) 구이판
JPS5927874Y2 (ja) 鉄板焼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